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덕왕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덕왕릉은 신라 제42대 흥덕왕의 무덤으로, 무덤 제도가 잘 갖춰진 왕릉이다. 둥근 봉토분으로, 둘레돌을 배치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12지신상이 조각된 탱석과 면석, 갑석으로 마감했다. 무덤 주변에는 돌사자상, 문인석, 무인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비석은 귀부만 남아있다. 삼국유사의 기록과 금석문 발견을 통해 흥덕왕의 무덤으로 확인되었으며, 성덕왕릉과 원성왕릉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무덤 - 경주 김유신묘
경주 김유신묘는 삼국 통일에 기여한 김유신을 기리는 묘로, 넓은 부지와 십이지신상이 조각된 호석 등을 갖추고 있지만, 묘의 주인공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 경주시의 무덤 - 선덕여왕릉
위키백과 문서의 "개요" 섹션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신라의 왕릉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신라의 왕릉 - 통일신라
통일신라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668년부터 고려에 병합된 935년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며 왕권 강화와 불교 문화 번성, 해상 무역 장악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9세기 이후 쇠퇴하여 후삼국 시대를 거쳐 멸망한 시대를 말한다.
흥덕왕릉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주 흥덕왕릉 (慶州 興德王陵) |
영문 이름 | Tomb of King Heungdeok, Gyeongju |
지정 번호 | 사적 30호 |
지정 날짜 | 1963년 1월 21일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 |
시대 | 통일신라 |
소유 | 국유 |
면적 | 61,983m² |
![]() |
2. 무덤의 구조
흥덕왕릉은 지름 20.8m, 높이 6m의 원형 봉토분으로, 잘 갖춰진 무덤 제도를 보여준다.
2. 1. 봉분과 둘레돌
비교적 커다란 둥근 봉토분으로 무덤 밑에는 둘레돌을 배치하여 무덤을 보호하고 있다. 둘레돌은 먼저 바닥에 기단 역할을 하는 돌을 1단 깔고 그 위에 넓적한 면석을 세웠다. 면석 사이에는 기둥 역할을 하는 탱석을 끼워 넣었는데, 각 탱석에는 방향에 따라 12지신상을 조각하였다. 탱석과 면석 위에는 다시 갑석을 올려 마무리하였다.2. 2. 주변 조형물
무덤 주위 4모서리에는 돌사자상을 한 마리씩 배치되어 있다. 앞쪽 좌우에는 문인석과 무인석이 각각 1쌍씩 배치되어 있다. 무덤 앞 왼쪽에는 비석을 세웠는데, 지금은 비석을 받쳤던 귀부만 손상된 채 남아있다.3. 역사적 의의
삼국유사에 전하는 무덤의 위치가 이 무덤과 대체로 일치하고, 왕릉 주위에서 ‘흥덕’이라는 글자가 쓰여진 금석문이 발견되어 이 무덤이 흥덕왕의 무덤이라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있다. 전체적인 배치와 장식물의 양식으로 볼 때 성덕왕릉과 원성왕릉의 형식을 많이 본따고 있어, 흥덕왕 대의 무덤 양식과 신라 왕릉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