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로도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로도토스는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로, 《역사》를 저술하여 '역사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소아시아 할리카르나소스 출신으로, 페르시아 전쟁을 비롯한 다양한 사건들을 기록했으며, 지리, 풍속, 역사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 헤로도토스는 서양 최초의 역사서로 평가받는 《역사》를 통해, 문제 의식 설정, 정보 수집, 비판적 검토 등 역사 연구의 기본 태도를 제시했으며, 이오니아의 지적 활동과도 연관되어 있다. 그는 투키디데스와 비교되기도 하며, 현대에는 그의 기록이 다양한 관점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할리카르낫소스인 - 아르테미시아 1세
아르테미시아 1세는 할리카르나소스의 사트라프 딸이자 남편 사후 왕위를 계승,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당시 페르시아 함대 지휘관으로 참전하여 활약하며 헤로도토스로부터 지략과 용맹을 인정받고 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가 - 크테시아스
크테시아스는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출신 의사이자 역사가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시의로 쿠낙사 전투에 참전했으며, 아시리아와 페르시아 역사를 다룬 《페르시카》와 《인디카》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페르시카》의 역사적 신뢰성은 논쟁 중이다. -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가 - 헤카타이오스
헤카타이오스는 기원전 6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반 활동한 고대 그리스 로고그래퍼이자 지리학자로 "지리학의 아버지"로도 불리며, 『게스 페리오도스』와 『게네알로기아이』를 저술하고 아낙시만드로스의 지도를 개선한 세계 지도를 제작하는 등 당시 알려진 세계에 대한 지리적 정보와 그리스 신화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신화와 역사적 사실을 구별하려 한 초기 역사가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5세기 역사가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5세기 역사가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헤로도토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헤로도토스 |
원어 이름 | Ἡρόδοτος |
원어 이름 (그리스어) | Hēródotos |
라틴어 표기 | Herodotus |
출생 | 기원전 484년경 |
출생지 | 할리카르나소스, 카리아, 소아시아, 아케메네스 제국 |
사망 | 기원전 425년경 (약 60세) |
사망지 | 투리이, 칼라브리아 또는 펠라, 마케도니아 |
직업 | 역사가 |
아버지 | 뤼크세스 |
어머니 | 드뤼오투스 |
형제 | 테오도루스 |
친척 | 파니아시스 (삼촌 또는 사촌) |
주요 작품 | 역사 |
그리스어 표기 | Ἡρόδοτος ὁ Ἁλικαρνασσεύς |
그리스어 표기(현대 그리스어) | Ηρόδοτος ο Αλικαρνασσεύς |
라틴어 표기 | Hērŏdŏtus Hălĭcarnassensis |
기타 | |
로마자 표기 | Herodotoseu |
2. 생애
헤로도토스의 생애는 그의 저서 《역사》와 고대 문헌의 기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헤로도토스의 생애에 관한 주요 정보원은 다음과 같다.[22][23]
- 헤로도토스 자신의 저술
- 10세기경 동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에서 편찬된 수다사전에서 헤로도토스와 관련된 항목에 대한 언급.
- 고대 그리스 작가들의 단편적인 언급.
수다사전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소아시아 남부 카리아 지방의 도시 할리카르나소스(현재 튀르키예 보드룸) 출신이며, 아버지의 이름은 뤼크세스, 어머니의 이름은 드뤼오(로이오라고도 함)였다.[23] 테오도로스라는 형제가 있었고, 당시 유명한 시인 파니아시스는 그의 사촌(또는 삼촌)이었다.[23]
할리카르나소스는 도리아 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24][20] 헤로도토스 가문은 카리아 지방에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헤로도토스의 아버지 뤼크세스, 사촌(또는 삼촌) 파니아시스는 카리아계 이름이지만,[20][24] 어머니 드뤼오(로이오)는 그리스어 이름이다.[24] 헤로도토스와 테오도로스 형제 또한 그리스어 이름으로, 헤로도토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헤라 여신의 선물"이라는 뜻이다.
헤로도토스가 고향에 있던 무렵, 할리카르나소스는 아르테미시아 1세의 통치하에 있었다.[19] 헤로도토스가 그녀를 깊이 존경했던 것은 《역사》의 묘사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19] 그 후, 아르테미시아 1세의 아들 또는 손자인 뤼그다미스가 폭군이 되어 할리카르나소스를 지배하게 되자, 헤로도토스와 파니아시스는 뤼그다미스에 반대하는 정쟁에 참여했다. 그러나 파니아시스는 살해되었고, 헤로도토스는 고국에서 추방되어 사모스 섬에서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19]
헤로도토스는 사모스 섬에 어느 정도 머문 후, 아테네를 거쳐 기원전 444년[26] 또는 기원전 443년에 이탈리아에 건설된 신식민 도시 투리오이로 이주했다.[27][22]
그는 할리카르나소스의 지배 가문을 축출하려는 시도에 연루되어 추방되었고, 30세를 전후로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페니키아, 스키타이 지역(현재 우크라이나)을 여행하며 자료를 수집했다. 특히 고대 이집트 문명에 관한 기록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서 이집트학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89]
헤로도토스는 사모스 섬을 떠난 이후, 아테네, 키레네, 크리미아, 우크라이나 남부, 페니키아, 이집트, 바빌로니아 등을 여행했을 것이다.[28][29]
헤로도토스의 사망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역사》에서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동기와 초기 상황을 언급한 것을 미루어 볼 때, 기원전 420년대에 생존했던 것으로 여겨진다.[89]
2. 1. 초기 생애와 망명
헤로도토스는 소아시아의 할리카르나소스(현재 튀르키예의 보드룸)에서 유력한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 그의 친척인 서사시인 파니아시스가 참주 리그다미스 2세에게 피살되자, 헤로도토스 일가는 사모스 섬으로 망명했다.[8] 당시 할리카르나소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으므로, 헤로도토스는 어린 시절부터 페르시아의 정치, 군사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접했을 가능성이 있다.[6][7]《수다》(Suda)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의 폭군이자 아르테미시아 1세의 손자인 뤼그다미스 2세의 압제로 가족과 함께 사모스 섬으로 피난하여 소년 시절 이오니아 방언을 배웠다. 헤로도토스와 친척 관계인 서사시인 파니아시스는 실패한 반란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의 지배 가문을 축출하려는 시도에 연루되어 추방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2. 2. 여행과 저술 활동
헤로도토스는 도리아 인이 건설한 소아시아의 할리카르나소스(현재 튀르키예의 보드룸) 출신이다. 그의 선조는 카리아 지방에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친척인 서사시인 파니아시스가 참주 리그다미스 2세에게 살해되자, 헤로도토스 일가는 사모스 섬으로 망명했다. 이후 할리카르나소스로 돌아오지 않고 기원전 445년경 아테네에서 페리클레스, 소포클레스 등과 교류하며 이야기꾼으로 활동했다. 특히 시 낭독으로 인기를 얻어 아테네로부터 10타란트의 돈을 받았다고도 전해진다.[89]30세 전후, 헤로도토스는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페니키아, 스키타이 지역(현재 우크라이나)을 여행하며 자료를 수집했다. 특히 고대 이집트 문명에 대한 기록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이집트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헤로도토스는 도리아인 정착지에서 태어났지만, 《역사》를 이오니아 방언으로 저술했다. 《수다》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의 폭군 뤼그다미스의 압제로 가족과 함께 사모스 섬으로 피난하여 소년 시절 이오니아 방언을 배웠다고 한다.
《수다》는 헤로도토스가 고향으로 돌아와 폭군을 전복시킨 반란을 이끌었다고도 하지만, 최근 할리카르나소스에서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이오니아 방언이 할리카르나소스의 일부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었으므로, 그가 다른 곳에서 방언을 배웠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헤로도토스는 아테네인들과 함께 이집트를 여행했으며, 아마도 기원전 454년 이후 또는 기원전 460~454년 페르시아 지배에 대한 반란을 아테네 함대가 지원한 후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티레를 거쳐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바빌론으로 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447년경 페리클레스 시대의 아테네로 이주하여, 아테네 사람들과 민주주의 제도를 칭찬했다.
플루타르크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아테네 의회로부터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10아티카 타란트의 재정적 보상을 받았다.[9]
기원전 444년(또는 기원전 443년), 아테네가 건설한 남이탈리아의 식민도시 투리오이로 이주하여 시민이 되었고, 그곳에서 여생을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89]
2. 3. 사망
헤로도토스의 사망 연도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그가 저술한 《역사》에서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초기 상황을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기원전 420년대까지는 생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9]사망 장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아테네가 후원한 식민지였던 투리오이에서 사망했다는 설,[89] 페스트가 유행하던 아테네에서 사망했다는 설, 마케도니아에서 사망했다는 설 등이 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27][29] 《역사》에는 기원전 430년 이후의 시점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내용이 없어, 일반적으로는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0]
3. 《역사》 기술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서양 최초의 역사책으로, 전 9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시아와 유럽 간의 갈등부터 페르시아 전쟁 종결까지 다루고 있지만, 제9권은 미완성이다. 키케로는 헤로도토스를 '역사의 아버지'라 칭했다. 《역사》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과 페르시아 제국 간의 전쟁뿐만 아니라, 헤로도토스가 여행한 여러 지역의 문화, 풍습, 역사도 폭넓게 다루었다. 그는 여행지에서 만난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기록했으며, 확인할 수 없는 증언은 사실 여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덧붙였다.[90]
그러나 헤로도토스의 역사 기술은 사실과 다르거나 편향적인 시각이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 2세기 작가 루키아노스는 《실화》에서 헤로도토스를 거짓말쟁이로 비난했고, 일부 학자들은 헤로도토스가 여행 범위를 과장하고 정보 출처를 지어냈다고 주장했다.[90]
하지만 고고학적, 문헌학적 발견으로 헤로도토스의 기술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20세기 중반 이후 《역사》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 현재 헤로도토스는 역사뿐만 아니라 민족지, 인류학의 아버지로도 평가받는다.[90]
헤로도토스는 나일강의 연례 범람이 남쪽 눈이 녹아서라는 증언, 페니키아 뱃사람들이 아프리카를 항해하며 태양이 오른쪽에 있었다는 증언 등 자신이 믿지 않은 증언도 기록하여 당시 지리학 정보를 남겼다.[90]
《역사》는 지리, 풍속, 역사, 삽화, 종교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어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동서 간 항쟁이라는 일관된 주제 속에 페르시아 전쟁을 포함시켜 역사적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문체는 다양하고 유연하며, 직설적 묘사, 과학적 산문, 극적 긴장감을 주는 표현 등 변화가 풍부하다. 줄거리의 교묘함, 서사시적 웅대함, 재미와 교훈을 주는 수완, 낭독을 목적으로 한 점 등이 헤로도토스를 '산문의 호메로스'로 불리는 이유이다.[90]
3. 1. 저술 목적과 방법
헤로도토스는 인류의 업적, 특히 그리스인과 이방 민족들 간의 전쟁 원인을 후세에 남기고자 《역사》를 저술했다. 그는 서문에서 자신의 저술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헤로도토스는 직접 보고 들은 것뿐만 아니라, 여행지에서 만난 사람들의 다양한 증언을 토대로 역사를 기록했다. 그는 확인할 수 없는 증언에 대해서는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나일강의 범람에 대해서는 남쪽에서 눈이 녹아 발생한다는 증언을 들었지만, 더운 곳에 눈이 있을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페니키아 뱃사람들이 아프리카를 항해하며 태양이 오른쪽에 있었다는 증언도 기록했다.[90]
헤로도토스는 자신이 의심하는 정보도 사실인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함께 『역사』에 모두 기록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다음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탐구 방법이 현대의 역사 연구와는 달리, 현지를 직접 돌아다니며 사람들에게 듣고 경험하는 것이 중심이었다고 밝혔다.[31]
그는 『역사』에서 신과 인간의 관계 등 여러 문제에 대해 명확하고 일관된 철학적 태도를 보이지는 않았다.[37] 영웅 시대의 역사나 신화적 전승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신화를 완전히 거부하지는 않았다.[37] 때로는 신화적 이야기에 대해 풍자를 덧붙이기도 했다.[37]
플루타르코스(Plutarch)와 에우세비오스(Eusebius)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역사』의 내용을 각지에서 구연하였다고 한다. 이는 청중을 즐겁게 하기 위한 여러 설화와 여담을 삽입하고, 본론에서 벗어나는 『역사』의 특징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39]
3. 2. 구성과 특징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서양 최초의 역사책으로 여겨지며, 총 9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아시아와 유럽 간의 갈등에서 페르시아 전쟁의 종결까지를 다루고 있지만, 제9권은 미완성이다.[90] 키케로는 헤로도토스를 '역사의 아버지'라 불렀다.《역사》는 지리, 풍속, 역사, 삽화, 종교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동서 간의 항쟁이라는 일관된 주제 아래 구성되었다. 헤로도토스는 자신이 직접 여행하며 수집한 여러 지역의 문화, 풍습, 역사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담았다. 특히, 여행 중 만난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기록하였는데, 확인할 수 없는 증언에 대해서는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기도 했다.[90]
2세기의 작가 루키아노스는 그의 작품 《실화》에서 헤로도토스를 거짓말쟁이로 비난하는 등 비판적인 시각도 있었지만,[90], 새로운 고고학적, 문헌학적 발견을 통해 헤로도토스의 기술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20세기 중반 이후 《역사》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90]
헤로도토스는 나일강의 범람 원인에 대한 증언이나, 페니키아 뱃사람들이 아프리카를 항해하면서 본 태양의 위치에 대한 증언 등 자신이 믿지 않는 정보도 함께 기록하여 당시의 지리학적 정보를 후대에 전해주었다.[90] 이러한 기술 방식은 그가 정보를 선별하지 않고 들은 그대로 기록했음을 보여준다.
《역사》의 문체는 직설적 묘사, 과학적 산문, 극적 긴장감을 주는 표현 등 다양하고 유연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문체의 매력과 더불어 줄거리의 교묘함, 서사시적 웅대함, 재미와 교훈을 동시에 주는 능력, 그리고 낭독을 목적으로 한 점 등이 헤로도토스를 '산문의 호메로스'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페르시아 전쟁을 주제로 한 동시대사를 기록하고자 했다.[31] 그는 서문에서 자신의 집필 목적과 방법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여기서 '이방인(바르바로이)'은 페르시아인을 가리킨다.[33] 헤로도토스는 저술 방법으로 '조사·탐구(Ἱστορίαι|히스토리에grc)'라는 그리스어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예 중 하나이다.[32]
헤로도토스는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와 같이 각 폴리스의 전승을 산문으로 엮은 로고그라포이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저술 태도는 헤카타이오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30][32]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총 9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헤로도토스 자신이 아닌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이 분류한 것이다.[29] 현재 남아 있는 『역사』의 전체 구성은 헤로도토스가 처음부터 구상한 것이 아니라, 나중에 보충하면서 정리된 것으로 추정된다.[34]
헤로도토스는 사료를 확인하기보다는 현지를 돌아다니며 관계자에게 직접 듣고 경험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했다.[31] 그는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는 것을 중요시했지만, 부족한 정보는 전문이나 증언으로 보충했다.[35] 신빙성이 의심되는 정보도 기록에 포함시켰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기록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가 철저하지는 않았고, 채록 기준이 애매했으며, 신과 인간의 관계와 같은 문제에 대해 명확하고 일관된 철학적 태도를 가지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37] 헤로도토스는 영웅 시대의 역사는 다루지 않았고, 신화적 전승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신화를 명확하게 거부하지는 않았다.[37]
플루타르코스(Plutarch)와 에우세비오스(Eusebius)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역사』의 내용을 각지에서 구연하였다고 한다. 이는 청중을 즐겁게 하기 위한 여러 설화와 여담이 삽입되고 본론에서 벗어나는 『역사』의 특징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39]
헤로도토스는 역사라는 개념이 없던 시대에 저술 활동을 했다. 이는 고대 그리스 이오니아 지방의 활발한 지적 활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밀레토스 학파를 비롯한 여러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았다.[48][49][50]
헤로도토스는 호메로스 이래의 신화와 서사시에 의문을 제기하고, 신화에 등장하는 계보의 모순, 사건의 상호 관계의 일관성, 신들의 비윤리적인 행위 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54][55]
헤로도토스는 로고그라포이라고 불리는 저술가들의 영향을 받아, 여러 폴리스의 전승을 운문이 아닌 산문으로 기록했다.[56] 그는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저술 태도는 헤카타이오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에서 태어났는데, 이곳은 이오니아의 남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 그는 지적으로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으며, 이오니아 철학자들의 논의에 접하고 이를 이해하고 있었다.[52]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이오니아의 지적 맥락 속에 위치해 있다.[59]
헤로도토스는 세계를 아시아와 유럽으로 나누는 분류법을 사용했지만, 이 분류법의 결점을 비판하고 실태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판하기도 했다.[60] 그는 그리스를 유럽, 아시아와는 다른 독자적인 세계로 파악하려는 묘사를 보였다.[60]
이러한 헤로도토스의 사고방식은 히포크라테스의 저서로 전해지는 『공기, 물, 장소에 관하여』에도 나타난다.[61] 히포크라테스는 기후와 환경이 사람들의 건강과 성격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와 유럽 주민의 차이를 논했다.[61] 히포크라테스는 유럽 주민으로 스키타이인을 언급하며, 그리스와 유럽을 구별하는 듯한 서술 방식을 취했다.[62] 이러한 생각은 그리스를 아시아, 유럽과는 다른 별개의 영역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이오니아 지방 출신 사람들의 독특한 위치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63]
3. 3. 비판과 평가
헤로도토스는 《역사》를 저술하면서 사실과 다른 내용, 편향적인 시각, 과장된 여행 범위, 정보 출처 조작 등의 비판을 받았다.[90] 2세기의 작가 루키아노스는 《실화》에서 헤로도토스를 거짓말쟁이로 비난하기도 했다.[90] 그러나 고고학적, 문헌학적 발견으로 헤로도토스의 기술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역사》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90] 그리하여 헤로도토스는 역사뿐만 아니라 민족지, 인류학의 아버지로도 평가받는다.[90]헤로도토스는 나일강이 매년 범람하는 이유에 대해 남쪽에서 눈이 녹아서라는 증언을 들었지만, 세상에서 가장 더운 곳에 눈이 있을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고 기록했다.[90] 또한 페니키아 뱃사람들이 아프리카를 항해하면서 서쪽으로 갈 때 태양이 오른쪽에 떠 있는 것을 보았다는 증언도 기록하여, 당시 지리학에 관한 정보를 남겼다.[90]
헤로도토스는 과거의 위대한 업적을 후세에 남기고자 하는 서사시적 발상에서 지리, 풍속, 역사, 삽화, 종교 등 다양한 사항을 《역사》에 수록했다. 이 때문에 때로는 주제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동서양의 항쟁이라는 일관된 역사적 흐름 속에 페르시아 전쟁을 포함시켜 역사적 통찰력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역사》의 문체는 다양성과 유연성을 지니고 있으며, 직설적인 묘사와 건조한 문체, 극적인 긴장감을 주는 표현 등 변화가 풍부하다. 또한 줄거리의 교묘함, 서사시적 웅대함, 재미와 교훈을 주는 수완, 낭독을 목적으로 한 점 등이 헤로도토스가 '산문의 호메로스'로 불리는 이유이다.[90]
한편, 헤로도토스는 이상한 이야기와 민담을 많이 기록하여 "거짓말의 아버지"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1] 심지어 그의 동시대인들조차 그의 업적을 비웃었으며, 아테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헤로도토스를 이야기꾼으로 치부했다. 수사학을 배운 투키디데스는 자료를 확고하게 통제하는 작가로서 이후 산문 작가들의 모델이 되었지만, 헤로도토스는 빈번한 여담을 통해 저술가로서의 통제를 최소화하거나 숨기려고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4] 현대 학자들은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부정확하다고 믿으며, 《역사》에서 관찰되는 불일치를 과장으로 돌리기도 한다.[16][17][18]
4. 헤로도토스에 대한 평가
헤로도토스는 역사가로 분류되지만,[40] 그 자신은 '역사'를 쓴다는 명확한 의식 없이, '자신의 연구 조사 결과'를 이야기했을 뿐이었다.[41][42] 그가 사용한 '히스토리에(ἱστορίαι)'라는 그리스어는 '조사' 또는 '심문'을 의미했다.[41]
헤로도토스 사후, 그리스에서는 '역사'라는 장르가 확립되었고, 그의 업적은 그 선구자로 자리매김되었다.[44] 아리스토텔레스는 헤로도토스를 역사가로 분류하며, 역사가와 시인의 차이를 언급했다.[44]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의 역사서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명성을 잃지 않고 현대까지 전해졌다.[22] 그의 삶에 대한 정보는 10세기 동로마 제국의 수다사전, 고대 그리스 작가들의 단편적인 언급, 그리고 자신의 저술에 의존해야 한다.[22][23]
수다사전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 출신으로, 가족으로는 아버지 뤼크세스, 어머니 드뤼오(로이오), 형제 테오도로스, 사촌(또는 삼촌)인 시인 파뉴아시스가 있었다.[23] 그는 명문가 출신으로, 지적·문화적으로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다.[20]
헤로도토스는 아르테미시아 1세를 존경했으며, 뤼그다미스 폭정에 반대하다 고국에서 추방되어 사모스로 망명했다.[19] 이후 아테네를 거쳐 투리오이로 이주했다.[26][27][22] 그는 키레네, 크림반도, 우크라이나 남부, 페니키아, 이집트, 바빌로니아 등을 여행하며 지식을 쌓았다.[28][29]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대중 앞에서 구술 발표로 알렸으며,[10] 축제에서 저술을 낭송하는 방식으로 '출판'했다. 루키아누스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올림픽 경기에서 『역사』 전체를 낭독하여 열렬한 박수갈채를 받았다. 포티우스와 츠테체스에 따르면, 젊은 투키디데스가 그의 낭독을 듣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헤로도토스는 이상한 이야기와 민담을 많이 전해 '거짓말의 아버지'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11] 현대 역사가들은 그의 기록이 부분적으로 부정확하다고 평가하면서도,[16][17][18] 정보 출처를 공개하고 다양한 설을 제시하여 독자에게 판단을 맡긴 점을 높이 평가한다.[76]
4. 1. '역사의 아버지'
키케로는 자신의 저서 『법률에 관하여』에서 헤로도토스를 "역사의 아버지 (''pater historiae''la)"라고 불렀다.[46]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집필자와 주제(페르시아 전쟁의 조사 연구)를 명확히 밝혔고, 그 조사 연구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태도를 보였다.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조사한다", "정보를 대조하여 검토한다", "조사 결과를 정확하게 보고하고, 직접적인 정보와 간접적인 정보의 구별, 정보에 대한 평가, 자신이 믿는 정보와 신뢰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의 구별을 한다"는 것이었다.[47] 이러한 태도는 후대의 역사 연구의 기본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평가받는다.[47]4. 2. 이오니아 지적 활동과의 연관성
헤로도토스의 저술은 이오니아 지방의 활발한 지적 활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그는 밀레토스 학파, 헤라클레이토스, 피타고라스, 히포크라테스 등 이오니아 출신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았다.[25]헤로도토스는 로고그라포이(산문 저술가) 중 한 명인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의 영향을 받아 신화와 전승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30][32] 헤카타이오스는 각 도시의 전승을 산문으로 정리한 인물이다.
4. 3. 투키디데스와의 비교
투키디데스는 헤로도토스를 이야기꾼으로 취급했다. 수사학을 배운 투키디데스는 자료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방식으로 글을 썼고, 이후 산문 작가들의 모범이 되었다. 반면 헤로도토스는 잦은 여담을 통해 작가로서의 통제를 최소화하거나 숨기려 했다.[14] 투키디데스는 폴리스 또는 도시 국가와 같이 그리스 세계관에 더 잘 맞는 역사적 주제에 집중했다. 하지만 아나톨리아에 살았던 헤로도토스에게는 문명 간의 상호 작용이 더 중요했는데, 외국 문명 속에서의 삶은 그에게 최근의 기억이었기 때문이다.투키디데스는 "실증적"인 저술 태도로 유명하며, 사용하는 자료를 엄격하게 선별했다.[70] 그는 아마도 헤로도토스를 최초로 비판한 사람일 것이며, 그의 저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헤로도토스의 저술 태도를 비판하는 듯한 글을 남겼다.[72][73][74] 투키디데스는 헤로도토스가 사용한 "히스토리에"(조사·탐구) 대신 "제테시스"(추구·규명)라는 용어를 사용했다.[72] 이것이 헤로도토스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인지, 선배를 의식한 것인지는 의견이 갈리지만, 어느 쪽이든 헤로도토스를 의식한 결과였을 것이다.[72]
헤로도토스는 1인칭으로 자주 이야기하는 반면, 투키디데스는 객관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3인칭으로 기술하는 것을 철저히 했다. 심지어 자신이 직접 관련된 사건에 대해서도 3인칭으로 썼다.[75] 이러한 투키디데스의 저술 방식은 전통적으로 엄밀하고, 공정하며, 객관적이라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헤로도토스가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것에 비해, 근대에는 투키디데스가 "실증적 역사학의 아버지", "과학적 역사학의 조상"으로 불리기도 했다.[75]
고대에는 "실증적"인 투키디데스에 비해 헤로도토스의 평가는 상당히 박했다.[69] 그러나 현대에는 이러한 평가가 많이 바뀌고 있다. 헤로도토스는 정보의 출처나 종류(직접 들은 것, 본 것, 추론한 것)를 자주 공개하고, 여러 가지 다른 주장을 나열하여 독자에게 판단을 맡기기 때문이다. 반면 투키디데스는 정보원 자체를 독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자신이 여러 정보를 선택하여 도달한 "진실"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정보의 출처를 확인하고, 여러 정보를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토하고 결론의 근거를 만드는 현대 역사학의 기본에서 "실증적"이라고 보기 어렵다.[76] 따라서 현대에는 실증적인 투키디데스와 그렇지 않은 헤로도토스라는 대비가 반드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4. 4. 현대적 평가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이상한 이야기와 민담을 많이 전했기 때문에, 비평가들로부터 "거짓말의 아버지"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1] 심지어 그의 동시대인들조차도 그의 업적을 비웃었다고 한다. 한 현대 학자는 헤로도토스가 그리스 아나톨리아의 고향을 떠나 서쪽으로 이주한 이유가 동포들의 조롱 때문이라고 추측했을 정도이다.아테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헤로도토스를 이야기꾼으로 취급하며 그의 역사 서술 방식을 비판했다. 수사학을 배운 투키디데스는 자료를 확고하게 통제하는 방식으로 글을 썼지만, 헤로도토스는 여담을 통해 저술가로서의 통제를 최소화하거나 숨기려 했다.[14] 투키디데스는 폴리스 중심의 역사적 주제에 초점을 맞춘 반면, 헤로도토스는 문명 간의 상호 작용에 더 주목했다.
현대 역사가들은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부분적으로 부정확하다고 보기도 한다.[16][17][18] 그러나 헤로도토스는 정보의 출처와 종류(전문, 목격, 추론)를 자주 공개하고, 여러 가지 다른 설을 제시하여 독자에게 판단을 맡겼다. 반면 투키디데스는 정보원 자체를 제공하지 않고 자신이 선택한 "진실"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현대 역사학의 기본에 비추어 볼 때 "실증적"이라고 보기 어렵다.[76] 따라서 현대에는 투키디데스와 헤로도토스를 실증성 여부로 대비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참조
[1]
사전
Herodotus
[2]
서적
The Greek Historians
https://books.google[...]
[3]
백과사전
Herodotus
https://www.britanni[...]
2021-03-30
[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5]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ero'dotus
http://www.perseus.t[...]
John Murray
2023-08-05
[6]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Achaemenid Empire
Brill
[7]
서적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8]
웹사이트
Histories of Herodotus
https://ia804708.us.[...]
[9]
웹사이트
Plutarch on the Malice of Herodotus
http://www.bostonlea[...]
2022-01-26
[10]
서적
The Histories
Penguin Books
[11]
웹사이트
Herodotus: Father of History, Father of Lies
http://www.loyno.edu[...]
2009-11-16
[12]
서적
The Peloponnesian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
서적
Herodotus and Greek History
Taylor and Francis
[14]
서적
The Histories by Herodotus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Genius of Sophocles
[16]
웹사이트
8 Myth and Truth in Herodotus' Cyrus Logos
https://academic.oup[...]
2023-09-27
[17]
웹사이트
Herodotus
https://www.worldhis[...]
2023-09-27
[18]
웹사이트
Herodotus, Homer, and The Histories
https://you.stonybro[...]
2023-09-27
[19]
서적
ヘロドトス
[20]
서적
桜井
[21]
서적
ヘロドトス
[22]
서적
ベリー
[23]
서적
ヘロドトス
[24]
서적
ヘロドトス
[25]
서적
ベリー
[26]
서적
ヘロドトス
[27]
서적
桜井
[28]
서적
大戸
[29]
서적
ベリー
[30]
서적
大戸
[31]
서적
大戸
[32]
서적
桜井
[33]
서적
大戸
[34]
서적
ベリー
[35]
서적
大戸
[36]
서적
『歴史』巻2
[37]
서적
ベリー 1966
[38]
서적
『歴史』巻7
[39]
서적
大戸 2012
[40]
서적
桜井 2006
[41]
서적
大戸 2012
[42]
서적
桜井 2006
[43]
서적
大戸 2012
[44]
서적
桜井 2006
[45]
서적
大戸 2012
[46]
서적
大戸 2012
[47]
서적
大戸 2012
[48]
서적
桜井 2006
[49]
서적
桜井 2006
[50]
서적
高橋 2014
[51]
서적
高橋 2014
[52]
서적
桜井 2006
[53]
서적
大戸 2012
[54]
서적
大戸 2012
[55]
서적
大戸 2012
[56]
서적
大戸 2012
[57]
서적
大戸 2012
[58]
서적
大戸 2012
[59]
서적
桜井 2006
[60]
서적
桜井 2006
[61]
서적
桜井 2006
[62]
서적
桜井 2006
[63]
서적
桜井 2006
[64]
서적
大戸 2012
[65]
서적
大戸 2012
[66]
서적
桜井 2006
[67]
서적
大戸 2012
[68]
서적
『歴史』巻3
[69]
서적
桜井 2006
[70]
서적
桜井 2006
[71]
서적
歴史
[72]
서적
桜井 2006
[73]
서적
歴史
[74]
서적
大戸 2012
[75]
서적
大戸 2012
[76]
서적
大戸 2012
[77]
서적
桜井 2006
[78]
서적
大戸 2012
[79]
서적
歴史
[80]
서적
ベリー 1966
[81]
서적
桜井 2006
[82]
서적
桜井 2006
[83]
서적
桜井 2006
[84]
서적
大戸 2012
[85]
문서
聴衆の存在を前提に、様々な挿話によってその関心を惹きつけるホメロス以来の伝統的な事物の語りの伝統
[86]
서적
大戸 2012
[87]
서적
법률론 (De legibus)
[88]
백과사전
Herodotos
Oxford University Press
[89]
백과사전
헤로도토스 [Herodotos]
두산백과
[90]
백과사전
헤로도토스 [Herodotos]
두산백과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