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는 2011년 IBK 기업은행의 협찬으로 제작된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일반인 18명의 도전자들이 하와이에서 신체적, 지적, 사회적 미션을 수행하며 경쟁한다. 팀전과 개인전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우승자에게는 상금 1억원과 부상, 기업 취업 기회가 주어졌다. 최종회는 시청자 투표와 탈락자 투표를 합산하여 우승자를 결정했으며, 김호진이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 201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무사 백동수
    《무사 백동수》는 조선 최고의 검객 백동수와 숙적 여운이 정치적 음모와 암투 속에서 활약하며 우정, 의리, 충성심 등을 다룬 2011년 SBS 드라마이다.
  • 201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사랑하길 잘했어
    사랑하길 잘했어는 최태호, 이상구 두 집안과 그 외 인물들을 중심으로 김진태, 박혜숙, 최주봉, 서권순 등의 배우들이 출연하여 극을 이끌어가는 드라마이다.
  • 201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SNL 코리아
    SNL 코리아는 미국의 심야 코미디 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한국판으로, tvN에서 시작해 쿠팡플레이에서 리부트되어 정치, 사회, 문화를 풍자하는 코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크루들의 활약과 정치 풍자로 화제를 모으고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201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
    제공된 정보가 없어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 섹션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 로고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 로고
장르연예, 서바이벌
방송 시간매주 금요일 오후 11시 5분
방송 분량70분
방송 기간2011년 6월 24일 ~ 2011년 10월 7일
방송 횟수16부작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 채널KBS 2TV
제작진
기획강봉규 (KBS 예능본부)
책임 프로듀서전진학 (KBS 예능운영팀)
프로듀서박형근
각본김기륜, 박미경, 강은진, 신민경, 최성욱, 김운숙, 송여민
출연진
진행정진영
도전자18명의 도전자
음향
음향 (수도권, 아날로그)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음향 (수도권, 디지털)2채널 돌비 디지털
음향 (비 수도권, 아날로그)1채널 모노 사운드 (스테레오 사운드를 모노로 다운믹스)
음향 (비 수도권, 디지털)2채널 돌비 디지털
자막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방송
외부 링크
공식 홈페이지KBS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 홈페이지
기타
시청 등급[[파일:Republic_Of_Korea_Broadcasting-TV_Rating_System(15).svg|20px|15세 이상 시청가]] [[파일:Republic_Of_Korea_Broadcasting-TV_Rating_System(12).svg|20px|12세 이상 시청가]]¹
비고¹1 ~ 2회는 12세 이상 시청가로 방송되었다.

2. 프로그램 구성

하와이에서 2011년 5월 20일부터 20일 간 진행된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11회까지는 블루팀과 레드팀 간의 팀 대항전, 12~15회는 개인전으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신체적, 지적, 사회적 미션 게임을 수행했으며, 필요한 능력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엔잡인재진단연구소에서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시했다. 오전과 오후 하루 두 번 미션 게임을 진행했고, 미션에서 패배한 팀에서 탈락 후보자가 나왔다. 9회까지는 탈락자선정위원회에서 4명 중 3명을 구제하는 방식이었으나, 10회부터는 다수결로 탈락자를 결정했다. 총 16회 방송 중 15회는 사전 제작, 마지막 16회는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최종 우승자에게는 1억의 상금, 세계일주 항공권, 협찬 기업 취업 기회가 제공되었다.[1]


  • 협찬 기업: IBK 기업은행[1]
  • 의상 협찬: BLACK YAK[1]

2. 1. 진행 방식

일반인 남녀 지원자 중 공개 모집을 통해 18명의 후보를 사전에 선정하여, 하와이에서 2011년 5월 20일부터 20일 간 촬영을 진행했다. 초반 11회까지는 블루팀과 레드팀으로 나뉘어 팀 대항전을, 12~15회는 개인전으로 신체적, 지적, 사회적 미션 게임을 진행했다. 미션 게임에 필요한 능력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엔잡인재진단연구소에서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시했다. 오전과 오후, 하루 두 번 미션 게임을 진행했으며, 미션에서 패배한 팀에서 탈락 후보자가 나왔다. 9회까지는 탈락자선정위원회에서 후보 4명 중 3명을 구제하고, 남은 1명이 탈락하는 방식이었으나, 10회부터는 동반 탈락 후보자 제도가 폐지되고 탈락자선정위원회에서 다수결로 탈락자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하와이에서 촬영한 15회 분량은 사전 제작되었고, 마지막 16회는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최종 우승자에게는 1억의 우승 상금과 세계일주 항공권, 스폰서 기업 취업 기회가 주어졌다.

3. 참가자

회차팀 재구성 방식레드팀블루팀
1남자 도전자 중 가장 나이 많은 김영필과 가장 나이 어린 박주현이 여자 도전자 중 1명씩 선택하고, 선택된 여자 도전자는 남은 남자 도전자 중 1명을 선택하는 릴레이 방식[1]김영필 → 김이슬 → 허홍 → 구자영 → 노승혁 → 윤나영 → 김호진 → 현해리 → 서민수박주현 → 김지원 → 김성경 → 임미정 → 최창엽 → 황의영 → 방창석 → 박미소 → 김현진
6각 팀 대표는 자신과 다른 팀원 중 한 명을 뽑고, 뽑힌 팀원은 다시 자신과 다른 팀원 중 한 명을 뽑는 방식[1]김호진 → 방창석 → 허홍 → 박미소 → 서민수 → 김지원, 구자영(본인 선택)김성경 → 윤나영 → 임미정 → 노승혁 → 박주현 → 최창엽
106회 팀 재구성 방식과 동일[1]김지원 → 김성경 → 김호진 → 박주현임미정 → 허홍 → 노승혁 → 서민수, 최창엽(본인 선택)


  • 대국민 문자 투표: 후보 번호 또는 이름 + #1080 (정보 이용료 100원 + 전송료와 부가세 별도)[1]
  • * 방송 종료 후 3시간까지만 투표 가능
  • * 최종 우승 자격이 있는 도전자에게만 투표 가능
  • * 매회 투표 결과 누적, 마지막 회까지 남은 도전자들에게만 합산·반영 (탈락자 투표 불가)
  • 특별 출연[1]
  • * 3회: 박훈 부장(하와이 가이드), 임준석 과장(하와이 가이드), 신혼부부들
  • * 10회: 오후 미션 특별 심사위원 - 정윤희(한인방송국 사장), 강기엽(하와이 한인회장), 이혜련(하와이 주립대 교수)
  • * 11회: 오후 미션 심사위원 - 이병원(하와이 주립대학교 민족음악학 교수)
  • * 13회: 오후 미션 - 하와이 퍼시픽 대학의 치어리더팀
  • * 15회: 오후 미션 심사위원 - 김장현(하와이 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탈락자선정위원회 심사위원[1]
  • * 강지원 변호사(청소년 보호위원회 초대위원장) (심사위원장)
  • * 조벽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 * 하와이 현지인
  • ** 태미 쿠보(하와이 지역문화재단 이사회 자문위원, 1회)
  • ** 도노반(하와이주 상원의원, 2회)
  • ** 리사 쿠보타(한국계 미국인/하와이 뉴스 나우 앵커, 3~5회)
  • ** 이사 바(하와이 유명 방송인, 6~7회)
  • ** 도나 킴(하와이주 의회 상원부의장, 8/10회)
  • ** 미쉘 카울루 아매럴(하와이 훌라춤 명인, 9회)
  • ** 에드워드 슐츠(하와이 주립대 부총장/동양학과 학장, 12~15회)
  • * 김홍신 (前 국회의원/건국대학교 석좌교수/소설가, 11~14회)

3. 1. MC (진행자)

정진영

3. 2. 성우

김영찬[1]

3. 3. 도전자 담당 주치의

자생한방병원 한의사 윤현석이 도전자 담당 주치의를 맡았다.[1]

3. 4. 18인의 도전자

이름나이학력 및 경력
구자영24세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4학년, 중국학 전문교수 지망
김성경30세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4학년, 폭주족 출신 서울대생
김영필41세서울 서초경찰서 경감, 경찰특공대 출신
김이슬26세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과정, 브랜드 업계 CEO 지망생
김지원25세광주대학교 레저스포츠과 졸업, 미스춘향대회 출신, 쇼핑몰 창업 준비중
김현진33세(주)레인디 대표,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졸업, 사업 15년차의 젊은 CEO
김호진35세주한미군 생존교관(주한미군 한국군 지원단 작전처 오퍼레이션 스페셜리스트), 특전사 출신,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졸업
노승혁24세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휴학, 국가대표 미식축구선수
박미소25세미국 시카고 아트 컬리지 휴학, 2010년 미스코리아 서울 미
박주현23세디지털 서울문화예술대 실용음악과 휴학, 래퍼
방창석31세익스트림 스포츠팀 팀장, 부천대학 관광정보과 졸업, 특전사 출신
서민수28세여수시 무림체육관 특공무솔 지도사범, 여수공업고등학교 졸업
윤나영31세대전 동부소방서 119 안전센터, 충남대학교 법학과 졸업, 국내 여성 최초 미국 화재폭발조사관
임미정37세주부, 前 보디빌딩 국가대표,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과 졸업
최창엽23세영화감독 지망생,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2학년
허홍25세미국 유타대학교 방문학생,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휴학, 해군 특수전여단(UDT) 출신
현해리22세화가 지망생, 서울대학교 동양화과 3학년
황의영22세수원 천천고등학교 졸업, 대입 준비중


3. 5. 팀 구성

팀은 릴레이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남자 도전자 중 가장 나이가 많은 김영필과 가장 어린 박주현이 여자 도전자 중 1명씩 선택하고, 선택된 여자 도전자는 남은 남자 도전자 중 1명을 선택하는 방식이었다.[1]

구성원
레드팀김영필 → 김이슬 → 허홍 → 구자영 → 노승혁 → 윤나영 → 김호진 → 현해리 → 서민수
블루팀박주현 → 김지원 → 김성경 → 임미정 → 최창엽 → 황의영 → 방창석 → 박미소 → 김현진



6회에서 빅 아일랜드 생존을 위해 팀을 재구성했다. 각 팀 대표는 자신과 다른 팀원 중 한 명을 뽑고, 뽑힌 팀원은 다시 자신과 다른 팀원 중 한 명을 뽑는 방식이었다.[1]

구성원
레드팀김호진 → 방창석 → 허홍 → 박미소 → 서민수 → 김지원, 구자영(본인 선택)
블루팀김성경 → 윤나영 → 임미정 → 노승혁 → 박주현 → 최창엽



10회에서 오아후 섬 생존을 위해 팀을 다시 재구성했다. 6회 팀 재구성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1]

구성원
레드팀김지원 → 김성경 → 김호진 → 박주현
블루팀임미정 → 허홍 → 노승혁 → 서민수, 최창엽(본인 선택)


4. 에피소드 및 미션

Human Survival Challenger영어는 일반인 남녀 지원자 중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된 18명이 하와이에서 20일 동안 신체적, 지적, 사회적 미션 게임을 펼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2011년 5월 20일부터 11회까지는 블루팀과 레드팀의 팀전으로, 12~15회는 개인전으로 진행되었다. 미션 게임에 필요한 능력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엔잡인재진단연구소에서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오전/오후 두 번 미션 게임을 진행, 미션에서 진 팀에서 탈락 후보자가 나왔다. 9회까지는 탈락자선정위원회에서 4명 중 3명을 구제, 탈락자 1명을 선정했고, 10회부터는 동반탈락후보자 제도가 폐지, 위원회 다수결로 탈락자를 결정하였다. 총 16회 방송 중 하와이 촬영분 15회는 사전 제작, 마지막 16회는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최종 우승자는 우승 상금 1억 원, 세계일주 항공권, IBK 기업은행 취업 기회를 얻었다. 의상은 BLACK YAK에서 협찬했다.

4. 1. 에피소드 목록

회차방영 날짜부제주요 내용비고
12002년 4월 7일18인의 도전자, 도전의 땅에 첫 발을 내딛다.좁은 탑 위에 전원 올라서기 (레드팀 승), 한국 전통음료 활용 무알콜 칵테일 개발 및 판매 (블루팀 승)쿠알로아 랜치, 시크릿 아일랜드, 와이키키 해변
22002년 4월 14일서서히 드러나는 음모와 배신세계 최대의 미로 탈출 (블루팀 승), 몸싸움 캐치볼 (레드팀 승)돌 플랜테이션, 와이키키 해변, T레스토랑, 듀크 카하나모쿠 라군
32002년 4월 21일형제에서 칼을 품은 적으로수상전차 꼬리잡기 (블루팀 승), 하와이 투어가이드 되기 (블루팀 승)와이키키 해변, 토마스 스퀘어, 주정부청사, 이올라니 궁전, 킹 키메하메하 동상, 반얀트리
42002년 4월 28일두 얼굴의 여자 숨겨진 발톱을 드러내다릴레이 깃발잡기 (레드팀 승), 글로벌 프렌즈 (블루팀 승)와이키키 해변
52002년 5월 5일타협과 소신, 그 잔인한 아이러니수중 모래주머니 가져와 단어 완성하기 (레드팀 승), 하와이 특산품 사오기 (블루팀 승)시크릿 아일랜드, 호놀룰루
62002년 5월 12일새로운 시작, 그리고 사생결단의 혈투수상 머드 레슬링 (블루팀 승), 미술품 찾아서 사진 찍어오기 (블루팀 승)빅 아일랜드
72002년 5월 19일배후의 조종자, 드디어 모습을 드러내다투명 원통수조에 물 채우기 (블루팀 승), 티키목상 찾아오기 (블루팀 승)돌핀 퀘스트, 빅 아일랜드
82002년 5월 26일벼랑 끝에 선 자들, 승리를 향한 그 처절한 목마름부표 탑 위에 올라서기 (레드팀 승), 불창 던지고 퀴즈 맞히기 (레드팀 승)화산지형 헬기투어, 킬라우에아 화산
92002년 6월 2일같은 하늘 아래 두 개의 태양은 없다큐브 쌓기 (블루팀 승), 사진 속 인물 찾기 (블루팀 승)빅 아일랜드 코나
102002년 6월 9일상처입은 호랑이와 사냥감을 노리는 수사자의 만남수중 사칙연산 (레드팀 승), 한인문화회관 건립기금 마련을 위한 홍보영상 만들기 (블루팀 승)오아후 섬, 매직 아일랜드, 하와이한인이민사, 하와이 컨벤션 센터
112002년 6월 16일아직 끝나지 않은 믿음과 배신의 이중주큐브 퍼즐 맞추고 상대편 떨어트리기 (레드팀 승), 한국 노래 가르치기 (레드팀 승)와이키키 해변, 하와이 주립 대학교 마노아 캠퍼스, 하와이 주립 대학교 한국학센터
122002년 6월 23일새로운 운명에 맞서는 7명의 도전자철봉에 매달리기 (허홍 승), 철인 러닝 퀴즈 (임미정 탈락후보)와이키키 해변, 쿠알로아 랜치, 하와이 컨벤션 센터
132002년 6월 30일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는 냉혹한 서바이벌의 시작파트너 정해서 부표 뒤집기 (임미정, 허홍, 김호진 승), 가짜 치어리더 찾기 (김성경, 김호진, 김지원 승)하와이주립대학교 마노이캠퍼스 실내체육관
142002년 7월 7일운명의 라이벌 벼랑 끝에서 만나다서핑 보드 위에서 버티기 (김성경 승), 사진 속 인물 찾기 (허홍 탈락후보)와이키키 해변과 인접한 호놀룰루 시내
152002년 7월 14일도전자들의 마지막 승부, 그리고 최후의 3인경사 위에서 줄잡고 오래 버티기 (김호진 승), 하와이 한인 성공신화 인터뷰 (김성경 탈락후보)폴리네시안 문화센터


4. 2. 미션 상세

회차미션 내용
1좁은 탑 위에 전원 올라서기 (레드팀 승)
1한국의 전통음료를 활용한 무알콜 칵테일을 개발해 판매하라 (블루팀 승)
2세계 최대의 미로를 탈출하라 (블루팀 승)
2몸싸움 캐치볼 (레드팀 승)
3수상전차 꼬리잡기 (블루팀 승)
3하와이 투어가이드 되기 (블루팀 승)
4릴레이 깃발잡기 (레드팀 승)
4글로벌 프렌즈 (블루팀 승)
5수중 모래주머니 가져와 단어 완성하기 (레드팀 승)
5하와이 특산품 사오기(이카이카 헬멧, 티키 목각인형, 코코넛 비키니, 쿠쿠이 목걸이, 우쿨렐레) (블루팀 승)
6수상 머드 레슬링 (블루팀 승)
6미술품 찾아서 사진 찍어오기(중국 조각상, 방패, 원숭이 조각상) (블루팀 승)
7투명 원통수조에 물 채우기 (블루팀 승)
7티키목상 찾아오기 (블루팀 승)
8부표 탑 위에 올라서기 (레드팀 승)
8불창 던지고 퀴즈 맞히기 (레드팀 승)
9큐브 쌓기 (블루팀 승)
9사진 속 인물 찾기 - 미션 3개 수행(3명이 수영복 입고 공 안으로 들어가는 워터 슬라이드, 카누 타고 반환점 돌아오기, 포케 먹기) (블루팀 승)
10수중 사칙연산 (레드팀 승)
10한인문화회관 건립기금 마련을 위한 홍보영상 만들기 - 승리팀 동영상은 하와이 한인회 홈페이지에 게시 (블루팀 승)
11큐브 퍼즐 맞추고 상대편 떨어트리기 (레드팀 승)
11한국 노래 가르치기 - 레드팀(꿍따리 샤바라), 블루팀(거위의 꿈) (레드팀 승)
12철봉에 매달리기 (허홍 승)
12철인 러닝 퀴즈 (임미정 탈락후보)
13파트너 정해서 부표 뒤집기 (임미정, 허홍, 김호진 승)
13가짜 치어리더 찾기 (김성경, 김호진, 김지원 승)
14서핑 보드 위에서 버티기 (김성경 승)
14사진 속 인물 찾기 (허홍 탈락후보)
15경사 위에서 줄잡고 오래 버티기 (김호진 승)
15하와이 한인 성공신화 인터뷰 (한인문화회관 건립기금 기부금 모금) (김성경 탈락후보)


5. 탈락자 선정 및 결과

{

회차주요 내용
10회동반 탈락 후보자 제도가 폐지되고, 탈락자 선정 위원회에서 다수결로 구제 방법을 변경하였다.[1]
12회탈락자 선정 위원회 심사위원이 1명 추가되었다.
13회6명의 도전자가 3개 조로 나뉘어 1:1 대결을 펼쳤다. 대결에서 승리한 3명은 투표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패자 3명을 대상으로 탈락 후보 투표가 진행되었다. 또한, 가짜 치어리더 찾기 미션에서 정답에 가장 가까운 숫자를 적은 도전자가 투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4회서핑 보드 위에서 버티기 미션 우승자가 탈락 투표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사진 속 인물 찾기 미션에서 최종 목적지에 가장 늦게 도착한 도전자가 탈락 후보가 되었다.
15회심사위원 김홍신이 한국 강연 일정으로 인해 탈락자 선정 위원회에 불참하였다. 경사 위에서 줄 잡고 오래 버티기 미션 우승자는 탈락 투표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하와이 한인 성공 신화 인터뷰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도전자가 탈락 후보가 되었다.


5. 1. 탈락자 선정 방식

{

회차내용
10회동반 탈락 후보자 제도 폐지, 탈락자 선정 위원회 구제 방법 다수결로 변경[1]
12회탈락자 선정 위원회 심사위원 1명 추가
13회6명이 3조로 나뉘어 1:1 대결, 승자 3명은 투표 대상에서 제외, 패자 3명을 대상으로 탈락 후보 투표 진행
13회가짜 치어리더 찾기 미션에서 정답(0명)에 가장 적은 숫자를 적은 사람이 승자가 되어 투표 대상에서 제외
14회서핑 보드 위에서 버티기 미션 우승자는 탈락 투표 대상에서 제외, 사진 속 인물 찾기 미션에서 최종 목적지에 가장 늦게 도착한 사람이 투표 없이 탈락 후보
15회심사위원 김홍신이 한국 강연 일정 관계로 탈락자 선정 위원회에 불참
15회경사 위에서 줄 잡고 오래 버티기 미션 우승자는 탈락 투표 대상에서 제외, 하와이 한인 성공 신화 인터뷰에서 50점 만점에서 점수가 가장 낮은 사람이 투표 없이 바로 탈락 후보


5. 2. 탈락자 명단

팀전
회차방송일탈락 후보자(블루)탈락 후보자(레드)최종 탈락자
12011년 6월 24일황의영 → 김성경서민수 → 김이슬황의영
22011년 7월 1일방창석 → 김현진윤나영 → 김이슬김현진
32011년 7월 8일없음김이슬 → 김영필, 김호진 → 허홍김이슬
42011년 7월 15일최창엽 → 박미소윤나영 → 김영필김영필
52011년 7월 22일임미정 → 방창석현해리 → 구자영현해리
62011년 7월 29일없음박미소 → 김지원, 방창석 → 김호진방창석
72011년 8월 5일없음김지원 → 구자영, 김호진 → 서민수구자영
82011년 8월 12일박주현 → 노승혁, 윤나영 → 최창엽없음윤나영
92011년 8월 19일없음김호진 → 박미소, 김지원 → 허홍박미소
102011년 8월 26일노승혁 (0)김성경 (3)노승혁
112011년 9월 2일최창엽 (0), 임미정 (3)없음최창엽
개인전
회차방송일탈락 후보자최종 탈락자
122011년 9월 9일서민수 (1), 임미정 (3)서민수
132011년 9월 16일박주현 (0), 임미정 (4)박주현
142011년 9월 23일김호진 (3), 허홍 (1)허홍
152011년 9월 30일김지원 (2), 김성경 (1)김성경


5. 3. 최종 결과

최종 우승자총 득표수동료 도전자 득표수시청자 득표수비고
김호진34,087표1,312표32,775표최종 우승
김지원19,680표2,243표17,437표
임미정17,285표509표16,776표


  • 김호진은 최종 우승을 차지하여 상금 1억원, 세계일주 항공권, IBK기업은행 특별채용증서, 하와이 왕복 비즈니스 항공권과 숙박권을 받았다.[1]
  • 시상:
  • * 1억+세계일주항공권: 길환영 (KBS 부사장)
  • * IBK기업은행 특별채용증서: 권선주 (IBK기업은행 부행장)

6. 방송 이후


  • 우승자 김호진은 고민 끝에 현재 직장을 그만두고, IBK기업은행에 입사하기로 결정했다.
  • 2위이자 여성 도전자 중 최다 득표자인 김지원은 2011년 11월부터 연예가 중계 리포터로 발탁되었다.
  • 11회 탈락자인 최창엽은 이후 배우로 데뷔했으나 마약 사건으로 인해 은퇴했다.[1]

7. 시청률

TNmS와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에서 제공한 시청률 정보는 다음과 같다.

TNmS
회차방송일전국 시청률(증감치)
12011년 6월 24일6.2%
22011년 7월 1일5.3%(-0.9)
32011년 7월 8일4.6%(-0.7)
42011년 7월 15일5.5%(+0.9)
52011년 7월 22일5.4%(-0.1)
62011년 7월 29일5.5%(+0.1)
72011년 8월 5일6.0%(+0.5)
82011년 8월 12일5.9%(-0.1)
92011년 8월 19일4.2%(-1.7)
102011년 8월 26일4.1%(-0.1)
112011년 9월 2일4.6%(+0.5)
122011년 9월 9일5.2%(+0.6)
132011년 9월 16일4.2%(-1.0)
142011년 9월 23일4.6%(+0.4)
152011년 9월 30일3.9%(-0.7)
162011년 10월 7일3.8%(-0.1)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
회차방송일전국 시청률 (증감치)
12011년 6월 24일5.6%
22011년 7월 1일5.0%(-0.6)
32011년 7월 8일4.7%(-0.3)
42011년 7월 15일5.3%(+0.6)
52011년 7월 22일5.0%(-0.3)
62011년 7월 29일4.6%(-0.4)
72011년 8월 5일5.9%(+1.3)
82011년 8월 12일5.9%(0)
92011년 8월 19일4.3%(-1.6)
102011년 8월 26일4.3%(0)
112011년 9월 2일4.4%(+0.1)
122011년 9월 9일5.6%(+1.2)
132011년 9월 16일4.5%(-1.1)
142011년 9월 23일5.2%(+0.7)
152011년 9월 30일5.1%(-0.1)
162011년 10월 7일4.8%(-0.3)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