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표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표범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산악 지역에 분포한다. 학명은 Panthera uncia이며, 과거에는 Uncia 속에 속했으나 계통 발생 연구를 통해 Panthera 속으로 분류되었다. 눈표범은 회색 바탕에 검은 점이 있는 독특한 외모를 가지며, 꼬리가 길고 털이 두꺼워 추운 환경에 적응했다. 주로 야생 양, 야생 염소, 사슴 등을 먹고 살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 눈표범은 중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상징으로 사용되며,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범아과 -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구름표범은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회색빛 노란색 또는 회색 몸에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는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표범아과 - 타이완구름표범
타이완구름표범은 대만에 서식했던 구름표범으로, 연한 황갈색 털에 구름 모양의 큰 무늬와 작은 반점이 있고 짧은 꼬리를 가졌으나, 현재는 별개 아종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1989년 이후 발견 기록이 없어 절멸된 것으로 간주되지만, 대만 원주민 문화에서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진다. - 파키스탄의 상징 - 인더스강
인더스강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파키스탄과 인도를 관통하는 주요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이자 현재까지도 중요한 수자원 역할을 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기후변화와 수자원 분쟁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파키스탄의 상징 - 파이잘 모스크
파이잘 모스크는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 위치한 모스크로, 사우디아라비아의 파이살 국왕의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아랍 베두인 텐트를 본뜬 독특한 디자인과 4개의 높은 첨탑을 특징으로 한다. - 1775년 기재된 포유류 - 검은등자칼
검은등자칼은 개과 동물로, 케이프자칼과 동아프리카자칼의 두 아종으로 나뉘며, 가로줄무늬자칼과 함께 계통 분류상 개과 내에서 비교적 기저에 위치한다. - 1775년 기재된 포유류 - 회색여우
회색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나무를 오를 수 있는 잡식성 동물이다.
눈표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Panthera uncia |
명명자 | Schreber, 1775 |
이명 | Felis uncia Schreber, 1775 Felis irbis Ehrenberg, 1830 Felis uncioides Horsfield, 1855 Uncia uncia Pocock, 1930 Panthera baikalensis-romanii Medvedev, 2000 |
영명 | Snow leopard |
한국어 이름 | 눈표범 |
중국어 이름 | 雪豹 |
티베트어 이름 | གསའ་གཟིག |
네팔어 이름 | हिउँ चितुवा |
위구르어 이름 | يىلپىز |
타지크어 이름 | Паланги барфӣ |
키르기스어 이름 | Илбирс |
서식 고도 | 3000~4500m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고양이과 |
아과 | 표범아과 |
속 | 표범속 |
종 | 눈표범 |
보존 상태 | |
IUCN | VU |
CITES | 부속서 I |
IUCN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2732/50664030 |
참고 자료 | |
참고자료 | https://cites.org/sites/default/files/eng/app/2020/E-Appendices-2020-08-28.pdf https://www.speciesplus.net/#/taxon_concepts/32743/legal https://www.iucnredlist.org/details/22732/0 https://animaldiversity.org/accounts/Uncia_uncia/ Luke Hunter "유키효우" 성도열남 "네코과의 분류" Gillian Kerby "그 밖의 대형고양이들" 오하라 히데오 "유키효우" |
기타 | |
로마자 표기 | Panthera uncia |
2. 명칭과 어원
유라시아 스라소니(''Lynx lynx'')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던 고대 프랑스어 단어 ''once''는 라틴어 단어 ''uncia''와 영어 단어 ounce의 어원이 된다. ''Once''는 잘못된 분리 과정을 통해 이전 형태의 ''lynx''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Once''는 원래 프랑스어에서 ''la''('the')의 축약형인 ''l'''을 포함하여 ''l'once''로 발음되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이후 동물의 이름으로 이해되었다.[2]
''panther''(표범)라는 단어는 고전 라틴어 ''panthēra''에서 유래하며, 이 단어는 점박이 고양이를 가리키는 고대 그리스어 πάνθηρ ''pánthēr''에서 비롯된다.[3]
3. 분류
1777년 요한 크리스티안 다니엘 폰 슈레버는 바바리 해안, 페르시아, 동인도, 중국에 눈표범이 서식한다고 가정하고 ''Felis uncia''라는 학명을 사용했다.[4] 1854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꼬리가 길고 두꺼운 아시아 고양이를 위해 ''Uncia''라는 속 이름을 제안했다.[5] 1830년 크리스티안 고트프리트 에렌베르크가 제안한 ''Felis irbis''는 알타이 산맥에서 채취한 암컷 눈표범의 가죽이었다.[6] 1855년 토마스 호스필드가 제안한 ''Felis uncioides''는 동인도 회사 박물관 소장의 네팔산 눈표범 가죽이었다.[7]
1930년 레지널드 이네스 포콕은 ''Uncia uncia''를 사용했고, 눈표범과 표범 가죽의 형태학적 차이점을 설명했다.[8] 2000년 러시아 과학자가 제안한 ''Panthera baikalensis-romanii''는 자바이칼 지방 남부 페트롭스크 자바이칼스키 군 출신의 짙은 갈색 눈표범 가죽이었다.[9]
2017년 봄까지는 아종을 인식할 수 있는 증거가 없었다. 이후 계통 지리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세 가지 아종을 인식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4]
이러한 견해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논쟁 및 지지되기도 했다.[15][16][17][18]
프랑스에서 발견된 약 57만 년에서 53만 년 전 초기 중기 플라이스토세의 화석 자료를 바탕으로 멸종된 아종 ''Panthera uncia pyrenaica''가 2022년에 기술되었다.[19] 파키스탄 파비 언덕에서 발견된 눈표범 화석은 초기 플라이스토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27]
3. 1. 계통 분류
눈표범은 식육목 고양이과 표범속(Panthera)에 속하며, 가장 가까운 종은 같은 속의 호랑이(Panthera tigris)이다. 이전에는 눈표범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유전자 분석 결과에 따라 표범속으로 분류된다.[109]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09]
{| class="wikitable"
|-
| 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표범아과
|-
|
{| class="wikitable"
|-
! 표범속
|-
|
{| class="wikitable"
|-
|
눈표범 |
호랑이 |
|-
|
{| class="wikitable"
|-
| 재규어
|-
|
|}
|}
|}
|-
! 고양이아과
|}
|}
살아있는 고양잇과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DNA 염기서열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눈표범은 호랑이(''P. tigris'')와 자매군을 형성한다. 이들의 유전적 분기 시점은 약 462만 년 전에서 182만 년 전 사이로 추정된다.[21][22] 눈표범과 호랑이는 아마도 370만 년 전에서 270만 년 전 사이에 분리되었을 것이다.[11]
2006년에 발표된 X염색체, Y염색체,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분자계통 분석에서는 호랑이와 단계통군을 형성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100]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구름표범(Neofelis nebulosa)
|-
|
{| class="wikitable"
|-
|
호랑이(Panthera tigris) |
눈표범(Panthera uncia) |
|-
|
{| class="wikitable"
|-
| 표범(Panthera pardus)
|-
|
|}
|}
|}
|-
| 고양이아과(혹은 고양이족)
|}
|}
3. 2. 진화
1777년 요한 크리스티안 다니엘 폰 슈레버(Johann Christian Daniel von Schreber)는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Georges-Louis Leclerc, Comte de Buffon)의 이전 설명을 바탕으로 눈표범을 기술하면서 바바리 해안, 페르시아, 동인도, 중국에 서식한다고 가정하여 ''Felis uncia''라는 학명을 사용했다.[4] 1854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John Edward Gray)는 꼬리가 길고 두꺼운 아시아 고양이를 위해 ''Uncia''라는 속 이름을 제안했다.[5]1930년 레지널드 이네스 포콕(Reginald Innes Pocock)은 아시아산 ''Panthera'' 종의 가죽과 두개골을 검토하면서 ''Uncia uncia''를 사용했다. 그는 또한 눈표범과 표범 가죽의 형태학적 차이점을 설명했다.[8]
눈표범은 오랫동안 단형 속 ''Uncia''로 분류되었다.[10] 계통 발생 연구 결과에 따라 ''Panthera'' 속에 포함되었다.[21][11][12][13]
살아있는 고양잇과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DNA 염기서열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눈표범은 호랑이(''P. tigris'')와 자매군을 형성한다. ''Panthera''속은 아마도 중앙아시아 북부에서 기원했을 것이다.
4. 외양과 신체적 특징
눈표범은 일반 표범보다 몸집이 작으며, 몸무게는 평균 50kg, 몸길이는 62.4~95.4cm, 어깨 높이는 1m 가량이다. 크고 모피로 덮인 발은 설피(雪皮) 역할을 하며, 옆구리에 장미꽃 모양의 무늬가 있고 머리에도 반점들이 있다. 털은 조밀하고 회색을 띠며 갈색 점이 있는데, 이러한 회색 몸색깔은 눈이 덮인 곳에서 눈에 잘 띄지 않게 한다. 꼬리는 몸길이만큼 길어(약 1m) 벼랑 끝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털빛은 위쪽이 회색, 아랫부분은 하얀색이다.[108]
눈표범의 털은 희끄무레한 회색이며, 머리와 목에는 검은 반점이 있고, 등, 옆구리, 그리고 숱이 많은 꼬리에는 더 큰 장미무늬가 있다. 주둥이는 짧고, 이마는 둥글며, 비강은 크다. 털은 길이가 5cm에서 12cm에 달하는 굵은 털로 되어 있으며, 배는 희다. 어깨 높이는 56cm이고, 머리부터 몸까지의 크기는 75cm에서 150cm이다. 꼬리는 80cm에서 105cm이다.[28] 수컷의 평균 체중은 45kg 에서 55kg이고, 암컷은 35kg 에서 40kg이다.[74] 드물게 75kg에 달하는 큰 수컷과 25kg 이하의 작은 암컷이 기록되기도 했다.[29] 송곳니는 28.6mm 길이로 다른 ''Panthera'' 종보다 가늘다.[30]
눈표범은 차갑고 산악 지대의 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적응한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작고 둥근 귀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넓은 발바닥은 눈 위를 걸을 때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 발바닥의 털은 가파르고 불안정한 표면에서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길고 유연한 꼬리는 바위 지형에서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된다. 꼬리는 지방 축적 때문에 매우 굵고 두꺼운 털로 덮여 있어, 고양이가 잠잘 때 담요처럼 얼굴을 보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31]
눈표범은 다른 ''Panthera'' 종과는 주둥이가 짧고, 이마가 높고, 턱이 수직이며, 아래 턱의 후방 돌기가 덜 발달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8] 부분적으로 골화된 설골에도 불구하고, 눈표범은 9mm의 짧은 성대가 기류에 대한 저항이 거의 없기 때문에 포효할 수 없다.[32][33] 눈표범의 비강 개구부는 두개골 길이와 구개 너비에 비해 크다. 크기 덕분에 한 번 호흡으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최적화되고,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따뜻해진다.[34] 눈표범은 고산증에 특별히 적응되어 있지 않다.
몸길이(頭胴長) 수컷 104~125cm, 암컷 86~117cm이다.[94] 꼬리 길이 78~105cm.[94] 어깨 높이 60cm.[98] 몸무게 수컷 25~55kg, 암컷 21~53kg.[94] 꼬리는 몸길이의 75~90%로 길며, 몸에 감아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거나 사냥 시 경사면 등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꼬리를 포함한 온몸은 긴 털로 덮여 있으며 고산 지대와 한랭 지대에 적응하고 있다.[95][98] 겨울에는 특히 길어진다.[95] 예를 들어 여름에는 몸통 측면과 배 부분의 털 길이는 각각 2.5cm와 5cm이지만 겨울에는 5cm와 12cm까지 길어진다.[98]
털 색깔은 등 쪽은 밝은 회색이나 밝은 황색이며[98], 배 쪽은 흰색이다.[95] 몸통 측면에는 어두운 색의 반점으로 테두리가 둘러진 희미한 반점이 있다.[95] 정중선을 따라 검은 줄무늬가 있다.[97][98]
귀는 작다.[95] 눈은 위쪽에 위치하며, 바위 그늘에 숨어 먹이를 찾는 데 적합하다고 생각된다.[95] 홍채는 회황색이며, 동공은 둥글게 수축한다.[95] 콧구멍은 넓으며[94][99], 이로 인해 차가운 공기를 들이마셔도 따뜻하게 하고 습도를 줄 수 있다.[98] 발바닥은 털로 덮여 있으며[95], 방한 역할을 하고 접촉 면적이 커져 눈 위에서도 미끄러지지 않는다.[97] 출산 직후 새끼는 몸길이 24cm,[98] 몸무게 300~600g이다.[99]
5. 분포
눈표범은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산악 지역에 걸쳐 12개국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 면적은 1230000km2에 달한다. 서식 국가는 몽골, 아프가니스탄, 중국, 부탄, 네팔, 인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러시아, 우즈베키스탄이다.
중국에서는 티베트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톈산산맥, 간쑤성, 칭하이성, 쓰촨성 일부에 분포하며, 윈난성에서는 멸종되었다. 인도에서는 시킴, 히마찰프라데시, 잠무 카슈미르, 우타란찰에 걸쳐 서식하는데, 이곳은 네팔, 부탄과 함께 히말라야산맥이 있는 지역이다.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힌두쿠시산맥,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에 걸쳐 있는 파미르고원, 시르다리야에도 서식한다. 쿤룬산맥, 카라코람산맥, 카슈미르에도 서식한다. 러시아에서는 남부 시베리아(바이칼호 근처)의 탄누울라(Tannu-Ola) 산맥, 러시아 알타이, 사얀산맥에 서식한다. 몽골에서는 서부(주로 알타이산맥)와 중앙의 한가이산맥, 고비 알타이에 서식한다.
눈표범은 바이칼호 서쪽에서 남시베리아, 쿤룬산맥, 알타이산맥, 사얀산맥, 타누올라 산맥, 톈산산맥,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을 거쳐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힌두쿠시산맥, 파키스탄 북부의 카라코람산맥, 파미르고원, 티베트고원, 그리고 인도, 네팔, 부탄의 히말라야 고지대에 분포한다. 몽골에서는 몽골 알타이산맥과 고비 알타이 산맥, 항가이산맥에 서식한다. 티베트에서는 북쪽의 알틴타그산맥까지 분포한다.[74][36]
눈표범은 3000m에서 4500m 고도의 고산 기후 및 아고산대에 서식하지만, 분포 지역 북부에서는 저지대에서도 서식한다.[37]
인도 히말라야의 잠재적인 눈표범 서식지는 잠무 카슈미르 연방 직할지, 라다크, 우타라칸드, 히마찰프라데시, 시킴, 아룬차르프라데시에서 90000km2 미만으로 추정되며, 그 중 약 34000km2는 양호한 서식지로 간주되고 14.4%는 보호구역이다. 1990년대 초 인도 눈표범 개체 수는 약 25개의 보호구역에 걸쳐 200~600마리로 추정되었다.[36]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인도 눈표범 개체 수 평가(SPAI) 프로그램 조사 결과, 총 718마리로 집계되었으며, 지역별로는 라다크 477마리, 우타라칸드 124마리, 히마찰프라데시 51마리, 아룬차르프라데시 36마리, 시킴 21마리, 잠무 카슈미르 9마리였다.[39]
여름에는 일반적으로 2700m에서 6000m 고도의 고산 초원과 암석 지역의 수목 한계선 위에서 서식한다. 겨울에는 1200m에서 2000m 고도로 내려온다. 암석이 많고 험준한 지형을 선호하며, 85cm 깊이의 눈 속에서도 이동할 수 있지만 다른 동물이 만든 길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한다.[29]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고립된 와칸 회랑 16곳에서 카메라 트랩에 의해 눈표범이 기록되었다.[40]
6. 생태와 행동
눈표범은 야옹거림, 그렁거림, 푸르릉거림 및 신음소리 등의 소리를 낸다. 숨을 내쉴 때는 골골거릴 수도 있다.[28]
눈표범은 고독한 동물이며 주로 새벽부터 이른 아침, 그리고 오후와 저녁 이른 시간에 활동한다. 주로 전망이 좋고 그늘이 있는 절벽과 능선 근처에서 휴식을 취한다. 네팔의 셰이 포크순도 국립공원에서 성체 눈표범 5마리에 무선 추적 장치를 부착하여 조사한 결과, 이들의 서식 범위가 대부분 겹쳤지만 서로 만나는 경우는 드물었다. 개체별 서식 범위는 12km2에서 39km2에 달했다. 수컷은 하루에 0.5km에서 5.45km, 암컷은 0.2km에서 2.25km 이동했는데, 이는 조사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로 측정한 것이다. 험준한 지형에서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하룻밤에 최대 7km까지 이동하기도 했다.[41] 먹이가 부족한 서식지에서는 1000km2에 보통 5마리만 서식한다.[42]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고비 사막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성체 수컷의 평균 서식 범위는 144km2에서 270km2였고, 성체 암컷의 서식 범위는 83km2에서 165km2였다. 서식 범위가 겹치는 비율은 20% 미만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눈표범 서식 국가의 170개 보호 지역 중 약 40%가 단일 수컷 눈표범의 서식 범위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43]
눈표범은 냄새 표지를 남겨 자신의 영역과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소변이나 배설물을 배출하기 전에 뒷발로 땅을 파고, 바위에 분무하기도 한다.[29] 눈표범의 소변에는 펜타놀, 헥사놀, 헵타놀, 3-옥타논, 노나날, 인돌 등 화학적 의사소통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저분자량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44]
해발 600~6,000m의 바위지대, 초원, 저지대 침엽수림 등에 서식하며,[98] 먹이와 적설량에 따라 여름에는 고지대, 겨울에는 저지대로 이동한다.[95][98] 야행성이지만, 사람이 없는 환경이나 겨울에는 낮에도 활동하기도 한다.[94] 하루에 10~12km를 이동하며, 28km를 이동한 기록도 있다.[94] 바위 틈이나 절벽 위, 히말라야 독수리의 옛 둥지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98] 수명은 10년 이상이며, 최대 21년까지 살 수 있다는 설도 있다.[98]
6. 1. 먹이와 사냥
눈표범은 육식동물이며, 적극적으로 사냥을 한다. 선호하는 야생 먹이는 히말라야 블루쉽, 히말라야 타르, 아르갈리, 마르코르 및 야생염소이다. 가축도 사냥한다.[45][46] 보통 36kg에서 76kg 무게의 먹이를 선호하지만, 히말라야 마멋, 피카 및 들쥐류와 같은 작은 포유류도 사냥한다. 먹이는 먹이의 가용성에 따라 달라지며, 서식 범위와 계절에 따라 다르다.히말라야에서는 주로 히말라야 블루쉽, 시베리아 아이벡스, 흰배 사향노루 및 멧돼지를 사냥한다. 카라코람, 톈산, 알타이 및 몽골의 토스트 산맥에서는 시베리아 아이벡스, 토롤드 사슴, 시베리아 노루 및 아르갈리가 주요 먹이이다.[47][48]
파키스탄 북부에서 수집된 눈표범의 배설물에는 레서스 원숭이, 가면 팜 시벳, 케이프 토끼, 집쥐, 카슈미르 들쥐, 회색 난쟁이 햄스터 및 투르키스탄 쥐의 잔해가 포함되어 있었다.[49] 2017년에는 강고트리 국립공원 근처에서 갓 사냥한 털날다람쥐를 나르는 눈표범이 촬영되었다.[50] 몽골에서는 야생 먹이의 감소와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이 흔하기 때문에, 가축 양이 식단의 20% 미만을 차지한다.[48] 성체 수컷 야크를 제외하고는 서식지의 대부분의 유제류를 죽일 수 있다. 풀과 잔가지도 먹는다.[29]
눈표범은 가파른 산비탈을 따라 먹이를 적극적으로 추격하며, 처음 도약의 운동량을 이용하여 최대 300m까지 동물을 추격한다. 그런 다음 먹이를 안전한 장소로 끌고 가서 사체의 모든 먹을 수 있는 부분을 먹는다. 다시 사냥하기 전에 단일 히말라야 블루쉽으로 2주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한 성체는 1년에 20~30마리의 성체 블루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1][29] 눈표범은 특히 짝짓기하는 쌍으로 성공적으로 사냥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51]
눈표범은 가축으로부터 쉽게 쫓겨나고, 종종 방어하지 않고 사냥감을 버린다.[29] 인간에 대한 공격은 카자흐스탄 알마티 근처에서 두 건만 보고되었으며, 모두 치명적이지 않았다. 1940년에는 광견병에 걸린 눈표범이 두 명의 남성을 공격했고, 늙고 이빨이 없는 쇠약한 눈표범이 지나가는 사람을 공격했다.[52][53]
주로 마카르, 시베리아 아이벡스, 바랄을 즐겨 먹는다.[94] 그 외에도 고랄, 몽골가젤, 티베트가젤, 치루, 히말라야 타르, 마코르, 무플론, 야크, 아시아 야생 당나귀, 멧돼지 등도 먹는다.[99] 밭쥐속, 마멋속 등의 설치류, 피카속, 토끼속 등의 소형 포유류, 조류도 먹는다.[94][99] 가축을 사냥하기도 하며,[98] 지역에 따라서는 가축이 눈표범 식단의 53%를 차지한다.[93]
6. 2. 번식
눈표범은 2~3세에 성적으로 성숙하고 야생에서는 보통 15~18년,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25년까지 살 수 있다. 발정기는 일반적으로 5~8일 지속되며, 수컷은 짝짓기 후 다른 짝을 찾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짧은 짝짓기 계절이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짝을 이룬 눈표범은 하루에 12~36회 일반적인 고양잇과 동물의 자세로 짝짓기를 한다.[29] 눈표범은 출산 최고기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는 점에서 대형 고양잇과 동물 중에서 특이하다. 일반적으로 눈에 띄는 표지와 울음소리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늦은 겨울에 짝짓기를 한다. 암컷의 임신 기간은 90~100일이며, 새끼는 4월에서 6월 사이에 태어난다.[29]새끼는 보통 2~3마리이며, 예외적인 경우 최대 7마리까지 태어날 수 있다.[52] 암컷은 털이 깔린 바위 굴이나 틈새에서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눈이 멀고 무력하게 태어나지만 이미 두꺼운 털을 가지고 있으며, 무게는 320g에서 567g 사이이다. 눈은 약 7일 만에 뜨고, 5주 만에 걸을 수 있으며, 10주 만에 완전히 젖을 뗀다. 새끼는 2~4개월령에 굴을 떠난다.[29] 몽골 토스트 산맥에서 무선 추적 장치를 부착한 세 마리의 눈표범은 4월 말과 6월 말 사이에 새끼를 낳았다. 두 마리의 암컷 새끼는 20~21개월령에 어미와 헤어지기 시작했지만, 4~7개월 동안 며칠씩 여러 번 어미와 재회했다. 한 마리의 수컷 새끼는 약 22개월령에 어미와 헤어졌지만 한 달 동안 어미 근처에 머물렀고, 23개월령에 출생 지역을 벗어났다.[54]
눈표범의 세대 길이는 8년이다.[55]
눈표범은 1~5월에 교미하며,[95][97] 임신 기간은 90~105일이다.[94][99] 바위 틈이나 동굴, 나무 구멍에서 출산한다.[95] 출산 자리는 어미가 배에서 뽑은 털을 깐다.[98][99] 한 번에 주로 2~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94][95][98] 새끼는 생후 7~9일에 눈을 뜨고,[97] 생후 2개월에 고형물을 먹기 시작하며,[98][99] 2~3개월 동안 젖을 먹는다.[94] 사육 환경에서는 암수 모두 생후 2년에 성적으로 성숙한 경우가 있다.[94]
7. 위협 요인
눈표범의 주요 위협 요인은 밀렵과 가죽 및 신체 부위의 불법 거래이다.[1] 1999년부터 2002년까지 키르기스스탄에서 살아있는 눈표범 새끼 3마리와 가죽 16개가 압수되었고, 밀렵꾼 110명이 체포되었으며 덫 330개가 파괴되었다. 잠입 수사 결과 카자흐스탄을 경유하여 러시아와 중국으로 이어지는 불법 거래 네트워크가 드러났다. 이 지역의 주요 가죽 거래 중심지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카슈가르시이다.[56]
티베트와 몽골에서는 눈표범 가죽을 전통 의상에 사용하고, 고기는 티베트 전통 의학에서 신장 질환 치료에 사용하며, 뼈는 중국 전통 의학과 몽골 전통 의학에서 류머티즘, 부상 및 인체 뼈와 힘줄 통증 치료에 사용한다. 1996년부터 2002년까지 몽골의 야생 동물 시장과 관광 상점에서 37개의 가죽이 발견되었다.[57] 2003년부터 2016년까지 710개의 가죽이 거래되었으며, 그중 288개의 가죽이 압수되었다. 중국에서는 매년 약 103~236마리, 몽골에서는 34~53마리, 파키스탄에서는 23~53마리, 인도에서는 21~45마리, 타지키스탄에서는 20~25마리가 밀렵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16년 중국 웹사이트 조사 결과 눈표범 제품 44개에 대한 광고 15개가 발견되었는데, 판매자들은 가죽, 송곳니, 발톱, 혀를 제공했다.[58] 2014년 9월 아프가니스탄 시장 조사에서 눈표범 가죽 9개가 발견되었다.[59]
온실가스 배출은 히말라야 산맥의 수목한계선 변화와 고산 지대 축소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눈표범 서식지가 약 30% 감소할 수 있다.[60]
눈표범이 가축을 포식하는 경우 인간-야생동물 갈등이 발생한다.[1] 가축 과방목, 밀렵, 가축 방어로 인한 천적 감소는 눈표범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29] 가축은 또한 서식지 훼손을 야기하며, 이는 연료용 삼림 이용 증가와 함께 눈표범 서식지를 감소시킨다.[61]
모피와 약재를 위한 밀렵, 가축과의 경쟁에 의한 먹이 감소, 해충으로서의 구제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93][94][98][103] 최근에는 도로 건설, 철도 부설, 채굴에 의한 영향, 전염병 등도 우려되고 있다.[93][94]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에는 밀렵이 증가했지만,[93][94] 집단농장의 활동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먹이의 양은 증가했다.[98] 모피가 이용된다.[93][97] 뼈가 약재(호랑이 뼈 대용)로 쓰인다고 믿어진다.[93][98][101] 발톱, 고기, 음경 등도 거래된다.[93] 가축을 습격하는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98]
8. 보전 노력
눈표범 보전을 위해 서식지 국가별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눈표범은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으며,[74] 1985년부터 야생 동물의 이동 종 보존에 관한 협약의 부속서 I에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되었다.[57]
여러 국가에서 눈표범 사냥을 금지하고 법적 보호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 키르기스스탄: 1950년대부터 사냥 금지.[56]
- 인도: 야생 동물 보호법, 1972년에 따라 최고 수준의 보호, 사냥 시 3~7년 징역.[75]
- 네팔: 1973년부터 법적 보호, 밀렵 및 거래 시 5~15년 징역 및 벌금.[76]
- 러시아: 1978년부터 소련 레드 북(Red Book) 등재, 현재 러시아 연방 레드 데이터 북 등재. 보존 및 모니터링 목적, 인간/가축 위협 제거 목적 외 사냥 금지. 신체 부위 밀수 시 징역 및 벌금.[77]
- 아프가니스탄: 1986년부터 사냥 금지.[59]
- 중국: 1989년부터 법적 보호, 사냥 및 거래 시 재산 몰수, 벌금, 최소 10년 이상 징역.[78]
- 부탄: 1995년부터 보호.[79]
2020년 말, 카자흐스탄 알마티 외곽에 눈표범 촬영용 카메라 35대가 설치되었다. 2021년 11월, 러시아 세계자연기금(WWF)은 트란스-일리 알라타우 산맥에서 눈표범 65회 발견을 발표했다.[80][43][81][82][83]
8. 1. 국제 협력
2013년, 눈표범 서식지 12개국(아프가니스탄, 부탄, 중국, 인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네팔, 파키스탄, 러시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정부 지도자와 관계자들이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비슈케크)에서 알마즈벡 아탐바예프(알마즈벡 아탐바예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과 키르기스스탄 정부 산하 환경보호 및 산림청 주도로 열린 세계 눈표범 포럼(Global Snow Leopard Forum, GSLF)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모든 국가는 눈표범 개체군의 생존 가능한 미래를 보장하고 취약한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눈표범과 고산 서식지에 대한 국경을 초월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이 행사에는 눈표범 보존협회, 눈표범 트러스트, 세계자연보전연맹과 같은 NGO를 포함한 많은 파트너들이 참여했다. 또한 눈표범 네트워크, 세계은행의 세계 호랑이 이니셔티브, 유엔개발계획, 세계자연기금, 미국 국제개발처, 지구환경기금도 이 계획을 지원했다.[84]8. 2. 대한민국 내 보전 노력
대한민국에서는 눈표범 가죽을 얻기 위한 불법 포획을 금지하고, 눈표범에게 추적기를 부착하여 보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눈표범은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기 때문에 개체 수를 늘리는 것은 쉽지 않다. 동물원에서 눈표범을 기르고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방법도 활용하고 있다.9. 문화적 상징성
눈표범은 중앙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문장학 기호이자 상징이다. '흰 표범'을 뜻하는 ''악 바르스(Aq Bars)''는 타타르족, 카자흐족, 불가르족의 정치적 상징이다. 날개 달린 신화 속 악 바르스는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타타르스탄 공화국 문장,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시의 인장, 그리고 구 아스타나의 문장에 묘사되어 있다. 알마티의 공식 인장과 구 1만 카자흐스탄 텡게 지폐에도 눈표범이 그려져 있다.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수도 비슈케크의 현대 문장에 매우 양식화된 형태로 사용되며, 같은 디자인이 키르기스스탄 걸스카우트 협회 배지에도 통합되었다. 또한 키르기스족에게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진다. 러시아의 슈셴스키 군(Shushensky District) 문장에는 왕관을 쓴 눈표범이 등장한다. 눈표범은 인도의 라다크와 히마찰프라데시의 주 동물이다.[88][89]
1978년 출판된 ''눈표범(The Snow Leopard)''은 피터 매티슨(Peter Matthiessen)이 눈표범을 찾아 네팔 히말라야의 돌포(Dolpo) 지역을 두 달 동안 여행한 기록이다.[90]
제22회 동계 올림픽(2014년, 소치)에서는 북극곰, 산토끼와 함께 눈표범이 마스코트로 선정되었다.[105]
참조
[1]
IUCN
Panthera uncia
2021-11-19
[2]
논문
English Doublets
https://archive.org/[...]
[3]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2021-02-21
[4]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9-05-24
[5]
논문
The ounces
https://archive.org/[...]
1854
[6]
논문
Observations et données nouvelles sur le tigre du nord et la panthère du nord, recueillies dans le voyage de Sibérie fait par M.A. de Humboldt, en l'année 1829
https://archive.org/[...]
[7]
논문
Brief notices of several new or little-known species of Mammalia, lately discovered and collected in Nepal, by Brian Houghton Hodgson
https://archive.org/[...]
[8]
논문
The panthers and ounces of Asia. Part II. The panthers of Kashmir, India, and Ceylon
https://archive.org/[...]
[9]
MSW3
[10]
논문
Supermatrix and species tree methods resolve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ig cats, Panthera (Carnivora: Felidae)
http://www.academia.[...]
[11]
서적
Snow Leopards
Academic Press
2020-12-12
[12]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18-05-13
[13]
논문
Range-Wide Snow Leopard Phylogeography Supports Three Subspecies
[14]
논문
Response to Janecka et al. 2017
[15]
논문
The validity of three snow leopard subspecies: response to Senn et al.
[16]
서적
Conservation Genetics in Mammals. Integrative Research Using Novel Approach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4-22
[17]
논문
Large‑scale and fine‑grain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snow leopards (Panthera uncia Schreber, 1776) from the nor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range with an emphasis on the Russian population
https://snowleopardn[...]
2021-04-22
[18]
논문
An intriguing find of an early Middle Pleistocene European snow leopard, Panthera uncia pyrenaica ssp. nov. (Mammalia, Carnivora, Felidae), from the Arago cave (Tautavel, Pyrénées-Orientales, France)
[19]
논문
Oldest known pantherine skull and evolution of the tiger
[20]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2018-10-21
[21]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0-21
[22]
논문
Himalayan fossils of the oldest known pantherine establish ancient origin of big cats
2014
[23]
논문
Re-appraisal of Felis pamiri Ozansoy 1959 (Carnivora, Felidae) from the upper Miocene of Turkey: the earliest pantherine cat?
https://hal.sorbonne[...]
[24]
논문
The evolution of the palaeopantherine cats, Palaeopanthera gen. nov. blytheae (Tseng et al., 2014) and Palaeopanthera pamiri (Ozansoy, 1959) comb. nov. (Mammalia, Carnivora, Felidae)
2023
[25]
논문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2016
[26]
논문
Predators and scavengers in Early Pleistocene southern Asia
2008
[27]
논문
Uncia uncia
http://www.science.s[...]
[28]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12-12
[29]
논문
Canine morphology in the larger Felidae: implications for feeding ecology
[30]
서적
Snow Leopards
https://books.google[...]
2023-05-20
[31]
논문
The larynx of roaring and non-roaring cats
[32]
논문
Hyoid apparatus and pharynx in the lion (Panthera leo), jaguar (Panthera onca), tiger (Panthera tigris), cheetah (Acinonyx jubatus) and domestic cat (Felis silvestris f. catus)
2002
[33]
논문
Nasal aperture area and body mass in felids: Ecophysiological implications and paleobiological inferences
[34]
논문
Genetically based low oxygen affinities of felid hemoglobins: lack of biochemical adaptation to high-altitude hypoxia in the snow leopard
2015
[36]
서적
Snow Leopard Survival Strategy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Snow Leopard Trust and Snow Leopard Network
2017-10-23
[37]
학술지
Population monitoring of snow leopards using noninvasive collection of scat samples: a pilot study
[38]
학술지
Modelling potential habitat for snow leopards (''Panthera uncia'') in Ladakh, India
[39]
웹사이트
Snow leopard census: Ladakh leads the pack with 477, J&K records minimum at 9 of total 718
https://m.greaterkas[...]
2024-02-01
[40]
학술지
Saving threatened species in Afghanistan: snow leopards in the Wakhan Corridor
https://www.research[...]
[41]
서적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Snow Leopard Symposium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Snow Leopard Trust
2019-04-09
[42]
PhD
Home Range, Movements and Habitat Use of Snow Leopard in Nepal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London
[43]
학술지
Land sharing is essential for snow leopard conservation
https://web.archive.[...]
2019-05-24
[44]
서적
Chemical Signals in Vertebrates 14
Springer
[45]
학술지
Snow leopard predation in a livestock dominated landscape in Mongolia
https://web.archive.[...]
2015-03-25
[46]
학술지
Carnivore-caused livestock mortality in Trans-Himalaya
http://core.ac.uk/do[...]
2023-10-25
[47]
학술지
Prey preferences of the snow leopard (''Panthera uncia''): regional diet specificity holds global significance for conservation
[48]
학술지
Prey Preference of Snow Leopard (''Panthera uncia'') in South Gobi, Mongolia
[49]
학술지
Diet selection of snow leopard (''Panthera uncia'') in Chitral, Pakistan
https://dergipark.or[...]
[50]
학술지
Woolly flying squirrel ''Eupetaurus cinereus'': A new addition to the diet of snow leopard ''Panthera uncia''
https://web.archive.[...]
2021-08-02
[51]
학술지
Behavioural analysis of solitary versus socially housed snow leopards (''Panthera uncia''), with the provision of simulated social contact
[52]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53]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2016
[54]
학술지
The timing of breeding and independence for snow leopard females and their cubs
[55]
학술지
Generation length for mammals
https://natureconser[...]
2021-12-14
[56]
서적
The Illegal Trade in Snow Leopards – A Global Perspective
German Society for Nature Conservation
[57]
서적
Fading footprints; the killing and trade of snow leopards
https://www.traffic.[...]
TRAFFIC International
2021-04-20
[58]
서적
An Ounce of Prevention: Snow Leopard Crime Revisited
https://www.traffic.[...]
TRAFFIC International
2021-04-20
[59]
학술지
Snow leopard illegal trade in Afghanistan: A rapid survey
[60]
학술지
Conservation and climate change: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snow leopard habitat to treeline shift in the Himalaya
https://web.archive.[...]
2019-05-24
[61]
웹사이트
What water means to snow leopards
https://undp-biodive[...]
UNDP
2022-06-02
[62]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63]
뉴스
The National Snow Leopard Survey 2022-23 Confirms 134 snow leopards in the country
https://www.moenr.go[...]
2024-11-21
[64]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65]
웹사이트
First baseline estimate of India's snow leopard numbers
https://www.nature.c[...]
[66]
서적
Snow Leopards
Academic Press
[67]
서적
Snow Leopards
Academic Press
[68]
서적
Snow Leopards
Academic Press
[69]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70]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71]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2020-12-12
[72]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73]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74]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75]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76]
서적
Proceedings of the Eighth International Snow Leopard Symposium, 12–16 November 1995, Islamabad, Pakistan
International Snow Leopard Trust
[77]
보고서
Snow Leopard Conservation in Russia – Data for Conservation Strategy for Snow Leopard in Russia
https://www.research[...]
WWF Russia
[78]
학술지
The Snow Leopard in China
https://www.research[...]
[79]
보고서
National Snow Leopard Survey of Bhutan – Phase II: Camera Trap Survey for Population Estimation
Wildlife Conservation Division, Department of Forests and Park Services
[80]
웹사이트
Snow Leopards Caught On Camera 65 Times and Counting This Year Alone in Almaty Region
https://astanatimes.[...]
2021-11-21
[81]
서적
Snow Leopards: Biodiversity of the World: Conservation from Genes to Landscapes
Academic Press
2020-12-12
[82]
서적
Tibet's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oceedings of a Conference, August 30 – September 4, 1998
Tibet Forestry Department and World Wide Fund for Nature
[83]
서적
Snow Leopards
Academic Press
2020-12-12
[84]
웹사이트
Global Snow Leopard Conservation Forum
https://www.worldban[...]
[85]
뉴스
Almost 5 Months Old, Bronx Native Makes Zoo Debut
https://www.nytimes.[...]
2013-01-01
[86]
서적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Snow Leopard Symposium
International Snow Leopard Trust and Wildlife Institute of India
[87]
서적
Snow Leopard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16-01-01
[88]
서적
Snow Leopards
Academic Press
2016-01-01
[89]
서적
The Snow Leopard and the Goat: Politics of Conservation in the Western Himalaya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9-01-01
[90]
서적
The Snow Leopard
Viking Press
1978-01-01
[91]
웹사이트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cites.org/si[...]
2020-12-28
[92]
웹사이트
''Panthera uncia''
https://www.speciesp[...]
UNEP
2020-12-28
[93]
간행물
''Panthera uncia''
2020-12-28
[94]
서적
野生ネコの教科書
エクスナレッジ
[95]
서적
ネコ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96]
학술지
Uncia uncia
https://doi.org/10.2[...]
[97]
서적
動物大百科 1 食肉類
平凡社
[98]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1 ユーラシア、北アメリカ
講談社
[99]
웹사이트
''Uncia uncia'' snow leopard
https://animaldivers[...]
2022-03-09
[100]
학술지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www.science.[...]
[101]
학술지
ユキヒョウの保全生態をめぐるナラティヴ《伝承》とエビデンス《科学的根拠》の複合型生物誌
https://doi.org/10.4[...]
日本地理学会
2021-01-01
[102]
학술지
ユキヒョウの民俗学:希少動物との共存をめぐる西部モンゴル遊牧民の民間伝承
https://doi.org/10.1[...]
日本文化人類学会
2017-01-01
[103]
학술지
ユキヒョウとモンゴル遊牧民のコンフリクト―オーラルヒストリーで読み解く目撃・遭遇事故と家畜被害―
https://doi.org/10.4[...]
日本地理学会
2017-01-01
[104]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環境省
2020-12-28
[105]
웹사이트
ソチオリンピック2014 マスコット紹介 - JOC
https://www.joc.or.j[...]
公益財団法人日本オリンピック委員会
[106]
저널
Panthera uncia
http://www.iucnredli[...]
IUCN
2018-05-29
[107]
한국외래생물정보시스템
설표(눈표범) Panthera uncia
[108]
뉴스
전쟁터에서 포착된 전설의 동물 '설표'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7-16
[109]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110]
웹인용
WWF International, 300—400 snow leopards estimated to be found in Nepal, 27. Juli 2009
https://web.archive.[...]
2021-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