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말라야마멋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말라야마멋(Marmota himalayana)은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에 서식하는 마멋의 일종이다. 털이 빽빽하고, 등은 적갈색 회색이며, 코와 꼬리 끝은 짙은 갈색을 띤다. 세계에서 가장 큰 마멋 중 하나로, 군집 생활을 하며,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겨울잠을 잔다. 주요 서식지는 해발 3000~5500m의 고산 지대이며, 풀과 꽃을 먹고 산다. 천적으로는 눈표범, 티베트늑대, 붉은여우 등이 있다.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히말라야마멋이 파낸 굴에서 금이 발견된다고 기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기재된 포유류 - 검은발회색랑구르
    검은발회색랑구르는 인도 남서부와 서고츠산맥에 분포하며, 과거에는 다른 종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남부평원회색랑구르의 이명으로 간주되며, 개체수 감소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1841년 기재된 포유류 - 짧은귀바위왈라비
    짧은귀바위왈라비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분포하는 바위왈라비속의 일종으로, 회갈색 털을 지녔고 바위 지대에 서식하며, 쿤윈주족에게 사냥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서식지 파괴로 지역적 멸종 위협에 처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 다람쥐과 - 땅다람쥐아과
    땅다람쥐아과는 다람쥐과의 한 분류군으로 가시다람쥐족, 마멋족, 아프리카큰다람쥐족으로 나뉘며, 전 세계 다양한 서식지에서 프레리도그, 마멋, 칩먼크 등을 포함하여 발견되고, 서식 환경에 따라 사회적 행동이나 겨울잠과 같은 독특한 생태를 보인다.
  • 다람쥐과 - 검은머리마멋
    검은머리마멋은 꼬리가 짧고 몸길이 39.5~61.5cm, 무게 1.65~5.4kg 정도의 작은 마멋으로, 풀, 허브, 이끼 등을 먹고 군집 생활을 하며 9월부터 이듬해 5월 중순까지 동면하는 북극 툰드라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동물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히말라야마멋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탄 초푸 호수의 히말라야마멋
해발 4,100m 부탄 초푸 호수의 히말라야마멋
라다크의 마멋 가족
인도 라다크에서 털갈이 중인 마멋 무리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3.1
상태 출처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다람쥐아목
다람쥐과
아과땅다람쥐아과
마멋족
마멋속
히말라야마멋
(M. himalayana)
학명Marmota himalayana
학명 명명자(Hodgson, 1841)
기타
MSW3 Sciuridae ID12400958

2. 계통 분류

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22]

{| class="wikitable"

|-

! 마멋족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마멋속

|-

|

{| class="wikitable"

|-

| 우드척

|-

| 고산마멋

|-

|

{| class="wikitable"

|-

| 노란배마멋

|-

|

{| class="wikitable"

|-

| 흰등마멋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알래스카마멋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검은머리마멋

|-

|

히말라야마멋
타르바간마멋



|}

|}

|}

|}

|}

|-

|

{| class="wikitable"

|-

| 땅다람쥐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작은땅다람쥐속

|-

|

{| class="wikitable"

|-

| 프랭클린땅다람쥐속

|-

|



|}

|}

|-

| 전북구땅다람쥐속

|}

|}

|}

|}

3. 특징

라다크 판공초 근처 히말라야마멋


히말라야마멋은 빽빽한 털을 가지고 있으며, 등은 적갈색 회색이고, 귀, 배, 다리는 적갈색을 띤 노란색이다. 코와 꼬리 끝은 짙은 갈색이다.[2] 집고양이 정도의 크기로 세계에서 가장 큰 마멋 중 하나이다. 평균 체중은 4kg~9.2kg 사이이며, 봄철 동면 후에는 가장 낮고 가을철 동면 전에는 가장 높다. 가을에는 수컷과 암컷 모두 평균 체중이 7kg을 넘는다. 전체 길이는 약 45cm~67cm이고, 꼬리 길이는 12cm~15cm이다.[7][8][9]

4. 분포 및 서식지

히말라야마멋은 파키스탄 북동부, 인도 북부, 네팔, 부탄, 그리고 중국의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에서 해발 3000m에서 5500m 사이에 서식한다.[6][10] 중국에서는 신장, 칭하이, 간쑤, 티베트(시짱), 쓰촨 서부, 윈난성에서 서식이 기록되었다.[11] 서쪽으로는 장미꼬리마멋(long-tailed marmot)의 서식지와 겹치지만, 두 종이 잡종화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히말라야마멋은 짧은 풀이 있는 초원이나 고산 지대, 보통 나무 한계선 위이지만 영구적인 눈의 한계선 아래에서 서식한다.[6]

라다크(Ladakh)의 간다 라(Ganda La) 근처 히말라야 마멋

5. 생태 및 행동

히말라야마멋은 군집을 이루어 생활하며, 겨울잠을 잘 때는 여러 마리가 함께 사용하는 깊은 굴을 판다.[10] 보통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7개월 반 동안 겨울잠을 잔다.[6] 굴은 빙하성, 산록 퇴적층, 충적층 등 윗부분의 흙이 충분히 가볍고 깊은 곳에 위치하며, 깊이는 최대 10m에 달한다. 충적층 테라스처럼 흙의 조건이 좋은 곳에서는 마멋 군집이 최대 30가구에 달하고, 1km² 면적에 최대 10가구가 서식하기도 한다. 마멋은 목초지에서 자라는 ''카렉스속'', ''아그로스티스속'', ''데샴프시아속'', ''콜레리아속'' 등의 풀의 부드럽고 즙이 많은 부분과 ''유프라시아속'', ''겐티아나속'', ''할레니아속'', ''폴리곤멈속'', ''프리뮬라속'', ''라누쿨루스속'', ''사우수레아속'', ''타락사쿰속'', ''아이리스 포타니니''와 같은 꽃을 피우는 식물을 즐겨 먹는다.[7]

히말라야 마멋이 굴에서 나오는 모습

5. 1. 번식

암컷은 2세에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임신 1개월 후에 2마리에서 1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0]

5. 2. 천적

티베트 고원에서 마멋 종은 눈표범의 먹이가 된다.[12] 히말라야마멋의 다른 포식자로는 티베트늑대, 붉은여우, 금색독수리와 같은 대형 맹금류가 있다.[13][14]

6. 문화

고대 그리스 작가들에게는 금을 캐는 개미(금을 캐는 개미)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마멋이 판 굴의 토사에서 금덩이(금덩이)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5][16] 프랑스 인류학자(인류학자) 미셸 페이셀(미셸 페이셀)은 그리스 역사가(역사가) 헤로도토스(헤로도토스)가 보고한 '금을 캐는 개미' 이야기가 데오사이 고원(데오사이 고원)의 히말라야 마멋과 미나로(미나로)와 같은 지역 부족들의 굴에서 파낸 금가루를 채취하는 습관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7]

바오 용칭(바오 용칭)이 촬영한 티베트 여우(티베트 여우)의 공격을 받고 있는 히말라야 마멋 사진이 2019년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상(올해의 야생동물 사진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18]

참조

[1] IUCN Marmota himalayana
[2] 저널 Notice of the Marmot of the Himalaya and of Tibet https://archive.org/[...]
[3] MSW3 Sciuridae
[4] 저널 Genetic evidence for subspecies differentiation of the Himalayan marmot, Marmota himalayana, in the Qinghai-Tibet Plateau 2017
[5] 서적 The Mammals of China and Mongolia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6] 저널 Taxonomic revision of the Palaearctic rodents (Rodentia). Part 2. Sciuridae: Urocitellus, Marmota and Sciurotamias
[7] 저널 Key factors determining the ecological niche of the Himalayan marmot, Marmota himalayana Hodgson (1841)
[8] 저널 Distribution and population of Himalayan Marmot Marmota himalayana (Hodgson, 1841) (Mammalia: Rodentia: Sciuridae) in Leh-Ladakh, Jammu & Kashmir, India
[9] 서적 Mammals of the World: A Checklis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4-05-13
[10] 서적 Status of non-volant small mammals: Conserv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Plan (C.A.M.P) workshop report Zoo Outreach Organisation / CBSG-South Asia
[11] 서적 A Guide to the Mammal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저널 Prey preferences of the snow leopard (Panthera uncia): regional diet specificity holds global significance for conservation
[13] 웹사이트 Marmota himalayana, Himalayan marmot https://animaldivers[...] 2011-08-02
[14] 웹사이트 After bats, do not make marmots into villains: Expert https://www.downtoea[...] 2020-08-02
[15] 뉴스 Himalayas offer clue to legend of gold digging 'ants' https://www.livius.o[...] 1996-11-25
[16] 뉴스 Marmots caught off guard http://www.thehindu.[...] 2013-09-22
[17] 서적 The Ants' Gold: The Discovery of the Greek El Dorado in the Himalayas Harvill Press
[18] 뉴스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2019 winners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19-10-16
[19] IUCN Marmota himalayana
[20] MSW3 Sciuridae
[21] 서적 Family Sciuridae D. E. Wilson and D. M. Reeder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2] 저널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http://www.mammalsoc[...] 20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