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 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 허는 메노나이트 가정에서 태어나 뛰어난 등반가로 성장했으나, 등반 사고로 두 다리를 절단해야 했다. 이후 그는 직접 디자인한 의족을 착용하고 등반을 재개하여 사고 이전보다 더 높은 수준의 등반 실력을 갖추었다. 그는 MIT에서 생체역학을 연구하며 인간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보철 기술을 개발했으며, 컴퓨터 제어 무릎(Rheo Knee)과 동력 발목-발 보철물(BiOM) 등 혁신적인 발명품으로 타임지 선정 10대 발명품에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런닝 블레이드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의 올림픽 출전을 도왔으며, 여러 상을 수상하고 저서를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실베이니아주의 공학자 -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는 천문학자, 물리학자, 항공 개척자로서 볼로미터를 발명하고 태양 에너지 연구에 기여했으며, 조종 가능한 유인 비행기 제작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공학자 - 로버트 풀턴
로버트 풀턴은 미국의 발명가이자 화가로, 증기선을 개발하여 해상 운송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잠수함 노틸러스와 증기선 클레르몬트를 제작하여 미국의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생물물리학자 - 에르빈 네어
에르빈 네어는 세포 내 단일 이온 채널의 기능 발견에 기여한 독일의 생물물리학자로, 베르트 자크만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패치 클램프 기법 개발로 이온 채널 연구에 혁명을 일으킨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고 현재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활동하며 대학교 명예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 생물물리학자 - 피터 맨스필드
피터 맨스필드는 자기 공명 영상(MRI) 기술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하여 20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물리학자로, MRI의 '슬라이스 선택' 기법과 에코 플래너 영상(EPI) 기법을 개발하여 현대 의학 영상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휴 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휴 밀러 허(Hugh Miller Herr) |
출생일 | 1964년 10월 25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니아주 랭커스터 |
국적 | 미국 |
직업 | 학자, 엔지니어, 생물 물리학자 |
웹사이트 | media.mit.edu |
학력 | |
모교 | 밀러스빌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정보 없음 |
박사 졸업생 | 정보 없음 |
경력 | |
직장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MIT 미디어랩 |
연구 분야 | |
연구 분야 | 생물 물리학 기계공학 물리학 |
알려진 업적 | 정보 없음 |
수상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MIT Media Lab, Biomechatronics group |
2. 어린 시절과 등반
휴 허는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의 메노나이트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등반에 재능을 보였다. 8세에 캐나다 로키 산맥의 템플 산을 등반했고, 17세에는 미국 최고의 등반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27] 1982년 뉴햄프셔주 워싱턴 산에서 등반 사고로 두 다리를 잃었지만, 특수 의족을 사용하여 사고 이전보다 뛰어난 등반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28][29] 그는 절단 장애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등반가들과 동등한 수준의 등반을 해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2. 1. 메노나이트 가정 배경과 초기 등반 경험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의 메노나이트 가정에서 다섯 형제 중 막내로 태어난 휴 허는 8살 때 캐나다 로키 산맥의 약 3543.91m 높이의 템플 산을 올랐고, 17세에 미국에서 가장 뛰어난 등반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27] 1982년 1월, 뉴햄프셔주 워싱턴 산 헌팅턴 계곡에서 동료 등반가 제프 배처와 함께 얼음 등반을 하던 중 눈보라에 갇혀 길을 잃었고, 그레이트 걸프로 내려가 약 -28.9°C에서 3일 밤을 보냈다. 구조될 무렵에는 심각한 동상을 입은 상태였다. 휴 허는 양쪽 다리를 모두 무릎 아래까지 절단해야 했다. 그의 동료는 왼쪽 무릎 아래와 오른쪽 발가락, 오른손의 손가락을 잃었다. 구조 시도 중 자원 봉사자 알버트 다우는 눈사태로 사망했다.[27]2. 2. 청소년기 등반 업적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출신의 메노나이트 가정에서 다섯 형제 중 막내로 태어난 휴 허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등반 실력을 보였다. 8세에 캐나다 로키 산맥의 약 3543.91m 높이의 템플 산을 올랐고, 17세에는 미국 최고의 등반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1]1982년 1월, 뉴햄프셔 주 워싱턴 산 헌팅턴 계곡에서 동료 등반가 제프 배처와 함께 얼음 등반을 하던 중 눈보라에 갇혀 길을 잃었다. 이들은 그레이트 걸프로 내려가 -20°F도의 추위 속에서 3일 밤을 보냈다. 구조 당시 이들은 심각한 동상을 입은 상태였고, 휴 허는 양쪽 다리를 무릎 아래까지 절단해야 했다. 그의 동료는 왼쪽 무릎 아래와 오른쪽 발가락, 오른손 손가락을 잃었다. 구조 과정에서 자원봉사자 알버트 다우가 눈사태로 사망했다.[1]
수술과 재활 후, 휴 허는 의사들이 불가능하다고 했던 등반을 다시 시작했다. 그는 직접 디자인한 특수 의족을 사용하여 동전 너비의 작은 바위 모서리에도 설 수 있었고, 티타늄 스파이크가 부착된 의족으로 가파른 얼음벽을 오를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의 키를 약 1.52m 에서 약 2.44m 범위로 조절하여 불편한 자세를 피하고 손과 발이 닿지 않는 곳을 잡을 수 있었다. 이러한 보형물 덕분에 휴 허는 사고 이전보다 더 높은 수준의 등반을 할 수 있었고, 심각한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 중에서는 처음으로 건강한 사람들과 동등한 수준으로 스포츠를 수행하는 사람이 되었다.[2][3]
휴 허는 다음과 같은 등반 업적을 남겼다.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의 메노나이트 가정에서 다섯 형제 중 막내로 태어난 휴 허는 8살 때 캐나다 로키 산맥의 3544m 높이의 템플 산을 올랐고, 17세에 미국에서 가장 뛰어난 등반가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27]
3. 등반 사고와 절단
1982년 등반 사고로 양쪽 다리를 무릎 아래까지 절단해야 했지만, 수술과 재활을 거쳐 직접 디자인한 특수 보형물을 사용하여 등반을 다시 시작했다. 그는 동전 너비의 작은 바위 모서리에도 설 수 있고, 가파른 얼음벽을 오를 수 있도록 티타늄 스파이크가 부착된 의족을 만들었다. 또한, 불편한 자세를 피하기 위해 키를 조절하고 손과 발이 닿지 않는 곳을 잡을 수 있는 보형물을 사용했다. 그의 키는 약 1.52m에서 약 2.44m까지 조절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보형물 덕분에 휴 허는 사고 이전보다 더 높은 수준의 등반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심각한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 중에서는 처음으로 건강한 사람들과 동등한 수준으로 스포츠를 수행하는 사람이 되었다.[28][29]
3. 1. 워싱턴 산 등반 사고
1982년 1월, 휴 허는 동료 등반가 제프 배처와 함께 뉴햄프셔주 워싱턴 산의 헌팅턴 계곡에서 얼음 등반을 하던 중 눈보라를 만나 길을 잃었다.[27] 이들은 대협곡(The Great Gulf)으로 내려가 -29°C의 추위 속에서 3일 밤을 보냈다.[27] 구조되었을 때 이들은 이미 심각한 동상 상태였고, 휴 허는 양쪽 다리를 무릎 아래까지 절단해야 했다.[27] 그의 동료는 왼쪽 무릎 아래와 오른쪽 발가락, 오른손 손가락을 잃었다.[27] 구조 시도 중에는 자원봉사자 알버트 다우가 눈사태로 사망했다.[27]
3. 2. 구조 과정의 비극
1982년 1월, 휴 허와 동료 등반가 제프 배처는 뉴햄프셔주 마운트 워싱턴의 허팅턴 협곡에서 어려운 얼음 등반을 하던 중 눈보라에 갇혀 길을 잃었고, 결국 그레이트 걸프로 내려와 -20°F의 기온에서 사흘 밤을 보냈다.[27] 구조될 무렵 이들은 심각한 동상에 걸렸다. 휴 허는 두 다리 모두 무릎 아래를 절단해야 했다. 배처는 왼쪽 다리 아래 부분과 오른쪽 발의 발가락,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손가락을 잃었다. 구조 시도 중 자원봉사자 앨버트 도우가 눈사태로 사망했다.[27]
4. 재활과 의족 개발
휴 허는 컴퓨터 제어 인공 무릎인 Rheo Knee[9], 능동형 발목-발 정형외과 장치, 세계 최초의 전동 발목-발 보철물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10]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 무릎은 2004년 ''타임'' 지 선정 건강 분야 10대 발명품 중 하나였다.[14] 생물학적 다리 움직임을 모방하여 절단 환자에게 자연스러운 보행을 제공하는 로봇 발목-발 보철물은 2007년 ''타임'' 지 10대 발명품으로 선정되었다.[17]
4. 1. 절망을 딛고 일어서다
MIT에서 생체 의학 장치 분야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허는 인간 다리의 기능을 모방하는 장치인 진보된 다리 보철물 및 정형외과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1] 그는 현재 MIT 미디어 랩 교수로, 생체역학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으며, K. 리사 양 바이오닉스 센터의 공동 디렉터이다.[4][5][6] 이 센터에서 인간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착용형 로봇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가 설계하는 대부분의 장치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가 공감할 수 있는 어려움을 겪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그의 장치는 생체역학 및 신경 제어 원리를 적용하여 인간 재활 및 증강 장치를 설계하는 새로운 공학 과학 분야를 발전시키고 있다.[7] 목표는 사지 절단 수술을 받거나 병리학적 문제를 가진 개인을 재활시키고,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사람들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허는 컴퓨터 제어 인공 무릎인 Rheo Knee[9]로 상용화된 특허, 능동형 발목-발 정형외과 장치, 세계 최초의 전동 발목-발 보철물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10] 관절 위치와 사지에 가해지는 부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 무릎은 2004년 ''타임'' 지가 선정한 건강 분야 10대 발명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4] 생물학적 다리의 움직임을 모방하고, 절단 환자에게 최초로 자연스러운 보행을 제공하는 로봇 발목-발 보철물은 2007년 같은 ''타임''지의 10대 발명품 목록에 포함되었다.[17]
4. 2. 맞춤형 의족 개발
휴 허는 MIT에서 생체 의학 장치 분야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인간 다리의 기능을 모방하는 장치인 진보된 다리 보철물 및 정형외과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1] 현재 MIT 미디어 랩 교수로, 생체역학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으며, K. 리사 양 바이오닉스 센터의 공동 디렉터이다.[4][5][6] 그는 이 센터에서 인간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착용형 로봇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가 설계하는 대부분의 장치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가 공감할 수 있는 어려움을 겪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그의 장치는 생체역학 및 신경 제어 원리를 적용하여 인간 재활 및 증강 장치를 설계하는 새로운 공학 과학 분야를 발전시키고 있다.[7] 목표는 사지 절단 수술을 받거나 병리학적 문제를 가진 개인을 재활시키고,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사람들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허는 컴퓨터 제어 인공 무릎인 Rheo Knee[9]로 상용화된 특허, 능동형 발목-발 정형외과 장치, 그리고 세계 최초의 전동 발목-발 보철물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10] 관절 위치와 사지에 가해지는 부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 무릎은 2004년 ''타임'' 지가 선정한 건강 분야 10대 발명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4] 생물학적 다리의 움직임을 모방하고, 절단 환자에게 최초로 자연스러운 보행을 제공하는 로봇 발목-발 보철물은 2007년 같은 ''타임''지의 10대 발명품 목록에 포함되었다.[17]
4. 3. 장애를 넘어선 등반
MIT에서 생체 의학 장치 분야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허는 인간 다리의 기능을 모방하는 장치인 진보된 다리 보철물 및 정형외과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1] 그는 현재 MIT 미디어 랩의 교수로, 생체역학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으며, K. 리사 양 바이오닉스 센터의 공동 디렉터이다.[4][5][6] 이 센터에서 인간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착용형 로봇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가 설계하는 대부분의 장치는 그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가 공감할 수 있는 어려움을 겪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그의 장치는 생체역학 및 신경 제어 원리를 적용하여 인간 재활 및 증강 장치를 설계하는 새로운 공학 과학 분야를 발전시키고 있다.[7] 목표는 사지 절단 수술을 받거나 병리학적 문제를 가진 개인을 재활시키고,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사람들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허는 컴퓨터 제어 인공 무릎인 Rheo Knee[9]로 상용화된 특허, 능동형 발목-발 정형외과 장치, 그리고 세계 최초의 전동 발목-발 보철물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10] 관절의 위치와 사지에 가해지는 부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 무릎은 2004년 ''타임'' 지가 선정한 건강 분야 10대 발명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4] 생물학적 다리의 움직임을 모방하고, 절단 환자에게 최초로 자연스러운 보행을 제공하는 로봇 발목-발 보철물은 2007년 같은 ''타임''지의 10대 발명품 목록에 포함되었다.[17]
5. 학문적 성취와 MIT 연구
휴 허는 재활 과학 분야에서 60개가 넘는 동료 평가 논문을 발표했다.[30][31][32] 2007년에는 기술, 경제 및 고용 부문에서 하인즈 상을 수상했으며,[34] 2005년에는 유명 기계 부문 혁신 리더상을 수상했다.[35]
그는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러닝 블레이드 기계학 연구에 참여한 여섯 대학 출신 생체역학 및 생리학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의 일원이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양쪽 다리 절단 수술을 받은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국제 육상경기 연맹(IAAF)으로부터 그의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장애인 경기 출전이 금지되었었다.[36] 그러나 휴 허와 그의 동료 로저 크램은 2008년 5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이의를 제기하여 금지 조치를 뒤집었다. 그 결과, 피스토리우스는 올림픽에서 비장애인 선수들과 경쟁할 자격을 얻은 최초의 장애인 단거리 달리기 선수가 되었다.[37] 이 팀의 연구 결과는 2009년 1월 18일 '응용 생리학 저널'(Journal for Applied Physiology)에 게재되었다.[38]
휴 허의 이야기는 엘리슨 오시우스의 저서 '두 번째 등정: 휴 허의 이야기(Second Ascent: The Story of Hugh Herr)'에 소개되었으며,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되었다. 2002년에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영화 '등정: 휴 허의 이야기(Ascent: The Story of Hugh Herr)'를 제작했다. 또한, 휴 허는 2012년 3월 25일 CNN의 '더 넥스트 리스트(The Next List)' 코너에 출연했다.[39]
5. 1. 학문의 길로
등산가로서 경력을 쌓은 휴 허는 전부터 관심이 있던 학업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그는 밀러스빌 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MIT에서 기계공학 석사학위, 하버드 대학교에서 생체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MIT에서 생체 의학 장치 분야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허는 인간 다리의 기능을 모방하는 장치인 진보된 다리 보철물 및 정형외과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1] 그는 현재 MIT 미디어 랩의 교수로, 생체역학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으며, K. 리사 양 바이오닉스 센터의 공동 디렉터이다.[4][5][6] 이 센터에서 그는 인간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착용형 로봇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가 설계하는 대부분의 장치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가 공감할 수 있는 어려움을 겪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허가 설계하는 장치는 생체역학 및 신경 제어 원리를 적용하여 인간 재활 및 증강 장치를 설계하는 새로운 공학 과학 분야를 발전시키고 있다.[7] 그의 목표는 사지 절단 수술을 받거나 병리학적 문제를 가진 개인을 재활시키고,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사람들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허는 컴퓨터 제어 인공 무릎인 Rheo Knee[9]로 상용화된 특허, 능동형 발목-발 정형외과 장치, 그리고 세계 최초의 전동 발목-발 보철물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10] 관절의 위치와 사지에 가해지는 부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 무릎은 2004년 ''타임'' 지가 선정한 건강 분야 10대 발명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4] 생물학적 다리의 움직임을 모방하고, 절단 환자에게 최초로 자연스러운 보행을 제공하는 로봇 발목-발 보철물은 2007년 같은 ''타임''지의 10대 발명품 목록에 포함되었다.[17]
5. 2. MIT 미디어랩 바이오메카트로닉스 그룹
MIT에서 생물의학 기기 분야의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연구원으로 재직할 당시, 휴 허는 인간의 다리 기능에 필적하는 진보된 다리 보조 기구와 정형 수술에 관한 작업에 착수했다.[27] 현재 그는 MIT의 '미디어 예술과 과학 프로그램'과 하버드-MIT의 건강 과학 기술 부서에서 부교수직을 맡고 있다. MIT 미디어랩의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연구팀의 수장으로서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증가시키는 착용 가능한 로봇 시스템을 발전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가 디자인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그를 위한 것이 아니며 그와 만나기 어려운 다른 이들을 위한 것이다.Rheo Knee영어[30], 능동형 발목-발 보조기(an active ankle-foot orthosis)[31], 그리고 세계 최초의 충전식 발목-발 보조기구(the world's first powered ankle-foot prosthesis)[33]와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컴퓨터로 조종하는 인공 무릎[32]과 관련된 10개 이상의 특허권(공동 소유 포함)을 가지고 있다.
이 장비들은 바이오메카트로닉스와 신경 조절의 원리를 적용한 공학 과학의 떠오르는 분야를 이끌고 있다. 목표는 사지 절단이나 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일상 생활로 복귀시키며, 순수한 생리학의 학문적 관점에서 인간의 육체적 조건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사지에 가해지는 중량과 관절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컴퓨터로 통제되는 무릎은 2004년 타임지 선정 건강 부문에서 발명품 TOP 10에 올랐다.[42] 인공 발목-발 보조기는 생물학적으로 다리의 움직임을 모방하였고 또한 최초로 정강이뼈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들이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걷게 해주었으며 타임지의 동일한 순위표에 2007년에 올랐다.[43]
5. 3. 주요 연구 분야
MIT에서 생물의학 기기 분야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할 당시, 그는 인간의 다리 기능에 필적하는 진보된 다리 보철물 및 정형외과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27] 현재 그는 MIT의 '미디어 예술과 과학 프로그램'(Program in Media Art and Sciences)과 하버드-MIT의 건강 과학 기술 부서에서 부교수직을 맡고 있다. MIT 미디어랩의 생체역학 연구팀의 수장으로서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증가시키는 착용 가능한 로봇 시스템을 발전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가 디자인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그를 위한 것이 아니며 그와 만나기 어려운 다른 이들을 위한 것이다.이 장비들은 생체역학과 신경 조절의 원리를 적용한 공학 과학의 떠오르는 분야를 이끌고 있다. 목표는 사지 절단이나 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일상 생활로 복귀시키며, 순수한 생리학의 학문적 관점에서 인간의 육체적 조건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휴 허는 재활 과학 분야에서 60개가 넘는 동료 평가 논문을 발행했으며, 레오 니(Rheo Knee)[30], 활동성 발목-발 보조기, 그리고 세계에서 최초로 충전식 발목-발 보조기구[31]와 관련된 10개 이상의 특허권(공동 소유 포함)을 가지고 있다. 레오 니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컴퓨터로 조종하는 인공 무릎이다.[32]
사지에 가해지는 중량과 관절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컴퓨터로 통제되는 무릎은 2004년 타임지 선정 건강 부문에서 발명품 top 10에 올랐다.[42] 인공 발목-발 보조기는 생물학적으로 다리의 움직임을 모방하였고 또한 최초로 정강이뼈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들이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걷게 해주었으며 타임지의 동일한 순위표에 2007년에 올랐다.[43]
그는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러닝 블레이드의 기계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여섯 대학 출신의 생체역학과 생리학 분야에서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의 멤버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양쪽 다리 절단 수술을 받은 트랙 선수인 오스카는 국제 육상경기 연맹(IAAF)으로부터 그의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가진다는 이유에서 장애인 경기에서 뛰는 것을 금지당했다.[36] 이 부분은 휴와 그의 동료 로져 크램에 의해 스위스의 라우센에서 2008년 5월 열린 CAS에서 발표되었고 이 금지를 뒤바꾸는 결과를 냈다. 오스카 피스토리우스가 올림픽에서 건장한 신체의 선수들과 경쟁할 자격을 갖춘 첫 번째 장애인 단거리 달리기 선수가 되었다.[37] 이 팀의 실험 결과물들은 '응용 생리학 저널'(Journal for Applied Physiology) 지에 2009년 1월 18일 실렸다.[38]
6. 혁신적인 보철 기술 개발
MIT에서 생물의학 기기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연구원으로 재직할 당시, 휴 허는 인간의 다리 기능에 필적하는 진보된 다리 보조 기구와 정형 수술에 관한 작업에 착수했다.[27] 그는 현재 MIT의 '미디어 예술과 과학 프로그램'과 하버드-MIT의 건강 과학 기술 부서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MIT 미디어랩의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연구팀의 수장으로서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착용 가능한 로봇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가 디자인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와 만나기 어려운 다른 이들을 위한 것이다.
휴 허는 재활 과학 분야에서 6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10개 이상의 특허(공동 소유 포함)를 보유하고 있다. 이 장비들은 바이오메카트로닉스와 신경 조절 원리를 적용한 공학의 새로운 분야를 이끌고 있다. 그의 목표는 사지 절단이나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일상 생활로 복귀시키고, 순수 생리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신체적 조건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휴 허는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러닝 블레이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6개 대학의 바이오메카닉 및 생리학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의 일원이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양쪽 다리 절단 육상 선수인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그의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으로부터 장애인 경기 출전이 금지되었다.[36] 휴 허와 그의 동료 로저 크램은 2008년 5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CAS(스포츠 중재 재판소)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여 금지 조치를 뒤집었다. 피스토리우스는 올림픽에서 비장애인 선수들과 경쟁할 자격을 얻은 최초의 장애인 단거리 달리기 선수가 되었다.[37] 이 팀의 연구 결과는 2009년 1월 18일 '응용 생리학 저널'에 게재되었다.[38]
휴 허의 이야기는 엘리슨 오시우스가 쓴 '두 번째 등정: 휴 허의 이야기'에 소개되었으며,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되었고, 2002년에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영화 '등정: 휴 허의 이야기'를 제작했다. 또한 휴 허는 2012년 3월 25일 CNN의 The Next List 코너에 출연했다.[39]
6. 1. 컴퓨터 제어 무릎 (Rheo Knee)
MIT에서 생체 의학 장치 분야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허는 인간 다리의 기능을 모방하는 장치인 진보된 다리 보철물 및 정형외과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27] 그는 컴퓨터 제어 인공 무릎인 Rheo Knee[30]로 상용화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관절의 위치와 사지에 가해지는 부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 무릎은 2004년 ''타임''지가 선정한 건강 분야 10대 발명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42]6. 2. 동력 발목-발 보철물 (BiOM)
휴 허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인공 무릎인 레오 니(Rheo Knee)[30], 활동성 발목-발 보조기, 그리고 세계 최초의 동력 발목-발 보철물[31]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32][33]컴퓨터 제어 무릎은 관절 위치와 사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있으며, 2004년 타임 지가 선정한 건강 분야 10대 발명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42] 로봇 발목-발 보철물은 생물학적 다리의 움직임을 모방하고 절단 환자에게 최초로 자연스러운 보행을 제공하며, 2007년 타임 지의 10대 발명품 목록에 포함되었다.[43]
6. 3. 기타 주요 발명품
MIT에서 생물의학 기기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휴 허는 인간 다리 기능을 모방하는 উন্নত 다리 보조 기구와 정형외과 수술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27] 그는 현재 MIT 미디어 아트 및 과학 프로그램과 하버드-MIT 건강 과학 기술 부서의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MIT 미디어랩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연구팀의 수장으로서, 인간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착용형 로봇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가 디자인하는 대부분의 장치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가 공감할 수 있는 어려움을 겪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휴 허는 재활 과학 분야에서 6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레오 니(Rheo Knee)[30], 활동성 발목-발 보조기, 세계 최초의 충전식 발목-발 보조기구[33] 등과 관련된 10개 이상의 특허(공동 소유 포함)를 보유하고 있다. 이 장비들은 바이오메카트로닉스와 신경 조절 원리를 적용한 공학의 새로운 분야를 이끌고 있다. 목표는 사지 절단이나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일상 생활로 복귀시키고, 순수 생리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신체적 조건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사지에 가해지는 무게와 관절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 컴퓨터 제어 무릎은 2004년 타임지 선정 건강 부문 10대 발명품에 선정되었다.[42] 생물학적 다리 움직임을 모방하고 절단 환자에게 최초로 자연스러운 보행을 제공하는 인공 발목-발 보조기는 2007년 타임지 선정 10대 발명품에 포함되었다.[43]
휴 허는 2007년 기술, 경제 및 고용 부문에서 하인즈 상을 수상했으며,[34] 2005년에는 유명 기계 부문 혁신 리더상을 수상했다.[35]
그는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러닝 블레이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6개 대학의 바이오메카닉 및 생리학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의 일원이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양쪽 다리 절단 육상 선수인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그의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으로부터 장애인 경기 출전이 금지되었다.[36] 휴 허와 그의 동료 로저 크램은 2008년 5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CAS(스포츠 중재 재판소)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여 금지 조치를 뒤집었다. 피스토리우스는 올림픽에서 비장애인 선수들과 경쟁할 자격을 얻은 최초의 장애인 단거리 달리기 선수가 되었다.[37] 이 팀의 연구 결과는 2009년 1월 18일 '응용 생리학 저널'(Journal for Applied Physiology)에 게재되었다.[38]
7. 오스카 피스토리우스 의족 논란
휴 허는 6개 대학의 생체역학 및 생리학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의 일원으로서,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런닝 블레이드 역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양측 다리 절단 육상 선수인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국제 육상경기 연맹(IAAF)에 의해 정상인 경기 출전이 금지되었는데, 이는 그의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제공한다는 이전 연구 결과 때문이었다.[36]
2008년 5월, 휴 허와 그의 동료 로저 크람은 스위스의 로잔에 있는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이 연구 결과의 일부를 제출했고, 이는 금지 조치를 뒤집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써 피스토리우스는 장애인 스프린트 선수로는 최초로 정상인 선수들과 경쟁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게 되었다.[37] 이 팀의 실험 결과는 2009년 6월 18일자 ''응용 생리학 저널''에 게재되었다.[13]
7. 1. 피스토리우스의 출전 자격 논란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양쪽 다리 절단 육상 선수이다. 국제 육상경기 연맹(IAAF)은 피스토리우스의 런닝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정상인 경기 출전을 금지했었다.[36]휴 허는 6개 대학의 생체역학 및 생리학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의 일원으로, 피스토리우스의 런닝 블레이드 역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2008년 5월, 허와 그의 동료 로저 크람은 스위스의 로잔에 있는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이 결과를 제출했고, 이는 IAAF의 금지 조치를 뒤집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써 피스토리우스는 장애인 스프린트 선수로는 최초로 정상인 선수들과 경쟁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게 되었다.[37] 이 팀의 실험 결과는 2009년 6월 18일자 ''응용 생리학 저널''에 게재되었다.[38]
7. 2. 휴 허의 연구와 반론
MIT에서 생물의학 기기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휴 허는 인간의 다리 기능에 필적하는 진보된 다리 보조기구와 정형 수술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27] 그는 현재 MIT의 '미디어 예술과 과학 프로그램'과 하버드-MIT의 건강 과학 기술 부서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MIT 미디어랩의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연구팀을 이끌며,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착용 가능한 로봇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휴 허는 재활 과학 분야에서 60개가 넘는 논문을 발표했으며, 다음과 같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바이오메카트로닉스와 신경 조절의 원리를 적용한 공학 분야를 이끌고 있다. 목표는 사지 절단이나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일상 생활로 복귀시키고, 인간의 육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컴퓨터로 제어되는 무릎은 2004년 타임지 선정 건강 부문 10대 발명품에 선정되었다.[42] 인공 발목-발 보조기는 다리 움직임을 모방하여 정강이뼈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들이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걷게 해주었으며, 2007년 타임지 10대 발명품에 선정되었다.[43]
휴 허는 2007년에 기술, 경제 및 고용 부문에서 하인즈 상을 수상했으며,[34] 2005년에는 유명 기계 부문 혁신 리더상을 수상했다.[35]
그는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러닝 블레이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6개 대학 출신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의 일원이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양쪽 다리 절단 수술을 받은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으로부터 장애인 경기 출전이 금지되었다.[36] 그러나 휴 허와 그의 동료 로져 크램은 2008년 5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이 금지 조치를 뒤집었다.[37] 그 결과, 피스토리우스는 올림픽에서 건장한 신체의 선수들과 경쟁할 자격을 갖춘 첫 번째 장애인 단거리 달리기 선수가 되었다.[12] 이 팀의 실험 결과는 '응용 생리학 저널'지에 2009년 1월 18일 실렸다.[38]
7. 3. 올림픽 출전 허용과 사회적 의미
오스카 피스토리우스의 런닝 블레이드 역학 연구는 6개 대학의 생체역학 및 생리학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팀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팀에는 휴 허도 포함되어 있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양측 다리 절단 육상 선수였던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이전 연구에서 그의 블레이드가 경쟁적 우위를 제공한다는 결과가 나옴에 따라 국제 육상경기 연맹(IAAF)에 의해 정상인 경기 출전이 금지되었다.[11]2008년 5월, 휴 허와 그의 동료 로저 크람은 스위스 로잔에 있는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이 결과의 일부를 제출하였고, 이는 IAAF의 금지 조치를 뒤집는 결과를 가져왔다.[12] 이로써 피스토리우스는 장애인 스프린트 선수로는 최초로 정상인 선수들과 경쟁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게 되었다.[12] 이 팀의 실험 결과는 2009년 6월 18일자 ''응용 생리학 저널''에 게재되었다.[13]
8. 수상 및 영예
- 다빈치 상 (2008)[40]
- 액션 매버릭 어워드 (2008)[41]
- 제13회 하인즈 상 기술, 경제 및 고용 부문 (2007)[34]
- 타임지 선정 10대 발명품 (2004, 2007)[42][43]
- 파퓰러 메카닉스 획기적인 리더십 상 (2005)[35]
- 사이언스 잡지 넥스트 웨이브: 2003년 최고의 인물
- 영 아메리칸 어워드 (1990)
- 미국 대학 학술팀 (1990)
-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89)
- 프로비던스 재활 의학 센터 및 브라운 대학교와 함께, 절단 장애인의 자연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생체 하이브리드" 사지 개발을 위해 미국 보훈부로부터 720만달러의 보조금 수여 (2004)
- ''R&D 매거진''의 2014년 올해의 혁신가[20]
- 스미소니언 매거진 미국적 창의성상 (2014) 기술 부문
- 아스투리아스 공주 기술 및 과학 연구상 (2016)[21]
9. 개인적인 삶
휴 허와 작가 패트리카 엘리스 허(Patrica Ellis Herr)는 두 딸 알렉산드라와 세이지를 두었다. 알렉산드라의 첫 하이킹 성공은 패트리카의 회고록 《위로: 엄마와 딸의 등반 모험(Up: A Mother and Daughter’s Peakbagging Adventure)》에 묘사되어 있다.
10. 저서
- 엘리슨 오시우스(Alison Osius) 저, Second Ascent: The Story of Hugh Herr영어, 두 번째 등정: 휴 허의 이야기한국어 (1991)
참조
[1]
뉴스
Best Foot Forward
http://www.bostonmag[...]
2016-12-31
[2]
서적
Second Ascent: The Story of Hugh Herr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3]
웹사이트
Ascent - The Story of Hugh Herr
https://www.youtube.[...]
YouTube
2016-12-31
[4]
잡지
The Biomechatronic Man
https://www.outsideo[...]
2017-09-06
[5]
뉴스
How MIT Media Lab is advancing human physicality, cognition, and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bionic augmentation
https://www.techrepu[...]
2018-10-18
[6]
웹사이트
K. Lisa Yang Center for Bionics
https://mcgovern.mit[...]
2021-12-10
[7]
뉴스
Hugh Herr Wants to Build a More Perfect Human
http://www.strategy-[...]
2016-12-31
[8]
웹사이트
New Robotic Knee
http://www.sciencent[...]
Science Central
2005-02-12
[9]
뉴스
Bionic Knee 'Learns' How to Walk
https://www.wsj.com/[...]
2004-07-06
[10]
뉴스
Biomedicine The World's First Powered Ankle
https://www.technolo[...]
2007-05-11
[11]
웹사이트
Study Revives Olympic Prospects for Amputee Sprinter
https://www.media.mi[...]
MIT Media Lab
2008-05-15
[12]
뉴스
Amputee Gets a Shot at the Olympics
https://www.technolo[...]
2008-05-21
[13]
간행물
The fastest runner on artificial legs: different limbs, similar function?
http://jap.physiolog[...]
2009-06-18
[14]
잡지
Smooth Operator - The Best Inventions Of 2004
https://content.time[...]
2011-09-19
[15]
뉴스
2005 Popular Mechanics Breakthrough Awards
http://www.popularme[...]
2005-09-28
[16]
웹사이트
Hugh Herr
http://www.heinzawar[...]
The Heinz Awards
[17]
잡지
Joint Venture - The Best Inventions Of 2007
https://content.time[...]
2007-11-01
[18]
웹사이트
Action Maverick
http://streb.org/act[...]
STREB
[19]
뉴스
Spirit Of Da Vinci Award Goes To MIT Bio-Mechantron Professor - Amputee Designing The Next Generation Of Prostheses
http://www.medicalne[...]
2008-09-12
[20]
뉴스
R&D Magazine Announces Scientist and Innovator of the Year Award Winners
http://www.rdmag.com[...]
2014-08-12
[21]
웹사이트
Princess of Asturias Award for Technical & Scientific Research 2016 - Hugh Herr
http://www.fpa.es/en[...]
The Princess of Asturias Foundation
2016-01-01
[22]
웹사이트
Vandals, Shawangunks
http://www.patagonia[...]
Patagonia, Inc
2009-03-01
[23]
서적
Rock Climbing New England
Falcon Books
[24]
웹사이트
A Walk in the Park
http://www.climbingw[...]
ClimbingWashington.com
[25]
뉴스
Only strong climbers need apply themselves to the daunting granite of Index
http://www.seattlepi[...]
Seattle PI.com
2005-04-14
[26]
웹사이트
Augmented: Nova PBS episode featuring Hugh Herr
https://www.media.mi[...]
mit.edu
2022-02-23
[27]
웹인용
Magazine article, "Best Foot Forward," February 2009
http://www.bostonmag[...]
2016-01-01
[28]
서적
Second Ascent: The Story of Hugh Herr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29]
Youtube
Ascent: The Story of Hugh Herr
https://www.youtube.[...]
National Geographic Channel
[30]
뉴스
Bionic Knee Learns How to Walk
http://online.wsj.co[...]
Wall Street Journal
2004-07-06
[31]
잡지
The World's First Powered Ankle
http://www.technolog[...]
Technology Review
2007-05-11
[32]
웹인용
Science Central
http://www.sciencent[...]
2016-01-01
[33]
웹사이트
http://www.freepaten[...]
[34]
웹사이트
13th Heinz Award in Technology, the Economy and Employment
http://www.heinzawar[...]
[35]
웹인용
Popular Mechanics
http://www.popularme[...]
2016-01-01
[36]
뉴스
Study Revives Olympic Prospects for Amputee Sprinter
http://www.media.mit[...]
MIT Media Lab
2008-05-15
[37]
뉴스
Amputee Gets a Shot at the Olympics
http://www.technolog[...]
Technology Review
2008-05-21
[38]
간행물
The fastest runner on artificial legs: different limbs, similar function?
http://jap.physiolo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9-06-18
[39]
뉴스
Coming up on 'The Next List': Hugh Herr, Bionic man
https://web.archive.[...]
CNN.com
2012-03-20
[40]
웹인용
Medical News Today
https://web.archive.[...]
[41]
웹인용
Action Maverick Award
https://web.archive.[...]
[42]
뉴스
The Best Inventions Of 2004
http://content.time.[...]
Time
2011-09-19
[43]
뉴스
The Best Inventions Of 2007
https://web.archive.[...]
Time
2007-11-01
[44]
웹사이트
Vandals, Shawangunks
http://www.patagonia[...]
Patagonia, Inc
2009-03-01 # Spring 2009를 3월로 가정
[45]
서적
Rock Climbing New England
https://archive.org/[...]
Falcon Books
[46]
웹사이트
A Walk in the Park
https://web.archive.[...]
2000
[47]
뉴스
Only strong climbers need apply themselves to the daunting granite of Index
http://www.seattlepi[...]
Seattle PI.com
2005-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