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대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대복은 기독교 전례에서 성직자나 봉사자들이 착용하는 의복을 의미하며, 가톨릭, 동방 정교회, 성공회 등 각 교파마다 고유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다. 가톨릭 교회는 미사, 전례 등에서 수단, 로켓, 비레타 등을 착용하며, 동방 정교회는 카소크, 엑소라손, 만디아스, 클로부크 등을 착용한다. 성공회는 수단, 흰 옷, 티펫을 기본으로 하며, 주교는 보라색 수단과 로켓을 착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 - 환자복
환자복은 병원 직원들이 환자를 치료하기 쉽도록 디자인된 의류이며, 면 소재로 제작되어 반복적인 세탁에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환자의 존엄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새로운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가운 - 나이트가운
나이트가운은 잠잘 때 입는 옷이자 실내복으로, 초기에는 남성이 주로 입었으나 패션 아이템으로 재해석되어 현재는 여성용 의류로 보편화되었다. - 가톨릭 전례복 - 영대
영대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기독교 예배 의복으로, 어깨에 걸쳐 늘어뜨리는 형태로 성직자의 권위와 직분을 상징하며, 교파별로 형태와 의미가 다르고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에서도 사용된다. - 가톨릭 전례복 - 모제타
모제타는 가톨릭 교회에서 착용자의 지위를 나타내는 어깨 덮개로, 주교는 자주색, 추기경은 진홍색을 착용하며 교황은 특별한 다섯 종류를 착용하고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지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소탈함을 강조하기 위해 착용하지 않는다.
가대복 | |
---|---|
가대복 | |
종류 | |
종류 | 캐석 로셰 주케토 비레타 스톨 코타 모제타 |
사용 | |
사용 | 성무일도 미사 성사 기타 전례 |
색상 | |
색상 | 전례력에 따름 검은색 보라색 녹색 붉은색 흰색 |
2. 가톨릭 교회의 가대복
가톨릭 교회의 가대복은 미사가 아닌 전례(특히 시간 전례)를 주례하거나 집전할 때 착용하는 복장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가대복이 더 화려했지만, 공의회 이후 축소되었다. 현재 가대복은 미사에 참석하나 성찬례를 집전 또는 참례하지 않을 때 착용하며, 신학생, 부제, 사제를 포함한 성직자뿐만 아니라 평신도도 착용할 수 있다.
주교는 진홍색 파이핑이 달린 자주색 수단을 착용하며, 녹색과 금색 끈으로 매달린 가슴 십자가, 로켓 위에 모제타, 비레타 아래 자주색 주케토를 추가한다. 추기경은 진홍색 트리밍이 달린 진홍색 수단을 착용하고, 붉은색과 금색 끈에 가슴 십자가를 걸고, 로켓 위에 붉은색 모제타를 걸고, 붉은색 주케토를 착용한다. 교황의 가대복에는 흰색 수단, 로켓, 붉은색 실크 모제타, 붉은색 브로케이드 스톨이 포함되며, 가슴 십자가는 금색 끈에 걸려 있다.
그리스도 왕 주권 사제회는 피렌체 대주교 추기경이 부여한 고유한 가대복을 갖는다. 여기에는 로켓, 모제타, 파란색과 흰색 리본에 성 프란치스코 드 살의 십자가, 그리고 파란색 폼폼이 달린 비레타가 포함된다.
2. 1. 구성 요소
가톨릭 교회에서 미사가 아닌 전례를 주례하거나 집전할 때, 혹은 미사에 참석하지만 성찬례를 집전하거나 참례하지 않을 때 착용하는 복장이다. 신학생, 부제, 사제, 주교, 추기경 등 성직자와 평신도 수도자 모두 착용할 수 있다.기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수단: 띠를 두르거나 두르지 않고 착용한다. 베네딕토회, 프란치스코회, 도미니코회 등 고유한 수도복을 가진 수도회에 속한 경우 수단 대신 수도복을 착용한다.
- 중백의 또는 소백의: 착용자가 주교, 추기경, 또는 참사인 경우에는 로켓을 착용한다.
- 비레타: 평신도의 경우 선택 사항이지만, 주교가 착용을 요구하면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성직자 등급에 따른 가대복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교황 | 추기경 | 주교 | 사제, 부제, 신학생 |
---|---|---|---|
교황 예하 사제는 자주색 파이핑, 단추, 띠가 있는 검은색 수단을 착용하며, 명예 고위 성직자와 수석 교황청 서기는 자주색 파이핑과 단추가 달린 자주색 수단에 자주색 띠를 착용한다. 참사는 고유한 모제타와 함께 로켓을 착용할 수 있다.
코프 및/또는 스톨은 성사를 주례할 때 또는 기도 주례 성직자가 성가대 복장 위에 착용할 수 있다.
평신도 형제도 성가대 복장을 착용하며, 수도원 복 전체와 수도사 후드는 시간 전례 또는 미사에 참석하기 위한 공식 복장이다.
2006년부터 그리스도 왕 주권 사제회의 사제들은 파란색 폼폼이 달린 비레타를 포함한 고유한 성가대 복장을 착용한다. 이는 성모님에 대한 헌신을 나타낸다.
2. 2. 착용 예시
가톨릭 교회에서 직분에 따른 가대복 착용 모습은 다음과 같다.
'''교황의 가대복'''
'''추기경의 가대복'''
'''주교의 가대복'''
'''사제, 부제, 신학생의 가대복'''
교황 | 추기경 | 주교 |
로마 교황청의 고위 성직자 및 교황청 수석 서기 de numero | 교황청 수석 서기 및 명예 고위 성직자 | 교황 예하 사제 |
사제, 부제, 신학생 및 시종 | 참사 (디자인은 다양함) | |
2006년부터 그리스도 왕 주권 사제회의 사제들은 피렌체 대주교 추기경이 부여한 고유한 성가대 복장을 갖게 되었다.
그리스도 왕 주권 사제회의 사제, 장상 및 총장 |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의 성가대 복장은 각 자율 교회마다 색상과 디자인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3. 동방 교회의 가대복
총대주교 (슬라브) 관구장 대주교 (슬라브) 주교 (슬라브) 주교 (그리스) 사제 수도 사제 대수도사 수도사 독서자/부제/집사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 시리아 정교회 주교 콥트 정교회 사제 시리아 정교회 사제 시리아 정교회 사제 (수도사)
3. 1. 구성 요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성직자들의 성가대 복장은 서로 비슷하다. 안쪽에 입는 카소크(''라손'' 또는 ''포드라스니크'') 위에 소매가 넓은 ''엑소라손''(리아사)을 입는데, 주로 검은색이다.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기혼 성직자들이 회색 옷을 입는 경우가 많고, 수도사 성직자들은 검은색 옷을 입는다. 부활절에는 수도사나 기혼 성직자 모두 흰색 안쪽 카소크를 입기도 한다. 일부 러시아 관구장 주교들은 성찬 예식을 위해 도착할 때 흰색 안쪽 카소크와 파란색 바깥쪽 카소크를 입는다.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가톨릭교회에서 수도자는 검은 망토인 '''만디아스'''를 외투 위에 착용한다. 만디아스는 턱 아래에서 바닥까지 수도자를 완전히 덮는다. 그리스 관습에서는 특정 전례 역할 수행 시에만 만디아스를 착용하지만, 슬라브 관습에서는 스타브로포르 이상의 모든 수도자와 수녀는 수도원 내 모든 예배에서 만디아스를 착용한다. 이구멘(아빠스)의 만디아스는 검은색 비단으로, 대수도원장이나 주교의 만디아스는 색색의 비단으로 만든다. 주교의 만디아스에는 "강"이라고 불리는 세 개의 가로 줄무늬(금색 또는 빨간색과 흰색)가 있다.
수도 성직자는 결혼한 성직자와 다른 머리 덮개를 쓴다. 결혼한 성직자는 ''칼리마우키온''이나 ''스쿠피아''를 쓰지만, 수도 성직자는 검은색 칼리마우키온과 베일(함께 '''클로부크'''라고 함)을 쓴다. 러시아 대주교는 클로부크 앞면에 보석 십자가를 달고, 러시아 관구장은 보석 십자가가 있는 흰색 클로부크를 쓴다. 여러 정교회 총대주교는 쿠쿨리온이라고 하는 둥근 머리 덮개를 쓴다.
사제는 흉부 십자가를 받은 경우 성가대 복과 함께 착용한다. 주교는 흉부 십자가 대신 ''파나기아''(테오토코스의 성상)를 착용한다. 대주교는 흉부 십자가와 파나기아를 함께 착용할 수 있다. 모든 수석 주교와 일부 주교는 ''엔콜피온''(그리스도의 성상), 흉부 십자가, 파나기아를 모두 착용할 수 있다.
재임 중인 이구멘과 주교는 교회에서 ''파테리사''(주교 지팡이)를 휴대할 수 있지만, 제대 안에는 휴대할 수 없다. 대신 파테리사는 제대 봉사자에게 건네거나 성문 밖 이코노스타시스에 기대어 놓는다.
북미와 영국에서는 일부 정교회 성직자가 로만 칼라(성직자 셔츠)를 착용하기도 하지만, 전통적인 정교회에서는 권장되지 않는다.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 | 시리아 정교회 주교 | 콥트 정교회 사제 | 시리아 정교회 사제 | 시리아 정교회 사제 (수도사) |
시리아 정교회에서 결혼한 사제는 검은색 모자(''피로'')를, 수도원 사제는 스킴마(''에스키모'')를 착용한다. 특정 성사 의식에서 사제나 주교는 에피트라켈리온(스톨)을 착용한다.[1]
3. 2. 착용 예시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성직자들의 성가대 복장은 서로 유사하다. 안쪽 카소크(''라손'' 또는 ''포드라스니크'') 위에 소매가 깊은 ''엑소라손''(''리아사'')을 착용하며, 주로 검은색이다.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기혼 성직자는 회색, 수도사 성직자는 검은색 옷을 입는다. 부활절에는 수도사와 기혼 성직자 모두 흰색 안쪽 카소크를 입기도 한다. 일부 러시아 관구장 주교는 성찬 예식 거행을 위해 도착할 때 흰색 안쪽 카소크와 파란색 바깥쪽 카소크를 입는다.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가톨릭교회 수도자는 검은 망토인 '''만디아스'''를 외투 위에 착용한다. 만디아스는 턱 아래에서 바닥까지 수도자를 덮는다. 그리스 관습에서는 특정 전례 역할 수행 시에만 착용하지만, 슬라브 관습에서는 스타브로포르 이상 수도자와 수녀는 수도원 내 모든 예배에서 착용한다. 이구멘(아빠스)의 만디아스는 검은색, 대수도원장 또는 주교의 만디아스는 색색의 실크로 제작된다(관할 구역에 따라 다름). 만디아스에는 네 개의 사각형 "태블릿"(목에 두 개, 발에 두 개)이 있다. 주교 만디아스에는 "강"이라 불리는 금색(그리스 관습) 또는 빨간색과 흰색(슬라브 관습) 가로 줄무늬 세 개가 추가된다.
수도 성직자는 결혼한 성직자와 다른 머리 덮개를 착용한다. 결혼한 성직자는 ''칼리마우키온'' 또는 ''스쿠피아''를 착용하지만, 수도 성직자는 검은색 칼리마우키온과 베일('''클로부크''')을 착용한다. 수도자에게 스쿠피아는 평상복, 클로부크는 교회에서 착용한다. 러시아 대주교는 클로부크 앞면에 보석 십자가를 부착하고, 러시아 관구장은 보석 십자가가 있는 흰색 클로부크를 착용한다. 여러 정교회 총대주교는 쿠쿨리온이라 불리는 둥근 머리 덮개를 착용한다.
사제가 흉부 십자가를 받으면 성가대 복과 함께 착용한다(은색, 금색, 보석 등 여러 등급). 주교는 흉부 십자가 대신 ''파나기아''(테오토코스 성상)를 착용한다. 대주교는 흉부 십자가와 파나기아를 함께 착용할 수 있다. 모든 수석 주교와 일부 주교는 ''엔콜피온''(그리스도 성상), 흉부 십자가, 파나기아를 착용할 수 있다.
재임 중인 이구멘(수도원 내)과 주교는 교회에서 ''파테리사''(주교 지팡이)를 휴대할 수 있으나, 성소 안에는 휴대할 수 없다. 사제가 제대로 들어갈 때 제대 봉사자에게 주거나 성문 밖 이코노스타시스에 기대어 놓는다.
북미와 영국에서는 일부 정교회 성직자가 로만 칼라(성직자 셔츠)를 착용하지만, 전통적인 정교회에서는 권장하지 않는다.
각 자율 교회마다 색상과 디자인에 차이가 있지만, 동방 정교회 성가대 복장 예시는 다음과 같다.
총대주교 (슬라브) | 관구장 대주교 (슬라브) | 주교 (슬라브) | 주교 (그리스) |
사제 | 수도 사제 | 대수도사 | 수도사 | 독서자/부제/집사 |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 | 시리아 정교회 주교 | 콥트 정교회 사제 | 시리아 정교회 사제 | 시리아 정교회 사제 (수도사) |
시리아 정교회에서 결혼한 사제는 검은색 모자(''피로'')를, 수도원 사제는 스킴마(''에스키모'')를 착용한다. 특정 성사 의식에서 사제 또는 주교는 에피트라켈리온(스톨)을 착용한다.
4. 성공회의 가대복
성공회 성가대 복은 시대와 교파에 따라 다양한 변천을 겪었다. 16세기 종교개혁 시기에는 단순화되었으나, 19세기 옥스퍼드 운동을 거치며 다시 화려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1552년 기도서에서는 주교를 제외한 성직자에게 흰 옷만을 허용했으나, 1559년 엘리자베스 기도서의 장식 규정은 성찬 의복의 사용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 19세기 중반 옥스퍼드 운동 이후 성찬 의복이 복원되면서, 많은 교회에서 성가대 복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3]
1960년대에는 새로운 법규에 따라 수단, 가운, 티펫과 함께 사각형 모자가 성직자의 "야외 복장"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 저교회 교구에서는 성찬례에서도 성가대 복이 규범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3] 고교회나 앵글로-가톨릭 전통에서는 로마 가톨릭과 유사한 형태의 성가대 복을 착용하기도 한다.
4. 1. 구성 요소
성공회의 '성가대 복'은 전통적으로 수단, 흰 옷, 스카프(또는 티펫)로 구성된다.[1] 학위 후드도 착용할 수 있다. 1964년부터 잉글랜드 성공회에서는 성직자의 재량에 따라 코프를 착용할 수 있게 되었다.[2]14세기까지 흰 옷은 필수적인 성가대 의복이었다.[3] 1552년 기도서에서는 주교를 제외한 성직자에게 허용된 유일한 의복이 흰 옷이었으며, 주교는 로켓을 착용해야 했다(수단은 속옷으로 착용).[4] 1559년 엘리자베스 기도서에는 장식 규정이 포함되었는데, 그 법적 해석은 19세기에 논쟁이 있었다. 1662년 공동 기도서에 포함된 내용은 에드워드 6세 치세에 사용되었던 개혁 이전의 성찬 의복(카수블, 달마티카, 투니클, 알바, 아미스, 마니플)을 명한다고 주장되었다.[4] 그러나 엘리자베스 시대 주교들은 흰 옷의 사용을 강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4] 성찬 의복 사용은 19세기 중반 옥스퍼드 운동 이후 복원되었다.[3]
수단은 사제와 부제를 위해 검은색을 사용한다. 전통적인 성공회 수단은 이중 브레스티드(double-breasted) 형태이며, 어깨에 단추를 채운다. 많은 성공회 성직자들은 라틴 싱글 브레스티드 수단을 선호한다. 수단은 파시아와 유사한 천 띠, 로프 거들, 또는 가죽 벨트 형태의 허리띠와 함께 착용한다. 이 위에 흰 옷을 착용하는데, 로마 가톨릭 성직자가 착용하는 것보다 길고 풍성하다. 전통적으로 학위 후드는 어깨와 등 아래로 착용하고, 검은색 티펫 또는 스카프와 함께 착용한다. 후드와 티펫은 한때 알무스라는 단일 의복이었다. 일부 성직자는 칼라에서 제네바 밴드를 착용하기도 한다. 캔터베리 캡은 잉글랜드 성공회 성직자의 전통적인 머리 장식이며, 일부는 비레타 또는 사각모를 선호한다.
군종 채플린은 공식 승인된 배지와 획득한 메달과 함께 티펫을 착용한다. 주교 또는 사제는 학위를 받은 신학교 문장이 있는 티펫을 착용할 수 있다. 잉글랜드의 일부 성당 성직자는 독특한 상징이나 성당 문장이 수놓아진 티펫을 착용한다. 고교회 또는 앵글로-가톨릭 성향의 성직자는 더 짧은 흰 옷(또는 ''코타''), 영대(때로는 비레타)를 포함하는 로마 가톨릭 스타일의 성가대 복을 착용하기도 한다.
독서자는 집전할 때 파란색 티펫을 착용하거나, 미국에서는 교구 문장이 있는 검은색 티펫을 착용한다. 공동 기도서의 최근 판에서는 성찬례에서 성경 독자가 평신도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평상복을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교구에서는 독서자가 부제의 전통 예복인 흰색 허리띠로 고정된 알바와 투니클을 착용한다. 다른 교구에서는 성가대원처럼 수단과 흰 옷을 착용한다.
성공회 주교는 보통 보라색 수단을 착용한다. 이 위에 빨간색 또는 검은색 키메라와 커프스, 검은색 티펫, 때로는 학위 후드가 있는 로켓을 착용한다.
역할 | 복장 |
---|---|
주교 | |
교구 사제 (수단 색상 변동) | |
사제 또는 부제 | |
독서자 | |
평신도 |
4. 2. 착용 예시


성공회의 성가대 복은 전통적으로 수단, 흰 옷, 스카프(또는 티펫)로 구성된다.[1] 학위 후드도 착용할 수 있다.
- 주교: 보라색 수단을 착용한다. 그 위에 빨간색 또는 검은색 키메라와 소매, 검은색 티펫, 학위 후드를 착용한다.
- 교구 사제: 수단 색상은 다양하다.
- 사제 또는 부제: 검은색 수단을 착용한다. 전통적인 성공회 수단은 이중 브레스티드(double-breasted) 형태이다. 라틴 싱글 브레스티드 수단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허리띠로는 파시아와 유사한 천 띠, 로프 거들, 가죽 벨트 등을 착용한다. 흰 옷은 로마 가톨릭 성직자가 착용하는 것보다 길고 풍성하다. 학위 후드와 검은색 티펫을 착용한다. 제네바 밴드를 착용하기도 한다. 캔터베리 캡은 잉글랜드 성공회 성직자의 전통적인 머리 장식이며, 일부는 비레타 또는 사각모를 선호한다.
- 독서자: 파란색 티펫을 착용하거나, 미국에서는 교구의 문장을 표시하는 검은색 티펫을 착용한다. 성찬례에서 성경 독자는 평상복을 착용할 수 있다. 일부 교구에서는 독서자가 흰색 허리띠로 고정된 알바와 투니클을 착용하기도 한다.
- 평신도: 수단과 흰 옷을 착용한다.
주교 | 교구 사제 (수단 색상 변동) | 사제 또는 부제 | 독서자 | 평신도 |
참조
[1]
서적
Tippet
1974
[2]
간행물
Canons of 1964
[3]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Paternoster
1974
[4]
서적
A New History of the Book of Common Prayer
MacMillan
1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