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희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희대학교는 1949년 신흥초급대학으로 설립되어, 현재 서울캠퍼스, 국제캠퍼스, 광릉캠퍼스, 홍릉캠퍼스를 운영하는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1950년대 신흥대학으로 승격, 1960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문화세계의 창조'를 교육 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1993년 유네스코 평화교육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주요 부속 기관으로는 중앙도서관, 박물관, 의료원 등이 있으며,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주요 동문으로는 문재인 전 대통령, 김정숙 여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학교 - 경은학교
    경은학교는 2008년 3월 1일 별내초등학교 부지에 개교하여 여러 교장을 거쳐 운영되고 있다.
  • 남양주시의 학교 - 경복대학교
    경복대학교는 1991년 개교하여 2011년 교명을 변경한 사립 전문대학으로, 경기도 포천시와 남양주시에 캠퍼스를 두고 취업 보장형 학과를 운영한다.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는 1947년 서울에 설립되어 1984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수원과 서울에 캠퍼스를 운영하는 사립 대학이다.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는 1906년 순헌황귀비의 후원으로 설립되어 명신여학교에서 시작,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숙명여자전문학교를 거쳐 1948년 대학교로 승격, 1955년 종합대학교로 발전하였으며, 격변기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여 제2창학 선언, 여성 학군단 설립, 공과대학 신설 등의 성과를 이루며 리더십 함양 교육과 문화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대학교이다.
  • 서울 동대문구의 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특별시의 공립 종합대학교인 서울시립대학교는 경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서 도시 관련 학문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서울특별시의 지원으로 낮은 등록금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유지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반값 등록금을 시행하였다.
  • 서울 동대문구의 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경희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대학 이름경희대학교
로마자 표기Gyeonghui Daehakgyo
한자 표기慶熙大學校
영문 표기Kyung Hee University
모토학원의 민주화, 사상의 민주화, 생활의 민주화
모토 (영어)Democratization of school, democratization of thought, democratization of living
설립일1949년 (신흥무관학교에서 시작)
학교 종류사립 종합대학교
총장한균태
교직원 수1,407명 (교원), 594명 (행정직원) (2020년)
학생 수33,373명 (2020년)
학부생 수25,875명 (2018년)
대학원생 수7,498명 (2020년)
캠퍼스 위치서울특별시수원시
캠퍼스 유형도시
사용 언어한국어 및 영어
학교 색상진홍색
마스코트웃는 사자
소속아시아 자유 인문 대학 연합
웹사이트한국어
영어
캠퍼스 정보
캠퍼스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국제캠퍼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광릉캠퍼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195)
조직
대학문과대학
법과대학
정경대학
경영대학
호텔관광대학
이과대학
생활과학대학
의과대학
한의과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간호과학대학
음악대학
미술대학
교양대학
자율전공학과
공과대학
전자정보대학
응용과학대학
생명과학대학
외국어대학
예술·디자인대학
체육대학
학부대학
대학원일반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언론정보대학원
체육대학원
테크노경영대학원
국제법무대학원
국제대학원
동서의학대학원
건축대학원
평화복지대학원
관광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
NGO대학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생명공학원
기타
상징목련, 사자

2. 역사

경희궁(慶熙宮)


경희대학교의 역사는 1911년 만주 신흥무관학교의 정신을 계승하여 1947년 이시영이 설립한 '''신흥전문학원'''에서 시작되었다. 한국 전쟁 중 재정난을 겪었으나, 1951년 5월 18일 (현 개교기념일) 조영식이 인수하여 발전을 거듭했다. 1952년 4년제 '''신흥대학'''으로 승격했고, 1955년 종합대학 인가를 받아 현재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캠퍼스로 이전했다.

1960년, 조선 후기 문예 부흥의 상징인 경희궁의 이름을 따 '''경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며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 이후 동양의과대학 통합(1965), 경희의료원 개원(1971), 국제캠퍼스(1979) 및 광릉캠퍼스(1984) 설립 등을 통해 규모를 확장했다.

국제적으로는 1968년 국제대학교총장협회(IAUP) 회의 개최,[11] 1981년 UN 세계 평화의 날 제정 제안,[12] 1993년 유네스코 평화교육상 수상[17][18] 등의 활동을 통해 국제 사회에 기여해왔다.

경희대학교는 '문화세계의 창조'를 건학 이념으로, '학원의 민주화, 사상의 민주화, 생활의 민주화'를 교훈으로 삼고 있다. 교표는 유엔 정신을 상징하는 올리브 나무와 세계지도 위에 '대학(大學)' 문자를 결합한 형태이며, 교화는 목련, 상징 동물은 '웃는 사자'이다.

2. 1. 설립 초기 (1947~1960)

신흥대학(新興大學) 터


경희대학교의 역사는 신흥무관학교의 정신을 계승하는 데서 시작된다. 신민회 회원이었던 이시영 등은 1911년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를 세워 독립운동 인재를 양성했으나, 1920년 일제의 탄압으로 문을 닫았다. 해방 후, 이시영은 1947년 2월 재단법인 성재학원을 설립하고,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현재 조계사 뒤편)에 '''신흥전문학원'''을 세웠다. 이는 경희대학교의 직접적인 전신이 된다.[5]

1949년, 당시 경영난을 겪던 배영대학관과 신흥전문학원은 통합하여 2년제 '''신흥초급대학'''으로 가인가를 받았다. 하지만 재정적 어려움과 사기 사건 등으로 학교 운영은 더욱 힘들어졌다. 결국 1951년 5월 18일, 서울대학교 출신 교육자이자 당시 서울고등학교 교사였던 조영식이 이시영의 간청에 따라 1,500만 원의 부채를 떠안고 재단법인 성재학원을 인수하게 되었다. 이 날은 현재 경희대학교의 개교기념일로 지정되어 있으며, 학교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조영식은 학교를 인수한 후 발전을 거듭했다. 1952년 2월 3일, 영어과, 중국어과, 법정과, 체육과 4개 학과를 갖춘 '''신흥초급대학'''으로 정식 설립 인가를 받았고, 같은 해 12월 9일에는 4년제 '''신흥대학'''으로 승격했다. 이어 1954년에는 대학원 설치 인가를 받았으며, 1955년에는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여 '''신흥대학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55년, 학교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캠퍼스로 이전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했다. 같은 해, '문화세계의 창조'라는 글귀를 새긴 교시탑을 세웠고, 1956년에는 현재 본관으로 사용되는 석조 건물을 준공했다. 이 석조 본관은 조영식이 직접 설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0년, 대학의 이름으로는 흔하게 사용되어 세련된 느낌을 주지 못했던 '신흥'이라는 교명을 '''경희대학교'''로 변경했다. 새 교명 '경희(慶熙)'는 조선 후기 문예 부흥기를 이끌었던 영조정조 시대의 궁궐인 경희궁(慶熙宮)에서 따온 것이다. 조영식은 한국 전쟁으로 폐허가 된 땅에 문화적 르네상스를 다시 일으키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이 이름을 선택했으며, '흥성(興盛)에 기뻐하다(慶)'는 뜻이 기존의 '신흥(新興)'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보았다. 동시에 법인의 명칭도 재단법인 고황재단으로 변경했다. 비록 교명은 바뀌었지만, 신흥무관학교로부터 이어진 역사와 정신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경희대학교는 건학 이념으로 '문화세계의 창조'를 통해 '홍익인간의 이념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교훈은 '학원의 민주화, 사상의 민주화, 생활의 민주화'이다. 교표는 1951년에 제정되었는데, 유엔 정신을 상징하는 올리브 나무가 세계지도를 감싸고 있는 도안 위에 신흥무관학교와 신흥초급대학 시절부터 사용된 '대학'(大學)이라는 글자를 올려놓은 형태이다.

'''설립 초기 연표 (1947~1960)'''
연도주요 내용
1947년이시영이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에 사숙인 "신흥전문관" 설립
1949년배영대학관과 합병하여 "신흥초급대학"으로 재편, 초급대학 인가
1951년5월 18일, 조영식이 경영난에 처한 학교의 부채와 경영권을 인수 (현 개교기념일)
1952년2월 3일, 신흥초급대학 정식 설립 인가 (영어과·중국어과·법정과·체육과)
1952년12월 9일, 4년제 대학 인가를 받아 "신흥대학"으로 승격
1954년대학원 설치 인가
1955년종합대학으로 승격 인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으로 캠퍼스 이전. 교시탑 준공.
1956년석조 본관 준공
1960년교명을 "경희대학교"로 변경. 법인 명칭을 재단법인 고황재단으로 변경.


2. 2. 발전 및 확장 (1960~1999)

1960년 1월 1일, 기존의 '신흥대학교'에서 '경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5] 이는 한국 전쟁의 폐허 속에서 문화 부흥을 염원하며 조영식 당시 총장이 조선 후기 문예 부흥의 중심지였던 경희궁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다.

이후 경희대학교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규모를 확장해 나갔다. 1963년에는 경희초등대학을 설립하였고(1967년 경희여자초급대학으로 재편 후 1978년 폐교), 1965년에는 학교법인 애림학원과의 합병을 통해 동양의과대학을 통합하여 한의과대학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966년에는 경희간호대학(1979년 경희간호전문대학으로 개편, 1999년 간호학 관련 학과로 재편)을, 1975년에는 경희호텔경영전문대학(1998년 관광학부로 재편)을 설립하며 교육 영역을 넓혔다. 1971년에는 경희대학교 의료원을 개원하여 의학 교육 및 연구, 진료의 중심지로 발돋움했다.

캠퍼스 확장도 이루어졌다. 1979년에는 경기도 용인군(현 용인시)에 제2캠퍼스(현 국제캠퍼스)를 설치하고 공과대학, 체육대학, 외국어대학 등 일부 단과대학을 이전하였다. 1984년에는 경기도 남양주군(현 남양주시)에 제3캠퍼스(현 광릉캠퍼스)를 마련하고 대학원 일부를 이전하여 교육 및 연구 공간을 확충했다.

국제 사회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68년 국제대학교총장협회(IAUP) 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고,[11] 1981년에는 UN에 세계 평화의 날 제정을 최초로 제안하여 국제 평화 증진에 기여했다.[12]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93년에는 유네스코 평화교육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17][18] 1999년에는 서울 국제 NGO 회의를 조직하여 시민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했다.[13]

1960년 ~ 1999년 주요 연혁
연도주요 내용
1960년신흥대학교에서 경희대학교로 교명 변경[5]
1963년경희초등대학 설립 (1967년 경희여자초급대학으로 재편, 1978년 폐교)
1965년학교법인 애림학원과 합병, 동양의과대학 통합
1966년경희간호대학 설립 (1979년 경희간호전문대학으로 개편, 1999년 간호학 관련 학과로 재편)
1968년국제대학교총장협회(IAUP) 회의 개최[11]
1971년경희대학교 의료원 설립
1975년경희호텔경영전문대학 설립 (1998년 관광학부로 재편)
1979년경기도 용인군(현 용인시)에 제2캠퍼스(현 국제캠퍼스) 설치 및 일부 단과대학 이전
경희간호전문대학 설립 (기존 경희간호대학 개편)
1981년UN 세계 평화의 날 제정 제안[12]
1984년경기도 남양주군(현 남양주시)에 제3캠퍼스(현 광릉캠퍼스) 설치 및 대학원 일부 이전
1993년유네스코 평화교육상 수상[17][18]
1998년경희호텔경영전문대학을 관광학부로 재편
1999년경희간호전문대학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및 간호학부로 재편
서울 국제 NGO 회의 조직[13]


2. 3. 현대 (2000~현재)

2000년대 이후 경희대학교는 국제 교류와 협력을 활발히 추진하며 세계적인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 2006년에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함께 펜-경희 공동 여름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19][20] 2008년에는 유엔 경제사회국 및 NGO 협의회(CoNGO)와의 협력 아래 베이징 대학교, 릿쓰메이칸 대학교, 모스크바 주립대학교와 공식적인 Global Collaborative 협정을 체결했다.[21] 또한, 2009년 세계 시민 포럼,[14] 2011년 UNAI-경희 국제 심포지엄 등을 개최하며[12] 세계 공동사회 운동을 주도해 왔다.[15][16]

2021년, 영국의 타임스 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이 발표한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 경희대학교는 세계 상위 300위권 대학으로 평가받았다.[29] 이는 대한민국 대학 중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다음으로 높은 순위에 해당한다.

현재 경희대학교는 경희유치원, 경희초등학교, 경희중학교, 경희여자중학교, 경희고등학교, 경희여자고등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 등 다양한 부속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동양 의학 연구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총 8권으로 구성된 『동양의학대사전』 편찬은 동양 의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중요한 학문적 성과로 평가받는다.

3. 캠퍼스

경희대학교는 서울캠퍼스, 국제캠퍼스, 광릉캠퍼스, 홍릉캠퍼스의 네 개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서울캠퍼스와 국제캠퍼스는 통합 캠퍼스로 운영된다.

1954년 설립된 본교 캠퍼스인 '''서울캠퍼스'''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하며 면적은 600000m2이다. 1979년에는 경기도 용인시수원시 인근에 두 번째 캠퍼스인 '''국제캠퍼스'''를 설립했으며, 면적은 1200000m2이다. 1984년에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세 번째 캠퍼스인 '''광릉캠퍼스'''를 설립하였고, 면적은 3ha이다. 광릉캠퍼스에는 평화학과 대학원인 평화복지대학원이 있다.[25][26] '''홍릉캠퍼스'''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위치하며, 경희사이버대학교의 시민대학원인 '파이데이아 홍릉'이 자리 잡고 있다.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캠퍼스에 위치한 평화의 전당은 경희대학교 설립 50주년을 기념하여 1999년에 건립되었다. 4,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극장으로, 중세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다. 1976년에 착공되었으나 중간에 공사가 중단되기도 하였다.

3. 1.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회기동)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신흥무관학교를 계승한 '신흥대학교'의 캠퍼스가 있던 자리로, 1960년에 '경희대학교'로 교명이 바뀌었다. 서울캠퍼스는 인문, 사회, 자연과학, 순수예술, 의약학 중심의 캠퍼스이다. 대표적인 학문 분야로는 문과 계열에 법학,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호텔경영학, 국문학, 영문학 등이 있으며, 이과 계열에서는 한의학, 치의학, 의학, 약학, 물리학, 지리학, 정보디스플레이학 등이 있다.

서울캠퍼스는 공원처럼 아름답게 조성된 캠퍼스와 매년 봄에 열리는 벚꽃 축제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본관, 중앙도서관, 평화의 전당(대강당), 교수회관 등 웅장한 석조 건물들이 캠퍼스의 특징이다. 주요 부속기관으로는 경희의료원과 경희사이버대학교(KHCU) 스튜디오, 경희대 글로벌미래교육원 등이 있다.

캠퍼스와 마주하고 있는 한국외국어대학교를 비롯하여,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서울시립대학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홍릉캠퍼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이 이웃해 있다. 대중교통으로는 1호선·경의·중앙선·경춘선 회기역1호선 외대앞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문과대학 [http://human.khu.ac.kr/]
  • 법과대학 [http://law.khu.ac.kr/]
  • 정경대학 [http://khsma.khu.ac.kr/]
  • 경영대학 [http://kbiz.khu.ac.kr/]
  • 호텔관광대학 [http://hot.khu.ac.kr/]
  • 이과대학 [http://science.khu.ac.kr/]
  • 생활과학대학 [http://che.khu.ac.kr/]
  • 의과대학 [http://khusm.khu.ac.kr/]
  • 한의과대학 [http://kmc.khu.ac.kr/]
  • 치과대학 [http://dental.khu.ac.kr/]
  • 약학대학 [http://pharm.khu.ac.kr/]
  • 간호과학대학 [http://khcns21.khu.ac.kr/]
  • 음악대학 [http://music.khu.ac.kr/]
  • 미술대학 [https://khuart.khu.ac.kr/]
  • 무용학부 [http://dance.khu.ac.kr/]
  • 자율전공학부 [http://globaleminence.khu.ac.kr/]


경희의료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KHKM)은 1948년 동양대학관으로 설립되어 1965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편되었으며, 전통 의학 연구와 실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전국 11개 한의과대학 중 하나이다. 1972년에는 연구진이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침술 마취를 시연하기도 했다.[9] 1998년에는 국제 한의학 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 범위를 국제 학자들에게까지 넓혔다. 이듬해에는 동양 의학과 서양 의학의 진단법을 융합하기 위해 동서의학대학원(GSM)을 설립했다. 한의과대학과 의과대학은 경희의료원 내에서 협력하며, 특히 한의과대학과 생체의공학과는 침술 요법, 만성 질환, 마비, 노인성 질환 등에 대해 활발히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0]

경희의료원은 종합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동서의학센터, 의학과학연구소로 구성되어 있다.[24] 1999년 연구에 따르면, 당시 경희대학교 한의학 교육과정은 동양 의학 연구 및 실무가 60%, 서양 의학 연구 및 실무가 40%를 차지했다.[9]

3. 2. 국제캠퍼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하갈동)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캠퍼스에서 공과대학, 산업대학, 생명과학대학, 체육대학, 외국어계열 등이 이전하여 이원화캠퍼스를 구성하고 있다. 일부 캠퍼스는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과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 서천동의 경계에 위치하여, '국제캠퍼스'로 명명되기 이전에는 '수원캠퍼스'라고 불렸다.

국제캠퍼스는 공학, 응용과학, 생명과학, 전자정보, 실용예술, 국제학, 외국어 중심의 캠퍼스이다. 특성 있는 학문분야가 많으며, 대표적으로는 유전공학, 생체의공학, 한방재료공학, 스포츠의학, 국제학, 원자력공학, 우주과학, Post Modern 음악학, 골프경영학(체육대학), 태권도학 등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수용 인원 8천여 명 규모의 노천극장 및 종합체육관, 천문대, 원자로실 등이 있다. 또한 동서의학대학원과 생명공학원을 중심으로 글로벌 의약품소재개발 연구센터, 피부생명공학센터, 친고령특성화 대학원 등 '의료R&D센터'의 설립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근처 수원시 영통구의 주요 교육기관으로는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아주대학교 등이 자리잡고 있다.

국제캠퍼스에 소속된 단과대학 및 학과는 다음과 같다.

단과대학웹사이트
공과대학공식 웹사이트
전자정보대학공식 웹사이트
소프트웨어융합대학공식 웹사이트
응용과학대학공식 웹사이트
생명과학대학공식 웹사이트
국제대학공식 웹사이트
외국어대학공식 웹사이트
예술·디자인대학공식 웹사이트
체육대학공식 웹사이트
동서의과학과공식 웹사이트



체육대학은 1949년 대한민국 최초의 체육학과로 설립되어 한국 체육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발판이 되었다. 1955년 아시아 최대 규모의 체육관을 준공하면서 체육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80년에는 국내 최초로 박사 과정을 개설했다. 현재 체육대학은 체육학과, 스포츠의학과, 지도자학과, 골프경영학과, 태권도학과 등 5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3. 3. 광릉캠퍼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195에 위치하며, 1984년에 설립되었다.[25][26] 캠퍼스 면적은 3ha이다.[25][26]

광릉캠퍼스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대학원인 '평화복지대학원'(The Graduate Institute of Peace Studieseng)이 자리 잡고 있다.[25][26] 이 캠퍼스는 광릉수목원의 자연 속에 위치하며, 대학원 본관을 비롯해 도서관, 기숙사(삼정서헌), 명상관, 실내체육관, 교수 아파트, 평화의 탑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평화복지대학원의 교육 과정은 국제무대에서 활동할 인재 양성을 위한 '엘리트 교육'을 목표로 한다. 모든 재학생에게 학비, 교재비, 해외연수비, 기숙사비, 생활비 전액을 지원하며, 모든 강의는 영어로 진행된다. 졸업생들은 주로 국제 연합(UN)을 비롯한 국제기구로 진출하고 있다.

경희대학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2개의 국제대학원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광릉캠퍼스의 평화복지대학원 외에 다른 하나인 '국제대학원'(Graduate School of Pan-Pacific International Studieseng)은 국제캠퍼스 내 '국제대학(학부과정)'과 연계되어 있으며, 두 국제대학원은 서로 밀접한 교류를 맺고 있다.

3. 4. 홍릉캠퍼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홍릉로91에 위치한다. 경희대학교의 교양대학인 후마니타스 칼리지와 연계된 경희사이버대학교의 대안적 시민대학이자 비학위과정 시민대학원인 '파이데이아 홍릉'(Paideia Hongneung)이 자리 잡고 있다. '파이데이아'(Paideia)는 라틴어 '후마니타스'(Humanitas)의 그리스어 단어로, 두 단어 모두 인문학 또는 인문교육을 의미한다.

홍릉캠퍼스는 서울캠퍼스에서 약 2km 떨어진 홍릉수목원 부근에 있으며,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연면적 1356m2)의 교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에는 대형 강의실, 지하 강연장, 전시실, 교수 연구실, 옥상정원, 카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희학원 재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 지역 주민,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인문학 및 교양 교육에 중점을 두고 운영된다. '미래경영과정'과 같은 경영 프로그램 및 시민문화학교인 Collège de Hongneung|콜레주 드 홍릉fra도 개교하여 운영될 예정이다. 참고로 경희대학교와 경희사이버대학교는 캠퍼스를 공유하고 있다.

4. 교육 및 연구

서울캠퍼스와 국제캠퍼스는 통합 캠퍼스로 운영되며, 각 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에 위치한다.
  • 신흥무관학교를 계승한 '신흥대학교'의 캠퍼스가 있던 자리로, 1960년 '경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 인문, 사회, 자연과학, 순수예술, 의약학 분야 중심으로 운영된다. 대표적인 학문 분야로는 문과 계열의 법학, 경영학, 경제학, 호텔경영학, 국문학 등과 이과 계열의 한의학, 치의학, 의학, 약학, 물리학 등이 있다.
  • 공원처럼 조성된 캠퍼스와 매년 봄 열리는 벚꽃 축제로 유명하며, 본관, 도서관, 평화의 전당 등 웅장한 석조 건물이 특징이다.
  • 주요 부속기관으로 경희의료원, 경희사이버대학교(KHCU) 스튜디오, 경희대 글로벌미래교육원 등이 있다.
  • 인근 대학으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홍릉캠퍼스 등이 있으며, 회기역외대앞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국제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에 위치한다.
  • 서울캠퍼스의 공과대학, 생명과학대학, 외국어대학 등이 이전하여 이원화 캠퍼스를 이루고 있다. 과거 '수원캠퍼스'로 불리기도 했다.
  • 공학, 응용과학, 생명과학, 전자정보, 실용예술, 국제학, 외국어 분야 중심으로 운영된다. 유전공학, 생체의공학, 원자력공학, 우주과학, Post Modern 음악학 등 특성화된 학문 분야가 많다.
  • 주요 시설로는 대규모 노천극장, 종합체육관, 천문대, 원자로실 등이 있으며, 동서의학대학원과 생명공학원을 중심으로 의료 R&D 센터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 인근 수원시 영통구에는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아주대학교 등이 자리 잡고 있다.

  • '''광릉캠퍼스'''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195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대학원인 '평화복지대학원(The Graduate Institute of Peace Studies)'이 소재한다.
  • 광릉수목원의 자연 속에 대학원 본관, 도서관, 기숙사 등이 있으며, 국제무대 인재 양성을 목표로 재학생 전원에게 장학금 및 생활비를 지원하고 모든 강의를 영어로 진행한다. 졸업생들은 주로 국제 연합(UN) 등 국제기구로 진출한다.
  • 경희대는 국제캠퍼스 내 '국제대학원(Graduate School of Pan-Pacific International Studies)'도 운영하며, 두 국제대학원은 긴밀히 교류한다.

  • '''홍릉캠퍼스'''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홍릉로 91에 위치한다.
  • 경희대학교 교양대학 '후마니타스 칼리지'와 연계된 경희사이버대학교의 시민대학원 '파이데이아 홍릉(Paideia Hongneung)'이 있다. 파이데이아(Paideia)는 인문학, 인문교육을 의미한다.
  • 홍릉수목원 인근에 위치하며, 재학생 및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인문학, 교양 교육을 제공한다. 내부에 대형 강의실, 강연장, 전시실, 연구실, 카페 등이 있다.
  • '미래경영과정', 시민문화학교 '콜레주 드 홍릉(Collège de Hongneung)' 등의 프로그램도 운영될 예정이다.

4. 1. 학부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다. 2019년을 기준으로 서울캠퍼스에는 15개 단과대학과 1개의 독립 학부(무용학부)가, 국제캠퍼스에는 9개 단과대학과 1개의 독립 학과(동서의과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2009년부터 법학전문대학원이 개원하면서 서울캠퍼스 법과대학에서는 신입생을 받지 않는 대신, 자율전공학부를 신설하여 법학과 신입생 정원을 일부 흡수하여 양성하고 있다.

2019년 기준 개설된 학부 과정은 다음과 같다.

2019년 기준 경희대학교 학부 과정
단과대학학과 / 학부 / 전공
문과대학국어국문학과, 역사학과, 철학과, 영어학부 (영어학 전공, 영문학 전공, 번역학 전공)
법과대학법학부 (법학 전공, 국제법무학 전공)
정경대학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사회학과, 언론정보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국제통상·금융투자학과
경영대학경영학과, 회계·세무학과
호텔관광대학호텔경영학부 (호텔경영학과, 컨벤션경영학과, 외식경영학과, 조리·서비스경영학과), 관광학부 (관광학과, 문화관광콘텐츠학과, 문화관광산업학과, 조리산업학과)
이과대학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지리학과
생활과학대학아동가족학과, 주거환경학과, 의상학과, 식품영양학과
의과대학의학과
한의과대학한의학과
치과대학치의학과
약학대학약학과, 한약학과, 약과학과
간호과학대학간호학과
음악대학작곡과, 성악과, 기악과
미술대학미술학부 (한국화 전공, 회화 전공, 조소 전공)
무용학부한국무용 전공, 현대무용 전공, 발레 전공
자율전공학부글로벌리더 전공, 글로벌비즈니스 전공
공과대학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원자력공학과, 화학공학과,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건축공학과,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건축학과
전자정보대학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생체의공학과
소프트웨어융합대학소프트웨어융합학과
응용과학대학응용수학과, 응용물리학과, 응용화학과, 우주과학과
생명과학대학유전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한방소재공학과,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원예생명공학과
국제대학국제학과
외국어대학프랑스어학과, 스페인어학과, 러시아어학과, 중국어학과, 일본어학과, 한국어학과,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어문 전공, 영미문화 전공)
예술·디자인대학산업디자인학과, 시각정보디자인학과, 환경조경디자인학과, 의류디자인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포스트모던음악학과, 연극영화학과, 도예학과
체육대학체육학과, 스포츠지도학과, 스포츠의학과, 골프산업학과, 태권도학과
동서의과학과동서의과학과


4. 2. 대학원

학부와 대학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으며, 2019년 기준으로 개설되어 있는 대학원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일반대학원
  • 경영대학원
  • 교육대학원
  • 공공정책대학원 (구 행정대학원)
  • 언론정보대학원
  • 체육대학원
  • 기술경영대학원 (구 테크노경영대학원)
  • 국제법무대학원
  • 국제지역대학원 (Pan-Pacific International Studieseng)
  • 동서의학대학원
  • 평화복지대학원
  • 관광대학원
  • 예술·디자인대학원 (구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 의학전문대학원
  • 치의학전문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 생명공학대학원[23]
  • 건축대학원
  • 정보통신대학원
  • NGO대학원


일반대학원에는 다음과 같은 학과들이 개설되어 있다.

계열학과 목록
인문사회계열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영미어문화학과, 불어불문학과, 중국어중문학과, 일본어일본문학과, 스페인어학과, 사학과, 철학과, 사회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정치학과, 신문방송학과, 경제학과, 국제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학과, 호텔관광학과
자연과학계열수학과, 생물학과, 지리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아동주거학과, 식물영양학과, 의상학과, 유전공학과, 생명공학과, 한방재료가공학과, 생체시스템공학과, 식품가공학과, 환경조경학과, 환경응용과학과, 우주과학과, 약학과, 임상약학과, 한약학과, 간호학
공학계열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섬유공학과, 전자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원자력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산업공학과, 전파공학과, 동서의료공학과
의학계열의학과, 치의학과, 한의학
예체능계열미술학과, 음악학과, 체육학과, 무용학과, 도예학과, 산업디자인학과


4. 3. 주요 연구 분야

경희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여러 부설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연구소 명칭연구소 명칭
고황 의학 연구소관광 산업 정보 연구 센터
구강생물학 연구소국제관계연구소 (Institute of Global Affairs)
국제 연설 및 토론 센터노화 및 뇌 질환 연구 센터
동서 간호 연구소동서 의학 연구소
동서 제약 연구소디자인연구소 (Design Research Institute)
멀티미디어기술연구소 (Institute of Multimedia Technology)법학 연구소
보건 산업 연구소비교문화연구센터 (Center for Cross Culture Studies)
사회과학 연구소사회과학정책연구소 (Institute of Social Science and Policy)
산학협력연구소 (Industrial Liaison Research Institute)생명자원과학연구소 (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Resources)
스포츠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Sports Science)식물대사체연구센터 (Plant Metabolism Research Center)
언어 연구 센터예술 및 문화 경영 센터
인간 사회 연구소인간 생명 과학 연구소
인문학 연구소임상 영양 연구소
임피던스 영상 연구 센터 (Impedance Imaging Research Center, IIRC)자연과학연구소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정보디스플레이재료연구센터 (Materials Research Center for Information Display)지구환경 연구소
지역혁신센터-정보디스플레이 부품 및 재료 (Regional Innovation Center-Components and Materials for Information Display)첨단 디스플레이 연구 센터
침구 및 경락 과학 연구 센터치과 재료 시험 및 개발 센터
피부생명공학센터 (Skin Bio-Technology Center)한국 고고학 및 고대사 연구소
한국 의학 국제 연구소한국 의학 연구소
한국 조류 연구소현대미술 연구소
혜정문화연구소 (Hye-Jung Cultural Research Institute)교육 연구소
산업 관계 연구소


4. 4. 국제 협력

경희대학교는 다양한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국제 사회와의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 (Global Collaborative): 국제 학생들이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베이징 대학, 리쓰메이칸 대학,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등 세계 유수 대학 학생들과 함께 학자들이 이끄는 수업에 참여하고, 유엔(United Nations) 및 비정부기구 회의(Conference of NGOs, CoNGO)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거버넌스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토론하는 여름 프로그램이다. 참여 학생들은 관련 연구, 교육, 모듈을 통해 연구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한다.
  • 세계 시민 포럼 (World Civic Forum, WCF): 유엔 경제사회부(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와 공동으로 운영하며, 학술 기관, 국제기구, 시민 사회, 정부, 기업, 언론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교육, 연구,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글로벌 기관이다. 포럼과 함께 개최되는 세계 시민 청소년 포럼은 청소년들에게 현대 글로벌 이슈, 시민적 가치, 참여와 행동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 미래 문명을 위한 글로벌 아카데미 (Global Academy for Future Civilizations): 21세기에 보다 인간적인 문명을 창조하기 위해 노력하는 국제 연구 기관들의 협의체로, 유엔 및 여러 국제기구와 협력하고 있다.
  • 유엔 학술적 영향 (United Nations Academic Impact, UNAI): 경희대학교는 UNAI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유엔과 협력하며 인권, 문해력 증진, 지속 가능성, 분쟁 해결 등 유엔의 핵심 원칙을 지지하고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참여 대학은 매년 최소 하나 이상의 원칙을 지지하는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여러 해외 대학과 학술 및 국제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일본 대학과의 교류 협정
협정교협정 종류
독협대학학술 교류
일본체육대학학술 교류
전수대학국제 교류



경희대학교는 아시아 지역 대학 간의 교류 증진을 위한 아시아 리버럴 아츠 대학 연합(AALAU)의 회원교이기도 하다.

아시아 리버럴 아츠 대학 연합 (AALAU) 회원교
국가회원교
홍콩령남대학
중국쿤산 듀크 대학교, 화동사범대학, 동북사범대학, 상하이 뉴욕대학교 (옵서버), 닝보 노팅엄 대학교, 베이징대학 원배학원
타이완보인대학, 국립정치대학, 동해대학
일본국제기독교대학, 규슈대학, 립교대학, 상치대학, 도쿄대학, 와세다대학
한국동국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영남대학교, 연세대학교
인도심바이오시스 리버럴 아츠 스쿨
태국마히돈대학교


5. 상징



교명 '경희(慶熙)'는 조선 후기 영조와 정조 시대의 문화 부흥을 이끌었던 경희궁(慶熙宮)에서 유래했다. 이는 임진왜란병자호란으로 황폐해진 조선이 문예 부흥을 이룬 것처럼, 한국 전쟁의 폐허 속에서 새로운 문화적 르네상스를 열망하는 마음을 담아 경희학원 설립자 조영식이 지은 이름이다. 이전 교명은 '신흥대학교(新興大學校)'로, 이는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정신을 계승한 것이었다. 조영식은 과거 서울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할 당시 교정이 경희궁 내에 있었던 인연이 있다. 1960년대, 그는 '흥하고 성함에 기뻐한다(慶熙)'는 뜻의 '경희'가 기존 교명 '신흥(新興)'과 의미가 통하면서도 세련되고 학문적인 느낌을 준다고 판단하여, 당시 흔했던 '신흥'이라는 이름 대신 '경희'로 교명을 변경했다. 그러나 신흥무관학교로부터 이어져 온 역사와 정통성, 정신은 현재까지도 경희대학교의 중요한 일부로 남아있다.

경희대학교의 건학 이념은 '문화세계의 창조'를 통해 '홍익인간의 이념을 구현'하는 것이며, 교훈은 '학원의 민주화, 사상의 민주화, 생활의 민주화'이다.

교표는 1951년에 제정되었다. 유엔 정신을 상징하는 올리브 나무가 세계지도를 감싸고 있는 도안 위에, 전신인 신흥무관학교와 신흥초급대학의 교표였던 '대학(大學)'이라는 한자를 배치한 형태이다. 이는 세계화에 대한 경희대학교의 비전과 열린 마음, 그리고 인류애를 상징하며, 2016년 책 모양의 심볼로 변경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22]

교화는 목련이다. 창립 20주년을 맞은 1970년 5월에 지정되었으며, 순결하고 고결하며 정직함을 상징하는 흰 목련의 의미를 담고 있다. 목련 로고는 경희대학교가 추구하는 회복력, 아름다움, 관용, 통합의 가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22]

상징 동물은 사자이다. 특히 '웃는 사자'는 강인한 생명력과 너그러운 내면, 끊임없는 자기 극복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동시에 갖춘 이상적인 인간상을 상징한다. 대학의 캐릭터 마크는 이 웃는 사자의 갈기와 진리를 밝히는 횃불,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를 결합하여 형상화한 것이다. 이 캐릭터 마크는 스포츠팀을 비롯한 다양한 대학 홍보물에 사용되어 경희대학교의 브랜드 가치를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22]

교가 외에도 학교를 상징하는 노래로 가곡 '목련화'가 있다. 이 곡은 설립자 조영식이 개교 25주년을 기념하여 쓴 시 '4반세기 칸타타'의 일부를 가사로 하여 작곡가 김동진이 곡을 붙인 것이다.[32]

대학교 표장


대학교 꽃, 목련

6. 대학 평가

경희대학교는 여러 국내외 대학 평가에서 꾸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2020년 기준으로 세계 247위, 아시아 40위, 한국 6위를 기록했다.[28] 특히, 관광 및 레저 경영학 프로그램은 2018년 QS 세계 대학 순위 학과별 평가에서 세계 50위에 오르며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28]

영국의 대학 평가 기관인 타임스 고등교육(THE)이 발표하는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2021년 세계 251-300위권에 포함되었으며, 이는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다음 순위에 해당한다.[29]

다른 주요 대학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 대학 평가 순위
평가 기관평가 대상순위연도/비고
QS 세계 대학 순위세계247위2020년[28]
QS 세계 대학 순위아시아40위2020년[28]
QS 세계 대학 순위한국6위2020년[28]
QS 세계 대학 순위 (학과별)관광 및 레저 경영학 (세계)50위2018년[28]
타임스 고등교육 (THE) 세계 대학 랭킹세계251–300위2021년[29]
타임스 고등교육 (THE) 아시아 대학 랭킹아시아42위
타임스 고등교육 (THE) 세계 대학 랭킹한국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다음2021년[29]
중앙일보 대학평가한국6위
세계 대학 학술 순위 (ARWU)세계401–500위
세계 대학 학술 순위 (ARWU)한국9–12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세계 대학 순위세계=516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아시아 대학 순위아시아=128위


7. 부속 기관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1951년 설립자 조영식 총장이 기증한 700여 권의 도서로 부산 임시 가교사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1968년 6월 17일 현재의 석조 건물을 준공하였다. 본 건물 4층과 원형열람실 2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건평은 약 3,900여 평에 달한다. 95만여 권의 장서와 2천여 석의 열람석을 보유하고 있다.

1989년에는 한의학도서관을, 2000년에는 법학도서관을 개관했다. 1972년 설치된 의료원도서관을 기반으로 2002년에는 의학도서관을 열었다. 1995년 전산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1999년에는 웹 기반 전자도서관을 구축했다. 2005년에는 미래형 통합 전자도서관 구축을 완료했다.

'''국제캠퍼스 중앙도서관'''

1980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당시 수원캠퍼스) 개교와 함께 이공대학관에 처음 설치되었다. 1995년 현재의 건물을 신축하여 이전했다. 1993년 전산 시스템을 도입했고, 1999년에는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과 전산 시스템을 통합하였다.

2003년 UN 기탁도서관으로 지정되었고, 2004년에는 국제노동기구(ILO)와 세계관광기구(UNWTO) 기탁도서관, 2005년에는 국제통화기금(IMF) 기탁도서관으로 선정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UNWTO와 IMF의 기탁도서관 지위를 가지고 있다. 2009년 기준으로 국내외 단행본 총 857,095권을 소장하고 있다. (2009 한국도서관연감)

건축 양식은 일제 강점기 미국 듀크대학교 도서관을 본떠 만든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유사하다. 'ㄱ'자형 건물에 한쪽 모서리에는 첨탑이 있으며, 외장은 화강석으로 마감되었다. 고딕 양식의 웅장함이 특징이며, 서울캠퍼스 본관 앞 분수대 정원 동쪽에 위치한다. 도서관 첨탑이 정문 역할을 하며, 3층 높이 건물은 저층에 사각형 창문, 고층에 아치형 창문으로 장식되어 화려하면서도 웅장한 느낌을 준다.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1955년 개관한 고고·역사·민속 중심의 종합박물관이다. 고고역사관, 무속관, 시베리아관, IAUP기념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5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건물 내에 위치한다.

1955년 10월 개관 후, 중앙도서관이 완공되면서 1966년 11월 중앙도서관 건물 4층으로 이전했다. 2001년 제1종 종합박물관(문화관광부 등록 제193호)으로 등록되었고, 소장 유물을 재정리 및 전산화하여 2004년 1월부터 유물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총 소장 유물은 10만여 점이며, 이 중 유물대장 등에 등록된 유물은 6,500여 점이다.

'''경희대학교 자연사박물관'''

1978년 6월 13일 개관하였고, 2005년 제1종 종합박물관으로 등록되었다. 암석, 광물, 화석, 동물, 식물 등 90,000여 점의 표본을 확보하고 있다. 총 전시 면적 1500m2에 6개의 전시실(암석 및 광물, 포유류, 조류, 곤충, 해양생물, 식물)을 갖추고 있다. 크낙새, 마지막 황새, 북한에서 기증받은 멧닭, 장수하늘소, 종어 등 멸종되었거나 희귀한 생물을 전시하고 있다. 1950년대부터 수집된 원병오, 신유항, 정문기, 정현배, 윤무부 등의 연구 표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9년 수장고 개편을 통해 연구 지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대한민국 최초의 고지도 전문 박물관으로, 국제캠퍼스에 위치한다. 2002년 3월 1일 설립된 혜정문화연구소를 모체로 하며, 김혜정씨가 30여 년간 수집한 지도를 기반으로 2005년 5월 1일 개관했다. 900여 점의 고지도를 소장하고 있으며, 고지도 전문 박물관 설립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이다.

'''경희천문대'''

(구)우주과학교육관. '문화세계의 창조'라는 교시를 바탕으로 천문우주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건립되었다. 1992년 10월 돔형 건물과 76cm 반사망원경을 설치했고, 1995년 4월 국내 대학 최초로 천문우주과학전시장을 개관했다. 공개 관측회, 교육 프로그램, 우주과학캠프 등을 통해 천문우주과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 변광성 발견(경희성), M101 은하 초신성 관측 등 전문적인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2013년 11월에는 우주탐사학과(대학원)가 독자 개발한 국내 최초의 큐브위성 KHUSAT-01, 02 (TRIO-CINEMA)를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34] 경희천문대 지상국에서 위성을 운용했으며, 현재는 임무를 종료했다. 이후 세 번째 큐브위성 KHUSAT-03 (SIGMA)를 개발 완료하여 2016년 3분기에 발사했다. 최근 다수의 시민천문대와 사설천문대가 건립됨에 따라, 경희천문대도 일반 대중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화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평화의 전당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1976년 6월 착공하여 1999년 10월 11일 개관한 종합 문화 예술 공연장이다. 서울캠퍼스에 위치하며, 단일 공연장으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인 4,500석의 객석을 보유하고 있다. 대지 면적 3,300여 평에 지하 2층, 지상 6층, 옥탑 3층 규모로 건립되었다.

정식 명칭이 정해지기 전에는 '비놀리아관'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는 당시 판매되던 비누 제품명 '비놀리아'의 광고 문구("어? 아직도 그대로네?")처럼 공사 기간이 매우 길었던 데서 유래했다. 안기부와 관련된 문제로 공사가 장기간 중단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웅장한 외관을 자랑하며, 경희 50년 역사를 표현한 스테인드글라스와 화강석 조각이 특징인 중세 고딕 양식 건축물이다.

'''경희의료원'''

1965년 4월 27일 동양의과대학 병합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한의사 제도 폐기론이 제기되는 등 동의학(東醫學) 연구 의욕이 저하된 상황이었으나, 설립자 조영식은 동양의대를 병합하고 한의학과를 신설하여 동의학을 현대 학문으로 인정받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는 동서의학의 조화를 통한 제3의학 개척의 발판이 되었다.

1966년 의과대학을 설립하여 한국 최초로 동서의학을 아우르는 의학 교육 기관이 되었고, 본격적인 의과대학병원 설립을 추진했다. 설립준비위원회(위원장: 박양원 교수)를 발족하여 시설 도입과 의료진 확보를 진행했다. 1970년 의과대학병원을 경희의료원으로 개칭하고 개원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1971년 10월 5일, 6년 6개월의 준비 끝에 약 30억의 건축비를 투자하여 18층 규모의 현대식 건물과 최신 의료 장비를 갖춘 경희의료원이 개원했다. 의과대학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이 복합된 형태로 출범했으며, 동서의학의 융화를 통한 부설 동서의학연구소도 함께 설치되었다.

'''경희대학교 총동문회관'''

경희대학교의 전신인 신흥무관학교를 계승한 신흥대학이 있었던 서울특별시 종로구 권농동에 위치한다. 구 경희대학교 시내한방병원 건물을 철거한 부지에 건립되었으며, 총면적 825평, 층당 107평, 지하 3층, 지상 5층 규모의 현대식 유리 건물이다. 경희대학교 총동문회 및 경희사이버대학교 총동문회가 입주해 있다. F층에는 회장실, 회의실, 사무실 등이 있으며, 3층에는 밝은사회한국본부, 2층 일부는 경희ROTC 동문회, 5층은 세미나 등을 위한 강당으로 사용된다.

8. 주요 동문

문재인 제19대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문재인[35]과 영부인 김정숙 여사를 배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법과대학 법학과(72학번), 김정숙 여사는 음악대학 성악과(74학번)를 졸업했으며, 문재인 대통령은 2012년에 ‘자랑스러운 경희인상’을 수상했다.

경희대학교는 동문회 회칙에 따라 명예박사학위 수여자도 공식 동문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김대중 전 대통령과 윤보선 전 대통령도 동문으로 볼 수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1967년) 및 일반대학원 경제학과(1970년) 석사 과정을 수료[36]하고 명예 경제학박사(1998년) 학위를 받았다. 영부인 이희호 여사는 경희가족상(1997년)과 경희대학장(1998년)을 수상했으며, 장남 김홍일(정치외교학과) 전 의원과 부인 윤혜라 여사(영어영문학과), 차남 김홍업(경영학과) 전 의원과 부인 신선련(영어교육학과) 여사도 경희대 동문이다. 또한, 전두환 군부독재 시절 오랜 반독재 운동을 해온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윤보선에게 명예 법학박사(1985년) 학위를 수여했다.

다음은 주요 동문 목록이다. (가나다 순)
정치·법조
문학·예술
체육

  • 공영일 - 태권도인
  • 김종규 - 농구 선수
  • 문대원 - 멕시코 태권도 대부
  • 박건하 -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 박종환 - 전 축구 감독
  • 여홍철 - 전 체조 선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윤경신 - 핸드볼 선수
  • 윤미진 - 양궁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이운재 - 전 축구 선수 (골키퍼)
  • 이정수 - 축구 선수
  • 이호 - 축구 선수
  • 이호석 - 쇼트트랙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연예·방송
기타

9. 사건 · 사고

2007년 3월, 당시 서정범 교수가 성폭행 혐의로 피소되었으나 검찰 조사 결과 무고로 밝혀진 사건이 있었다.[37] 이 과정에서 사건 초기 서 교수에게 의혹을 제기했던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여학생회의 대응 방식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37][38]

2010년 5월에는 한 학생이 교내 환경미화원에게 폭언과 비하 발언을 한 사실이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알려지면서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39][40] 해당 학생은 피해 환경미화원에게 사과하였으며, 학교 측은 징계를 검토했으나 피해 당사자가 이를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41][42]

같은 해 7월에는 음악대학 신규 교수 임용 과정의 공정성 문제가 총동창회에 의해 제기되었다. 2009년 진행된 교수 채용 과정에서 1차 서류 심사 결과가 무시되고 특정 방식으로 교수가 선발되었다는 주장이 나오며 임용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이 제기되는 등 논란이 있었다.[43]

9. 1. 환경미화원 욕설 사건

2007년 3월, 당시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에 재직 중이던 서정범 교수가 한 무속인으로부터 성폭행 혐의로 고소를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7] 그러나 검찰 조사 결과, 무속인의 고소 내용은 허위로 밝혀졌고 서 교수는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37] 검찰은 무속인이 제출한 녹취록이 철저히 조작되었으며, 이러한 조작 사례는 이례적이라고 밝혔다.[37] 결국 검찰은 해당 무속인을 무고죄로 고발했으며, 무속인은 서 교수가 자신을 무시하는 것에 앙심을 품고 범행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37]

서 교수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사건 초기 그에 대한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며 비판했던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여학생회는 비판에 직면했다.[37] 성폭행 의혹이 사실무근으로 결론 났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총여학생회는 서 교수에게 공식적인 사과를 하지 않았다. 이 일로 인해 서울캠퍼스 총여학생회는 내부적으로 큰 갈등을 겪으며 해체 위기까지 몰리기도 했다.[38]

9. 1. 1. 교수 임용 문제

2010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신규 교수 임용 절차에 대해 음대 총동창회가 문제를 제기했다. 2010년 7월 6일, 경희대 음대 총동창회장, 발전추진위원회 수석부위원장, 학생부회장 등 3명은 2010년 2월에 임용된 전임교원 3명에 대해 임용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서울지방법원에 제출했다.

사건의 발단은 2009년 6월 기악, 작곡, 성악 세 분야의 신규 교수 채용 공고였다. 분야당 20명이 넘는 지원자가 몰렸고, 경희대 내·외부 교수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지원자들의 이력서와 연주 CD 등을 바탕으로 같은 해 7월 말 1차 서류 심사를 마쳤다. 경희대의 ‘전임교원 임용 규정 시행세칙’에 따르면, 1차 서류 심사 합격자는 연주 및 강의 실력을 평가하는 2차 심사에 참여할 자격을 얻게 된다.

그러나 2차 심사는 예정대로 진행되지 않고 연기되었고, 2009년 8월 말 새로 취임한 음악대학 학장은 이전 1차 서류 심사 결과를 무효로 처리했다. 이후 각 학과 교수들에게 2명씩 추천받아 그중에서 전임교원을 선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대해 총동창회장은 "이 과정에서 처음 서류 심사에서 1, 2등을 차지했던 우수한 지원자들이 2차 시험에 응시할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절차상의 문제를 지적했다.[43]

9. 1. 2. 교수 성추행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는 '음악 대학 신규 교수 임용'에 관한 내용으로, '교수 성추행' 섹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10. 참고 항목

참조

[1] 웹사이트 창학정신 https://www.khu.ac.k[...] 2018-12-17
[2] 웹사이트 Kyung Hee Spirit https://www.khu.ac.k[...] 2018-12-17
[3] 웹사이트 Office of the President: Biography https://www.khu.ac.k[...] 2018-12-17
[4] 웹사이트 Mascot: The Laughing Lion https://www.khu.ac.k[...] 2018-12-17
[5] 웹사이트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http://encykorea.aks[...] 1995-01-01
[6] 뉴스 In Celebration of the 70th anniversary, Kyung Hee Presented their Visions for the Future https://www.khu.ac.k[...] 2019-06-27
[7] 웹사이트 University: University Status https://www.khu.ac.k[...] 2021-01-03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https://www.khu.ac.k[...] 2018-12-17
[9] 논문 Education in Oriental Medicine in Kyung Hee University 2004-11-01
[10] 웹사이트 Traditional Korean Medical History of Oriental Medicine Dept. at Kyung-Hee Univ. http://www.koreaitti[...] 2012-02-01
[11] 서적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University Presidents second conference, June 18–20, 1968 hosted by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https://books.google[...] 1968-06-18
[12] 웹사이트 UNAI-Kyung Hee International Symposium http://www.khu.ac.kr[...] KHU.ac.kr 2011-09-15
[13] 웹사이트 In Seoul, a global conference of NGOs focuses on forging deeper partnerships http://www.onecountr[...] One Country: The International Newsletter of the Baha'i International Community 1999-12-01
[14] 웹사이트 World Civic Forum http://www.ngocongo.[...] NGOCONGO.org 2009-05-01
[15] 웹사이트 Magna Carta of Global Common Society: A Grand Vision of Human Society Toward the New Millennium; Remarks from the Fourth Annual Global Citizen Awards Ceremony (1998) http://www.ikedacent[...] Ikeda Center for Peace, Learning, and Dialogue
[16] 서적 Toward a Global Common Society Through Dialogue Among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Civil Society and New Governance, Kyung Hee University
[17] 웹사이트 UNESCO Prize for Peace Education – Laureates http://www.unesco.or[...] UNESCO
[18] 웹사이트 UNESCO Prize for Peace Education: 2008 http://unesdoc.unesc[...] UNESCO
[19] 웹사이트 Kyung Hee University Bulletin: 2011–2012 http://khu.ac.kr/eng[...] Kyung Hee University Office of Academic Affairs at Global Campus
[20] 웹사이트 Global Collaborative: Global Governance and East Asian Civilization http://gc.khu.ac.kr/[...] Kyung Hee University 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
[21] 웹사이트 Globalization Programs http://www.khu.ac.kr[...] Kyung Hee University
[22] 웹사이트 About Kyung Hee: University Identity https://www.khu.ac.k[...] 2021-01-03
[23] 웹사이트 Academics https://www.khu.ac.k[...] 2018-12-18
[24] 웹사이트 The Biomedical Field at Kyung Hee University (3) http://www.kyunghee.[...] Kyung Hee University 2011-11-02
[25] 웹사이트 Kyung Hee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15-07-16
[26]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khu.ac.k[...] 2018-12-18
[27] 웹사이트 Kyung Hee Global Service Corps http://www.kyunghee.[...] KHU.ac.kr 2011-05-16
[28] 웹사이트 Kyung Hee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18-01-01
[29] 뉴스 성균관대, 글로벌 톱 100 첫 진입…UNIST·경희대 `발돋움` http://news.mk.co.kr[...]
[30] 웹인용 경희대학교-상징-교화 https://www.khu.ac.k[...] 2020-09-27
[31] 웹인용 경희대학교-상징-상징동물 https://www.khu.ac.k[...] 2020-09-27
[32] 뉴스 김문기자가 만난사람-34년 교수생활 마감하는 성악가 엄정행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8-02-11
[33] 뉴스 경희대 서울ㆍ국제캠퍼스 완전 통합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1-09-01
[34] 뉴스 경희대, 우주탐사 초소형 인공위성 발사 또 성공 https://www.google.c[...] 연합뉴스 2013-11-21
[35] 뉴스인용 문재인, 모교인 경희대 동문회 참석해 대통령 되겠다 http://m.news.naver.[...] 뉴스1 2012-11-15
[36] 문서 김대중 대통령의 학력 관련 내용
[37] 웹사이트 http://www.dailian.c[...]
[38] 웹사이트 교수 성폭력 의혹 제기한 여학생회 해체 위기 http://www.munhwa.co[...] 2007-04-03
[39] 웹사이트 처음에 네이트에 올라왔던 글 http://pann.nate.com[...]
[40] 뉴스인용 "꺼지세요!" 욕설에 막말…'경희대 패륜녀' 파문 http://news.sbs.co.k[...] sbs 2010-05-17
[41] 뉴스인용 경희대 ‘패륜녀’ 사실로…해당 학생 징계 방침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5-17
[42] 뉴스 경희대 막말 여학생 ‘사과’…피해 환경미화원은 ‘용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5-20
[43] 뉴스 “음대교수 3명 신규 임용과정 문제 있다”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10-07-15
[44] 뉴스 경희대 음대 교수가 여학생들 상습 성희롱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