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잉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어과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 과로, 위가 없고 이빨이 없는 특징을 지닌다. 베버기관을 통해 청각이 발달했으며,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다. 잉어과 어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대부분 난생을 한다. 이들은 무척추동물과 식물을 주로 먹지만, 일부는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한다. 잉어과 어류는 식량 자원으로 중요하며, 낚시,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외래종의 유입으로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잉어과의 분류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계통발생학적 관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등으로 인해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유럽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북아메리카의 물고기 - 잉어목
    잉어목은 베버씨 기관을 가진 잉어상목 어류의 한 목으로, 등지느러미만 있고 턱에는 이빨이 없으며 인두치를 이용하여 먹이를 갈아 먹고, 잉어과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일부는 기수나 해양에 서식하기도 하고, 산간 계류에 서식하는 종들도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수질 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북아메리카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아프리카의 물고기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 아프리카의 물고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잉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학명Cyprinidae
명명자Rafinesque, 1815
모식속잉어속
모식속 명명자Linnaeus, 1758
아목참조
참조
형태
크기12 mm에서 3 m
생태
서식지담수
분류
아과납자루아과
바르부스아과
강준치아과
잉어아과
다니오아과
모래무지아과
큰머리잉어아과
라베오아과
황어아과
산잉어아과
피라미아과
눈불개아과
팅카아과
토르아과
동아시아피라미아과
어류 정보 (FishBase)
https://www.fishbase.de/Summary/FamilySummary.php?Family=Cyprinidae
어류 정보 (Catalog of Fishes)
https://www.calacademy.org/scientists/projects/catalog-of-fishes
이미지
Cyprinus carpio
언어별 명칭
그리스어(kyprînos)
그리스어 (고대)grc
추가 정보
화석 범위에오세 - 홀로세

2. 생태 및 생물학적 특징

잉어과는 위가 없고 이빨이 없는 턱을 가지고 있지만, 인두치를 이용하여 먹이를 효과적으로 씹을 수 있다.[4] 인두치는 각 종마다 고유하며 종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강한 인두치를 가진 잉어유럽잉어달팽이이매패류와 같은 단단한 먹이를 먹을 수 있다.

베버기관을 통해 청력이 발달되어 있으며, 베버기관의 세 개의 특수화된 척추돌기는 가스낭의 움직임을 내이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대기 조건이나 수심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잉어과는 성체가 되어서도 폐관이 유지되어 공기를 삼켜 가스낭을 채우거나 과도한 가스를 장으로 배출할 수 있어 폐구류로 간주된다.

자이언트 바브


잉어과는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다.[4] 가장 큰 잉어과 어류는 자이언트 바브(''Catlocarpio siamensis'')로 최대 3m 길이와 300kg 무게까지 자란다.[4] 가장 작은 물고기는 10.3mm에 달하는 ''Paedocypris progenetica''이다.[9]

대부분 난생이며, 일부 종은 둥지를 짓거나 알을 보호한다.[4] 입술잉어아과의 납자루아과는 이매패류 연체동물에 알을 낳는 독특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있다.[4]

스콸리우스 알부르노이데스 다배체 복합체에서 척추동물의 웅성생식의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가 보고되었다.[10]

대부분의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어 주로 무척추동물식물을 먹지만, 일부 종은 물고기를 전문으로 하는 포식자이다.[4] 풀잉어와 같은 일부 잉어과는 특수화된 초식동물이고, 일반 납자루와 같은 종은 조류와 생물막을 먹으며, 검정잉어와 같은 종은 달팽이를 전문으로 하며, 은잉어와 같은 일부 종은 특수화된 여과 섭식자이다.

잉어과 어류의 인두치 화석.

3. 인간과의 관계

잉어과 어류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량 자원이며, 특히 유라시아 전역에서 어획되고 양식된다. 동유럽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요리되며, 특정 지역에서는 여전히 식용으로 인기가 높다. 또한 낚시와 관상용으로도 이용되며, 이러한 이유로 수세기 동안 연못과 호수에 의도적으로 방류되어 왔다.[12]



잉어과 어류는 낚시 대회에서 인기가 많으며, 잉어의 크기와 힘 때문에 잉어 낚시도 인기가 높다.

몇몇 잉어과 어류는 식량, 스포츠, 또는 일부 해충 종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서식 범위 밖의 수역에 도입되기도 한다. 잉어(`Cyprinus carpio`)와 초어(`Ctenopharyngodon idella`)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플로리다주 등에서 이러한 사례를 볼 수 있다. 잉어는 특히 퇴적물을 휘저어 물의 탁도를 낮추고 식물의 성장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13][14]

미국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미시시피강 유역의 아시아 잉어와 같이 토착 어류와 경쟁하거나 환경을 교란하는 침입종이 되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잉어(`Cyprinus carpio`)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담수 환경, 편의시설 및 농업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해충 종이다. 1960년대 야생에서 처음 정착했을 때 토착 어류 개체군을 격감시켜 생물 다양성을 파괴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의 주요 강 시스템인 머레이-달링 분지에서는 어류 생물량의 80~90%를 차지한다.[15]

2016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는 잉어 바이러스(Cyprinid herpesvirus 3)를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하는 것을 조사하고, 잉어 바이러스 방출이 진행될 경우 산업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 잉어 방제 계획에 1520만호주 달러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초기 호의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16][17][18] 2020년 이 계획은 잉어의 높은 번식력 때문에 효과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19]

많은 잉어과 어류가 관상어 및 연못용 어류로 인기가 높다. 가장 유명한 것은 중국에서 프러시안 잉어(`Carassius (auratus) gibelio`)로부터 개량된 금붕어이다. 금붕어는 1728년경 유럽에 처음 수입되었으며, 1150년경부터 중국 귀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고, 1502년 일본에 도착한 후에도 인기를 얻었다. 금붕어 외에도, 붕어는 일본에서 18세기부터 코이(니시키고이)로 개량되었다.

다른 인기 있는 관상어용 잉어과 어류로는 다니오류, 라스보라류, 그리고 바브류가 있다.[20] 대형 종들은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수천 마리씩 야외 연못에서 사육되며, 이러한 관상어의 거래는 상당한 상업적 중요성을 지닌다. 소형 라스보라류와 다니오류는 카라신과(테트라)와 포에실리과(포에실리드 난태생어)에 필적할 만큼 혼합 수조에서 인기가 있다. 금붕어와 코이를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는 잉어과 어류 중 일부는 체리 바브, 할리퀸 라스보라, 펄 다니오, 레인보우 샤크, 타이거 바브, 그리고 화이트 클라우드 마운틴 미노우를 포함한다.

제브라피시(`Danio rerio`)는 특히 어류의 발생 유전학을 연구하기 위한 표준 모델 생물이 되었다.[21]

서식지 파괴와 기타 원인으로 여러 잉어과 어류의 야생 개체 수가 위험할 정도로 감소했으며, 일부 종은 이미 멸종되었다. 특히 북아메리카 남서부의 잉어과 납자루아과 어류는 20세기 전반과 중반의 오염과 지속 불가능한 물 사용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전 세계적으로 멸종된 잉어목 어류 종 대부분은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 북부에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잉어과 어류이다.

4. 분류

잉어과는 매우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있어, 분류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2개의 아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더 세분화된 분류 체계가 사용된다.

잉어과 어류는 다양성이 매우 커서 계통 발생을 명확히 밝히기 어렵고, 아과 분류도 잠정적인 수준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쿨트라아과 (Cultrinae)와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는 잉어아과 (Cyprininae)와 구분되는 가까운 친척 관계이며, 많은 속들이 특정 아과에 확실하게 배치되지 못하고 ''위치 미상 (incertae sedis)''으로 분류된다.[22][23][24]

납자루아과는 현존하는 잉어과 어류 중 가장 기저 계통에 속하는 핵심 그룹으로, 진화적 지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거나 수백만 년 동안 공진화한 작은 계통들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다른 "납자루아과" 어류는 잉어과의 다양한 계통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23]

라베오니나아과 (Labeoninae) 또는 스퀄리오바르비나아과 (Squaliobarbinae)와 같이 제안된 아과의 타당성과 범위는 의심스럽지만, 후자는 뚜렷한 계통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형 잉어류 (히포프탈미크티이나아과 (Hypophthalmichthyinae))와 ''크세노키프리스속 (Xenocypris)''의 그룹핑은 잘못된 것으로 보이며, ''크세노키프리스속 (Xenocypris)''는 쿨트라아과 (Cultrinae)에 속할 가능성이 더 높다.[23]

"붕어과 (Barbinae)"과 논란이 되는 라베오니나아과 (Labeoninae)는 잉어아과 (Cyprininae)의 일부로 취급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으며, 이들은 내부 관계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밀접한 그룹을 형성한다. 아프리카의 작은 "납작입어류"는 ''바르부스속 (Barbus)'' ''좁은 의미에서 (sensu stricto)''에 속하지 않으며, 일반 잉어 (''잉어속 (Cyprinus)'') 및 가라속 (Garra)와도 거리가 멀어 별도의 아과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작은 계통들이 이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아, 급진적인 조치는 시기상조일 수 있다.[22][25]

서유럽에서 대량으로 양식되는 붕어 (''Tinca tinca'')는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에 분류되기도 하지만, S7 리보솜 단백질 인트론 1의 DNA 서열 분석 결과 단형 (monotypic) 아과를 구성할 만큼 독립적이며, 동아시아의 ''아피오키프리스속 (Aphyocypris)'', ''헤미그램모키프리스속 (Hemigrammocypris)'', ''야오샤니쿠스속 (Yaoshanicus)''와 더 가까울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은 후기 고제3기 알프스 조산 운동의 결과로 동중앙 아시아의 잉어과 어류로부터 거의 동시에 갈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24]

DNA 기반 분석에 따르면 납자루아과는 기저 계통, 잉어아과는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의 자매 분지로 나타나며, 입술잉어아과 (Acheilognathinae), 돌고기아과 (Gobioninae),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는 단계통군이다.[26]

에슈마이어 어류 목록(Eschmeyer's Catalog of Fishes)은 잉어과 내의 아과와 속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27][1][28]

무지개샤크(Rainbow shark), ''Epalzeorhynchos frenatum'', 다소 공격적인 관상어


''Acheilognathus longipinnis'':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블루다니오(Blue danio), ''Danio kerri'': 납줄개아과(Danioninae)


''Pseudogobio esocinus'', 몰개아과(Gobioninae)


은상어(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납자루아과(Xenocyprinae), 또는 흰수마자아과(Hypophthalmichthyinae)


로후(Rohu), ''Labeo rohita'', 논란이 있는 라베오아과(Labeoninae)


붕어(tench), ''Tinca tinca''는 계통 분류가 불명확하며, 종종 독립적인 아과(subfamily)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먹이를 먹을 때 빠르게 유영하고 머리가 가동성을 가진 그룹과, 비교적 천천히 헤엄치고 머리가 고정된 그룹이라는 간단한 2개의 아과로 나뉘었지만, 현재는 더 세분화되어 있다[31].

분류:잉어과

4. 1. 주요 속 목록

아과속 목록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바르부스아과(Barbinae)
강준치아과(Cultrinae)
잉어아과(Cyprininae)
다니오아과(Danioninae)
모래무지아과(Gobioninae)(생략)
큰머리잉어아과(Hypophthalmichthyinae)
라베오아과(Labeoninae)
렙토바르부스아과(Leptobarbinae)렙토바르부스속(Leptobarbus)
황어아과(Leuciscinae)(생략)
산잉어아과(Psilorhynchinae)
피라미아과(Rasborinae)
눈불개아과(Squaliobarbinae)
Tincinae
Torinae
동아시아피라미과(Xenocyprinae)



에슈마이어 어류 목록(Eschmeyer's Catalog of Fishes)은 잉어과(Cyprinidae) 내의 아과와 속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27][1][28]

아과속 목록
가로잉어아과(Acrossocheilinae)
잉어아과(Barbinae)
잉어아과(Cyprininae)
라베오아과(Labeoninae)
프로바르비나에(Probarbinae)
쉬조피고프시나에(Schizopygopsinae)
쉬조토라시나에(Schizothoracinae)
스밀리가스트리나에(Smiliogastrinae)
스피니바르비나에(Spinibarbinae)
토리나에(Torinae)


5. 계통

잉어과 어류는 매우 다양하여 계통 발생을 명확히 밝히기 어렵고, 아과 분류는 잠정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22][23][24] 몇몇 뚜렷한 계통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쿨트라아과 (Cultrinae)와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는 잉어아과 (Cyprininae)와 구분되는 가까운 친척 관계이다. 그러나 잉어과의 전반적인 계통 분류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며, 많은 속들이 특정 아과에 속한다고 확정하기 어려운 ''위치 미상 (incertae sedis)''으로 분류된다.[22][23][24]

섬세한 납자루아과 어류는 핵심 그룹이며, 진화적 지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거나 수백만 년 동안 공진화한 작은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현존하는 잉어과 어류 중 가장 기저 계통에 속하며, 다른 "납자루아과" 어류는 겉보기에 이 과의 다양한 계통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23]

라베오니나아과 (Labeoninae) 또는 스퀄리오바르비나아과 (Squaliobarbinae)와 같이 제안된 아과의 타당성과 범위는 의심스럽지만, 후자는 뚜렷한 계통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대형 잉어류 (히포프탈미크티이나아과 (Hypophthalmichthyinae))와 ''크세노키프리스속 (Xenocypris)''의 그룹핑은 잘못된 것으로 보이며, 후자는 쿨트라아과 (Cultrinae)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23]

전적으로 측계통군 (paraphyletic)인 "붕어과 (Barbinae)"과 논란이 되는 라베오니나아과 (Labeoninae)는 잉어아과 (Cyprininae)의 일부로 취급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으며, 내부 관계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밀접한 그룹을 형성한다. 아프리카의 작은 "납작입어류"는 ''바르부스속 (Barbus)'' ''좁은 의미에서 (sensu stricto)''에 속하지 않으며, 수염이 있는 물고기와 일반 잉어( ''잉어속 (Cyprinus)'' )만큼 거리가 멀고, 가라속 (Garra)과도 거리가 멀어 아직 명명되지 않은 다른 아과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작은 계통이 이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아, 이러한 조치는 시기상조일 수 있다.[22][25]

서유럽에서 양식되는 붕어 (''Tinca tinca'')는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에 분류되지만, 이 아과의 범위가 느슨하게 정의되었을 때조차도 항상 떨어져 있었다. S7 리보솜 단백질 인트론 1의 DNA 서열 데이터에 대한 분지분류학 (cladistic) 분석 결과, 이 종은 단형 (monotypic) 아과를 구성할 만큼 독립적이며, 동아시아의 ''아피오키프리스속 (Aphyocypris)'', ''헤미그램모키프리스속 (Hemigrammocypris)'', ''야오샤니쿠스속 (Yaoshanicus)''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이들은 후기 고제3기 알프스 조산 운동의 결과로 동중앙 아시아 잉어과 어류로부터 거의 동시에 갈라졌을 것이다.[24]

DNA 기반 분석은 납자루아과를 기저 계통으로, 잉어아과를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의 자매 분지로 배치한다.[26] 입술잉어아과 (Acheilognathinae), 돌고기아과 (Gobioninae), 루시스키나아과 (Leuciscinae) 아과는 단계통군이다.

과거에는 먹이를 먹을 때 빠르게 유영하고 머리가 가동성을 가진 그룹과, 비교적 천천히 헤엄치고 머리가 고정된 그룹이라는 간단한 2개의 아과로 나뉘었지만, 현재는 더 자세하게 나뉘어져 있다.[31]


  • - 2속 6종, 몸길이 약 8cm의 소형 어류. 네팔과 인접한 인도, 미얀마 산악 지대의 물살 빠른 계류에 적응. 머리 아랫면이 편평, 입은 작고 살덩이 같은 입술, 수염 없음. 아가미 구멍은 작고, 인두치는 1줄에 4개. 측선 발달, 부레 퇴화. 과거 독립된 과로 분류.
  • 잉어아과 - 약 1300종. 잉어·붕어(금붕어) 외 닥터피쉬·푼티우스속·실버샤크 등 열대어 포함.
  • 다니오아과 - 약 300종. 라스보라 등 열대어, 모델생물 제브라피쉬 포함.
  • - 1속() 5종, 동남아시아산.
  • 납자루아과 - 4속 약 80종. 중앙아시아 제외 유라시아 대륙, 일본열도 분포. 가는돌고기·납자루·묵납자루·붉은납자루·참납자루·어름치 등 납자루류 포함.
  • 갈겨니아과 - 약 200종. 유라시아 전역 서식, 참갈겨니속 ''Gobio'' 외 거의 모든 속은 동남아시아와 일본에 국한. 치리·몰개·버들치·피라미·갈겨니·참중고기 등.
  • 피라미아과 - 약 700종. 잉어과에서 북아메리카에 자연 분포하는 유일한 그룹. 인도와 동남아시아에는 분포하지 않음. 피라미·왜몰개 등.
  • 옥시가스트리나에아과 - 약 150종. 동아시아-동남아시아 분포. 꾸구리속·붕어속 등은 과거 다니오아과에 포함되었으나, 다른 다니오와 계통이 달라 분리.[32]

  • 속 미상
  • * - 1종[33]
  • * - 3종 홍미꾸리
  • * - 1종 텐치(Tinca tinca)
  • * - 2종
  • * - 1종
  • * - 2종
  • * - 3종
  • * - 1종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32]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FishBase
[3] Cof 2015-07-02
[4] FishBase
[5]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6] FishBase
[7] FishBase
[8] FishBase
[9] FishBase
[10] 논문 First empirical evidence of naturally occurring androgenesis in vertebrates
[11]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12] 서적 Fishlore: British Freshwater Fishes Penguin Books 1946
[13] 웹사이트 Cyprinus carpio (Linnaeus, 1758) http://nis.gsmfc.org[...] Gulf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 2007-05-03
[14] 웹사이트 Exotic Freshwater Fishes http://floridafisher[...] Florida Fish and Wildlife Conservation Commission 2007-03-05
[15] 논문 Effects of common carp on water quality and submerged vegetation: results from a short-term mesocosm experiment in an artificial wetland 2022-05-30
[16] 논문 A path analysis of carp biocontrol: effect of attitudes, norms, and emotion on acceptance https://link.springe[...] 2022-03
[17] 뉴스 Herpes virus to be used in fight against carp in Murray River, Christopher Pyne say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05-01
[18] 웹사이트 Carp herpesvirus http://research.csir[...] 2020-11-09
[19] 논문 Genetic variation in resistance and high fecundity impede viral biocontrol of invasive fish Wiley 2020-10-14
[20] 서적 Aquarium Atlas Volume 1 Voyageur Press
[21] 서적 The diversity of fishes Blackwell Science 1997
[22] 논문 Evolutionary origin of Lake Tana's (Ethiopia) small ''Barbus'' species: Indications of rapid ecological divergence and speciation
[23]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s of the family Cyprinidae (Actinopterygii: Cypriniformes) as evidenced by sequence variation in the first intron of S7 ribosomal protein-coding gene: Further evidence from a nuclear gene of the systematic chaos in the family https://sites.google[...]
[24] 논문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enigmatic genus Psilorhynchus (Ostariophysi: Cypriniformes): Evidence from the mitochondrial genome https://sites.google[...]
[25] 서적 Biology of Cyprinids Chapman and Hall Ltd.
[26] 논문 Remarkable phylogenetic resolution of the most complex clade of Cyprinidae (Teleostei: Cypriniformes): A proof of concept of homology assessment and partitioning sequence data integrated with mixed model Bayesian analyses http://ir.ihb.ac.cn/[...] 2013-03
[27] 웹사이트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Classification https://www.calacad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24-12-11
[28] 논문 Phylogeny and polyploidy: Resolving the classification of cyprinine fishes (Teleostei: Cypriniformes)
[29]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30] 서적 Freshwater fish list https://www.research[...] 2017-12
[31]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32] 논문 Limit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East Asian fishes in the subfamily Oxygastrinae (Teleostei: Cypriniformes: Cyprinidae) https://www.research[...]
[33] 논문 Araiocypris Batodes, a new genus and species of cyprinid fish from Northern Vietnam (Ostariophysi: Cyprinidae) http://lkcnhm.nus.ed[...]
[34] 기타
[35] 기타
[36] 텍스트
[37] FishBase
[38] FishBase
[39]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