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라아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라아게는 튀김 방식으로, 17세기 말 일본 겐로쿠 시대에 처음 언급되었다. 닭고기 가라아게는 1930년대에 '중국식' 음식점 요리로 인기를 얻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정에서도 쉽게 만들어 먹는 일반적인 요리가 되었다. 오이타현의 우사시와 나카쓰시를 중심으로 가라아게 문화가 발전했으며, 현재는 일본 전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닭고기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튀겨 가라아게로 활용하며, 지역별로 독특한 조리법과 변형된 형태가 존재한다. 가라아게는 일본 요리 관련 미디어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라아게 - 데바사키카라아게
    나고야의 닭 요리 전문점 풍래방 창업자 오오츠보 겐코가 개발한 데바사키카라아게는 기타큐슈시의 "타잔 구이"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닭 날개 튀김 요리이다.
  • 일본의 닭고기 요리 - 오야코동
    오야코동은 닭고기와 달걀을 주재료로 하여 밥 위에 얹어 먹는 일본 덮밥 요리로, '부모와 자식'을 의미하는 이름은 닭고기와 달걀을 함께 사용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변형과 파생 요리가 존재한다.
  • 일본의 닭고기 요리 - 치킨라이스
    치킨라이스는 닭고기를 주재료로 한 밥 요리로, 일본에서 서양식 밥 요리에서 유래되었으며 동남아시아, 특히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각 나라의 특색을 담은 요리로 자리 잡았다.
  • 일본의 퓨전 요리 - 찬푸루
    찬푸루는 류큐 왕국 시대부터 오키나와에서 섞는다는 의미로 불리며 섬두부를 기본으로 채소, 돼지고기, 계란 등을 볶아 만든 오키나와 전통 요리이다.
  • 일본의 퓨전 요리 - 멘치카츠
    멘치카츠는 다진 고기를 빵가루에 튀긴 일본식 양식 요리로, 메이지 시대에 처음 판매된 후 쇼와 시대에 현재 명칭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지역에 따라 재료와 조리법에 차이가 있고, 소스와 양배추를 곁들여 먹거나 샌드위치 재료, 지역 특산품 등으로 활용된다.
가라아게
지도 정보
요리 정보
종류튀김 요리
주재료닭고기 (주로 닭 넓적다리살)
특징밑간을 한 닭고기 등에 밀가루녹말가루를 묻혀 기름에 튀긴 일본 요리
명칭 정보
일본어 명칭唐揚げ 空揚げ から揚げ
로마자 표기Karaage
다른 표기tatsuta-age (竜田揚げ)
기타 정보
관련 정보아게모노
유사 음식프라이드 치킨

2. 역사

가라아게(唐揚)라는 튀김 방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7세기 말 겐로쿠 시대에 등장한다.[2] 닭고기 가라아게는 1930년대에 "중국식" 음식점 요리(唐은 을 의미)로 인기를 얻었다.[2] 1932년, 현재의 미카사카이칸(三笠会館) 지점에서 중국의 닭고기 튀김을 참고로 하여 고안된 "어린 닭고기 탕수육(若鶏の唐揚)"이 일본 외식 메뉴 최초로 등장한 것으로 여겨진다.[39]

수식어 없이 가라아게라고 하면 보통 닭고기 요리를 가리킨다.[2]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라아게를 집에서 만들기가 더 쉬워지면서 가장 일반적인 조리법이 되었기 때문이다.[2] 가라아게의 인기가 전후에 높아진 것은 오이타현우사나카쓰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2] 오이타현(大分県)우사시(宇佐市)는 제2차 세계대전(第二次世界大戦) 직후 "어린 닭고기 탕수육(若鶏の唐揚げ)"을 제공한 중화요리점 라이라이켄(来々軒)을 가라아게 전문점 발상의 기원으로 하고 있다.[40] 여기서 제조법을 배운 남성이 쇼와 30년대경에 시작한 테이크아웃 가라아게 전문점 "쇼우스케(庄助)"가 인기를 얻어 우사시 외 나카츠시(中津市) 등으로 확산되었다.[41] 나카쓰에서 매년 열리는 가라아게 축제에는 60개가 넘는 점포가 참가하여 독특한 가라아게를 선보인다.[2] "나카쓰 가라아게"를 광고하는 점포는 일본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4][5]

치킨 가라아게


일본에서는 로손, 패밀리마트, 세븐일레븐과 같은 편의점에서 닭고기 가라아게를 패스트푸드로 흔히 판매한다.[6] 또한 일본 전역의 포장마차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6]

일반 요리로서 외식점이나 가정에 널리 보급된 것은 전후부터이며, 전후 식량난에 대응하기 위해 규슈(九州) 등에서 양계장이 만들어지고 미국(アメリカ合衆国)의 브로일러(ブロイラー) 기술이 수입되어 증산된 후이다.[45][52][54][55] 고도 경제 성장(高度経済成長)기 이후인 1970년대부터는 미국의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ケンタッキーフライドチキン)이 일본에도 소개되어 보급되고, 향신료(香辛料)가 든 프라이드 치킨도 외식 메뉴의 하나가 되어 가고, 간장 맛을 베이스로 한 가라아게 판매점도 인기를 얻어 갔다.[56]

2. 1. 초기 역사

가라아게(唐揚)라는 튀김 방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7세기 말 겐로쿠 시대에 등장한다.[2][3] 1747년의 『요리 가센의 꾸미실(料理歌仙の組糸)』에는 "도미(鯛) 조각 덴푸라"가 있으며, "덴푸라는 어떤 생선이든 옥수수 가루(うんとんの粉)를 묻혀 기름에 튀긴다."라고 적혀 있어, 옷을 입혀 튀기는 방법의 최초 기록으로 여겨진다.[27][28][29]

1930년대에 "중국식" 음식점 요리(唐은 을 의미)로 닭고기 가라아게(唐揚)가 인기를 얻었다.[2][3] 일본의 신문과 출판사들 사이에서는 선호하는 한자에 대한 상당한 의견 불일치가 있어, 음독으로 からあげ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1932년 현재의 미카사카이칸(三笠会館) 지점에서 중국의 닭고기(鶏) 튀김을 참고로 하여 고안된 "어린 닭고기 탕수육(若鶏の唐揚)"이 닭고기 가라아게의 일본 외식 메뉴 최초 등장으로 여겨진다.[3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라아게를 집에서 만들기가 더 쉬워지면서 닭고기 요리가 가장 일반적인 조리법이 되었다.[2][3] 가라아게의 인기가 전후에 높아진 것은 인근 도시 우사나카쓰가 있는 오이타현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2][3] "나카쓰 가라아게"를 광고하는 점포는 일본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4][5]

2. 2. 닭고기 가라아게의 대중화

가라아게(唐揚)라는 튀김 방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7세기 말 겐로쿠 시대에 등장한다.[2] 닭고기 가라아게는 1930년대에 "중국식" 음식점 요리로 인기를 얻었다.[2] 1932년, 현재의 미카사카이칸(三笠会館) 지점에서 중국의 닭고기 튀김을 참고로 하여 고안된 "어린 닭고기 탕수육(若鶏の唐揚)"이 일본 외식 메뉴 최초로 등장한 것으로 여겨진다.[39]

수식어 없이 가라아게라고 하면 보통 닭고기 요리를 가리킨다.[2]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라아게를 집에서 만들기가 더 쉬워지면서 가장 일반적인 조리법이 되었기 때문이다.[2] 가라아게의 인기가 전후에 높아진 것은 오이타현우사나카쓰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2] 오이타현(大分県)우사시(宇佐市)는 제2차 세계대전(第二次世界大戦) 직후 "어린 닭고기 탕수육(若鶏の唐揚げ)"을 제공한 중화요리점 라이라이켄(来々軒)을 가라아게 전문점 발상의 기원으로 하고 있다.[40] 여기서 제조법을 배운 남성이 쇼와 30년대경에 시작한 테이크아웃 가라아게 전문점 "쇼우스케(庄助)"가 인기를 얻어 우사시 외 나카츠시(中津市) 등으로 확산되었다.[41] 나카쓰에서 매년 열리는 가라아게 축제에는 60개가 넘는 점포가 참가하여 독특한 가라아게를 선보인다.[2] "나카쓰 가라아게"를 광고하는 점포는 일본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4][5]

일본에서는 로손, 패밀리마트, 세븐일레븐과 같은 편의점에서 닭고기 가라아게를 패스트푸드로 흔히 판매한다.[6] 또한 일본 전역의 포장마차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6]

일반 요리로서 외식점이나 가정에 널리 보급된 것은 전후부터이며, 전후 식량난에 대응하기 위해 규슈(九州) 등에서 양계장이 만들어지고 미국(アメリカ合衆国)의 브로일러(ブロイラー) 기술이 수입되어 증산된 후이다.[45][52][54][55] 고도 경제 성장(高度経済成長)기 이후인 1970년대부터는 미국의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ケンタッキーフライドチキン)이 일본에도 소개되어 보급되고, 향신료(香辛料)가 든 프라이드 치킨도 외식 메뉴의 하나가 되어 가고, 간장 맛을 베이스로 한 가라아게 판매점도 인기를 얻어 갔다.[56]

2. 3. 한자 표기 논란과 현대적 의미

가라아게(唐揚)라는 튀김 방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7세기 말 겐로쿠 시대에 있었다.[24][66] 치킨 가라아게는 1930년대에 중국식 레스토랑 음식으로 대중화되었다. 일반적으로 가라아게는 닭고기 요리를 의미하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정에서 가라아게를 만드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널리 퍼졌다. 일본에서는 로손, 패밀리마트,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에서 패스트푸드로 판매되며, 푸드 스탠드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오이타 시에서는 매년 가라아게 축제가 열려 60개 이상의 상점이 참여한다.

가라아게의 한자 표기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공양(空揚)·허양(虚揚): 메이지 시대 이후 등장한 표기로, "빈 튀김(空の揚げ)"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62][60] 일본신문협회에서는 '공아게(空揚げ)'로 통일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실제 신문 기사에서는 '가라아게(唐揚げ)'도 사용된다.[60] 항공자위대급식에서는 닭고기 가라아게를 '공아게(空上げ)'라고 표기하는데, 이는 항공자위대 전체가 더 높은 목표를 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61]

  • 가라아게(から揚げ): 전후 NHK에서는 처음에는 이 표기만 인정했으나, 1973년 당용한자 음훈표의 내각 고시에 따라 '공아게(空揚げ)'도 허용되었다. 2011년에는 '가라아게(唐揚げ)'가 더 자연스럽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한자 표기 규정이 '①가라아게(から揚げ) ②공아게(空揚げ) (「가라아게(唐揚げ)」라고도)'로 수정되었다.[62]

  • 가라아게(唐揚げ): 에도 시대 초기 중국에서 전래된 푸차료리의 가라아게(唐揚)는 재료와 옷에 양념을 하고 튀겨 소스 없이 먹는 것이 정식이었다.[63] 1829년 『에도 유행 요리 통』의 탁복 요리에도 가라아게(唐揚)가 등장한다. 1960년대 『삼성당 국어사전』에는 '가라아게(からあげ)'가 '공아게(空揚げ)'·'가라아게(唐揚げ)'로 표기되어 옷을 묻히지 않고 튀기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1980년대 『광사전』에는 관용 표기가 없었고,[64] 현재는 두 표기 모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국어 대사전』에는 '공양(空揚)'을 찾아보기 단어로 채택하고, 중화요리에는 '가라아게(唐揚げ)'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65] '가라아게(唐揚げ)'는 일반화되어 인터넷 검색, 가게, 상품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60] 2015년 『신명해 유의어 사전』에서는 '가라아게(唐揚げ)'를 밀가루나 감자전분을 묻혀 튀기는 것, 또는 소揚げ(素揚げ)의 이체자로 설명한다. 『일본 요리 어원집』에서는 당풍(唐風)으로 튀기면 가라아게(唐揚), 아무것도 묻히지 않고 튀기면 공양(空揚)이라고 설명하며,[46] 코토뱅크 '일본 대백과전서'에서는 가라아게(からあげ)를 가라아게(唐揚げ), 즉 중국풍 튀김이라고 설명한다.[49]


『푸차료리초』(1772년)에는 "唐揚"(「가라아게」 또는 「토우아게」)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데, 이는 두부를 작게 썰어 튀긴 후 간장과 술로 졸인 것이다.[37][62] 1970년 발간된 『속 일본요리법대전』에는 푸차료리의 唐揚만이 기록되어 있으며, 1923년의 『일본요리법대성』에서도 "가라아게(唐揚)"로서 푸차료리의 일품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에도 시대의 요리책 『소인포딩』(1803년) 등에서는 어패류나 채소류의 소揚이나 밀가루를 묻혀 튀긴 것을 "전출(煎出)」「옷가케」라고 불렀다.[24]

3. 재료 및 조리법

다양한 튀김이 존재하며, 특별한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간단히 "튀김"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닭튀김

: 닭고기에 옷을 입혀 튀긴 음식으로, 프라이드 치킨이라고도 불린다. 가장 일반적인 튀김이며, 일본에서는 닭고기에 양념을 하지 않거나 간장이나 생강 등으로 일본식 양념을 한 것을 튀김, 허브나 향신료 등으로 서양식 양념을 한 것을 프라이드 치킨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닭튀김은 전후에 보급된 요리로, 브로일러가 미국에서 수입되어 양계업이 확대됨에 따라 닭고기를 쉽게 먹을 수 있게 되었고, 중국 대륙에서 조리 기술을 익힌 사람이 현지의 조리 방법을 모방하여 튀김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45] 고도성장기에는 간편한 스태미나 식으로도 인기를 얻어 많은 사람들이 먹게 되었다.

; 닭 연골 튀김

: 닭의 날개 또는 다리의 연골 부분을 잘라 튀김 또는 닭강정 방식으로 조리한 음식으로, 선술집 메뉴로 맥주 안주 등으로 이용된다.

; 새우 튀김

: 껍질째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새우를 튀김 방식으로 튀긴 요리이다. 일본과 중국에서 만들어지며, 담수산 민물새우나 징거미새우, 천해산 갯가재나 도화새우, 심해산 벚꽃새우, 흰새우, 흰다리새우 등이 사용된다.

; 닭강정

: 닭강정(竜田揚げ)은 어류·육류를 간장이나 미린 등으로 간을 하고, 감자전분을 묻혀 기름에 튀긴 요리이다.[17][67] 옷은 밀가루나 튀김용 프리믹스 가루(조정 가루·믹스 가루)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래고기를 사용한 닭강정은 쇼와 시대에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학교급식 메뉴에 자주 올라왔다.[68] 「닭강정」을 「튀김」이라고 하는 지역도 있다.[69] 닭강정의 어원은 아리와라 노리히라의 와카에서 연상되어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70] 나라현이카루가정과 이코마시는 2013년과 2014년에 닭강정을 향토 음식으로 하는 마을 만들기를 시작했다.[71] 다른 설로는, 대일본제국 해군의 경순양함「류타」의 주방장이 발명했다는 설이 있다.[72][73] 1924년의 『경제적인 식품 조리 비결』에 "타츠타아게"가 보인다. 소고기, 말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기름기를 제거하고 적당히 자르고, 미린에 간장 또는 술과 간장과 설탕을 좋은 맛으로 섞은 국물에 15분 정도 담가 튀기고, 그 국물로 우동가루(밀가루)를 적당히 풀어 옷으로 붙여 튀겨 단풍잎 두세 장을 붙여 제공한다고 되어 있다. 1928년의 『군대 조리법』에도 "룡타아게"가 보이며, 이쪽은 생선의 살을 간장에 1시간 정도 담가 끓인 라드로 튀긴 것이다.

3. 1. 일반적인 재료 및 조리법

다양한 튀김이 존재하며, 특별한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간단히 "튀김"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45]

닭튀김은 닭고기에 옷을 입혀 튀긴 음식으로, 프라이드 치킨이라고도 불린다. 가장 일반적인 튀김이며, 일본에서는 닭고기에 양념을 하지 않거나 간장이나 생강 등으로 일본식 양념을 한 것을 튀김, 허브나 향신료 등으로 서양식 양념을 한 것을 프라이드 치킨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닭 연골 튀김은 닭의 날개 또는 다리의 연골 부분을 잘라 튀기거나 닭강정 방식으로 조리한 음식으로, 선술집 메뉴로 맥주 안주 등으로 이용된다. 새우 튀김은 껍질째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새우를 튀김 방식으로 튀긴 요리로, 일본과 중국에서 만들어진다. 담수산 민물새우나 징거미새우, 천해산 갯가재나 도화새우, 심해산 벚꽃새우, 흰새우, 흰다리새우 등이 사용된다.

닭강정(竜田揚げ, 타츠타아게)은 어류·육류를 간장이나 미린 등으로 간을 하고, 감자전분을 묻혀 기름에 튀긴 요리·조리법이다.[17][67] 고래고기를 사용한 닭강정은 쇼와 시대에 저렴하게 제공되어 학교급식 메뉴에 자주 올라왔다.[68] 닭강정의 어원은 아리와라 노리히라의 와카에 나오는 류타가와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70] 나라현이카루가정과 이코마시는 닭강정을 향토 음식으로 하는 마을 만들기를 시작했다.[71] 다른 설로는 대일본제국 해군의 경순양함「류타」의 주방장이 발명했다는 설이 있다.[72][73]

3. 2. 기타 조리법



다양한 튀김이 존재하며, 이들은 특별한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간단히 "튀김"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닭튀김은 닭고기에 옷을 입혀 튀긴 음식으로 프라이드 치킨이라고도 불린다. 일본에서는 닭고기에 양념을 하지 않거나 간장이나 생강 등으로 일본식 양념을 한 것을 튀김, 허브나 향신료 등으로 서양식 양념을 한 것을 프라이드 치킨이라고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45] 닭튀김은 전후에 보급된 요리로, 브로일러가 미국에서 수입되어 양계업이 확대됨에 따라 닭고기를 쉽게 먹을 수 있게 되었고, 중국 대륙에서 조리 기술을 익힌 사람이 현지의 조리 방법을 모방하여 튀김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45]

닭 연골 튀김은 닭의 날개 또는 다리의 연골 부분을 잘라 튀김 또는 닭강정 방식으로 조리한 음식으로, 선술집 메뉴로 맥주 안주 등으로 이용된다.

새우 튀김은 껍질째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새우를 튀김 방식으로 튀긴 요리이다. 일본과 중국에서 만들어지며, 담수산 민물새우나 징거미새우, 천해산 갯가재나 도화새우, 심해산 벚꽃새우, 흰새우, 흰다리새우 등이 사용된다.

닭강정(竜田揚げ)은 어류·육류를 간장이나 미린 등으로 간을 하고, 감자전분을 묻혀 기름에 튀긴 요리이다.[17][67] 고래고기를 사용한 닭강정은 쇼와 시대에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학교급식 메뉴에 자주 올라왔다.[68] 닭강정의 어원은 아리와라 노리히라의 와카에서 연상되어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70] 나라현이카루가정과 이코마시는 2013년과 2014년에 닭강정을 향토 음식으로 하는 마을 만들기를 시작했다.[71] 다른 설로는, 대일본제국 해군의 경순양함「류타」의 주방장이 발명했다는 설이 있다.[72][73]

4. 지역별 가라아게

가라아게는 일본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지역별 다양한 변형이 생겨났다.[7] 각 지역에는 다양한 닭튀김이 존재하며, 특별한 이름으로 부르거나 간단히 "닭튀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잔기(Zangi)''' – 홋카이도 지방의 가라아게로, 마리네이드에 재워 맵게 만든 소스에 찍어 먹는다. 홋카이도에서 널리 사용되는 명칭으로, "튀긴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81] 닭고기를 간장과 마늘 등의 조미료로 간을 하고, 감자전분과 밀가루를 섞어 튀긴다. 닭 이외의 식재료에도 잔기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재료명을 추가하여 "문어 잔기" 등으로 부른다.[85]

  • '''테바사키(닭날개 튀김)''' – 나고야 지방의 가라아게. 뼈가 있는 닭 날개를 사용하며, 참깨를 뿌리고 특제 소스를 발라 구워낸다. 튀긴 후에 양념을 바르고, 소금·후추·참깨 등을 뿌려 마무리하기 때문에, 바삭바삭한 식감에 후추의 향신료가 강하다.[79]
  • '''치킨 난반''' – 미야자키현의 가라아게로, 달콤한 식초에 적신 후 타르타르 소스를 얹는다.
  • '''구루쿤노가라아게(Gurukun no kara-age)''' – 오키나와현의 가라아게. 구루쿤(Gurukun)은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인기 어종으로, 통째로 튀겨 레몬과 함께 제공된다.
  • '''복어 가라아게(Fugu no kara-age)''' – 야마구치현에서 인기 있는 가라아게. 시모노세키(Shimonoseki)는 복어(fugu)[9]의 주요 산지로, 복어의 살, 내장, 뼈를 튀겨낸다.
  • '''중쓰 닭튀김''' - 오이타현나카쓰시의 닭튀김으로, 일본닭튀김협회는 닭튀김의 성지로 여기고 있다.[75]
  • '''우사 닭튀김''' - 오이타현 북부 지역 우사시의 닭튀김으로, 간장이나 마늘, 생강 등을 베이스로 한 양념에 재워 밑간을 충분히 한 후 튀기는 것이 많다.[77]
  • '''산적구이''' - 나가노현의 산적구이는 닭 허벅지살을 통째로 큼지막하게 튀긴 것으로, 시오지리시의 향토 음식이다.[78]
  • '''센잔키''' - 에히메현이마바리시에 전해지는 향토 요리이다. 원래는 꿩고기를 사용한 튀김이었지만, 현재는 밑간을 한 닭 튀김을 가리킨다.[87]
  • '''반마리 튀김''' - 니가타현의 니가타시에서 산조시를 중심으로 먹히는 닭고기 튀김. 세로로 반으로 썬 어린 닭고기를 밑간을 하지 않고 뼈째 아주 얇은 옷을 입혀 튀긴 것이다.
  • '''닭 반마리 튀김''' - 오타루시 또는 쿠시로시에서 시작되었으며, 닭의 반마리를 옷을 입히지 않고 튀긴 것이다.
  • '''세키 닭튀김''' - 기후현세키시에서 먹히는 닭 튀김. 옷이 검고, 히지키와 현지 명물인 표고버섯을 사용하고 있다.
  • '''테리카케''' - 아이치현세토시에서 먹히는 닭 튀김. 닭튀김에 걸쭉한 달콤한 양념을 버무리고, 마지막으로 참깨를 뿌린 것이다.[88]
  • '''글루쿤 튀김''' - 타카사고를 오키나와 방언으로 "글루쿤"이라고 불리며, 난세이 제도에서 자주 먹힌다.


오징어(Geso) 가라아게


4. 1. 일본

가라아게는 일본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지역별 다양한 변형이 생겨났다.[7] 각 지역에는 다양한 닭튀김이 존재하며, 특별한 이름으로 부르거나 간단히 "닭튀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잔기(Zangi)''' – 홋카이도 지방의 가라아게로, 마리네이드에 재워 맵게 만든 소스에 찍어 먹는다. 홋카이도에서 널리 사용되는 명칭으로, "튀긴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81] 닭고기를 간장과 마늘 등의 조미료로 간을 하고, 감자전분과 밀가루를 섞어 튀긴다. 닭 이외의 식재료에도 잔기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재료명을 추가하여 "문어 잔기" 등으로 부른다.[85]

  • '''닭날개 튀김''' – 나고야 지방의 가라아게. 뼈가 있는 닭 날개를 사용하며, 참깨를 뿌리고 특제 소스를 발라 구워낸다. 튀긴 후에 양념을 바르고, 소금·후추·참깨 등을 뿌려 마무리하기 때문에, 바삭바삭한 식감에 후추의 향신료가 강하다.[79]
  • '''치킨 난반''' – 미야자키현의 가라아게로, 달콤한 식초에 적신 후 타르타르 소스를 얹는다. 닭튀김을 달콤한 식초 소스에 절이고, 거기에 타르타르 소스를 뿌린 요리이다.

  • '''구루쿤노가라아게(Gurukun no kara-age)''' – 오키나와현의 가라아게. 구루쿤(Gurukun)은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인기 어종으로, 통째로 튀겨 레몬과 함께 제공된다.
  • '''닭강정(Dakgangjeong)'''[8] – 한국식 튀긴 닭고기 요리이다. 가라아게와 매우 유사하지만, 우유를 사용하고 간장, 막걸리, 고춧가루, 꿀, 기타 양념으로 만든 달콤하고 매운 소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복어 가라아게(Fugu no kara-age)''' – 야마구치현에서 인기 있는 가라아게. 시모노세키(Shimonoseki)는 복어(fugu)[9]의 주요 산지로, 복어의 살, 내장, 뼈를 튀겨낸다.
  • '''중쓰 닭튀김''' - 오이타현나카쓰시의 닭튀김으로, 일본닭튀김협회는 닭튀김의 성지로 여기고 있다.[75]
  • '''우사 닭튀김''' - 오이타현 북부 지역 우사시의 닭튀김으로, 간장이나 마늘, 생강 등을 베이스로 한 양념에 재워 밑간을 충분히 한 후 튀기는 것이 많다.[77]
  • '''산적구이''' - 나가노현의 산적구이는 닭 허벅지살을 통째로 큼지막하게 튀긴 것으로, 시오지리시의 향토 음식이다.[78]
  • '''센잔키''' - 에히메현이마바리시에 전해지는 향토 요리이다. 원래는 꿩고기를 사용한 튀김이었지만, 현재는 밑간을 한 닭 튀김을 가리킨다.[87]
  • '''반마리 튀김''' - 니가타현의 니가타시에서 산조시를 중심으로 먹히는 닭고기 튀김. 세로로 반으로 썬 어린 닭고기를 밑간을 하지 않고 뼈째 아주 얇은 옷을 입혀 튀긴 것이다.
  • '''닭 반마리 튀김''' - 오타루시 또는 쿠시로시에서 시작되었으며, 닭의 반마리를 옷을 입히지 않고 튀긴 것이다.
  • '''세키 닭튀김''' - 기후현세키시에서 먹히는 닭 튀김. 옷이 검고, 히지키와 현지 명물인 표고버섯을 사용하고 있다.
  • '''테리카케''' - 아이치현세토시에서 먹히는 닭 튀김. 닭튀김에 걸쭉한 달콤한 양념을 버무리고, 마지막으로 참깨를 뿌린 것이다.[88]
  • '''글루쿤 튀김''' - 타카사고를 오키나와 방언으로 "글루쿤"이라고 불리며, 난세이 제도에서 자주 먹힌다.
  • '''남반절임''' - 닭튀김에 파와 고추를 다진 것을 섞은 달콤한 식초 소스(남반초)를 뿌리거나 절인 요리.


4. 2. 한국

4. 3. 기타 국가

닭튀김(香雞排, 샹지파이)은 야시장 등에서 팔리는 큰 크기의 닭튀김이다. 소금구이닭튀김(鹽酥雞, 옌수지)은 야시장 등에서 팔리는 닭튀김으로, 닭튀김과는 달리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제공되며, 닭고기 외에도 채소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모치코 치킨은 양념한 닭고기에 찹쌀가루(白玉粉)를 묻혀 튀긴 하와이 요리이다. 플레이트 런치 식당 메뉴에 있는 경우가 있다.

밀라네사 데 포지오(Milanesa de pollo)는 이탈리아 밀라노(Milano)의 요리로, 송아지, 양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를 튀겨 만든다.[44] 튀김옷에는 파르메산 치즈(Parmesan cheese)가 들어간다.[44] 포요 차카르도는 페루 제2의 도시 아레키파(Arequipa)의 명물인 페루식 닭튀김 요리로, 매콤한 소스를 뿌려 먹는다.[44]

중국에는 닭튀김에 소스나 양념을 곁들이는 요리가 많다.[89] 또한 닭튀김은 더욱 바삭하게 하기 위해 이중으로 튀기는 경우가 많다.[89] 재료의 본래 맛을 살린 닭튀김의 바삭한 겉과 부드러운 속은 중국에서는 외취리넌(外脆裏嫩, wài cuì lǐ nèn)이라고 하며, 튀김 요리의 특징 중 하나이다.[89] 레몬계(檸檬鶏)(レンモンカイ)는 닭튀김에 레몬즙, 설탕, 간장 등으로 만든 소스를 곁들인 광동요리의 한 종류이다. 닭튀김 레몬소스 끼얹기 등으로 부르는 가게도 있다. 진피계(陳皮鶏)(チェンピージー)는 레몬계와 비슷한 요리이다. 닭튀김에 오렌지 껍질을 넣은 고추장 소스를 곁들인 요리이다. 라즈지(辣子鶏)(ラーズージー)는 어린 닭의 튀김과 함께 빨간 고추를 기름에 튀겨 다진 후 소금과 함께 뿌려 먹는 매운 사천요리의 한 종류이다. 유린기(油淋鶏)(ユーリンチー)는 닭튀김에 다진 파가 들어간 식초 간장 소스를 곁들인 요리이다.

5. 가라아게를 활용한 요리

가라아게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닭튀김에 파와 고추를 다진 것을 섞은 달콤한 식초 소스(남반초)를 뿌리거나 절인 남반절임은 닭고기뿐만 아니라 빙어, 전갱이, 정어리 등으로도 만들어진다. 닭튀김을 달콤한 식초 소스에 절이고 타르타르 소스를 뿌린 치킨 난반도 있다.[89]

중국에는 닭튀김에 소스나 양념을 곁들이는 요리가 많다. 닭튀김은 더욱 바삭하게 하기 위해 이중으로 튀기는 경우가 많으며, 재료의 본래 맛을 살린 닭튀김의 바삭한 겉과 부드러운 속은 중국에서 외취리넌(外脆裏嫩, 와이 추이 리 넌/wài cuì lǐ nèn중국어)이라고 불리는 튀김 요리의 특징 중 하나이다.[89]

레몬계(檸檬鶏)(レンモンカイ)는 닭튀김에 레몬즙, 설탕, 간장 등으로 만든 소스를 곁들인 광동요리의 한 종류이다. 닭튀김 레몬소스 끼얹기 등으로 부르는 가게도 있다. 진피계(陳皮鶏)(チェンピージー)는 레몬계와 비슷한 요리로, 닭튀김에 오렌지 껍질을 넣은 고추장 소스를 곁들인 요리이다. 라즈지(辣子鶏)(ラーズージー)는 어린 닭의 튀김과 함께 빨간 고추를 기름에 튀겨 다진 후 소금과 함께 뿌려 먹는 매운 사천요리의 한 종류이다. 유린기(油淋鶏)(ユーリンチー)는 닭튀김에 다진 파가 들어간 식초 간장 소스를 곁들인 요리이다. 에스카베슈는 남방절임에 해당하는 서양 요리로, 마리네이드의 일종이다.

6. 미디어

가라아게는 일본 요리에 자리 잡았으며 여러 TV 프로그램에 등장했다. 아마도 가장 주목할 만한 출연은 가족 식당 음식에 뿌리를 둔 젊은 지망생 요리사에 대한 애니메이션/만화 시리즈인 식극의 소마(Shokugeki no Souma)일 것이다.[10]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언급은 앤서니 보르댕(Anthony Bourdain)에 의한 것이다. 보르댕은 인터뷰에서 일본 튀김 요리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일본을 방문할 때마다 로손에 들러 가라아게를 사 먹었다고 말했다.[11] 일본 항공자위대의 음식은 오키나와식 닭튀김[12]과 같은 닭튀김 가라아게[12]이며, 일본 항공자위대를 홍보하는 데 사용되었다.[12]

참조

[1] 뉴스 Plate Lab: Karaage is like Japanese fried chicken https://www.washingt[...] 2014-11-26
[2] 웹사이트 What's on ! Oita, Japan ! Tourism Information https://www.discover[...] 2024-06-05
[3] 웹사이트 Karaage Festival https://karafes.com/ 2024-06-05
[4] 웹사이트 【大分名物】中津からあげ7選!からあげの聖地で外せない名店はココ! https://www.jalan.ne[...] 2024-06-05
[5] 웹사이트 【東京都内】こだわりのから揚げ専門店7選!大分・中津のご当地からあげも♪ https://www.jalan.ne[...] 2024-06-05
[6] 웹사이트 Japanese Convenience Stores Are Havens Of 24/7 Snacking https://www.eater.co[...] 2017-02-21
[7] 웹사이트 Chickened Out: Kara-age, Tatsuta-age, and More - Special Features - Japanese Food https://www3.nhk.or.[...] 2019-05-31
[8] 웹사이트 Dakgangjeong (Sweet Crispy Korean Fried Chicken) https://www.koreanba[...] 2014-03-17
[9] 웹사이트 Shimonoseki Guide https://www.japan-ex[...] 2012-12-27
[10] 웹사이트 食戟のソーマ Shokugeki no Soma [HD] WALK-N-EAT-KARAAGE !! !! Best moments #6 https://www.youtube.[...] 2019-01-13
[11] 웹사이트 Anthony Bourdain's favourite foodie finds https://www.cntravel[...] 2018-06-13
[12] 웹사이트 ASDF hopes its fried chicken can outgun popular curry of MSDF https://www.asahi.co[...] 2020-11-03
[13] 사전 からあげ https://dictionary.g[...] 小学館
[14] 사전 からあげ 集英社, 三省堂
[15] 서적 和食と日本文化 小学館
[16] 서적 完本 日本料理事物起源 岩波書店 2006
[17] 서적 料理用語・基本技術辞典 第一出版 1958
[18] 사전 竜田揚げ 岩波書店 1983
[19] 논문 女子学生に好まれる揚げ物(鶏のから揚げ)の 最適条件の検討:調理条件の違いによる嗜好の特性 http://id.nii.ac.jp/[...] 聖徳大学 2020
[20] 웹사이트 【“揚げない”唐揚げ粉 選手権】焼くだけ、レンチンで唐揚げができちゃう! https://www.tbsradio[...] TBSラジオ 2023-06-18
[21] 사전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2000-2002
[22] 사전 から‐あげ【空揚(げ)】 http://dictionary.go[...] goo辞書 2020-12-03
[23] 사전 明鏡国語辞典 大修館書店 2002
[24] 서적 日本料理由来事典 同朋舎 1994
[25] 서적 江戸の料理史 中央公論社 1989
[26] 서적 当て字・当て読み漢字表現辞典 三省堂
[27] 서적 完本 日本料理事物起源 岩波書店 2006
[28] 서적 たべもの語源辞典 新訂版 東京堂出版 2012
[29] 서적 たべもの起源辞典 東京堂出版 2003
[30] 사전 言海 : 日本辞書 2020-12-03
[31] 사전 国史大辞典 2020-12-03
[32] 사전 大日本国語辞典 2020-12-03
[33] 사전 言泉 : 日本大辞典 2020-12-03
[34] 문서 軍隊調理法「豚肉空揚」 2020-12-03
[35] 문서 軍隊調理法「魚空揚」 2020-12-03
[36] 간행물 団体家庭基本料理法「生魚空揚」 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0-12-03
[37] 웹사이트 「空揚げ」か「唐揚げ」か、問題の根っこは深かった http://jbpress.ismed[...]
[38] 웹사이트 http://jbpress.ismed[...]
[39] 웹사이트 男に愛され80年。東京「唐揚げ」物語 http://president.jp/[...] 2020-11
[40] 웹사이트 宇佐からあげ ~専門店発祥の地~ https://www.city.usa[...]
[41] 뉴스 【47都道府県の謎】からあげの「聖地」、なぜ大分県に?宇佐が専門店の「発祥」中津に広がり全国へ https://www.asahi.co[...] 2020-11-07
[42] 서적 読売新聞 用字用語の手引 読売新聞社 2020-03-18
[43] 서적 朝日新聞の用語の手引 朝日新聞社 2019-04-19
[44] 서적 からあげちょい足しレシピ本 LD&K 2012
[45] 서적 鶏唐揚げ プロのテクニック 旭屋出版 2015
[46] 서적 日本料理語源集 旭屋出版 2004
[47] 서적 コムギ粉料理探究事典 東京堂出版 1999
[48] 서적 決定版!家庭料理 みんなが知りたかった定番料理のすべて 日本放送出版協会 2004
[49] 웹사이트 から揚げ https://kotobank.jp/[...]
[50] 뉴스 B級ご当地グルメでブームの「唐揚げ」 起源は奈良時代に遡る https://www.news-pos[...]
[51] 간행물 経済的食物調理秘訣
[52] 서적 からあげ練習帳 プレジデント社 2015
[53] 서적 服部幸應の「食のはじめて物語」 講談社 2009
[54] 서적 食卓を変えた肉食 日本経済評論社 1987
[55] 서적 大分県謎解き散歩 新人物往来社 2012
[56] 서적 民俗小事典 食 吉川弘文館 2013
[57] 서적 からあげWalker KADOKAWA 2015
[58] 서적 みんなの唐揚げ ナツメ社 2011
[59] 서적 青春 1905-1906
[60] 웹사이트 漢字の現在 第22回 「から揚げ」 http://dictionary.sa[...]
[61] 웹사이트 空自空上げ|スペシャルコンテンツ|防衛省 JASDF 航空自衛隊 https://mobss.jword.[...] 航空自衛隊 2019-12-25
[62] 웹사이트 最近気になる放送用語 「空揚げ」?「唐揚げ」? https://www.nhk.or.j[...]
[63] 서적 僧房の料理 1936
[64]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83
[65]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2002-11-28
[66] 웹사이트 唐揚の歴史 http://karaage.ne.jp[...]
[67]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83
[68] 뉴스 懐かしい「昭和の学校給食」特集 https://www.jiji.com[...] 2016-03-30
[69] 서적 新明解国語辞典 三省堂
[70] 뉴스 「竜田揚げ」の語源、実は… 奈良でご当地グルメ計画 http://www.asahi.com[...] 2013-11-27
[71] 뉴스 (食ナビ)奈良・竜田揚げ 由来は川面の紅葉/竜田川名物へ 流域高揚 日本経済新聞 2017-05-09
[72] 서적 提督の決断II 艦船ファイル コーエー|光栄 1994
[73] 뉴스 (食ナビ)奈良・竜田揚げ◇◇マメ知識◇◇軽巡洋艦 語源説も 日本経済新聞 2017-05-09
[74] 웹사이트 大分県(中津市)鶏のからあげ http://www.nisshin-o[...] 2012-01-27
[75] 웹사이트 唐揚げの聖地、専門店発祥地 http://karaage.ne.jp[...] 2020-12-03
[76] 웹사이트 から揚げvsフライドチキン 牙城にケンタッキー再挑戦 https://www.asahi.co[...]
[77] 웹사이트 宇佐からあげ ~専門店発祥の地~ https://www.city.usa[...] 2024-05-31
[78] 웹사이트 グルメ 塩尻ビギナーズガイド https://tokimeguri.j[...]
[79] 웹사이트 手羽先 https://nagoya-meshi[...]
[80] 웹사이트 食について学ぼう たべもの事典 https://www.glico.co[...] グリコ栄養食品株式会社
[81] 웹사이트 くしろザンギとは? http://946zangi.com/[...]
[82] 웹사이트 揚げとは? http://karaage.ne.jp[...]
[83] 웹사이트 ザンギの唐揚げの違い http://zangiaikokai.[...] 2020-12-03
[84] 웹사이트 唐揚げ・竜田揚げ・ザンギの違いとは?作り方やカロリーの違いは? https://shimajiro2.c[...]
[85] 웹사이트 北海道雑学百科ぷっちがいど http://pucchi.net/ho[...]
[86] 웹사이트 ザンギと唐揚げはどれだけ違うのか https://dailyportalz[...] ニフティ 2008-11-01
[87] 서적 愛媛の味紀行 ふるさと料理決定版 愛媛新聞社 1989
[88] 웹사이트 藤井聡太竜王も食べた!?瀬戸市民思い出の味!癒し系アナが愛知県瀬戸市の学校給食から生まれた『てりかけ』を調査 https://hicbc.com/ma[...] CBCテレビ 2022-10-07
[89] 서적 暮らしの設計128 陳健民・洋子夫妻のおそうざい中国料理 中央公論社 1979
[90] 웹인용 Plate Lab: Karaage is like Japanese fried chicken https://www.washingt[...] 2014-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