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모리 나가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1524년에 태어나 1608년에 사망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다. 그는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특히 나가시노 전투, 엣츄 잇코잇키 진압, 히다 아네가코지 씨 토벌 등에서 활약했다. 1585년 히다 다카야마의 영주가 되어 다카야마성을 축성하고 다카야마 번을 건설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여 히다 일국과 미노, 가와치 지역의 영지를 받았다. 그는 다도와 게마리에 능했으며, 센노 리큐의 제자로서 문화적인 활동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카야마번주 - 가나모리 요리토키
가나모리 요리토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히다 다카야마 번, 데와 가미노야마 번, 미노 구조 번의 번주를 역임하며 젊은 시절 방탕한 생활을 청산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번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었으며, 막부의 요직을 거쳐 세 번의 전봉 후 백성을 위한 연공 징수 방식 변경 등 민생 안정에 기여했다.
가나모리 나가치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가나모리 나가치카 |
일본어 이름 | 金森 長近 |
다른 이름 | 고로하치 (五郎八) |
계명 | 금룡원전요중소원 (金竜院殿要仲素元) |
법명 | 소겐 (素玄) |
출생 | 1524년 |
사망 | 1608년 9월 20일 |
묘소 | 교토부교토시기타구 무라사키노 다이토쿠지류겐인 |
관직 | |
관위 | 정4위하, 병부경, 히다노카미 |
주군 | 오다 노부히데 → 오다 노부나가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도쿠가와 히데타다 |
번 | 히다국히다 다카야마 번 번주, 미노국가미우치 번 번주 |
가문 | |
씨족 | 가나모리 씨 |
조부모 | 오쿠와 (오하타) 사다요리 (도키 시게요리의 셋째 아들) |
부모 | 아버지: 가나모리 (오하타) 사다치카 |
형제 | 마사치카, 나가치카, 마사히데, 안라쿠안 사쿠덴 (이설 있음), 누나 (사토 히데카타의 부인) |
아내 | 정실: 오후쿠노가타 계실: 규쇼인 |
자녀 | 나가노리, 나가미쓰, 이토 하루아키, 딸 (히다 다다마사의 부인) 양자: 아리시게 |
경력 | |
소속 | 사이토 씨, 오다 씨, 도요토미 씨, 도쿠가와 씨 |
주요 전투 | 이나바야마 전투 (1567년) 나가시노 전투 (1575년) 에치젠 전투 (1579년) 시즈가타케 전투 (1583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4년) 아네코지 씨 공격 (1585년) 세키가하라 전투 (1600년) |
관직 이력 | |
직책 | 오노 성 성주 (1580년 ~ 1608년) 다카야마 성 성주 (1588년 ~ 1608년) |
2. 가계
가나모리 씨는 미노 겐지토키 씨의 지류라고 칭한다. 오닌의 난에서 서군으로 활약한 미노 국슈고・토키 나리요리의 차남인 오쿠와 사다요리의 차남 오하타 사다치카(가나모리 사다치카)가 일족을 데리고 미노를 떠나, 테라우치마치로 유명한 오미 국야스 군가나모리 (현 시가현모리야마 시 가나모리 정)에 거주하며, "가나모리 우네메"를 칭한 데서 시작되었다.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1524년 미노국 도키군 다지미향 오바타촌(현재의 기후현다지미시 오바타정)에서 가나모리 사다치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고로하치였으며, 처음에는 '''가치카'''라고 불렸다. 이후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한 글자를 받아 '''나가치카'''로 이름을 고쳤다.
3. 생애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처음에는 시바타 가쓰이에 편이었으나, 마에다 도시이에가 히데요시 측으로 돌아서자 나가치카도 그를 따라 히데요시에게 충성을 바쳤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히데요시의 지휘를 받았다.
1585년 히데요시의 도야마의 역에서 나가치카는 히다 국의 아네가코지 씨를 멸망시키기 위해 파견되어 마츠쿠라 성과 다카야마 성의 영주가 되었다. 그는 다카야마를 거점으로 정하고, 1590년부터 덴진야마의 옛 성터에 다카야마성을 축성하기 시작하여 초대 다카야마 번주가 되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나가치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여 1,140명의 병력을 이끌고 참전했다. 전후, 히다 본령 안도와 함께 미노국무기군 2만 석(우와지·세키)과 가와치국 가네다 3,000석을 추가로 받아 총 6만 1,700석의 영주가 되었다.
1605년, 80세를 넘긴 나가치카는 히다 일국과 다카야마성의 지휘를 양자인 가나모리 가즈치카에게 맡기고, 자신은 추가로 받은 우와치의 나타오산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후 고구라야마성을 축성하여 다시 옮겨갔다.
1608년 8월 12일, 교토 후시미의 별저에서 84세로 사망했다.
3. 1. 초기 생애와 오다 노부나가 섬김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미노 국의 사이토 씨를 섬겼으나, 1567년 이나바야마 성 전투에서 사이토 씨가 멸망한 후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 되었다.[2] 그는 덴분 10년(1541년)까지 오미에서 지냈다고 전해지며, 18세에 오와리 국으로 건너가 오다 노부히데를 섬겼고, 이후 그의 아들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다. 미노 공략에 종군하여 공을 세워 아카호로슈로 발탁되었다.
에이로쿠 10년(1567년) 8월 15일, 노부나가가 미노를 평정했을 때 나가치카는 세키 요시다 3000석을 받았다. 이는 훗날 그의 손자 가나모리 시게요리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받은 영지 "나가치카 구령"으로 확인된다.[3]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나가치카는 사카이 타다츠구와 함께 다케다 군을 기습하여 다케다 신겐의 동생 다케다 노부자네를 죽이는 큰 공을 세웠다. 비록 후세에는 사카이 타다츠구의 공에 가려졌지만, 노부나가는 나가치카의 공을 인정하여 "나가" 자를 하사했고, 그는 "나가치카"로 개명했다.[4]
1580년, 나가치카는 에치젠 국의 잇코잇키를 진압하는 데 참여하여 노부나가로부터 오노 성을 하사받았다.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노부나가가 사망하고, 나가치카의 장남 가나모리 나가노리는 니조 성에서 오다 노부타다와 함께 전사했다. 이후 나가치카는 삭발하고 병부경 법인 소겐이라 칭하며, 린자이종다이토쿠지에 긴류인을 건립하여 노부나가와 나가노리를 추모했다.
3. 2. 노부나가의 주요 전투 참여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1567년 이나바야마 성 전투에서 사이토 씨가 멸망한 후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 되었다.[2]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나가치카는 사카이 타다츠구와 함께 다케다 가쓰요리 군을 기습하여 다케다 노부자네를 죽이는 큰 공을 세웠다. 비록 후세에는 사카이에 비해 덜 알려졌지만, 노부나가로부터 "나가" 자를 하사받아 "나가치카"로 개명한 것을 보면 그의 공적이 컸음을 알 수 있다.[2]
1580년에는 에치젠 국의 잇코잇키를 진압하는 데 참여하여 노부나가로부터 오노 성을 하사받았다.
1582년 혼노지의 변에서 나가치카의 장남 가나모리 나가노리는 니조 성에서 오다 노부타다와 함께 싸우다 사망했다.
3. 3. 도요토미 히데요시 섬김
1567년 이나바야마 성 전투에서 사이토 씨가 멸망한 후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 되었다.[2]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사카이 타다츠구와 함께 다케다 가쓰요리 군을 기습하여 다케다 노부자네를 죽였다.[2]
1580년 에치젠 국의 잇코잇키를 진압하여 오노 성을 받았다.
1582년 혼노지의 변에서 장남 가나모리 나가노리가 오다 노부타다와 함께 니조 성에서 사망했다.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처음에는 시바타 가쓰이에 편이었으나, 마에다 도시이에가 히데요시 측으로 돌아서자 나가치카도 따라 히데요시에게 충성을 바쳤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히데요시의 지휘를 받았다.
1585년 히데요시의 도야마의 역에서 히다 국의 아네가코지 씨를 멸망시키고 마츠쿠라 성과 다카야마 성의 영주가 되었다.
1594년경 히데요시의 오토기슈를 맡았다.[6]
나가치카는 다도에 조예가 깊었고 센노 리큐를 숭배했다. 히데요시가 리큐에게 죽음을 명령한 후, 나가치카는 리큐의 아들 센 도안을 보호했다.
3. 4. 다카야마 번주 시대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섬김
1585년 히데요시의 도야마 정벌 때 히다 국의 아네가코지 씨를 멸망시켜 마츠쿠라 성과 다카야마 성의 영주가 되었다.[2]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여 1,140명의 병력을 이끌고 참전했다.[2]
나가치카는 다도(茶道)의 달인이자 센노 리큐를 숭배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리큐에게 죽음을 명령한 후, 나가치카는 리큐의 아들인 센 도안을 보호했다.[2]
3. 5. 만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여 1,140명의 병력을 이끌고 참전했다.[2]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히다의 본령 안도와 함께 미노국 무기군 2만 석(우와지·세키)과 가와치국 가네다 3,000석을 추가로 받아 총 6만 1,700석의 영주가 되었다.[3]
나가치카는 다도에 조예가 깊었고 센노 리큐를 숭배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리큐에게 죽음을 명령한 후, 나가치카는 리큐의 아들인 센 도안을 보호하기도 했다.
게이초 10년(1605년), 80세를 넘은 나가치카는 히다 일국과 다카야마성의 지휘를 양자인 가나모리 가즈치카에게 맡기고, 자신은 추가로 받은 우와치의 나타오산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후 고구라야마성을 축성하여 다시 옮겨갔다.
게이초 13년(1608년) 8월 12일, 교토 후시미의 별저에서 사망했다. 향년 84세였다.[4]
4. 문화적 업적
나가치카는 게마리와 다도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시미성에 있을 때, 나가치카는 후시미성 아래 자신의 집에 서원과 다실을 지어 히데요시를 자주 초대했다.[8]
센노 리큐의 제자로서 다회에 여러 차례 초대받았으며, 『利休百会記』|리큐 백회기일본어 기록에 따르면 거장 후루타 오리베와도 친분이 있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히데타다 부자는 나가치카를 "기상(氣相)의 사람"이라 칭하며 신임했다. 게이초 10년(1605년)에는 이에야스 부자가 나가치카의 후시미 저택을 방문하여 풍류를 즐기기도 했다.[9]
히데요시가 센노 리큐에게 할복을 명했을 때, 나가치카는 리큐의 아들인 센 도안을 히다 다카야마에 숨겨주고 보호했다. 그때, 쇼렌지 묘료와 가나모리 시게치카(후의 가나모리 소와)가 센 도안에게서 다도를 배웠다고 한다.[10]
5. 일화
- 에이로쿠 2년(1559년), 오다 노부나가가 처음 상경했을 때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80명의 수행자 중 한 명이었다. 이때 사이토 요시타츠의 지시로 노부나가를 암살하려던 미노의 자객들이 뒤를 쫓아왔지만, 이를 간파한 오와리 출신의 사자가 하치야 요리타카와 나가치카에게 알렸다. 미노의 자객들과 안면이 있던 나가치카는 인사를 하는 척하며 그들의 숙소를 찾아가 암살 계획이 탄로났음을 알렸다고 한다.[8]
- 나가치카는 게마리와 다도에도 재능이 뛰어났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시미성에 있을 때, 나가치카는 후시미성 아래에 자신의 집을 짓고 서원과 다실을 만들어 자주 히데요시를 초대했다.
- 나가치카는 다도의 거장인 센노 리큐의 제자로서 다회에 초대받기도 했으며, 후루타 오리베와도 친분이 있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쿠가와 히데타다 부자는 나가치카를 "기상(氣相)의 사람"이라 칭하며 신임했다. 게이초 10년(1605년)에는 이에야스 부자가 나가치카의 후시미 저택을 방문하여 풍류를 즐겼다.[9]
- 히데요시가 센노 리큐에게 할복을 명했을 때, 나가치카는 리큐의 아들인 센 도안을 히다 다카야마에 숨겨주었다고 한다. 그때 쇼렌지의 묘료와 가나모리 시게치카(후의 가나모리 소와)가 센 도안에게서 다도를 배웠다고 한다.[10]
- 만년에 히데요시가 아리마 온천에서 온천 치료를 했을 때, 12(13)살 연상인 나가치카가 히데요시를 업고 입욕했다는 기록이 『아리마 온천기』에 남아있다.[11]
- 세키가하라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기후성 천수각에 오른 나가치카는 노부나가 시절의 추억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때 이에야스는 나가치카에게 미노 국 가미노치 번 1만 8000석과 가와치 국 가나타(사카이시 가나오카 마을) 3000석을 하사했다. 나가치카 사후, 아들 가나모리 나가미쓰가 사망하자 가미노치 번은 몰수되었다. 가나타는 나가치카의 아내 큐쇼인(久昌院)이 간에이 2년(1625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녀의 영지로 남았다.[12][13]
참조
[1]
웹사이트
金森戦記 金森長近
http://www.geocities[...]
2017-06-17
[2]
문서
長篠合戦図屏風
飛騨高山まちの博物館
[3]
서적
郡上八幡町史
岐阜県
[4]
서적
岐阜県史通史編 近世上
岐阜県
1968-01-01
[5]
문서
照蓮寺起請文
勝鬘寺文書『高山別院史 上』
[6]
서적
太閤軍記
[7]
서적
東本願寺創立と教如上人
本願寺教務所
2007-01-01
[8]
서적
信長公記
[9]
서적
岐阜県史通史編 近世上
岐阜県
1968-01-01
[10]
서적
岷江記
[11]
서적
有馬温泉記
[12]
서적
堺市史
[13]
웹사이트
金森氏雑考
https://dl.ndl.go.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