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니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니코는 1996년부터 프로레슬링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멕시코 출신 선수이다. 인디 단체에서 미스티코, 인코그니토 등의 링네임으로 활동했으며, 2004년 WWA 미들급 챔피언을 획득했다. 2006년 TNA에 출연했고, 2007년 치카라의 킹 오브 트리오에서 우승했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WWE에서 활동하며 신 카라의 대역을 맡았고, 신 카라 네그로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9년 AAA로 이적하여 신타 데 오로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기술로는 드래곤 밤, 후니코 스페셜 등이 있으며, 킹 오브 트리오, FCW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텍사스주 출신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텍사스주 출신 - 로라 부시
    로라 부시는 미국의 영부인으로서 교육 및 읽기 능력 향상, 여성 건강, 아동 복지에 힘썼으며, 텍사스 영부인 시절부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영부인 재임 기간에는 아프가니스탄 여성 인권 문제와 유방암, 심장병 인식 개선 등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로디 파이퍼
    로디 파이퍼는 로데릭 조지 툼스라는 본명을 가진 캐나다 출신의 프로레슬러이자 배우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NWA와 WWF에서 활동하며 "파이퍼스 핏" 인터뷰 코너 진행 및 헐크 호건 등과의 대립으로 인기를 얻었고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영화 《그들이 사는 세상》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후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진
링네임신타 데 오로 (2대)
인코그니토
후니코
미스티코 (초대)
미스티코 데 후아레스
신 카라 (2대)
신 카라 네그로
호르헤 아리아스
본명호세 호르헤 아리아스 로드리게스
출생일1977년 8월 5일
출생지미국 텍사스주엘패소
신장178cm
체중95kg
데뷔1999년 11월 21일
선수 정보
스포츠 경력해당사항 없음
트레이너신타 데 오로 (초대)
레이 게레로
엘 미겔라
소속해당사항 없음

2. 경력

1996년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멕시코와 미국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다. 2000년부터 '''미스티코'''(Mistico)라는 링네임을 사용했는데, 이는 초대 미스티코(신 카라)의 기믹을 일부 차용한 것이다.[1] 2004년 WWA 미들급 챔피언에 도전하여 시코시스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1] 2005년 CMLL의 아스트로 보이가 링네임을 미스티코로 변경하면서, '''미스티코 데 후아레스'''(Mistico de Juarez) 또는 M[i]stico의 [i]를 [y]로 바꾼 '''미스티코'''(Mystico)로 링네임을 변경했다.[1]

2006년 TNA에 '''인코그니토'''(Incognito)라는 링네임으로 참전, 월드 X컵 토너먼트에 팀 멕시코 소속으로 참가했다.[1] 시코델리코 주니어와 태그팀을 맺어 NWA 월드 태그팀 선수권 결정전에서 결승에 진출했다.[1] 2007년 치카라 킹 오브 트리오에 엘 판테라, 린스 드라도와 팀을 이뤄 우승했다.[1] NWA 멕시코, ROH 등 다른 단체에서도 활동했다.[1]

2009년 WWE와 계약을 맺고 산하 단체인 FCW에서 후니코(Hunico)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했다.[2] 에피코와 함께 로스 아비아도레스(Los Aviadores)라는 태그팀을 결성, FCW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다.[2] 2011년 초대 신 카라가 징계를 받자, 그를 대신하여 SmackDown!에 데뷔하여 악역인 신 카라 네그로(Sin Cara Negro)로 활동하며 초대 신 카라와 대립했고, 대립에서 패배한 후에는 마스크를 벗고 후니코로 복귀했다.[2] 2013년부터는 다시 신 카라 기믹으로 활동했다.[2] 2014년, NXT에서 칼리스토와 함께 루차 드래곤스(Lucha Dragons)를 결성하여 NXT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고,[2] 2015년에는 칼리스토와 함께 WWE 메인 로스터로 승격했다.[2] 2018년부터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2019년 WWE에서 방출되었다.[2]

WWE에서 방출된 후 AAA에 복귀하면서 스승인 신타 데 오로 (초대)의 이름을 이어받아 2대 신타 데 오로로 활동하게 되었다.

2. 1. 인디 단체 활동 (1996-2009)

1996년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멕시코와 미국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다. 2000년부터 '''미스티코'''(Mistico)라는 링네임을 사용했는데, 이는 초대 미스티코(신 카라)의 기믹을 일부 차용한 것이다.[1]

2004년 WWA 미들급 챔피언에 도전하여 시코시스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1] 2005년 CMLL의 아스트로 보이가 링네임을 미스티코로 변경하면서, '''미스티코 데 후아레스'''(Mistico de Juarez) 또는 M[i]stico의 [i]를 [y]로 바꾼 '''미스티코'''(Mystico)로 링네임을 변경했다.[1]

2006년 TNA에 '''인코그니토'''(Incognito)라는 링네임으로 참전, 월드 X컵 토너먼트에 팀 멕시코 소속으로 참가했다.[1] 시코델리코 주니어와 태그팀을 맺어 NWA 월드 태그팀 선수권 결정전에서 결승에 진출했다.[1]

2007년 치카라 킹 오브 트리오에 엘 판테라, 린스 드라도와 팀을 이뤄 우승했다.[1] NWA 멕시코, ROH 등 다른 단체에서도 활동했다.[1]

2. 2. WWE (2009-2019)

2009년 12월 14일, WWE와 계약을 맺고 산하 단체인 FCW에서 후니코(Hunico)라는 링네임으로 활동을 시작했다.[2] 에피코와 함께 로스 아비아도레스(Los Aviadores)라는 태그팀을 결성, FCW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다.[2]

2011년 초대 신 카라가 징계를 받자, 그를 대신하여 SmackDown!에 데뷔했다. 이후 악역인 신 카라 네그로(Sin Cara Negro)로 활동하며 초대 신 카라와 대립했고, 대립에서 패배한 후에는 마스크를 벗고 후니코로 복귀했다.[2] 2013년부터는 다시 신 카라 기믹으로 활동했다.[2]

2014년, NXT에서 칼리스토와 함께 루차 드래곤스(Lucha Dragons)를 결성하여 NXT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고,[2] 2015년에는 칼리스토와 함께 WWE 메인 로스터로 승격했다.[2]

2018년부터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2019년 12월 8일, WWE에서 방출되었다.[2]

2. 2. 1. 신 카라 vs. 신 카라 대립 (2011)

2011년 7월, 초대 신 카라 (이그나시오 알비르데)가 금지 약물 복용으로 웰니스 정책을 위반하여 30일 근신 처분을 받았다.[2] 이 때문에 8월부터 호르헤 아리아스가 신 카라의 대역으로 SmackDown!에 등장했다.[2] 그는 신 카라의 역할을 훌륭히 소화하여 WWE 수뇌부의 신뢰를 얻었다.[2]

이후 호르헤 아리아스는 악역 '''신 카라 네그로''' (''Sin Cara Negro'')로,[2] 징계에서 복귀한 이그나시오 알비르데는 선역 '''신 카라 아줄''' (''Sin Cara Azul'')로 활동하며 10월부터 대립했다.[2] 멕시코에서 마스카라 콘트라 마스카라(마스크 vs. 마스크) 경기가 열렸고, 여기서 호르헤 아리아스가 패배하여 마스크를 벗었다.[2]

이 대립은 두 명의 신 카라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독특한 설정으로, 정체성 혼란과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3. AAA (2019-현재)

WWE에서 방출된 지 6일 후인 2019년 12월 14일, AAA 주최 "Guerra de Titanes 2019" 제5경기 후 난투극 도중 WWE 시절과 같은 마스크와 복장, 링 네임으로 등장하여 파가노를 구출했다. 그는 그 자리에서 2020년에 AAA에 복귀할 것을 직접 선언했다.[2]

WWE가 신 카라의 링 네임, 마스크, 복장에 대한 권리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AAA에 복귀하면서 스승인 신타 데 오로 (초대)의 이름을 이어받아 2대 신타 데 오로로 활동하게 되었다. 2020년 4월 19일, AAA에서 신타 데 오로라는 이름으로 첫 경기를 가졌다.

3. 기술

후니코는 다양한 레슬링 기술을 구사하는 선수이다. 특히 공중 기술에 능하며, 여러가지 피니싱 무브와 시그니처 무브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기술'''


  • '''후니코'''
  • * 더블 언더훅 백브레이커
  • * 노던 라이트 수플렉스
  • * 사이토 수플렉스
  • * 스쿨보이 파워밤
  • * 슬링샷 서머솔트 플란차
  • * 틸트-어-휠 백브레이커
  • '''잉코그니토'''
  • * 문설트 사이드 슬램
  • '''신 카라'''
  • * 다이빙 헤드벗 드롭 (선 자세의 상대를 향해, 때로는 스프링보드 버전으로 사용)
  • * 엔즈이기리 (때로는 에이프런 링에서 사용)
  • * 핸드스프링 백 엘보
  • * 헤드시저스 테이크다운
  • * 스쿨보이 파워밤
  • * 슬링샷 드롭킥
  • * 스프링보드 크로스바디
  • 코너(탑 로프) 병용 하이킥: 미스테시스나 마루후지 나오미치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후니코의 경우 에이프런으로 피신하여 달려오는 상대에게 코너 너머로 날린다.


'''매니저'''

'''테마곡'''

  • "Ancient Spirit" - 짐 존스턴 (WWE; 2011; 2013-2015)
  • "Maldición (Curse)" - 짐 존스턴 (WWE; 2011)
  • "Respeto" - Reychesta Secret Weapon and Jim Johnston (WWE; 2011-2013; 카마초와 함께 사용)
  • "Lucha Lucha" - CFO$ (NXT/WWE; 2014-2016; 루차 드래곤즈의 멤버로 사용)
  • "Faceless" - CFO$ (WWE; 2016-2019)

3. 1. 피니싱 무브


  • '''후니코'''
  • * 백브레이커 랙 사모안 드롭 - WWE; FCW에서는 주요 기술로 사용.
  • * ''폴링 스타 (다이빙 센턴 밤)'' - WWE
  • * ''후니코 스페셜 (레그락)'' - FCW
  • '''잉코그니토'''
  • * ''잉코그니토 스페셜 (레그락)''
  • * ''쿠에바라도라 (리버스 보스턴 크랩)''
  • '''신 카라'''
  • * ''드래곤 밤 (다이빙 센턴 밤)'' - 2013년-현재
  • * 스프링보드 센턴 밤 후 스프링보드 문설트 - 2011
  • * 휠배로우 빅토리 롤 (상대방이 가장 높은 로프에 있을 때) - 2012, 2014-2015
  • '''드래곤 밤(센톤)'''

: 현재 사용되는 피니셔. 하이앵글 센톤 밤

  • '''후니코 스페셜'''
  • 쿠에바라도라

3. 2. 시그니처 무브


  • 스쿨보이 파워밤
  • 토페 스이시다
  • 토페 아토미코
  • 스프링보드 문설트
  • 스프링보드 크로스 보디
  • 핸드스프링 백 엘보
  • 코너 하이킥

4. 수상 내역

w/ 엘 판테라 & 린스 도라도치카라 (CHIKARA)레이 데 볼라도레스1회FCWFCW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십2회w/ 에피코WWAWWA 미들급 챔피언십2회NCWN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1회NCWN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4회NCWNCW 미들급 챔피언십2회WWENXT 태그팀 챔피언십1회w/ 칼리스토

5. 입장 테마

참조

[1] 웹사이트 Hunico http://www.onlinewor[...] Online World of Wrestling 2015-08-29
[2] 문서 WWEの競業忌避規定が[[2020年]]3月7日まで適用される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