맨위로가기

동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물은 진핵생물이고 다세포 생물이며, 종속영양 생물로 유기물을 섭취하여 소화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을 식물과 구분했으며, 린네의 분류 체계를 거쳐 진화 관계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졌다. 동물은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운동성을 가지고 생애의 일부 기간 동안 이러한 능력을 보인다. 동물은 일반적으로 다세포 진핵생물이며 종속영양 생물이고, 호기성 호흡을 하며 운동성을 가지고, 대부분 포배 단계를 거친다. 동물은 세포, 조직, 기관으로 구성되며, 체축, 배엽성, 체강이 중요한 구조적 특징이다. 동물은 유성 생식을 통해 번식하며, 무성 생식도 가능하다. 동물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육식, 초식, 잡식, 기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기물을 섭취한다. 인류는 식량, 섬유, 노동, 과학 연구, 애완동물 등으로 동물을 이용해 왔으며,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 - 진정후생동물
    진정후생동물은 방사대칭동물군과 좌우대칭동물군으로 나뉘며, 좌우대칭동물군은 편형동물상문, 촉수담륜동물상문, 탈피동물상문, 후구동물상문으로 분류된다.
  • 동물 - 측생동물
    측생동물은 비대칭적 특징을 가진 동물군으로, 해면동물 및 판형동물과 함께 연구되고 있으며,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 좌우대칭동물과의 연관성이 제시되고 있다.
  • 생물학 용어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물학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동물 - [생물]에 관한 문서
동물계 정보
동물 다양성
각 이미지 설명
학명Animalia
명명자칼 폰 린네, 1758
화석 범위크라이오제니아기 – 현재, 665백만 년 전 – 0년
로마자 표기an'i'meiliə
어원(라틴어)
영어 명칭Animal
기타 명칭Metazoa (메타조아)
Choanoblastaea (코아노블라스타에아)
Gastrobionta (가스트로비온타)
Zooaea (조아에아)
Euanimalia (에우아니말리아)
서식지생물권
크기 범위8.5 μm 에서 33.6 m
특징진핵생물
다세포생물
종속영양생물
하위 분류
하위 분류군좌우대칭동물 (약 30개 문)
자포동물
유즐동물
판형동물
해면동물
계통 분류
상위 분류군진핵생물
아모르페아
(분류 없음)
후편모생물
홀로조아
필로조아
코아노조아

2. 분류의 역사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을 동물과 식물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이 칼 폰 린네의 첫 계급 분류로까지 이어졌다. 그 뒤로 생물학자들이 진화 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군들은 어느 정도 제한을 받아왔다. 이를테면 미시적인 원생생물은 이들이 움직이기 때문에 동물로 여겼으나 지금은 별도로 취급한다.

린네의 원래 분류에서 동물은 세 개의 계 가운데 하나였으며, 이것이 연충류, 곤충류,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로 나뉘었다. 그 뒤로 마지막 다섯 가지가 모두 하나의 문인 척삭동물로 합쳐졌으며 다양한 다른 형태들은 별도로 떨어져 나갔다.[165] 그의 원래 계획에서 동물은 세 개의 계 중 하나였으며, 벌레류(Vermes), 곤충류(Insecta), 어류(Pisces), 양서류(Amphibia), 조류(Aves), 그리고 포유류(Mammalia)의 강으로 나뉘었다. 그 이후로 마지막 네 강은 모두 하나의 문인 척삭동물문으로 통합되었고, 그의 곤충류(갑각류와 거미류를 포함함)와 벌레류는 이름이 바뀌거나 분리되었다.

장-바티스트 라마르크


이 과정은 1793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그는 벌레류를 une espèce de chaos프랑스어('혼란스러운 혼합')이라고 불렀다, 이 무리를 세 개의 새로운 문으로 나누었다. 즉, 벌레, 극피동물, 그리고 산호와 해파리를 포함하는 폴립이다. 1809년 그의 ''동물철학''에서 라마르크는 척추동물(그는 여전히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어류의 네 개의 강을 가지고 있었다)과 연체동물을 제외하고 9개의 문을 만들었다. 즉, 섬모류, 환형동물, 갑각류, 거미류, 곤충류, 벌레류, 방사형 동물, 폴립, 그리고 섬모충류이다.[167]

1817년 그의 ''동물계프랑스어''에서 조르주 퀴비에는 비교 해부학을 사용하여 동물들을 네 개의 embranchements프랑스어('몸의 구조가 다른 가지', 대략 문에 해당)로 분류했다. 즉, 척추동물, 연체동물, 절지동물(절지동물과 환형동물), 그리고 강장동물(방사형 동물)(극피동물, 자포동물 및 기타 형태)이다.[168] 이러한 4분류는 1828년 발생학자 카를 에른스트 폰 배어, 1857년 동물학자 루이 아가시, 그리고 1860년 비교 해부학자 리처드 오언에 의해 이어졌다.[170]

1874년 에른스트 헤켈은 동물계를 두 개의 아계로 나누었다. 즉, 후생동물(다세포 동물, 다섯 개의 문: 강장동물, 극피동물, 절지동물, 연체동물, 그리고 척추동물)과 원생동물(단세포 동물), 여섯 번째 동물 문인 해면동물을 포함한다.[169][170] 원생동물은 나중에 이전의 원생생물계로 이동되어, 후생동물만이 동물계의 동의어로 남게 되었다.[171]

전통적으로 여러 민족에서 생물은 식물과 동물로 크게 나뉘어 왔다.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지 Περὶ Τὰ Ζῷα Ἱστορίαιgrc』 등의 저서에서 동물과 식물의 중간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구분을 채택하고, 감각과 운동 능력은 동물에게만 나타난다고 보았으며, 영혼의 질적 차이로 이론적으로 설명하려 했다. 더 나아가 동물을 붉은 피를 가진 '''유혈동물'''(ἐναίμοςgrc 현대의 "척추동물"에 해당)과 그렇지 않은 '''무혈동물'''(ἀναίμοςgrc 현대의 "무척추동물"에 해당)로 이분하고, 발생 양식과 다리의 수를 주요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세분화했다.[436] 아리스토텔레스는 린네 분류법과 달리 모든 상위 분류에 "류 γένοςgrc"를 사용했고[436], 유혈동물을 인류・태생 사족류・난생 사족류・조류・어류로, 무혈동물을 연체류(μαλάκιαgrc 현재의 두족류)・연갑류(갑각류, μαλακόστρακαgrc 현재의 갑각류에 해당)・절족류(ἔντομαgrc 현재의 절지동물에서 갑각류를 제외한 개념)・각피류(ὀστρακόδερμαgrc 현재의 연체동물에 더해 성게류, 멍게류를 포함)로 나누었다.[436]

고대 시대에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들을, 자신의 관찰을 바탕으로 피가 있는 동물(대략 척추동물)과 피가 없는 동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동물들은 인간(피가 있고, 두 발, 이성적인 영혼)부터 태생 사족보행동물(피가 있고, 네 발, 감각적인 영혼), 갑각류(피가 없고, 다리가 많고, 감각적인 영혼) 등의 다른 무리들을 거쳐 해면동물(피가 없고, 다리가 없고, 식물적인 영혼)과 같은 자연 발생 생물까지 사다리처럼 배열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해면동물이 감각, 욕구, 운동이 있어야 하는 그의 체계에서 동물인지, 아니면 감각이 없는 식물인지 확신하지 못했다. 그는 해면동물이 촉각을 감지하고 바위에서 떼어내려고 하면 수축한다는 것을 알았지만, 식물처럼 뿌리를 내리고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164]

동물계에는 위와 같은 동물문이 설정되지만, 이것은 카롤루스 린네우스(Carl von Linné)의 『자연의 체계 제10판』(1758)에서 속보다 상위의 계급으로 설정된 「강」에 유래한다고 여겨진다.[236] 린네는 『자연의 체계 초판』(1735)에서 동물을 네발짐승강, 조강, 양서강, 어강, 곤충강, 벌레강으로 나누었다. 제10판에서는 초판의 어강에 포함되어 있던 고래를 네발짐승강에 추가하여 포유강으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칠성장어와 상어 등이 양서강에 포함되었다.

『자연의 체계 초판』(1735)『자연의 체계 제10판』(1758)



린네가 동물을 나눈 강은 조르주 퀴비에(1812)에 의해 "embranchement"(이하 문으로 번역)로 명명되었고, 계급으로서의 강은 그 하위 계급 명으로 남았다.[236] 퀴비에의 분류 체계에서는 동물을 크게 척추동물문, 연체동물문, 절지동물문, 방사동물문의 4군으로 나누었다. 이 계급을 "문 (Phylum)"이라고 한 것은 에른스트 헤켈(1866)이며, 척추동물문, 절지동물문, 연체동물문, 극피동물문, 강장동물문의 5문을 인정했다.[236]

점액포자충의 일종(믹소조아동물)


구두충강의 일종(구두동물)


사쓰마하오리무시(유수동물; 하오리무시동문)


개주둥이충(설형동물)


연구의 진행, 특히 분자계통분석의 부상에 따라 해체되거나 다른 동물문의 하위로 흡수된 동물문도 많이 존재한다.

; 강장동물문

: 현재는 자포동물문과 유즐동물문으로 분할되어 있다. 과거에는 위수관계를 강장이라고 부르며, 강장동물로 묶여 있었다.[437] 또한 방사대칭동물라고 불리기도 했다. 유즐동물은 세포기관인 자포 대신 하나의 세포가 변형되어 생긴 교포를 가지는 점, 상피세포의 각 세포가 두 개 이상의 섬모를 갖는 다섬모성인 점, 중배엽성의 진짜 근육세포를 가지는 점, 난할은 결정성 난할인 점, 여러 개의 감각기가 방사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자포동물과 달리 하나만을 반구측에 갖는 점 등 자포동물과 크게 다르며, 게다가 분자계통분석에 의해 강장동물이 단계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두 동물문은 별개의 문으로 나뉘어 있다.[437]

; 믹소조아문

: 원생동물의 한 무리로 취급되기도 했지만, 극사가 들어간 극낭이라는 구조가 자포와 비슷하며 분자계통분석 결과 현재는 자포동물에 포함된다.[370][438] 후생동물 특유의 세포간 접착 구조나 동물에만 존재하는 ''Hox''형 호메오틱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기생성의 획득에 의해 이차적으로 퇴화된 체제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438]

; 중생동물

: 현재는 이배동물문과 직영동물문으로 분할되어 있다. 에두아르 벤 베네덴(1876)에 의해 원생동물과 후생동물의 중간에 위치하는 동물군으로서, 이배충(이배동물)만을 포함하는 군으로 설립되었고, 나중에 van Beneden (1882)에 직영충(직영동물)이 여기에 포함되었다.[439] 그 후 다양한 생물이 포함되었지만, 그 정체가 와편모조나 믹소조아임이 밝혀져 제외되었다.[439]

; 일배엽동물문

: 1982년 아르헨티나의 암염에서 발견된 한 층의 체피세포로 구성된 생물이지만, 존재가 의심되고 있다.

; 낭형동물문

: 위체강을 가진 동물을 모아 놓은 「쓰레기통 분류군」으로, 현재는 윤형동물·구두동물·복모동물·선형동물·유사선형동물·동구동물·동갑동물·아가미끌이동물·내강동물로 분할되어 있다.[251] 구두동물·선형동물·유사선형동물은 원형동물로 묶이기도 했다.

; 전항동물문

: 수충동물、이끼벌레동물、완족동물 등, 다른 별구동물 및 깃털벌레류 등은 과거에 전항동물이라고 불리며 한 문에 놓여 있었다.[440][441] 수충동물·이끼벌레동물·완족동물의 3 분류군은 현재에도 촉수관동물로서 문보다 상위의 분류군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236]

; 구두동물문

: 현재는 윤형동물에 포함되어 있으며, 과거의 좁은 의미의 윤형동물은 측계통이 된다.[353] 좁은 의미의 윤형동물과 구두동물을 문으로 남기고, 현재의 넓은 의미의 윤형동물을 공피류(다핵피동물)라고 부르기도 한다.[353]

; 유수동물문

: 현재는 환형동물문에 포함되어 있다.[442] 좁은 의미의 유수동물(수염벌레)과 아래의 하오리무시는 체후단의 체절 구조 및 성체에서의 소화관 상실 등의 공유 파생 형질을 가지며, 함께 유수동물로 하는 생각이 주류였다.[442] 구부촉수강 갯지렁이목에 포함되는 1과, 시보글리누스과가 되고 있다.

; 하오리무시동물문

: 현재는 환형동물문에 포함되어 있다.[442] 원래 위의 유수동물에 포함되었지만, 존스 (1985)는 체강의 구조의 차이를 중시하여 독립된 문으로 두었다.[442] 그러나 당시부터 사우스워드 (1988)와 같이 반대 의견도 많았고, 위와 같은 공유 파생 형질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이후에도 유수동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442] 현재는 위의 시보글리누스과에 포함된다.

; 별구동물문

: 현재는 환형동물문에 포함되어 있다. 분자계통분석에 의해 깃털갯지렁이목과 자매군을 이루는 것이 밝혀졌다.

; 유무시동물문

: 현재는 환형동물문에 포함되어 있다. 분자계통분석에 의해 실갯지렁이목에 포함되는 것이 밝혀졌다.

; 설형동물문

: 현재는 절지동물문에 포함되어 있다. 어류의 외부 기생충인 아가미꼬리류와 근연임이 밝혀져, 21세기 이후는 물쥐며느리강 안의 한 아강, 설충아강으로 여겨진다.[398]

; 단지동물문

: 현재는 절지동물문에 포함되어 있다. 곤충류 및 다지류를 공통된 성질을 가진다고 하여 묶고, 협각류나 갑각류와 함께 독립된 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443] 그러나 21세기 이후, 곤충은 갑각류와 단계통군인 범갑각류를 이루는 것이 명확해졌으며,[399]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1960년 이후 제안되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동물문을 제시한다.
: 1883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수족관에서 발견되었지만, 채집 방법이 확립되고 상세한 형태 관찰이 가능해질 때까지 그 존재가 인정되지 않았다.[442] 1971년에 편형동물문이 설립되었다.

  • 악구동물문 (Gnathostomulida)

: 아크스(Ax, 1956)에 의해 발견되어 편형동물의 한 목으로 기재되었지만, 리두르(Rieger, 1969)에 의해 독립된 동물문으로 이동되었다.[353][442]

  • 동갑동물문 (Loricifera)

: 크리스텐센(Kristensen, 1983)에 의해 기재되었다.[442]

  • 유륜동물문 (Cycliophora)

: Funch & Kristensen (1995)에 의해 기재되었다.[442]

  • 미악동물문 (Micrognathozoa)

: 2000년 그린란드의 용천수에서 발견되어, 악구동물문의 한 강으로 기재되었다.

  • 이무강동물문 (Xenacoelomorpha)

: 무장류와 피중신경류를 포함하는 무장동물과 끈벌레류를 합친 클레이드이다.[374]

2. 1. 상위 분류

20세기 말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생물은 진정세균, 고세균, 진핵생물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3역설).[232][233] 동물은 식물, 균류(버섯이나 곰팡이), 원생생물과 함께 진핵생물에 속한다. 원생동물(짚신벌레, 유글레나, 아메바 등)은 후생동물과는 계통적으로 다르며,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다.[234]

동물은 진핵생물 중 오피스토콘타(후편모생물)라는 단계통군에 속하며, 여기에는 균류와 일부 진핵생물이 포함된다. 오피스토콘타는 뒤쪽에 있는 한 개의 편모로 이동하는 공통 형질을 가지며, 동물의 정자난균류포자가 가지는 편모가 이에 해당한다. 오피스토콘타는 아메보조아와 함께 아몰피아라는 클레이드로 묶인다.[235]

오피스토콘타는 홀로조아와 홀로마이코타로 나뉘며, 동물은 홀로조아에, 균류는 홀로마이코타에 속한다.[236] 동물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깃편모충류도 홀로조아에 속한다.[236] 후생동물을 동물계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지만,[237][238] 홀로조아를 동물계로 간주하는 시도도 있다.

에서는 후생동물 emend. 을 정규적인 계급으로 하고, 동물 및 진정후생동물 과 동의어로 간주하며, 해면동물, 판형동물, 자포동물, 유즐동물을 포함하면서도 그것들을 제외한 좌우대칭동물을 계에 상당하는 계급으로 설정했다.[235]

2. 2. 학명과 명명법

동물의 학명은 국제동물명명규약(ICZN)에 따라 운용된다.[239] 현행 규약은 2000년 1월 1일에 발효된 제4판이다.[239] 국제동물명명규약에서 "동물"이라는 용어는 후생동물을 가리키지만, 원생생물이라도 연구자에 따라 동물(원생동물)로 취급되는 경우에는 명명법상 "동물"로 취급되어 이 명명규약이 적용된다.[239] 진핵생물의 명명규약에는 국제동물명명규약과 국제조류·균류·식물명명규약이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준수해야만 학명으로 인정된다.[239]

동물명명법의 시발점은 카를 폰 린네/Carl von Linnéla(1758)의 ''Systema Naturaela'' 『자연의 체계 제10판』과 카를 알렉산더 클레르크/Carl Alexander Clerckla(1757)의 ''Aranei Svecici''이며, 둘 다 1758년 1월 1일에 출판된 것으로 간주된다.[239]

3. 특징

동물은 다른 생물과 구별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물은 진핵생물이고 다세포생물이다.[14] 식물과 조류처럼 스스로 영양분을 생산하는[15] 것과 달리, 동물은 종속영양성[16][17]이며 유기물을 섭취하여 내부에서 소화한다.[18]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동물은 호기성 호흡을 한다.[20] 모든 동물은 운동성[21](자발적으로 몸을 움직일 수 있음)을 가지며, 생애주기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이러한 능력을 보이지만, 해면, 산호, 홍합, 따개비 등 일부 동물은 나중에 부착생활을 한다. 포배는 배 발생 단계에서 동물에게만 나타나는 단계이며, 세포가 분화하여 특수한 조직과 기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22]

동물은 초기 배아(1)의 세포 덩어리가 속이 빈 공 모양인 포배(2)로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동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 다세포 진핵생물이다.[240][241]
  • 종속영양 생물이다.[241][242] 즉, 식물과 같은 독립영양 생물과 달리 무기물로부터 스스로 영양분을 얻을 수 없다.
  • 매우 적은 수의 예외적인 동물을 제외하고 호기성 호흡을 한다.[243] 즉, 산소를 이용한 세포 호흡을 한다.
  • 운동성이 있다.[244] 즉, 자발적으로 몸을 움직일 수 있다. 단, 생애 중 일부 기간 동안 부착 생물이 되는 등 운동성이 없는 시기가 있는 동물도 있다.
  • 대부분의 동물은 배 발생 초기 단계에 포배 단계가 있다.[245]


또한, 동물의 '''체제'''(body plan, bodyplan영어, Bauplande)를 비교하는 데 있어서 세포의 단일/다중(다세포화), 조직 및 기관의 유무(기관 분화), 그리고 '''체축'''의 대칭성, '''배엽성'''과 '''체강'''이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246]

3. 1. 구조

모든 동물은 세포로 구성되며, 콜라겐과 탄력성 있는 당단백질로 구성된 특징적인 세포외기질로 둘러싸여 있다.[23] 발생 과정에서 동물 세포외기질은 세포가 이동하고 재배열될 수 있는 비교적 유연한 틀을 형성하여 복잡한 구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석회화되어 껍질, 뼈, 극침과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24] 반대로, 다른 다세포 생물(주로 조류, 식물, 및 균류)의 세포는 세포벽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므로 점진적인 성장을 통해 발달한다.[25] 동물 세포는 고유하게 밀착연접, 간극연접 및 데스모솜이라고 불리는 세포 연결을 가지고 있다.[26]

몇 가지 예외(특히 해면동물과 플라코조아)를 제외하고, 동물의 몸은 조직으로 분화된다.[27] 여기에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과 신호를 전달하고 신체를 조정하는 신경 조직이 포함된다.[28] 일반적으로, 한 개의 구멍(빗해파리류, 자포동물, 편형동물) 또는 두 개의 구멍(대부분의 양측대칭동물)이 있는 내부 소화 기관도 있다.[28]

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체축'''(体軸)이라는 몸의 방향이 결정되며, 그 방향에는 전후축(두미축), 배복축, 좌우축의 세 가지 기본적인 축이 있다. 동물의 패턴 형성에서 체축의 결정 등 세포에 위치 정보를 주는 기능을 가진 물질을 모르포겐이라고 부른다.

'''전후축'''(前後軸, antero-posterior axis영어, 두미축, 일차축, 문미축)은 동물의 체제의 기본이 되는 축으로, 명료한 배복축이 없는 자포동물에도 보이며, 머리 부분()에서 꼬리 부분(항문)을 관통하고 있다.[248] 전후축의 형성에는 대부분의 동물(예를 들어, 척추동물이나 귀뚜라미 (절지동물)와 플라나리아 (편형동물)에서 자포동물까지)에서 Wnt리간드(세포외 분비성 인자)가 관여하고 있으며, 꼬리쪽에서 Wnt, 머리쪽에서 Wnt 길항인자가 발현하고 있다.[248] 단, 초파리(절지동물)에서는 초기 배에서 세포막이 없는 합포체로서 발생(표할)하기 때문에, Wnt와 같은 분비성 인자의 농도 기울기가 아니라 비코이드 (bicoid영어)라는 호메오도메인을 가진 전사인자가 단백질 수준에서 두미축을 따라 농도 기울기를 형성하여 형태 형성이 이루어진다.[248] 또한, 전후축을 따라 분절의 형성에도 호메오도메인이라고 불리는 DNA 결합 도메인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Hox'' 클러스터 유전자가 작용하고 있으며, 배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유전자좌의 3'-측에서 순서대로 전후축을 따라 분절적으로 발현함으로써 전후축을 따라 각 위치에 고유한 형태가 형성된다.[248] ''Hox'' 유전자군은 해면동물을 제외한 거의 모든 후생동물이 가지고 있다.

'''배복축'''(背腹軸, dorso-ventral axis영어)도 마찬가지로 좌우 대칭 동물에서 인정되는 동물의 체제의 기본이 되는 체축이다.[248] 편형동물, 절지동물, 극피동물, 척추동물 등 많은 동물에서 세포외로 방출되는 BMP(골형성인자)라는 리간드와 Chordin 등의 BMP 길항인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BMP 활성의 농도 기울기에 의해 배복축이 형성된다.[248] 외배엽은 BMP 활성이 높으면 표피로, 낮으면 신경으로 분화하지만, 19세기 전반부터 척추동물과 다른 동물에서는 배복축을 따라 기관 배치가 반전되어 있다는 것이 지적되어 왔고, 실제로 척추동물에서 BMP가 복측에서 발현하고 배측에서 Chordin 등이 발현하는 것에 비해, 절지동물(초파리)에서는 배측에서 BMP와 상동인 분자 (Dpp, Decapentaplegic영어)가, 복측에서 BMP 길항인자(동, Sog)가 발현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248] 반대로 초파리에서 복측을 결정하는 것은 ''dorsal'' 유전자로, 세포성 포배기에서 복측에 전사인자 도르살 단백질 (Dorsal영어)이 많이 분포하여 배측으로의 분화를 억제한다. 배 발생부터 배복축이 결정되어 있는 절지동물과 달리, 양서류(척추동물)에서는 수정 시 정자의 침입과 반대쪽에 회색반월환이 형성되고, 거기서 원장 함입이 일어나 Wnt 신호전달계의 디셰벌드 (Dsh, Dishevelled영어)가 활성화되어 다른 인자를 활성화하고, 반응의 하류에서 오가나이저를 유도함으로써 배측이 된다.

더욱이, 척추동물의 신경관의 배복축은 배의 배복축 형성의 완성 후에 진행되지만, 신경관의 복측 영역(플로어 플레이트)이나 척삭에서 Shh (sonic hedgehog영어) 단백질, Wnt 길항인자, BMP 길항인자가 발현하고, 이들의 농도 기울기에 의해 신경관 내에서 하류 표적 인자의 발현 활성이 활성화 또는 억제됨으로써 여러 가지 신경 세포가 분화한다. 이러한 발현 패턴은 좌우 대칭 동물의 중추신경계에서 널리 보존되어 있다.[248]

'''좌우축'''(左右軸)은 동물의 세 체축 중 마지막으로 결정되는 축으로, 좌우 비대칭성이 생기는 메커니즘은 진화적으로 다양하다.[247] 척추동물에서는 먼저 배의 중앙부(노드)에서 섬모의 회전에 의해 좌우 대칭성이 깨지고, 왼쪽의 중배엽에서 Nodal 및 Lefty와 같은 신호 분자가 활성화되어 복강 내에서 장기가 비대칭적인 형태와 위치로 형성된다.[247] 그에 대해, 초파리(절지동물)에서는 세포의 형태의 왜곡에 기인하여 소화관이 비대칭적인 형태를 취한다.[247] 복족류(연체동물)에서는 껍질의 감기는 방향이 발생 초기의 난할 양식에 의존하여 Nodal이나 Pitx2 등의 인자의 제어에 의해 왼쪽 감기인지 오른쪽 감기인지가 변화한다.[247]

수정란이 난할을 반복하여 형성되는 세포층을 배엽(胚葉, germ layer영어)이라고 한다.[249] 개체 발생 과정에서는, 상피세포층으로 둘러싸여 체내와 체외의 구별이 생기는 포배 상태에서, 원장 함입에 의해 '''내배엽'''(内胚葉, endoderm영어)과 '''외배엽'''(外胚葉, ectoderm영어)이 형성되고, '''이배엽성''' 낭배(원장배)가 된다. 거기에서 더 나아가 내외 양 배엽의 어느 한쪽에서 세포가 떨어져 나와 '''중배엽'''(中胚葉, mesoderm영어)이 형성된다.[249] 외배엽 유래의 중배엽을 '''외중배엽'''(外中胚葉, ectomesoderm영어), 내배엽 유래의 중배엽을 '''내중배엽'''(内中胚葉, entomesoderm영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49] 외중배엽으로 이루어진 세포는 모두 간충직세포 (mesenchyme영어)로 만들어지지만, 극피동물이나 혜충동물 등, 내중배엽에서도 간충직세포로 형성되는 것도 있다.

계통 진화의 가설에서, 다세포화하여 세포 상호 간의 밀착에 의해 체내와 체외를 격리하게 된 동물이 입과 소화관을 가지게 되고, 내배엽외배엽의 구별이 생기게 된 이배엽 동물(디플로블라스티카, Diploblasticala)이 되고, 그것이 더 나아가 중배엽이 생겨 삼배엽 동물(트리플로블라스티카, Triploblasticala)이 되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해면동물을 제외한 동물은 (이차적으로 상실한 것을 제외하고) 배엽의 분화가 보이며, 진정후생동물이라고 불린다.[250] 자포동물유즐동물은 내중배엽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예전에는 이배엽 동물로 간주되어 왔지만, 내배엽과 외배엽 사이에 외중배엽에 의한 간충직세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합조직에 세포가 없는 히드라충류를 제외하고는 삼배엽성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249] 편형동물도 중배엽이 부족하다고 여겨지지만, 전자에는 상피 아래에 세포가 보인다. 이배엽동물 및 직영동물에도 중배엽이 없고, 후생동물조차 아닌 중생동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퇴화적으로 단순한 체제가 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249]

왼쪽부터 무체강, 진체강, 위체강의 단면 모식도.


외배엽과 내배엽 사이의 간극에 중배엽이 관상의 세포층을 형성한 것을 체강(體腔, coelom영어)이라고 한다.[251]

삼배엽성 동물은 체강의 구조에 따라, 체강이 없는 '''무체강동물'''(無體腔動物, acoelomates영어), 체강이 상피성 세포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위체강동물'''(僞體腔動物, pseudocoelomates영어), 상피성 세포로 둘러싸인 체강을 가진 '''진체강동물'''(眞體腔動物, coelomates, eucoelomates영어)로 크게 나뉘어 왔다.[251] 위체강은 포배강(胞胚腔, '''원체강''', primary body cavity영어)이 체강으로 남은 것으로 큰 체강을 만들 수 없는 반면, 진체강은 확실하고 큰 체강을 만들 수 있다. 위체강동물은 종래, 구형동물(袋形動物)이라는 하나의 동물문에 포함되어 왔다.[251] 또한, 진체강은 생성 방식에 따라 '''장체강'''(腸體腔, enterocoel영어) 및 '''열체강'''(裂體腔, schizocoel영어)으로 나뉜다.[251] 전자는 장체강낭이라고 하는 장관에 생기는 팽창이 잘록해져 분리되어 형성되는 반면, 후자는 중배엽성 세포 덩어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251] 주로 전구동물(담륜동물 + 탈피동물)에서는 열체강, 후구동물(新口動物)에서는 장체강이 된다. 과거 후구동물로 취급되었던 유형동물과 완족동물도 장체강을 가진다.

옛날에는 무체강동물에서 위체강동물, 그리고 위체강동물이 진체강동물로 진화해 왔다고 해석되었지만, 로렌젠 (1985)은 간극 생활 등에서 불필요해진 진체강이 위체강으로 퇴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더욱이 분자 계통 분석 결과에서도 이것이 지지되어, 무체강이나 위체강은 진체강이 퇴화적으로 변화한 것이라는 생각이 제기되고 있다.[250][251]

또한, 연체동물, 절지동물, 미삭동물 등에서는, 혈액(혈림프)로 채워진 '''혈체강'''(血體腔, hemocoel영어)이라고 하는 강소(원체강)를 가진다. 혈체강을 가진 동물은 개방혈관계를 가진다.

동물의 세포는 모든 진핵생물의 세포에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 세포막 :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막.[252] 내부는 생체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이며 대사의 장소가 된다. 리보솜, 세포질(세포질), 등의 공통적인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
  • DNA : 염기서열 또는 유전암호(genetic code)라고 하는 뉴클레오티드의 염기 부분이 나란히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253], 유전 정보의 계승과 발현을 담당한다. 진핵세포의 DNA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분자로 구성된 직선형이며 원핵생물보다 많고[254], 염색체라고 불린다.[255]
  • 세포질 :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의 세포질 중 핵 이외의 영역을 말한다. 진핵세포의 세포질에는 세포골격(사이토스켈레톤)이라고 불리는 미세한 관이나 필라멘트가 만드는 그물 또는 다발 모양의 3차원 구조[256]가 있다. 이것이 특히 발달한 동물 세포에서는 세포골격이 각 세포의 형태를 결정짓는다.


전형적인 동물세포에는 다음과 같은 세포소기관이 있다(번호는 그림과 일치함):

# 핵소체(仁): 세포핵 안에 존재하는, 분자 밀도가 높은 영역으로, rRNA의 전사와 리보솜의 구성이 이루어진다.

# 세포핵: 세포의 유전 정보의 저장과 전달을 담당한다.

# 리보솜: mRNA의 유전 정보를 읽어 단백질로 변환하는 번역이 이루어지는 기구이다.

# 소포: 세포 내에 있는 막으로 싸인 주머니 모양의 구조로, 세포 내에 물질을 저장하거나 세포 내외로 물질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대표적인 것으로 액포와 리소좀이 있다.

# 조면소포체: 리보솜이 부착되어 있는 소포체의 총칭이다.

# 골지체: 편평한 주머니 모양의 막 구조가 겹쳐 있으며,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의 당쇄 변형이나, 리보솜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프로세싱에 기능한다.

# 미세소관: 세포 내에서 발견되는 직경 약 25 nm의 관상 구조이며, 주로 튜불린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된다. 세포골격의 일종이다. 세포 분열 시에 형성되는 분열 장치(중심체·방추체·염색체를 통틀어 이렇게 부른다)의 주체이다.

# 활면소포체: 리보솜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소포체의 총칭이다. 보통 세관상의 그물 구조를 취한다. 조면소포체와 골지 복합체 시스망과의 이행 영역, 조면소포체와의 연속 부위에 존재한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 지질 성분의 합성이나 Ca2+의 저장 등을 수행한다.

# 미토콘드리아: 이중의 생체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자적인 DNA(미토콘드리아DNA=mtDNA)를 가지고 분열, 증식한다. mtDNA는 ATP 합성 이외의 생명 현상에도 관여한다. 산소호흡(호기호흡)의 장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포의 아포토시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mtDNA와 그 유전자 산물은 일부가 세포 표면에도 국재하며 돌연변이는 자연 면역계가 특이적으로 배제한다.[257] 미토콘드리아는 호기성 세균으로 리케차에 가까운 α프로테오박테리아가 진핵세포에 공생함으로써 획득되었다고 생각된다.[258]

# 액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만 동물 세포 내에서도 볼 수 있다. 주요 역할로는 포도당과 같은 대사 산물의 저장, 무기 염류와 같은 이온을 이용한 삼투압의 조절, 리소자임을 비롯한 분해 효소가 들어 있어 불필요한 물질의 세포 내 소화, 불필요한 물질의 저장이 있다.

# 세포질기질: 세포질에서 세포내소기관을 제외한 부분이다. 진핵생물에서는 세포질 기질은 세포의 기본적인 대사 기능의 장소라 할 수 있다.

# 리소좀: 생체막으로 싸인 구조체로 세포 내 소화의 장소이다.

# 중심체: 세포분열 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동물 세포는 콜라겐(Collagen)과 신축성 있는 당단백질(Glycoprotein)로 구성된 특징적인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둘러싸여 있다.[259] 세포외기질은 세포 외부 공간을 채우는 물질일 뿐만 아니라, 골격적 역할(석회화에 의한 뼈(Bone), 조개껍질(Shell), 해면골침과 같은 조직 형성[260]), 세포 부착(Cell adhesion)에서의 발판 역할(예: 기저막(Basement membrane)이나 피브로넥틴(Fibronectin)), 세포 증식 인자(Growth factor) 등의 유지 및 제공 역할(예: 헤파란황산(Heparan sulfate)에 결합하는 세포 증식 인자 FGF) 등을 담당한다. 또한 동물 세포는 밀착 결합(Tight junction), 간극 결합(Gap junction), 접착반점(Adhesion plaque) 등에 의해 세포 결합(Cell connection)·세포 부착(Cell adhesion)되어 있다.[261]

극소수의 예외(예: 해면동물(Porifera), 편형동물(Platyhelminthes))를 제외하고, 동물의 몸은 조직(Tissue)으로 분화되어 있으며,[262] 조직으로는 예를 들어 근육(Muscle)이나 신경(Nerve)이 있다.

3. 2. 생식과 발생

거의 모든 동물은 유성 생식을 한다.[29] 동물들은 감수분열을 통해 반수체 생식세포를 생성하는데, 작고 운동성이 있는 생식세포는 정자이고 크고 운동성이 없는 생식세포는 난자이다.[30] 이것들이 융합하여 접합자를 형성하고,[31] 유사분열을 통해 속이 빈 구형인 포배가 된다. 해면동물의 경우, 포배 유생은 새로운 장소로 헤엄쳐 가서 해저에 부착하여 새로운 해면동물로 발달한다.[32] 대부분의 다른 동물군에서는 포배가 더 복잡한 재배열 과정을 거친다.[33] 먼저 내만입을 통해 소화 기관과 두 개의 별개 배엽(외부의 외배엽과 내부의 내배엽)을 가진 낭배를 형성한다.[34] 대부분의 경우, 세 번째 배엽인 중배엽도 그 사이에 발달한다.[35] 이 배엽들은 조직과 기관으로 분화한다.[36]

잠자리의 교미


유성 생식 중 근친교배가 반복되면 해로운 열성 형질의 빈도가 증가하여 개체군 내에 근교약세가 발생한다.[37][38] 동물들은 근친교배 회피를 위한 다양한 메커니즘을 진화시켰다.[39]

일부 동물은 무성 생식이 가능하며, 종종 부모의 유전적 복제를 초래한다. 이것은 조각화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히드라'' 및 기타 자포동물에서와 같이 출아를 통해 발생하거나, 진딧물과 같이 교미 없이 수정 가능한 알이 생성되는 단위생식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40][41]

척삭동물의 초기 발생. 1: 수정란, 2: 2세포기, 3: 4세포기, 4: 8세포기, 5: 포배기, 6: 배낭기
A(좌):피낭동물의 난할(등황란)
B(중):양서류의 난할(중황란)
C(우):조류의 난할(판할)


수정란은 '''난할'''(卵割, cleavage영어)이라는 체세포 분열을 반복하여 다세포로 이루어진 배(胚)를 형성한다.[266] 난할 양식은 난황의 축적 부위의 영향을 받는다. 난할에는 '''방사 난할'''(放射卵割, radial cleavage영어)과 '''나선 난할'''(螺旋卵割, spiral cleavage영어)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267]

난할이 진행되어 포배가 되면 '''낭배 형성'''(원장배 형성[266], gastrulation영어)을 거쳐 '''낭배'''(원장배[266], gastrula영어)기에 이른다.. 낭배 형성은 '''함입''', '''덮개형성''', '''내전''', '''엽열법'''등의 방법으로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덮개형태의 낭배 형성.
1, 4: 외배엽, 2, 5: 내배엽, 3: 배낭, 6: 원구


좌우대칭동물에서는, 내배엽 및 외배엽과는 별도로, 체강과 관련하여 중배엽의 형성이 일어난다.

척추동물 등에서는 원장배기 이후, 신경관이 형성되는 신경배기로 진행된다.

4. 하위 분류

다음은 동물계에 속하는 무척추동물 분류들이다.


  • 해면동물문(Porifera)
  • 판형동물문(Placozoa)
  • 자포동물문(Cnidaria)
  • 유즐동물문(Ctenophora)
  • 삼열동물문(Trilobozoa)
  • 직유동물문(Orthonectida)
  • 능형동물문(Rhombozoa)
  • 무장동물문(Acoelomorpha)
  • 모악동물문(Chaetognatha)
  • 편형동물문(Platyhelminthes)
  • 복모동물문(Gastrotricha)
  • 윤형동물문(Rotifera)
  • 구두동물문(Acanthocephala)
  • 악구동물문(Gnathostomulida)
  • 미악동물문(Micrognathozoa)
  • 구륜동물문(Cycliophora)
  • 성구동물문(Sipuncula)
  • 연설동물문(Hyolitha)
  • 태형동물문(Bryozoa)
  • 내항동물문(Entoprocta)
  • 의충동물문(Echiura)
  • 추형동물문(Phoronida)
  • 완족동물문(Brachiopoda)
  • 유형동물문(Nemertea)
  • 환형동물문(Annelida)
  • 연체동물문(Mollusca)
  • 동문동물문(Kinorhyncha)
  • 동갑동물문(Loricifera)
  • 새예동물문(Priapulida)
  • 선형동물문(Nematoda)
  • 유선형동물문(Nematomorpha)
  • 엽족동물문(Lobopodia)
  • 유조동물문(Onychophora)
  • 완보동물문(Tardigrada)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극피동물문(Echinodermata)
  • 반삭동물문(Hemichordata)
  • 진와충동물문(Xenoturbellida)
[309]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1f2669_4b4f58d5.jpg|바다솔][310]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869aad7_ecdc5b93.jpg|빗해파리][311]

[[File:null|해파리][31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51b7d5d_ae511716.jpg|산호][313]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1ea331_d6784c9f.jpg|판형동물][314]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7a9250f_9e81336b.jpg|무장류][31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b6a957_161e5b36.jpg|이상무장동물][316]

[[File:null|불가사리][317]

[[File:Holothuria leucospilota Réunion.jpg|해삼][318]

[[File:null|성게][319]

[[File:null|나무좀][320]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cc3e36b_83cef400.png|털갯지렁이][324]

[[File:Echinoderes hwiizaa.jpg|가시동물][32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2068a3_9184be52.jpg|입벌레][326]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b45d48_3c64aa37.jpg|갑옷동물][327]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6c32a2_049cc428.jpeg|회충][328]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41a7a76_004c91b9.jpeg|철사벌레][329]

[[File:null|물곰][330]

[[File:Peripatoides indigo.jpg|비늘벌레][331]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af8407_5a91c46a.jpg|곤충류][33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532bcf0_f77494e5.jpg|갑각류][333]

[[File:EB1911 Mesozoa - Rhopalura giardii.jpg|직영충][334]

[[File:Dicyema japonicum.png|이배충][335]

[[File:Feeding stage and attached Prometheus larva of Symbion pandora.jpg|판도라][336]

악구동물
[337]

[[File:Mikrofoto.de-Brachionus quadridentatus 6.jpg|윤충][338]

[[File:Lepidodermella squamatum (cropped).jpg|좀벌레][339]

[[File:null|플라나리아][340]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133be88e_50edf618.jpg|촌충][341]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c6115f_4b34e819.jpg|이매패류][34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a877bb7_adf8a3cc.jpg|두족류][343]

[[File:Lumbricus terrestris (26559560801).jpg|지렁이][344]

[[File:Hediste diversicolor (YPM IZ 080469) 001.jpeg|갯지렁이][34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1c2d2e0a_c82af59a.jpg|유형동물][346]

[[File:Sipunculus nudus.jpeg|별벌레][347]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b4cdca_c5cf7dd3.JPG|끈벌레][348]

[[File:Lingula anatina.jpg|조개삿갓][349]

[[File:Phoronis hippocrepia Wright, 1856 1.jpg|빗살벌레][350]

[[File:Pectinatella magnifica 8568.jpg|이끼벌레][351]

[[File:null|수즈키이끼벌레][352]

4. 1. 무척추동물

섬유질 해면(가운데)과 산호(배경)를 포함한 비좌우대칭동물


해면동물은 다른 동물들과 형태적으로 매우 다르며, 오랫동안 가장 먼저 갈라져 나온 가장 오래된 동물 문으로 여겨져 다른 모든 동물들의 자매 분류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123] 다른 모든 동물과의 형태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전적 증거는 해면동물이 유즐동물보다 다른 동물들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24][125] 해면동물은 다른 대부분의 동물 문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조직을 갖고 있지 않다.[126] 해면동물의 세포는 분화되어 있지만, 다른 모든 동물과 달리 대부분의 경우 별개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127] 해면동물은 일반적으로 구멍을 통해 물을 빨아들여 작은 먹이 입자를 걸러 먹는다.[128]

유즐동물과 자포동물은 방사대칭이며, 입과 항문 역할을 하는 단일 개구가 있는 소화강을 가지고 있다.[129] 두 문에 속하는 동물들은 뚜렷한 조직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별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130] 이들은 외배엽과 내배엽의 두 가지 주요 배엽만을 가지는 이배엽성 동물이다.[131]

아주 작은 편형동물은 영구적인 소화강과 대칭성이 없으며, 외관상 아메바와 비슷하다.[132][133] 이들의 계통 발생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24][134]

해면동물문, 편형동물문, 자포동물문, 유즐동물문의 4개 문은 좌우대칭동물에 포함되지 않는 동물문으로, 몸의 좌우 대칭성이 없다. 이들을 편의상 '전좌우대칭동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분자계통분석 결과, 이 중 해면동물 또는 유즐동물 중 하나가 후생동물에서 가장 기저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236][389]. 그러나 해면동물이 계통의 가장 기저에 위치하는가[389][358][359][360][361], 유즐동물이 계통의 가장 기저에 위치하는가[365][366][362][363]는 분자계통분석에서도 데이터가 분분하다.

현재의 다양성이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화해왔다는 관점에서, 과거에는 가장 단순한 편형동물에서 세포의 종류가 더 많은 해면동물, 그리고 신경을 가진 자포동물, 마지막으로 신경계와 근육계를 모두 가진 유즐동물이 진화해왔다고 생각되었다[236][357]. 그러나 깃편모충과의 유사성으로부터 해면동물이 더 원시적인 모습에 가깝다는 생각도 있었다[357]. 이 진화적 가설은 형태에 기반한 분지학적 분석에서도 한때 지지되었다[357]. 그러나 분자계통학이 도입된 초기에는 이미 편형동물이 이차적으로 퇴화된 더 파생적인 그룹임이 명확해졌고, 유즐동물이 자포동물보다 계통적으로 기저에 위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357][364]. 그뿐만 아니라 유즐동물이 다른 모든 후생동물보다 기저에서 분기했다는 결과가 얻어졌다[365][366]. 해면동물은 대칭성이나 배엽이 없고 체제가 단순하기 때문에, 가장 초기 분기한 후생동물로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쉽지만, 유즐동물은 방사대칭, 신경계와 근육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즐동물보다 나중에 해면동물이 분기했다고 생각하면 근육계나 신경계가 유즐동물과 (유즐동물과 해면동물 이외의 후생동물)에서 두 번 독립적으로 획득했다고 생각해야 하거나, 해면동물에서 둘 다 한 번 완전히 상실했다고 생각해야 하므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36]. 계통 오차의 영향을 줄임으로써 다시 해면동물이 가장 초기 분기했다고 생각되는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389][361].

해면동물 은 대칭성이 없고 배엽이 없는 등 가장 단순한 바디플랜을 가지고 있다。해면동물의 세포는 분화하지만 조직을 형성하지 않고[367], 복잡한 기관을 가지지 않는다[368]. 그러한 점에서 해면동물은 측생동물 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포동물유즐동물의 몸은 방사대칭성을 가지며, 유일한 강소인 위강의 개구는 입과 항문을 겸한다。이들 동물문의 세포는 조직으로 분화하지만, 기관을 형성하지 않는다[369]. 중배엽이 형성되지 않는 이배엽성 동물이라고 여겨지지만, 세포성인 간충직을 중배엽으로 보고, 히드라강 이외의 자포동물과 모든 유즐동물을 삼배엽성으로 간주하기도 한다[370]

자포동물은 촉수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에 의해 독을 포함한 자사를 발사하는 자포라는 세포 기관을 가지고 있다。유영성(해파리형)과 부착성(폴립형)이라는 생활 방식이 다른 두 가지 형태를 가지며 암수딴몸이다。과거에는 단세포 생물로도 여겨졌던 기생성 믹소조아는 분자계통분석에 의해 자포동물에 포함되어 있다[370]

그에 비해 유즐동물은 하나의 세포가 변형되어 만들어진 교포를 가지며, 중배엽성의 진정한 근육 세포를 가지는 것 외에 모두 해파리형이며, 이방사대칭이고 암수한몸이다[437]

편형동물은 신경세포도 근육세포도 가지지 않고, 체세포는 6종류밖에 없으며 기관이나 전후좌우축을 가지지 않는 자유생활을 하는 동물로 가장 단순한 체제를 가지고 있다[370]. 그러나 2008년에 센모우히람시 의 게놈 해독이 이루어지고, 신호전달계, 신경과 시냅스, 세포결합 등에 관한 많은 유전자의 존재가 보고되었다[370]

아래는 동물계에 속하는 무척추동물 분류들이다.

  • 해면동물문(Porifera)
  • 판형동물문(Placozoa)
  • 자포동물문(Cnidaria)
  • 유즐동물문(Ctenophora)
  • 삼열동물문(Trilobozoa)
  • 직유동물문(Orthonectida)
  • 능형동물문(Rhombozoa)
  • 무장동물문(Acoelomorpha)
  • 모악동물문(Chaetognatha)
  • 편형동물문(Platyhelminthes)
  • 복모동물문(Gastrotricha)
  • 윤형동물문(Rotifera)
  • 구두동물문(Acanthocephala)
  • 악구동물문(Gnathostomulida)
  • 미악동물문(Micrognathozoa)
  • 구륜동물문(Cycliophora)
  • 성구동물문(Sipuncula)
  • 연설동물문(Hyolitha)
  • 태형동물문(Bryozoa)
  • 내항동물문(Entoprocta)
  • 의충동물문(Echiura)
  • 추형동물문(Phoronida)
  • 완족동물문(Brachiopoda)
  • 유형동물문(Nemertea)
  • 환형동물문(Annelida)
  • 연체동물문(Mollusca)
  • 동문동물문(Kinorhyncha)
  • 동갑동물문(Loricifera)
  • 새예동물문(Priapulida)
  • 선형동물문(Nematoda)
  • 유선형동물문(Nematomorpha)
  • 엽족동물문(Lobopodia)
  • 유조동물문(Onychophora)
  • 완보동물문(Tardigrada)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극피동물문(Echinodermata)
  • 반삭동물문(Hemichordata)
  • 진와충동물문(Xenoturbellida)
[309]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1f2669_4b4f58d5.jpg|바다솔][310]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869aad7_ecdc5b93.jpg|빗해파리][311]

[[File:null|해파리][31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51b7d5d_ae511716.jpg|산호][313]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1ea331_d6784c9f.jpg|판형동물][314]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7a9250f_9e81336b.jpg|무장류][31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b6a957_161e5b36.jpg|이상무장동물][316]

[[File:null|불가사리][317]

[[File:Holothuria leucospilota Réunion.jpg|해삼][318]

[[File:null|성게][319]

[[File:null|나무좀][320]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cc3e36b_83cef400.png|털갯지렁이][324]

[[File:Echinoderes hwiizaa.jpg|가시동물][32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2068a3_9184be52.jpg|입벌레][326]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b45d48_3c64aa37.jpg|갑옷동물][327]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6c32a2_049cc428.jpeg|회충][328]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41a7a76_004c91b9.jpeg|철사벌레][329]

[[File:null|물곰][330]

[[File:Peripatoides indigo.jpg|비늘벌레][331]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af8407_5a91c46a.jpg|곤충류][33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532bcf0_f77494e5.jpg|갑각류][333]

[[File:EB1911 Mesozoa - Rhopalura giardii.jpg|직영충][334]

[[File:Dicyema japonicum.png|이배충][335]

[[File:Feeding stage and attached Prometheus larva of Symbion pandora.jpg|판도라][336][337]

[[File:Mikrofoto.de-Brachionus quadridentatus 6.jpg|윤충][338]

[[File:Lepidodermella squamatum (cropped).jpg|좀벌레][339]

[[File:null|플라나리아][340]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133be88e_50edf618.jpg|촌충][341]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c6115f_4b34e819.jpg|이매패류][34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a877bb7_adf8a3cc.jpg|두족류][343]

[[File:Lumbricus terrestris (26559560801).jpg|지렁이][344]

[[File:Hediste diversicolor (YPM IZ 080469) 001.jpeg|갯지렁이][34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1c2d2e0a_c82af59a.jpg|유형동물][346]

[[File:Sipunculus nudus.jpeg|별벌레][347]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b4cdca_c5cf7dd3.JPG|끈벌레][348]

[[File:Lingula anatina.jpg|조개삿갓][349]

[[File:Phoronis hippocrepia Wright, 1856 1.jpg|빗살벌레][350]

[[File:Pectinatella magnifica 8568.jpg|이끼벌레][351]

[[File:null|수즈키이끼벌레][352]

4. 2. 척추동물

척삭동물문은 두삭동물, 미삭동물(피낭동물), 척추동물을 포함하는 클레이드로, 일생의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아가미틈, 척삭, 그리고 그 등쪽에 등쪽 신경관을 갖는다는 특징을 공유한다.[431] 척삭은 부풀린 긴 풍선에 비유되는 중축 기관이며, 척삭초라는 섬유질의 견고한 막에 척삭세포가 싸여 있다.[431]

척추동물은 척삭 주위에 척추가 형성된다.[431] 무악류, 연골어류, 경골어류(조기어류, 육기어류)로 구성된다.[236]

사지동물을 제외한 척추동물 그룹은 전통적으로 어류라고 불리며, 분지분류학적으로는 사지동물이 경골어류에 포함되므로 측계통군이 된다.[434] 마찬가지로 사지동물은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로 구성되지만[434], 이 중 파충류는 양막류에서 조류와 포유류를 제외한 측계통군이다.[435]

5. 계통 분류

다음은 후편모생물의 계통 분류이다.[456][457][458][459]

{{분지군| style=font-size:85%;line-height:85%

|분류1=후편모생물|아분류1=1300 mya

|1={{분지군

|분류1=홀로미코타

|1={{분지군

|분류1=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

|1={{분지군

|1=누클레아리아류

|2=폰티쿨라류

}}

|분류2=균류/
오피스토스포리디아

|2={{분지군

|1=BCG2[460]

|2={{분지군

|1={{분지군

|1=진균류

|2=아펠리디움류

}}

|2={{분지군

|1=BCG1[460]

|분류2=로젤라아계/
은진균문

|2={{분지군

|1=로젤라목

|2={{분지군

|1=Namako-37

|2=미포자충류

}}

}}

}}

}}

}}

}}

|분류2=홀로조아

|2={{분지군

|1=이크티오스포레아

|2={{분지군

|분류1=플루리포르메아

|1={{분지군

|1=코랄로키트리움속

|2=시소모나스속

}}

|분류2=필로조아

|2={{분지군

|1=필라스테레아

|분류2=깃편모충류

|2={{분지군

|1=동정편모충류

|2=동물

}}

}}

}}

}}

}}

동물은 색소편모류의 자매군이며, 이들과 함께 후편모류를 형성한다.[110]

Ros-Rocher 등(2021)은 동물의 기원을 단세포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외부 계통 발생을 제시했다. 관계의 불확실성은 점선으로 표시된다.[116]

{{Clade |style=font-size:100%; line-height:100%

|label1=후편모계 (Opisthokonta) |sublabel1=13억 년 전

|1={{Clade

|1=홀로미코타(Holomycota)(균류 포함)

|60 px]]

|label2=홀로조아 (Holozoa) |sublabel2=11억 년 전

|2={{Clade |state=dashed

|1=이크티오스포리아 (Ichthyosporea)
|50 px]]

|2=플루리포르메아 (Pluriformea)
|50 px]]

|label3=필로조아 (Filozoa)

|3={{Clade

|1=필라스테레아 (Filasterea)
|60 px]]

|label2=후편모동물 (Choanozoa) |sublabel2=9억 5천만 년 전

|2={{Clade

|label1=색소편모류 (Choanoflagellate)a |1=
|60 px]]

|label2 ='''동물계''' (Animalia) |sublabel2=7억 6천만 년 전 |2=
|60 px]]

}}

}}

}}

}}

}}

동물 계통수의 기저 부분에서의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117][118] 분자 계통유전학은 해면-자매 가설과 유즐동물-자매 가설 모두를 지지해왔다. 2017년, Roberto Feuda와 동료들은 아미노산 차이를 이용하여 해면-자매 견해를 제시했다.[121]

{{clade |style = font-size:100%; line-height:100%

|label1='''동물계(Animalia)''' |sublabel1=''다세포''

|1={{clade

|1=해면동물(Porifera)
|50 px]]

|2={{clade

|1=유즐동물(Ctenophora)
|60 px]]

|label2=ParaHoxozoa |sublabel2=''호메오박스 유전자(hox gene)s''

|2={{clade

|1=편형동물(Placozoa)
|60 px]]

|sublabel2=''대칭성''

|2={{clade

|1=자포동물(Cnidaria)
|70px]]


|2=후생동물(Bilateria)
|50 px]]

}}

}}

}}

}}

반대로, Darrin Schultz와 동료들의 2023년 연구는 고대 유전자 연관(gene linkage)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유즐동물-자매 계통 발생을 구성했다.[122]

{{clade |style = font-size:100%; line-height:100%

|label1='''동물계(Animalia)''' |sublabel1=''다세포''

|1={{clade

|1=유즐동물(Ctenophora)

|2={{clade

|1=해면동물(Porifera)

|label2=ParaHoxozoa |sublabel2=''호메오박스 유전자(hox gene)s''

|2={{clade

|1={{clade

|1=편형동물(Placozoa)

|2=자포동물(Cnidaria)

}}

|label2= |sublabel2=''대칭성''

|2=후생동물(Bilateria)

}}

}}

}}

}}

해면동물은 다른 동물들과 형태적으로 매우 다르며, 오랫동안 가장 먼저 갈라져 나온 가장 오래된 동물 문으로 여겨져 다른 모든 동물들의 자매 분류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123]

유즐동물과 자포동물은 방사대칭이며, 입과 항문 역할을 하는 단일 개구가 있는 소화강을 가지고 있다.[129]

아주 작은 편형동물은 영구적인 소화강과 대칭성이 없으며, 외관상 아메바와 비슷하다.[132][133]

이상적인 신장동물의 체제. 몸이 길어지고 움직이는 방향이 있으면 동물은 머리와 꼬리 끝을 갖게 된다.


나머지 동물들, 즉 대다수의 동물들은 약 29개의 문과 100만 종 이상을 포함하는 좌우대칭동물 클레이드를 형성하며, 좌우 대칭의 체제를 가지고 있다. 좌우대칭동물은 삼배엽성으로, 세 개의 잘 발달된 배엽을 가지고 있으며, 조직은 뚜렷한 기관을 형성한다.

전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몸의 이 부분이 음식과 같은 자극을 만나 두부화, 즉 감각 기관과 입을 가진 머리의 발달을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좌우대칭동물은 몸을 수축시켜 길게 만드는 원형 근육과 몸을 짧게 하는 반대되는 세로 근육을 가지고 있다.[137]

유전학적 연구는 동물학자들의 좌우대칭동물 내 관계에 대한 이해를 상당히 바꿔놓았습니다. 대부분은 원구류와 후구류라는 두 가지 주요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보입니다.[138]

좌우대칭동물의 내장은 두 가지 방식으로 발달한다. 많은 원구동물에서 원구는 입이 되지만, 후구동물에서는 항문이 된다.


원구동물과 후구동물은 여러 가지 면에서 다릅니다. 발생 초기에 후구동물 배아는 세포 분열 중 방사형 할구를 거치는 반면, 많은 원구동물( 나선형동물)은 나선형 할구를 거칩니다.[143]

두 그룹 모두 완전한 소화관을 가지고 있지만, 원구동물에서는 배아 장관의 첫 번째 개구가 입이 되고 항문은 이차적으로 형성됩니다. 후구동물에서는 항문이 먼저 형성되고 입은 이차적으로 발달합니다.[144][145]

주요 후구동물 문은 극피동물과 척삭동물입니다.[147] 극피동물은 전적으로 해양 동물이며 불가사리, 성게, 해삼을 포함합니다.[148] 척삭동물은 척추동물( 등뼈가 있는 동물)[149]이 지배적이며,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를 포함합니다.[150]

1990년대 이전에는 좌우대칭동물을 원장이 입이 되느냐 여부에 따라 전구동물과 후구동물로 분류하고, 더 나아가 체강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18S rRNA 유전자 분석에 의해 체강의 차이는 진화와 관련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고, 상술한 의미에서의 후구동물이 단계통이 아님이 나타났다. 따라서 몇몇 동물문을 신구동물에서 제외하고 전구동물로 옮겼다。이러한 변경을 거친 후의 전구동물이 단계통임이 지지되고 있다[381][355][356]

아래는 주로 기리베트(2016)의 계통 가설을 기반으로 한 계통수에 라우머 등(2019)의 분자계통 분석 결과를 더하여 동물계의 계통수를 문 수준까지 그린 것이다[236][357][389]。단, 2018년 현재, 분자계통 분석이 진행 중이라는 점도 있어 완전히 합의된 것은 아니다.

{{clade

|label1=후생동물

|sublabel1=

|1={{clade

|1= 해면동물

|2= 유즐동물

|label3=

|sublabel3=

|3={{clade

|1= 자포동물

|2= 판형동물문

|label3=좌우대칭동물

|sublabel3=

|3={{clade

|1=이상무장동물문

|label2=유신동물

|sublabel2=

|2={{clade

|label1=후구동물

|sublabel1=

|1={{clade

|label1=수강동물

|sublabel1=

|1={{clade

|1=극피동물

|2=반삭동물문

}}

|label2=척삭동물

|sublabel2=

|2={{clade

|1=두삭동물

|2={{clade

|1=미삭동물문

|2=척추동물

}}

}}

}}

|label2=전구동물

|sublabel2=

|2={{clade

|1=모악동물문

|label2=탈피동물

|sublabel2=

|2={{clade

|grouplabel1=? 유극동물

|barbegin1=black

|1=동구동물문

|bar2=black

|2=아가미끌이동물문

|3=갑각동물문

|barend3=black

|label4=사상동물

|sublabel4=

|4={{clade

|1=선형동물문

|2=유선형동물문

}}

|label5=범절지동물

|sublabel5=

|5={{clade

|1=완보동물문

|2={{clade

|1=유조동물문

|2=절지동물

}}

}}

}}

|3=직영동물문

|4=이배동물문

|label5=나선동물

|sublabel5=

|5={{clade

|label1=담악동물

|sublabel1=

|1={{clade

|1=악구동물문

|2=

{{clade

|1=미악동물문

|2=윤형동물문

}}

}}

|label2=흡수동물

|sublabel2=

|2={{clade

|1=복모동물문

|2=편형동물

}}

|label3=관륜동물

|sublabel3=

|3={{clade

|1=연체동물문

|2=환형동물문

|3=유형동물

|4={{clade

|1=내항동물문

|2=유륜동물문

}}

|label5=촉수관동물

|sublabel5=

|5={{clade

|1=완족동물문

|2={{clade

|1=솔충동물문

|2=태충동물문

}}

}}

}}

}}

}}

}}}}

}}

6. 생태

동물은 그들의 영양 단계와 유기물을 섭취하는 방식에 따라 생태적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그룹에는 육식동물( 어식성 동물, 곤충식 동물, 난식동물 등의 하위 범주로 더 세분화됨), 초식동물( 잎식성 동물, 벼과식물식 동물, 과일식 동물, 종자식 동물, 화밀식 동물, 조류식 동물 등으로 하위 범주화됨), 잡식동물, 균식동물, 청소 동물/부식성 동물[42], 그리고 기생충[43]이 포함된다. 각 생물군계의 동물들 사이의 상호 작용은 그 생태계 내에서 복잡한 먹이 그물을 형성한다. 육식성 또는 잡식성 종에서 포식은 포식자가 다른 유기체인 그들의 먹이를 먹는 소비자-자원 상호 작용이며,[44] 먹이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종종 반포식자 적응을 진화시킨다. 서로에게 부과되는 선택 압력은 포식자와 먹이 사이에 진화적 군비 경쟁을 초래하여 다양한 적대적/경쟁적인 공진화를 초래한다.[45][46] 거의 모든 다세포 포식자는 동물이다.[47] 일부 소비자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기생 말벌의 경우, 유충은 숙주의 살아있는 조직을 먹고 그 과정에서 숙주를 죽이지만,[48] 성충은 주로 꽃의 꿀을 섭취한다.[49] 다른 동물들은 매우 특정한 섭식 행동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매부리 바다거북은 주로 해면을 먹는다.[50]

포식자는, 이 울트라마린 파리잡이 (''Ficedula superciliaris'')처럼, 다른 동물을 먹는다.


대부분의 동물은 광합성을 통해 식물과 식물성 플랑크톤(총칭하여 생산자라고 함)이 생산한 생물량과 생물 에너지에 의존한다. 1차 소비자인 초식동물은 식물성 물질을 직접 섭취하여 영양분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반면, 육식동물과 다른 고차 영양 단계의 동물은 초식동물이나 초식동물을 먹은 다른 동물을 섭취하여 간접적으로 영양분을 얻는다. 동물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및 기타 생체 분자를 산화시켜 동물이 성장하고 기초 대사를 유지하며 운동과 같은 다른 생물학적 과정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51][52] 어두운 해저의 열수 분출구와 냉수 분출구 근처에 서식하는 일부 저서 동물은 화학 합성( 산화를 통해 무기 화합물 예: 황화수소)를 통해 고세균과 세균이 생산한 유기물을 섭취한다.[53]

열수 분출구 홍합과 새우


동물은 바다에서 진화했다. 절지동물의 계통은 아마도 후기 캄브리아기 또는 초기 오르도비스기 동안 5억 1천만 년에서 4억 7천 1백만 년 전 사이에 육상 식물과 거의 같은 시기에 육지를 식민지화했다.[54] 엽상 지느러미 어류 ''틱타알릭''과 같은 척추동물은 약 3억 7천 5백만 년 전 후기 데본기에 육지로 이동하기 시작했다.[55][56] 동물은 지구의 거의 모든 서식지와 미소 서식지를 차지하며, 염수, 열수 분출구, 담수, 온천, 늪, 숲, 목초지, 사막, 공기 및 다른 유기체의 내부에 적응된 동물상을 가지고 있다.[57] 그러나 동물은 특히 내열성이 강하지 않다. 50°C 이상의 일정한 온도[58] 또는 대륙 남극 대륙의 가장 극심한 한랭 사막에서는 생존할 수 있는 동물이 거의 없다.[59]

6. 1. 서식지

동물은 주요 서식지에 따라 육상 동물, 해양 동물, 담수 동물로 나뉜다.[66] 2011년에는 아직 기재되지 않은 종을 포함한 동물 종의 총 수는 약 777만 종으로 계산되었다.[71][72]

다음 표는 주요 동물 문에 대해 기재된 현존 종의 추정 개체 수와 주요 서식지, 그리고 자유생활 또는 기생 생활 방식을 나타낸다.[66]

예시기재된 종 수육지바다담수자유생활기생
절지동물
말벌
100px
1,257,000[66]예 1,000,000
(곤충)[74]
예 >40,000
(말라코스트라카)[75]
예 94,000[67][68]예 >45,000[69]
연체동물
달팽이
100px
85,000[66]
107,000[76]
예 35,000[76]예 60,000[76]예 5,000[67]
12,000[76]
[68]예 >5,600[69]
척삭동물
청개구리 오른쪽을 향함
100px
>70,000[66][77]예 23,000[78]예 13,000[78]예 18,000[67]
9,000[78]
예 40
(메기)[79][69]
편형동물
100px
29,500[66][80][68]예 1,300[67][68]
예 >40,000[69]
선형동물
100px
25,000[66]예 (토양)[68]예 4,000[70]예 2,000[67]
11,000[70]
예 14,000[70]
환형동물
100px
17,000[66]예 (토양)[68][68]예 1,750[67]예 400[69]
자포동물
산호초
100px
16,000[66][68]예 (소수)[68][68]예 >1,350
(믹소조아)[69]
해면동물
100px
10,800[66][68]200–300[67][82]
극피동물
100px
7,500[66]예 7,500[66][68]
태형동물
100px
6,000[66][68]예 60–80[67]
윤형동물
100px
2,000[66]예 >400[83]예 2,000[67][84]
유형동물
100px
1,350[85][86]
완보동물
100px
1,335[66][87]
(습한 식물)



다양한 예측 방법을 통해 계산된 추정치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5,000~27,000종의 선충류가 기재되었지만, 총 종 수에 대한 추정치는 10,000~20,000, 500,000, 1,000만, 1억 등 다양하다.[70]

7. 인간과의 관계

인류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물을 이용해 왔다. 식량을 위해 많은 수의 동물 종을 이용하는데, 가축화된 가축은 축산업에서, 그리고 주로 바다에서는 야생 종을 사냥하여 얻는다.[172][178] 상업적으로 포획되는 많은 종의 바다 물고기나,[172][173][174] 소수의 종은 양식된다.[172] 인간과 그들의 가축은 모든 육상 척추동물 생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거의 모든 곤충을 합친 것과 맞먹는다.[175]

무척추동물두족류, 갑각류, 곤충(주로 꿀벌과 누에) 그리고 이매패류 또는 복족류 연체동물은 식량 및 섬유를 위해 사냥되거나 양식된다.[176][177] 전 세계적으로 , , , 돼지 등의 동물이 고기 생산을 위해 가축으로 사육된다.[178][180] 양모와 실크와 같은 동물 섬유는 섬유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동물의 힘줄은 묶는 데, 가죽은 신발 및 기타 물품을 만드는 데 널리 사용된다. 동물은 모피를 얻기 위해 사냥되어 코트와 모자와 같은 품목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81] 카민( 코치닐),[182][183] 셸락[184][185], 케르메스[186][187]를 포함한 염료는 곤충의 몸에서 만들어졌다. 소와 말을 포함한 짐승은 농업 초기부터 작업과 운송에 사용되었다.[188]

초파리와 같은 동물은 과학에서 실험 모델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189][190][191][192] 18세기 백신 발견 이후로 동물이 백신 제조에 사용되었으며,[193] 트라벡테딘과 같은 일부 항암제는 동물 유래의 독소 또는 기타 분자를 기반으로 한다.[194]

사람들은 동물을 쫓고 회수하는 데 사냥개를 사용했고,[195] 새와 포유류를 잡는 데 맹금류를 사용했으며,[196] 묶인 가마우지는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었다.[197] 독화살개구리는 취관의 끝을 독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98][199] 타란툴라, 문어, 사마귀와 같은 무척추동물,[200] 카멜레온과 같은 파충류,[201] 카나리아, 앵무새, 앵무를 포함한 조류[202] 등 다양한 동물이 애완동물로 길러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많이 기르는 애완동물 종은 포유류, 즉 , 고양이, 토끼이다.[203][204][205] 인간의 동반자로서의 동물의 역할과 그들 자신의 권리를 가진 개체로서의 존재 사이에는 긴장감이 존재한다.[206]

사냥 중 오리를 회수하는 사냥개


다양한 육상 및 수생 동물이 스포츠로 사냥된다.[207]

예술적 비전: 알렉산더 쿠세만스의 ''정물화와 바닷가재와 굴'',


서양의 서양 별자리와 중국 별자리는 동물을 기반으로 한다.[208][209] 중국과 일본에서는 나비가 사람의 영혼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210] 고전적인 표현에서도 나비는 영혼의 상징이다.[211][212] 동물들은 고대 이집트와 같이 역사적으로나, 라스코 동굴벽화와 같이 선사 시대부터 예술의 주제가 되어 왔다. 주요 동물 그림으로는 알브레히트 뒤러의 1515년 작품 ''코뿔소''와 조지 스터브스의 년 말 그림 ''휘슬재킷''이 있다.[213] 곤충, 조류, 포유류는 거대 벌레 영화와 같이 문학과 영화에서 역할을 한다.[214][215][216][217]

곤충[210]과 포유류[220]를 포함한 동물들은 신화와 종교에 등장한다. 풍뎅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신성시되었으며,[218] 소는 힌두교에서 신성시된다.[219] 다른 포유류 중에서도 사슴,[220] 말,[221] 사자,[222] 박쥐,[223] 곰,[224] 그리고 늑대[225]는 신화와 숭배의 대상이다.

인간이 야생동물(원종)(original breed영어)에서 유전적으로 개량하고, 번식시켜 인간의 생활에 이용하는 동물을 '''가축'''(domestic animal영어)이라고 한다.[444] 여기에는 포유류 이외에 조류, 파충류, 곤충도 포함되지만 특히 조류를 가금(poultry영어, fowl영어)으로 구분하기도 한다.[444] 또한, 넓은 의미의 가축은 농용동물, 애완동물, 실험동물로 크게 나뉘며, 이 중 농용동물만을 가리켜 가축 (farm animal, livestock영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44]

농용동물(가축)은 축산에 이용하는 '''용축'''과 '''역축'''으로 나뉜다.[444]

인간이 축산물을 이용하는 동물을 '''용축'''(축산동물)이라고 하며, 우유(소젖, 염소젖 등), 고기(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달걀, 털(양털, 실크 등), 가죽, 깃털 등이 이용되어 왔다.[444] 누에나 꿀벌과 같은 곤충(절지동물)도 용축으로 이용된다.[444] 영국의 동물 복지 사상은 원래 축산동물을 대상으로 시작되었다.[446]

사람이 이용하는 동물을 '''역축'''(役畜) 또는 '''사역동물''' (working animal)이라고 한다.[444] [446] 서구의 동물보호법은 사역동물 보호에서 시작되었다.[446]

쟁기를 끄는 (ウシ)나 말(ウマ), 당나귀(ロバ)와 같은 역축과 牧羊犬(보더콜리 등), 맹인안내견(盲導犬)과 같은 사역견이 대표적인 예이다.[447][448] 특히 말은 유럽 중세 시대에 기사의 탈것이었고, 강하고 고귀한 존재로 여겨진 반면, 농민의 소유물이었으며, 소보다 빠르고 강하게 쟁기를 끄는 동물로 이용되었다.[449] 그래서 강력한 에너지의 상징으로서 마력(horse power)과 같은 단어에도 사용된다.[449]

'''애완동물'''(pet animal영어)은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 애완을 위해 사육되는 동물이며, 특히 애완 사육을 목적으로 개량·번식되어 온 동물을 말한다.[450]

'''실험동물'''(laboratory animal영어)은 실험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동물을 말한다.[450] 쥐나 원숭이, 기니피그, 햄스터 외에도 돼지 등도 포함된다.[451] 인위적으로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없애거나(유전자 녹아웃 동물) 다른 종의 유전자를 도입한(형질전환동물) 실험동물(질병 모델 동물)이 만들어지고 있다.[452]

또한, 사육계가 확립되거나 전게놈 해독이 이루어짐으로써 다른 생물에도 공통되는 현상을 더욱 추상화하여 논리적으로 설명하기에 적합한 생물을 모델 생물(model organism영어)이라고 한다. 모델 생물에는 초파리 (절지동물)이나 예쁜꼬마선충 (선형동물), 멍게 (미삭동물)이나 제브라피시 (척추동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전시동물(展示動物)이란 동물원에서 전시를 목적으로 사육되는 동물을 말한다.[450]

7. 1. 동물 복지

참조

[1] 서적 Phylonyms: A Companion to the PhyloCode CRC Press 2020
[2] 학술지 Six major steps in animal evolution: are we derived sponge larvae? 2008
[3] 학술지 Die Abteilungen und Klassen der Pflanzen 1951
[4] 사전 animalia 2024-05-12
[5] 학술지 Giving the early fossil record of sponges a squeeze 2014-11
[6] 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7] 사전 Animal Houghton Mifflin
[8] 사전 Animal https://en.oxforddic[...] 2018-07-26
[9] 학술지 Consciousness i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recent advances and future directions
[10] 웹사이트 The use of non-human animals in research https://royalsociety[...] 2018-06-07
[11] 사전 Nonhuman https://www.collinsd[...] 2018-06-07
[12] 사전 Metazoan https://www.merriam-[...] 2022-07-06
[13] 사전 Metazoa https://www.collinsd[...] 2022-07-06
[14] 서적 Biology: Investigating Life on Earth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15] 웹사이트 Animal Cell Structure https://micro.magnet[...] 2007-09-20
[16] 웹사이트 Palaeos:Metazoa https://palaeos.com/[...] 2018-02-25
[17] 웹사이트 Heterotrophs https://www.windows.[...] 2007-09-30
[18] 학술지 Genomes at the interface between bacteria and organelles 2003-01
[19] 뉴스 Scientists discovered the first animal that doesn't need oxygen to live. It's changing the definition of what an animal can be https://www.cnn.com/[...] 2020-02-26
[20] 학술지 Anaerobic animals from an ancient, anoxic ecological niche
[21] 웹사이트 Concepts of Biology https://employees.cs[...] 2007-09-30
[22] 서적 Barron's EZ-101 Study Keys Series: Biology Barron's Educational Series
[23]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https://www.ncbi.nlm[...] Garland Science 2017-08-29
[24] 서적 Additives and crystallization processes: from fundamentals to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5] 서적 The world of the cell https://archive.org/[...] Benjamin Cummings
[26] 서적 Cracking the AP Biology Exam, 2004–2005 Edition https://archive.org/[...] The Princeton Review
[27] 서적 Bi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without Physi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20-05-19
[28] 서적 Fossil Invertebra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2016-01-08
[29] 서적 Encyclopedia of reproduction https://archive.org/[...] Academic
[30] 서적 Master the GED 2011 https://archive.org/[...] Peterson's
[31] 서적 Population genetics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32] 서적 General zoology Saunders College
[33] 서적 Human embryology: (prenatal development of form and function) Williams & Wilkins
[34] 서적 Development of vertebrate anatomy https://archive.org/[...] Mosby
[35] 백과사전 The Encyclopedia Americana
[36] 서적 The science of entomology WCB McGraw-Hill
[37] 논문 The genetics of inbreeding depression
[38] 서적 Molecular Genetics of Development
[39] 논문 Inbreeding avoidance in animals
[40] 서적 Reproductive Biology of Invertebrates, Volume 11, Progress in Asexual Reproduction Wiley 2002-07-00
[41] 웹사이트 Concepts of Biology: How Animals Reproduce https://philschatz.c[...] OpenStax College 2018-03-05
[42] 서적 Geomorphology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aylor & Francis
[43] 서적 Elements of Biology Appleton-Century-Crofts
[44] 서적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https://archive.org/[...] Blackwell 1996-00-00
[45] 서적 Ecology of marine fishes: California and adjacent water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6] 서적 Antipredator Defenses in Birds and Mamma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논문 The real 'kingdoms' of eukaryotes
[48] 논문 Predation, Herbivory, and Parasitism https://www.nature.c[...] 2018-02-12
[49] 논문 Host-Feeding Strategies in Hymenopteran Parasitoids 1986-11-00
[50] 논문 Spongivory in Hawksbill Turtles: A Diet of Glass 1988-01-22
[51] 서적 Understanding Science: Upper Primary Blake
[52]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Cengage
[53] 서적 Marine Biology McGraw Hill
[54] 논문 Molecular Timetrees Reveal a Cambrian Colonization of Land and a New Scenario for Ecdysozoan Evolution
[55] 논문 A Devonian tetrapod-like fish and the evolution of the tetrapod body plan 2006-04-06
[56] 논문 Getting a Leg Up on Land 2005-11-21
[57] 서적 Diversity of Life: The Illustrated Guide to the Five Kingdom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58] 논문 The thermal limits to life on Earth https://nora.nerc.ac[...]
[59] 웹사이트 Land animals https://www.bas.ac.u[...] British Antarctic Survey 2018-03-07
[60]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Guinness Superlatives
[61] 뉴스 The longest animal alive may be one you never thought of https://www.bbc.com/[...] 2016-04-20
[62] 논문 Giants and Bizarres: Body Size of Some Southern South American Cretaceous Dinosaurs
[63] 학회발표 Dinosaur Systematics, Diversity, & Biology https://vertpaleo.or[...] 2022-12-30
[64] 웹사이트 Myxozoa https://tolweb.org/M[...] Tree of Life Web Project 2008-07-10
[65] 논문 Two new species of Myxobolus (Myxozoa: Myxosporea: Bivalvulida) infecting an Indian major carp and a cat fish in wetlands of Punjab, India
[66] 논문 Animal biodiversity: An update of classification and diversity in 2013 https://biotaxa.org/[...] Magnolia Press 2013-08-30
[67] 서적 Freshwater Animal Diversity Assess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68] 웹사이트 There are only 35 kinds of animal and most are really weird https://www.bbc.co.u[...] BBC Earth
[69] 서적 Evolutionary Ecology of Parasite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70] 서적 Gulf of Mexico Origin, Waters, and Biota: Biodiversity https://books.google[...] Texas A&M University Press
[71] 웹사이트 How many species on Earth? About 8.7 million, new estimate say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8-03-02
[72] 논문 How Many Species Are There on Earth and in the Ocean? 2011-08-23
[73] 논문 Counting animal species with DNA barcodes: Canadian insects 2016-08-01
[74] 논문 How Many Species of Insects and Other Terrestrial Arthropods Are There on Earth? 2018-01
[75] 서적 Crustacea: Malacostraca CSIRO Publishing
[76] 논문 The Number of Living Species of Molluscs 1969-06
[77] 논문 A Quarter Century of Reptile and Amphibian Databases https://www.research[...] 2021-10-02
[78] 서적 Biodiversity II: Understanding and Protecting Our Biological Resources {{GBurl |id=-X5OAgAA[...] Joseph Henry
[79] 서적 Essential Fish Biology: Diversity, Structure and Function {{GBurl |id=U0o4DwAA[...] Oxford University Press
[80] 논문 Global diversity of land planarians (Platyhelminthes, Tricladida, Terricola): a new indicator-taxon in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studies
[81] 서적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in Platyhelminthes {{GBurl |id=l6rMDwAA[...] CRC Press 2020-05-19
[82] 서적 Parasite Diversity and Diversification {{GBurl |id=o2t2BgA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3-02
[83] 웹사이트 Marine Rotifers: An Unexplored World of Richness https://ukmarinesac.[...] JMBA Global Marine Environment 2018-03-02
[84] 학회발표 Epizoic and parasitic rotifers Springer
[85] 논문 An updated classification of the phylum Nemertea https://www.research[...] 2023-01-18
[86]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Genus Nipponnemertes (Nemertea: Monostilifera: Cratenemertidae) and Descriptions of 10 New Species, With Notes on Small Body Size in a Newly Discovered Clade https://www.research[...] 2023-01-18
[87] 서적 Animal Diversity McGraw Hill
[88] 논문 Sterol and genomic analyses validate the sponge biomarker hypothesis 2016-02-22
[89] 논문 Fossil steroids record the appearance of Demospongiae during the Cryogenian period 2009-02-05
[90] 논문 The Avalon Explosion: Evolution of Ediacara Morphospace
[91] 논문 Late Ediacaran trackways produced by bilaterian animals with paired appendages 2018-06-01
[92] 서적 Evolution!: facts and fallaci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93] 논문 Energy metabolism in anaerobic eukaryotes and Earth's late oxygenation
[94] 웹사이트 Stratigraphic Chart 2022 https://stratigraphy[...] International Stratigraphic Commission 2022-02
[95] 논문 The earliest Cambrian record of animals and ocean geochemical change
[96] 웹사이트 New Timeline for Appearances of Skeletal Animals in Fossil Record Developed by UCSB Researchers https://www.ia.ucsb.[...]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2010-11-10
[97] 논문 The Cambrian "explosion" of metazoans and molecular biology: would Darwin be satisfied? https://ijdb.ehu.eus[...]
[98] 논문 Darwin's dilemma: the realities of the Cambrian 'explosion'. 2006-06-29
[99] 웹사이트 The Tree of Life https://web.archive.[...] Royal Ontario Museum 2011-06-10
[100] 논문 A crown-group cnidarian from the Ediacaran of Charnwood Forest, UK 2022-07-25
[101] 서적 Biology Pearson, Benjamin Cummings
[102] 논문 Possible animal-body fossils in pre-Marinoan limestones from South Australia 2010-08-17
[103] 논문 Triploblastic animals more than 1 billion years ago: trace fossil evidence from india 1998-10-02
[104] 논문 Giant Deep-Sea Protist Produces Bilaterian-like Traces 2008-12-09
[105] 뉴스 Single-celled giant upends early evolution https://www.nbcnews.[...] 2008-11-20
[106] 백과사전 The fossil record of predation The Paleontological Society 2018-03-03
[107] 서적 Trace fossil analysis Springer 2007
[108] 학술지 Possible new evidence for the origin of metazoans prior to 1 Ga: Sediment-filled tubes from the Mesoproterozoic Allamoore Formation, Trans-Pecos Texas
[109] 학술지 Ancient steroids establish the Ediacaran fossil Dickinsonia as one of the earliest animals 2018-09-20
[110] 학술지 The origin of the animals and a 'Savannah' hypothesis for early bilaterian evolution
[111] 학술지 The Ediacaran emergence of bilaterians: congruence between the genetic and the geological fossil records 2008-04-27
[112] 학술지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2011-08-16
[113] 웹사이트 Raising the Standard in Fossil Calibration https://fossilcalibr[...] 2018-03-03
[114] 학술지 Support for a clade of Placozoa and Cnidaria in genes with minimal compositional bias
[115] 학술지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2018
[116] 학술지 The origin of animals: an ancestral reconstruction of the unicellular-to-multicellular transition The Royal Society
[117] 학술지 A screen for gene paralogies delineating evolutionary branching order of early Metazoa https://www.biorxiv.[...] 2019-07-17
[118] 학술지 Topology-dependent asymmetry in systematic errors affects phylogenetic placement of Ctenophora and Xenacoelomorpha 2020-12-11
[119] 서적 The Invertebrate Tree of Lif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5-27
[120] 학술지 Hox, homology, and parsimony: An organismal perspective 2024
[121] 학술지 Improved Modeling of Compositional Heterogeneity Supports Sponges as Sister to All Other Animals
[122] 학술지 Ancient gene linkages support ctenophores as sister to other animals https://rdcu.be/dcJS[...] 2023-05-17
[123] 서적 An Introduction to Porifera Anmol Publications
[124] 학술지 Ancient gene linkages support ctenophores as sister to other animals https://rdcu.be/dcJS[...] 2023-05-17
[125] 학술지 Ctenophore relationships and their placement as the sister group to all other animals https://rdcu.be/dcJS[...] 2017-10-09
[126] 서적 Laboratory and Field Investigations in Marine Life Jones & Bartlett Learning
[127] 서적 Biosphere; a study of life Prentice-Hall
[128] 서적 Continuity And Evolution Of Animals Mittal Publications
[129] 서적 A Living Bay: The Underwater World of Monterey Ba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0]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131] 서적 Modern Text Book of Zoology: Invertebrates Rastogi Publications
[13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13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Placozoa https://www.ucmp.ber[...] UCMP Berkeley 2018-03-10
[134] 학술지 The Trichoplax genome and the nature of placozoans 2008-08-01
[135] 학술지 Ontogenetic scaling of hydrostatic skeletons: geometric, static stress and dynamic stress scaling of the earthworm lumbricus terrestris https://jeb.biologis[...] 2018-03-04
[136] 서적 Perspectives in Animal Phylogen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7] 서적 Invertebrates https://www.sinauer.[...] Sinauer Associates 2018-03-04
[138] 학술지 Resolving Animal Phylogeny: A Sledgehammer for a Tough Nut?
[139] 학술지 Acoelomorph flatworms are deuterostomes related to ''Xenoturbella''
[140] 학술지 The mitochondrial DNA of Xenoturbella bocki: genomic architecture and phylogenetic analysis https://www.bioinf.u[...] 2018-03-04
[141] 논문 Xenacoelomorpha is the sister group to Nephrozoa https://urn.kb.se/re[...] 2016-02-03
[142] 논문 Lack of support for Deuterostomia prompts reinterpretation of the first Bilateria 2021-03-19
[143] 논문 Cleavage patterns and the topology of the metazoan tree of life 1997-07-01
[144] 서적 The Biomarker Guide: Biomarkers and isotopes in petroleum systems and Earth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5] 서적 Animal Evolution – Genomes, Fossils, and Trees https://www.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3-01
[146]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Volume 1; Volume 3 Encyclopædia Britannica
[147] 서적 Zoology: An Inside View of Animals Kendall Hunt
[148] 서적 Biology Coloring Workbook The Princeton Review
[149] 서적 The First Vertebrates Infobase
[150] 서적 Encyclopedia of evolution https://archive.org/[...] Infobase
[151] 서적 Asking about life Cengage
[152] 논문 Hemichordate genomes and deuterostome origins 2015-11-26
[153] 서적 The Ancestor's Tale: A Pilgrimage to the Dawn of Evolution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154] 서적 BioInquiry: making connections in biology https://archive.org/[...] John Wiley
[155] 서적 Parasites in social insec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6] 서적 Zoology {{GBurl |id=BWZFAQAA[...] McGraw Hill
[157] 논문 Evolution of the bilaterian body plan: What have we learned from annelids?
[158] 논문 Platyzoan Paraphyly Based on Phylogenomic Data Supports a Noncoelomate Ancestry of Spiralia 2014
[159] 논문 Rotiferan Hox genes give new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metazoan bodyplans 2017-04-01
[160] 논문 Multigene Analyses of Bilaterian Animals Corroborate the Monophyly of Ecdysozoa, Lophotrochozoa, and Protostomia 2005-05-01
[16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Lophotrochozoa: Of molluscs, worms, and lophophores... https://web.archive.[...] UCMP Berkeley 2000-01-01
[162] 논문 Triploblastic relationships with emphasis on the acoelomates and the position of Gnathostomulida, Cycliophora, Plathelminthes, and Chaetognatha: a combined approach of 18S rDNA sequences and morphology
[16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nnelids, Molluscs, and Arthropods Evidenced from Molecules and Morphology 1996-09-01
[164] 서적 The Lagoon: How Aristotle Invented Science Bloomsbury 2014
[165]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Holmiae (Laurentii Salvii) 2008-09-22
[166] 사전 Espèce de https://dictionnaire[...] 2018-03-01
[167] 서적 The Lying Stones of Marrakech {{GBurl |id=wApMpVmi[...] Harvard University Press
[168] 서적 Histoire du développement de la biologie Presses polytechniques et universitaires Romandes
[169] 서적 Anthropogenie oder Entwickelungsgeschichte des menschen https://archive.org/[...] W. Engelmann
[170] 서적 On the Origin of Phyla {{GBurl |id=DMBkmHm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1] 서적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Gale
[172]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07-08
[173] 서적 Fish Conservation: A Guide to Understanding and Restoring Global Aquatic Biodiversity and Fishery Resources https://archive.org/[...] Island 2007
[174] 웹사이트 World Review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https://www.fao.org/[...] FAO 2015-08-13
[175] 논문 The State of the World's Insects 2020-10-17
[176] 논문 Shellfish climbs up the popularity ladder https://www.highbeam[...] 2002-01-01
[177] 백과사전 Western honeybee https://www.britanni[...] 2024-09-17
[178] 뉴스 Graphic detail Charts, maps and infographics. Counting chickens https://www.economis[...] 2011-07-27
[179] 웹사이트 Breeds of Cattle at Cattle Today https://cattle-today[...] Cattle-today.com
[180] 웹사이트 Rabbit project development strategies in subsistence farming systems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81] 웹사이트 Ancient fabrics, high-tech geotextiles https://www.naturalf[...] Natural Fibres
[182] 서적 Major colourants and dyestuffs, mainly produced in horticultural systems https://www.fao.org/[...] FAO
[183]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Cochineal Extract and Carmine https://www.fda.gov/[...] FDA
[184] 뉴스 How Shellac Is Manufactured https://nla.gov.au/n[...] 1937-12-18
[185] 논문 Pharmaceutical applications of shellac: moisture-protective and taste-masking coatings and extended-release matrix tablets
[186] 서적 Prehistoric Texti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Texti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8] 서적 Encyclopedia of Animal Scien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189] 웹사이트 Genetics Research https://www.aht.org.[...] Animal Health Trust
[190] 웹사이트 Drug Development https://www.animalre[...] Animal Research.info
[191] 웹사이트 Animal Experimentation https://www.bbc.co.u[...] BBC
[192] 웹사이트 EU statistics show decline in animal research numbers https://speakingofre[...] Speaking of Research
[193] 웹사이트 Vaccines and animal cell technology https://www.actip.or[...] Animal Cell Technology Industrial Platform 2013-06-10
[194] 웹사이트 Medicines by Design https://publication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195] 서적 Gun Dog Breeds, A Guide to Spaniels, Retrievers, and Pointing Dogs The Lyons Press 2002
[196] 웹사이트 History of Falconry https://www.thefalco[...] The Falconry Centre
[197] 서적 The Devil's Cormorant: A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w Hampshire Press 2013
[198] 웹사이트 Dendrobatidae https://amphibiaweb.[...] AmphibiaWeb
[199] 웹사이트 Dendrobatidae https://animaldivers[...] Animal Diversity Web
[200] 웹사이트 Other bugs https://www.keepingi[...] Keeping Insects 2011-02-18
[201] 웹사이트 So, you think you want a reptile? https://www.anapsid.[...] Anapsid.org
[202] 웹사이트 Pet Birds https://www.humaneso[...] PDSA
[203] 웹사이트 Animals in Healthcare Facilities https://www.shea-onl[...]
[204] 웹사이트 U.S. Pet Ownership Statistics https://www.humaneso[...] The 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205] 웹사이트 U.S. Rabbit Industry profile https://www.aphis.u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6] 논문 The Role of Animals in Human Society 1993
[207] 서적 Hunting and Fishing for Sport: Commerce, Controversy, Popular Culture https://archive.org/[...] Popular Press 1994
[208] 서적 The Handbook of Chinese Horoscopes Souvenir
[209]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strology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10] 서적 Kwaidan: Stories and Studies of Strange Things Dover
[211] 논문 Butterfly https://quod.lib.umi[...] 2011-01-01
[212] 서적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Gale 2003
[213] 뉴스 The top 10 animal portraits in art https://www.theguard[...] 2014-06-27
[214] 논문 Animals in Film and Media https://www.oxfordbi[...] 2013-10-29
[215] 서적 Animal Horror Cinema: Genre, History and Criticis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216] 서적 Keep Watching the Skies!: American Science Fiction Movies of the Fifties, The 21st Century Edit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09
[217] 서적 Son of the 100 Best Movies You've Never Seen https://books.google[...] ECW Press
[218] 서적 Scarabs, A Reflection of Ancient Egypt Israel Museum 1989
[219] 뉴스 Why the humble cow is India's most polarising animal https://www.bbc.co.u[...] BBC 2015-10-15
[220] 웹사이트 Deer https://treesforlife[...] Trees for Life
[221] 서적 Hayagrīva: The Mantrayānic Aspect of Horse-cult in China and Japan Brill Archive
[222] 웹사이트 Lion Depiction across Ancient and Modern Religions https://lionalert.or[...] Alert 2012-06-24
[223] 서적 Mesoameric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24] 논문 Beginning of Religion 2000-01-01
[225] 서적 Studien zum indogermanischen Wortschatz
[226] 기타
[227] 기타
[228] 기타
[229] 기타
[230] 웹사이트 2018-07-18
[231] 서적 2018
[232] 서적 キャンベル生物学 原書11版 丸善出版 2018-03-20
[233] 서적 レーヴン ジョンソン 生物学〈下〉(原書第7版) 培風館 2007-05-01
[234] 웹사이트 中学校理科教科書「未来へ広がるサイエンス」 啓林館 2018-07-11
[235] 논문 真核生物の高次分類体系の改訂 ―Adl et al. (2019) について― 2020
[236] 서적 2018
[237] 논문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38] 논문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
[239] 서적 2018
[240] 서적 Biology: Investigating Life on Earth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41] 웹사이트 Palaeos:Metazoa http://palaeos.com/m[...] 2018-02-25
[242] 웹사이트 Heterotrophs http://www.windows.u[...] 2007-09-30
[243] 논문 Anaerobic animals from an ancient, anoxic ecological niche
[244] 웹사이트 Concepts of Biology http://employees.csb[...] 2007-09-30
[245] 서적 Barron's EZ-101 Study Keys Series: Biology Barron's Educational Series
[246] 간행물 2000
[247] 간행물 2018
[248] 간행물 2018
[249] 간행물 2000
[250] 간행물 2018
[251] 간행물 2000
[252] 서적 細胞の増殖と生体システム 学会出版センター
[253] 서적 DNAを操る分子たち 技術評論社
[254] 서적 細胞の増殖と生体システム 学会出版センター
[255] 서적 細胞の運命Ⅳ細胞の老化 サイエンス社
[256] 서적 生化学辞典第2版 東京化学同人
[257] 뉴스 ミトコンドリアDNAに突然変異をもつ細胞は自然免疫により排除されることを発見 筑波大学生命科学研究科発表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電子版 2011-10-12
[258] 서적 ミトコンドリアはどこからきたか 日本放送出版 2000-06-30
[259]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https://www.ncbi.nlm[...] Garland Science
[260] 서적 Additives and crystallization processes: from fundamentals to applications John Wiley and Sons
[261] 서적 Cracking the AP Biology Exam, 2004–2005 Edition The Princeton Review
[262] 서적 Bi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without Physi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7-09-25
[263] 서적 Encyclopedia of reproduction, Volume 1 Academic Press
[264] 간행물 2018
[265] 서적 Population genetics Wiley-Blackwell
[266] 간행물 2018
[267] 학술지 Unravelling spiral cleavage 2020
[268] 간행물 2018
[269] 간행물 2000
[270] 일반
[271] 일반
[272] 뉴스 「始生代」の新名称、日本地質学会が2018年7月に改訂
[273] 학술지 The Cambrian conundrum: early divergence and later ecological success in the early history of animals 2011
[274] 학술지 The earliest fossil record of the animals and its significance 2008
[275] 학술지 The earliest Cambrian record of animals and ocean geochemical change 2010
[276] 학술지 The first animals: ca. 760-million-year-old sponge-like fossils from Namibia 2012
[277] 서적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にわかには信じがたい本当にあったこと 日経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2019-03-25
[278] 학술지 Possible animal-body fossils in pre-Marinoan limestones from South Australia http://www.nature.co[...] 2010-08-17
[279] 학술지 Fossil steroids record the appearance of Demospongiae during the Cryogenian period 2009
[280] 학술지 Single-cell genomics reveals the lifestyle of Poribacteria, a candidate phylum symbiotically associated with marine sponges 2011
[281] 논문 Three-dimensional preservation of algae and animal embryos in a Neoproterozoic phosphorite 1998
[282] 논문 Paleontology. Terminal developments in Ediacaran embryology 2011
[283] 논문 Fossilized nuclei and germination structures identify Ediacaran "animal embryos" as encysting protists 2011
[284] 논문 Possible algal origin and life cycle of Ediacaran Doushantuo microfossils with dextral spiral structure 2014
[285] 논문 Ediacaran developmental biology 2018
[286] 웹사이트 Two Explosive Evolutionary Events Shaped Early History Of Multicellular Life https://www.scienced[...]
[287] 논문 The Avalon Explosion: Evolution of Ediacara Morphospace http://www.sciencema[...]
[288] 논문 Sponge grade body fossil with cellular resolution dating 60 Myr before the Cambrian 2015
[289] 논문 Giving the early fossil record of sponges a squeeze 2014
[290] 논문 New data on ''Kimberella'', the Vendian mollusc-like organism (White Sea region, Russia): palaeoecological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2007
[291] 논문 ''Haootia quadriformis'' n. gen., n. sp., interpreted as a muscular cnidarian impression from the Late Ediacaran period (approx. 560 Ma) 2014
[292] 논문 When life got smart: the evolution of behavioral complexity through the Ediacaran and Early Cambrian of NW Canada 2014
[293] 논문 Decoupling of body-plan diversification and ecological structuring during the Ediacaran-Cambrian transition: evolutionary and geobiological feedbacks 2014
[294] 논문 First evidence for locomotion in the Ediacara biota from the 565 Ma Mistaken Point Formation, Newfoundland 2010
[295] 논문 The oldest evidence of bioturbation on Earth 2012
[296] 논문 Bilaterian burrows and grazing behavior at >585 million years ago 2012
[297] 기타
[298] 기타
[299] 기타
[300] 웹사이트 New Timeline for Appearances of Skeletal Animals in Fossil Record Developed by UCSB Researchers http://www.ia.ucsb.e[...]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2010-11-10
[301] 논문 Fossils, molecules and embryos: new perspectives on the Cambrian explosion http://dev.biologist[...]
[302] 논문 At the origin of animals: the revolutionary cambrian fossil record
[303] 논문 The Cambrian conundrum: early divergence and later ecological success in the early history of animals
[304] 논문 Chronology of early Cambrian biomineralization
[305] 논문 The Great Ordovician Biodiversification Event (GOBE): definition, concept and duration 2018
[306] 논문 A new vetulicolian from Australia and its bearing on the chordate affinities of an enigmatic Cambrian group http://www.biomedcen[...]
[307] 논문 Hallucigenia’s onychophoran-like claws and the case for Tactopoda https://doi.org/10.1[...] 2014-08-17
[308] 논문 Lobopodians http://www.academia.[...]
[309] 기타
[310] 기타
[311] 기타
[312] 기타
[313] 기타
[314] 기타
[315] 기타
[316] 생물
[317] 생물
[318] 생물
[319] 생물
[320] 생물
[321] 생물
[322] 생물
[323] 생물
[324] 생물
[325] 생물
[326] 생물
[327] 생물
[328] 생물
[329] 생물
[330] 생물
[331] 생물
[332] 생물
[333] 생물
[334] 생물
[335] 생물
[336] 생물
[337] 생물
[338] 생물
[339] 생물
[340] 생물
[341] 생물
[342] 생물
[343] 생물
[344] 생물
[345] 생물
[346] 생물
[347] 생물
[348] 생물
[349] 생물
[350] 생물
[351] species
[352] species
[353] book 2018
[354] book 2018
[355] journal Broad phylogenomic sampling improves resolution of the animal tree of life http://www.nature.co[...] 2008-03-05
[356] journal To Be or Not to Be a Flatworm: The Acoel Controversy http://journals.plos[...] 2009-05-11
[357] book Giribet 2016
[358] journal Genomic data do not support comb jellies as the sister group to all other animals http://www.pnas.org/[...] 2015-12-15
[359] journal A Large and Consistent Phylogenomic Dataset Supports Sponges as the Sister Group to All Other Animals https://doi.org/10.1[...] 2017-04-03
[360] journal Improved Modeling of Compositional Heterogeneity Supports Sponges as Sister to All Other Animals http://linkinghub.el[...]
[361] journal Support for a clade of Placozoa and Cnidaria in genes with minimal compositional bias 2018
[362] journal Error, signal, and the placement of Ctenophora sister to all other animals 2015
[363] journal Ctenophore relationships and their placement as the sister group to all other animals http://www.nature.co[...]
[364] journal Monophyletic Origins of the Metazoa: An Evolutionary Link with Fungi 1993
[365] journal Broad phylogenomic sampling improves resolution of the animal tree of life http://www.nature.co[...]
[366] journal Assessing the root of bilaterian animals with scalable phylogenomic methods
[367] book Biosphere; a study of life Prentice-Hall
[368] book Laboratory and Field Investigations in Marine Life Jones & Bartlett Learning
[369] book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Volume 16 Encyclopædia Britannica
[370] book 2018
[371] book Perspectives in Animal Phylogen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72] book Introduction to the Bilateria and the Phylum Xenacoelomorpha Triploblasty and Bilateral Symmetry Provide New Avenues for Animal Radiation http://www.sinauer.c[...] Sinauer Associates 2016
[373] journal Ontogenetic scaling of hydrostatic skeletons: geometric, static stress and dynamic stress scaling of the earthworm lumbricus terrestris https://journals.bio[...] 1998-05
[374] book 2018
[375] journal Xenoturbella bocki n. g., n. sp., a peculiar, primitive Turbellarian type 1949
[376] journal Deuterostome phylogeny reveals monophyletic chordates and the new phylum Xenoturbellida 2006
[377] journal The mitochondrial DNA of Xenoturbella bocki: genomic architecture and phylogenetic analysis http://www.bioinf.un[...] 2007-08
[378] journal Molecular phylogeny of the Platyhelminthes 2004
[379] journal Acoelomorph flatworms are deuterostomes related to Xenoturbella 2011
[380] journal Xenoturbella bocki exhibits direct development with similarities to Acoelomorpha 2013
[381] journal Xenacoelomorpha is the sister group to Nephrozoa https://www.nature.c[...] 2016-02-03
[382] journal New deep-sea species of Xenoturbella and the position of Xenacoelomorpha http://www.nature.co[...] 2016-02
[383] journal Mitigating Anticipated Effects of Systematic Errors Supports Sister-Group Relationship between Xenacoelomorpha and Ambulacraria 2019
[384] press release 珍渦虫はもともと単純か複雑か ―まだ続く珍無腸動物門の系統樹上の放浪― https://www.tsukuba.[...] 2019-05-27
[385] book 2000
[386] 간행물 2018
[387] 논문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Chaetognaths: A Molecular Analysis 1993
[388] 논문 Details of the evolutionary history from invertebrates to vertebrates, as deduced from the sequences of 18S rDNA
[389] 간행물 Laumer et al. 2019
[390] 논문 Nearly complete rRNA genes assembled from across the metazoan animals: Effects of more taxa, a structure-based alignment, and paired-sites evolutionary models on phylogeny reconstruction 2010
[391] 서적 The Ancestor's Tale: A Pilgrimage to the Dawn of Evolu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392] 간행물 2018
[393] 간행물 2018
[394] 서적 Zoology https://books.google[...] McGraw-Hill Higher Education
[395] 논문 The evolution of the Ecdysozoa https://royalsociety[...] 2008-04-27
[396] 논문 Current Understanding of Ecdysozoa and its Intern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https://doi.org/10.1[...] 2017-09-01
[397] 간행물 2018
[398] 논문 顎脚類(甲殻類)の分類と系統に関する研究の最近の動向 2020
[399] 논문 The Phylogen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Arthropods http://www.sciencedi[...] 2019-06-17
[400] 논문 Pancrustacean Evolution Illuminated by Taxon-Rich Genomic-Scale Data Sets with an Expanded Remipede Sampling https://academic.oup[...] 2019-08-01
[401] 논문 New early Cambrian animal and onychophoran affinities of enigmatic metazoans https://www.nature.c[...] 1991-05
[402] 논문 The morphology of Opabinia regali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arthropod stem-group https://onlinelibrar[...] 1996-03
[403] 논문 The morphology and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Kerygmachela kierkegaardi Budd (Buen Formation, Lower Cambrian, N Greenland) https://www.cambridg[...] 1998
[404] 논문 Tardigrades as ‘Stem-Group Arthropods’: The Evidence from the Cambrian Fauna https://doi.org/10.1[...] 2001-01
[405] 논문 A large xenusiid lobopod with complex appendages from the Lower Cambrian Chengjiang Lagerstätte https://www.research[...] 2006-06
[406] 논문 Morpho-anatomy of the lobopod Magadictyon cf. haikouensi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Lagerstätte, South China https://www.research[...] 2007-09-26
[407] 논문 Palaeont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Linking Arthropods, Onychophorans, and other Ecdysozoa https://evolution-ou[...] 2009-06
[408] 논문 A three-dimensionally preserved lobopodian from the Herefordshire (Silurian) Lagerstätte, UK http://rsos.royalsoc[...] 2018-08-01
[409] 논문 Platyzoan Paraphyly Based on Phylogenomic Data Supports a Noncoelomate Ancestry of Spiralia 2014
[410] 논문 Evolution of the bilaterian body plan: What have we learned from annelids?
[411] 서적 水の生物 2005-03-20
[412] 논문 The curious and neglected soft-bodied meiofauna: Rouphozoa (Gastrotricha and Platyhelminthes) 2020
[413] 간행물 2018
[414] 논문 Current status of annelid phylogeny 2016
[415]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dicyemid mesozoans offers insights into spiralian evolution 2017
[416] 논문 Orthonectids Are Highly Degenerate Annelid Worms 2018
[417] 설명 ドリオラリア幼生、オーリクラリア幼生、ビピンナリア幼生、オフィオプルテウス幼生、プルテウス幼生
[418] 간행물 白山 2000
[419] 간행물 2000
[420] 간행물 2000
[421] 논문 2000
[422] 저널 Higher-level metazoan relationships: recent progress and remaining questions 2011-06
[423] 웹사이트 Rotiferan Hox genes give new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metazoan bodyplans http://www.nature.co[...] 2017-04-04
[424] 웹사이트 Hallucigenia’s onychophoran-like claws and the case for Tactopoda https://doi.org/10.1[...]
[425] 웹사이트 Palaeos Metazoa: Ecdysozoa http://palaeos.com/m[...] 2017-09-02
[426] 저널 Phylogenetic position of Loricifera inferred from nearly complete 18S and 28S rRNA gene sequences https://doi.org/10.1[...] 2015-06
[427] 서적 Animal Evolution: Interrelationships of the Living Phyla Oxford University Press
[428] 웹사이트 Bilateria http://tolweb.org/Bi[...] 2001
[429] 논문 2018
[430] 논문 2000
[431] 논문 2018
[432] 보도자료 https://www.oist.jp/[...] 沖縄科学技術大学院大学・東邦大学 2014-09-17
[433] 저널 Chordate evolution and the three-phylum system 2014
[434] 논문 2018
[435] 논문 2018
[436] 저널 アリストテレス『動物発生論』の現代生物学・科学哲学的検討Ⅰ : 第1巻第1章~第16章 https://hdl.handle.n[...] 筑波大学大学院人文社会科学研究科古典古代学研究室
[437] 논문 有櫛動物と刺胞動物の関係 2000
[438] 논문 ミクソゾアの系統学的位置 2000
[439] 저널 中生動物研究の現状 日本動物分類学会 2004
[440] 논문 外肛動物 1957
[441] 저널 触手動物の系統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442] 논문 2000
[443] 서적 図説無脊椎動物学 2009-06-25
[444] 백과사전
[445] 백과사전
[446] 웹사이트 資料4 「動物の愛護管理の歴史的変遷」 https://www.env.go.j[...] 環境省
[447] 백과사전
[448] 백과사전
[449] 백과사전
[450] 웹사이트 愛玩動物の衛生管理の徹底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2006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451] 백과사전
[452] 백과사전
[453] 서적 Phylonyms: A Companion to the PhyloCode CRC Press 2020
[454] 저널 Six major steps in animal evolution: are we derived sponge larvae? 2008
[455] 저널 Die Abteilungen und Klassen der Pflanzen 1951
[456] 저널 The Ediacaran emergence of bilaterians: congruence between the genetic and the geological fossil records http://rstb.royalsoc[...] 2008-04-27
[457] 저널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2011-08-16
[458] 저널 Novel Predators Reshape Holozoan Phylogeny and Reveal the Presence of a Two-Component Signaling System in the Ancestor of Animals
[459] 저널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02-22
[460] 기타
[461] 저널 The Ediacaran emergence of bilaterians: congruence between the genetic and the geological fossil records 2008-04-27
[462] 저널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2011-08-16
[463] 웹사이트 Raising the Standard in Fossil Calibration http://fossilcalibra[...] 2018-03-03
[464] 저널 Support for a clade of Placozoa and Cnidaria in genes with minimal compositional bias
[465] 저널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