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메이 히사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메이 히사오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과 국토청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구 쓰와노번의 백작 가문 출신으로, 참의원 의원과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자민당 내에서 굉지회, 대용회에 속했으며, 우정 민영화에 반대하여 자민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 간사장을 맡았다. 헌법 개정 논의에 대한 입장을 갖고 있으며, 당내 개혁과 우정 사업 보호에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메이가 - 가메이 시즈카
가메이 시즈카는 히로시마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도쿄 대학 졸업 후 경찰청 관료를 거쳐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 운수대신, 건설대신을 역임하고, 우정 민영화 반대 후 국민신당을 창당하여 대표를 지냈으며,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금융·우정 서비스 담당 장관을 역임한 후 정계 은퇴, 지역 활성화와 탈원전 정책을 주장했다. - 가메이씨 - 가메이 고레노리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인 가메이 고레노리는 아마고 씨 재흥 운동에 가담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중용되어 다이묘가 되어 해외 무역을 추진하는 등 활약했다. - 가메이씨 - 가메이 시즈카
가메이 시즈카는 히로시마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도쿄 대학 졸업 후 경찰청 관료를 거쳐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 운수대신, 건설대신을 역임하고, 우정 민영화 반대 후 국민신당을 창당하여 대표를 지냈으며,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금융·우정 서비스 담당 장관을 역임한 후 정계 은퇴, 지역 활성화와 탈원전 정책을 주장했다. - 일본의 국토청 장관 - 와타누키 다미스케
와타누키 다미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 중의원 의장, 국민신당 대표를 역임했으며, 기업가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국토청 장관, 건설상 등을 거쳐 우정 민영화 반대로 자민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을 창당했다. - 일본의 국토청 장관 - 나카노 시로
나카노 시로는 아이치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농민 운동과 재일조선인 권익 보호 활동을 펼치며 국토청 장관을 역임했지만, 선거법 위반 논란 등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가메이 히사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9년 11월 8일 |
출생지 | 일본도쿄도시부야구 |
자녀 | 가메이 아키코 |
학력 | 학습원대학정치경제학부정치학과 졸업 |
서훈 | [[파일:JPN Kyokujitsu-sho 1Class BAR.svg|40px]] 욱일대수장 |
종교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가메이 히사오키 공식 홈페이지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무소속 |
과거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국민신당 |
국토청 장관 | 제30대 |
겸임 | 연구·학원 도시 담당 대신 |
임기 시작 | 1997년 9월 11일 |
임기 종료 | 1998년 7월 30일 |
소속 내각 | 제2차 하시모토 개조 내각 |
참의원 의원 | 시마네현 선거구 당선 2회 1974년 7월 8일 ~ 1986년 6월 21일 |
중의원 의원 | (과거 시마네현 전현구) (과거 시마네 3구) 비례대표 주고쿠 블록(시마네 2구) 당선 5회 1990년 2월 19일 ~ 1993년 6월 18일 1996년 10월 21일 ~ 2009년 7월 21일 |
기타 이력 | |
국민신당 | 초대 국민신당 간사장 (당수: 와타누키 다미스케) |
임기 시작 | 2005년 8월 17일 |
임기 종료 | 2009년 8월 31일 |
가계 | |
아버지 | 가메이 고레미쓰 |
친척 (정치인) | 가메이 고레요시 (고조부) 이와쿠라 도모미 (고조부) 우에스기 모치노리 (증조부) 아리마 요리치카 (조부) 히가시후시미 지코 (사촌) |
2. 가족 관계
가메이 가문은 이와미의 옛 쓰와노번 도자마 다이묘 출신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화족 백작위를 세습한 가문이다. 부친은 백작이자 도호쿠 개발 주식회사 총재를 지낸 고레타테이며, 모친은 마사코(아리마 요리야스의 딸)이다. 아내 요코(요코야마 마사카쓰의 딸)와의 사이에서 장녀인 가메이 아키코(중의원 의원)를 포함하여 세 딸을 두었다. 상세한 가계와 친인척 관계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가계
가메이씨의 시조는 가메이 고레노리이다. 가메이 히사오키의 가계는 이와미의 옛 쓰와노번 도자마 다이묘 출신이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화족이 되었으며, 쓰와노 마지막 번주 가메이 고레미(亀井茲監)의 양자 가메이 고레아키(亀井茲明) 대에 자작위를 받았고 8년 후 백작으로 승작되었다. 이후 히사오키의 조부 고레쓰네(茲常), 아버지 고레타테(茲建)를 거쳐 히사오키까지 3대에 걸쳐 백작위를 이었다. 즉, 가계는 다이묘 가문이며, 구 쓰와노번주이자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구 화족의 백작 가문이다.가메이 씨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우다 겐지 사사키 씨의 지류로, 사사키 히데요시의 아들이자 이즈모 수호였던 오키 요시키요의 손자인 요리키요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11] 다른 한편으로는 같은 사사키 씨의 갈래이면서도, 사사키 요시키요의 손자 토키키요의 아들이 요리키요라는 설도 존재한다.[11] 또한, 기슈의 스즈키 씨 일족으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를 섬겼던 가메이 로쿠로 시게키요의 후예라는 설도 있다.[11] 이처럼 가메이 씨의 정확한 발상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11]
우에즈키 성 전투의 패배로 아마고 씨가 멸망한 후, 가메이 고레노리(茲矩)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 덴쇼 9년(1581년)에는 이미 인바 국의 가노 성주가 되어 1만 3500석을 받았다.[11]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가담했으며, 전투 후 3만 8천석으로 영지가 늘어나 이와미 국 쓰와노를 다스리게 되었다.[11] 이후 그의 아들 마사노리가 뒤를 이었고, 가문은 막부 말기까지 이어졌다.[11]
주요 가계는 다음과 같다.
고레노리 ― 마사노리 ― 즈마사 ― 즈치카 ― 즈미쓰 ― 즈노부 ― 즈타네 ― 노리사다 ― 노리카타 ― 즈히사 ― 즈카타 ― 고레미 ― 고레아키 ― 고레쓰네 ― 고레타테 ― '''히사오키''' ― 아키코
가메이 히사오키 가계도 | |||
---|---|---|---|
가메이 히사오키 | 아버지: 고레타테(亀井茲建) | 조부: 고레쓰네(亀井茲常) | 증조부: 고레아키(亀井茲明) |
증조모: - | |||
조모: 가메이 히사(久) | 증조부: 우에스기 시게노리(上杉茂憲) | ||
증조모: 우에스기 켄(憲) | |||
어머니: 가메이 마사코(正子) | 외조부: 아리마 요리야스(有馬頼寧) | 외증조부: 아리마 요리만(有馬頼萬) | |
외증조모: 모리 히로코(森寛子) | |||
외조모: 아리마 사다코(貞子) | 외증조부: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北白川宮能久親王) | ||
외증조모: 이와나미 이네코(岩浪稲子) |
2. 2. 친인척
가메이씨의 시조는 가메이 고레노리이다. 히사오키의 가계는 이와미의 옛 쓰와노번 도자마 다이묘 출신이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화족이었으며, 쓰와노 마지막 번주 亀井茲監|가메이 고레미일본어의 양자 亀井茲明|가메이 고레아키일본어 대에 자작위를 받았고, 8년 후 백작으로 승작되었다. 이후 히사오키의 조부 茲常|고레쓰네일본어, 아버지 茲建|고레타테일본어를 거쳐 3대에 걸쳐 백작위를 이었다.- 시조 - 가메이 모토노리 (아마고 씨 가신, 가노성 성주)
- 고조부 - 이와쿠라 도모미 (공가, 정치가), 가메이 모토히로 (쓰와노 번주) - 구루메 번주 아리마 요리노리의 차남
- 증조부 - 우에스기 시게노리 (제13대 요네자와 번주, 백작, 오키나와 현령) - 아버지 쪽 조모 히사의 아버지
- 증조모 - 모리 히로코 (이와쿠라 도모미의 다섯째 딸)
- 조부 - 고레쓰네 (백작), 아리마 요리야스 (백작, 정치가)
- 부친 - 고레타테 (백작, 도호쿠 개발 주식회사 총재. 화족 적화 사건으로 검거되었으나 기소 유예)
- 모친 - 마사코 (아리마 요리야스의 딸, 가야마 유조의 어머니 고자쿠라 요코의 육촌)
- 아내 - 요코 (요코야마 마사카쓰의 딸)
- 장녀 - 가메이 아키코 (중의원 의원, 전 참의원 의원), 그 외 두 딸이 더 있음
- 백부 - 아리마 요시요리 (나오키상 작가)
- 숙모 - 야스코 (고준 황후의 친동생인 히가시후시미 구니히데에게 시집감)
- 분가 - 가메이 간이치로 (외교관, 정치가)
그 외 친척으로는, 같은 이와쿠라 도모미의 현손인 가야마 유조와는 삼촌뻘(증조부 이와쿠라 도모사다<도모미의 차남>의 증손)이다.
3. 생애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국토청 장관 및 당내 주요 직책(국회대책위원회 부위원장, 총무회 부회장, 정무조사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2005년 우정 국회에서 우정 민영화 법안에 반대하며 자민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 창당에 참여, 초대 간사장을 맡았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낙선한 후 국민신당 간사장직에서 물러나 당 고문이 되었으며, 총무성 고문으로 임명되어 우정 민영화 관련 의혹 조사에 참여하기도 했다.[1][2] 2012년 고령을 이유로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은퇴했다.[4] 은퇴 후에는 시마네현 일화친선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5]
3. 1. 정치 입문 전
1939년 11월, 도쿄시 시부야구에서 옛 쓰와노번의 15대 당주이자 백작인 가메이 고레타케와 마사코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적은 시마네현 가노아시군 쓰와노정이다.[6]'''학력'''
'''경력'''
연도 | 내용 |
---|---|
1962년 4월 | 일본유선 주식회사 입사 |
1963년 11월 | 중의원 의원 마쓰다 다케치요의 비서 (~ 1966년 3월)[7] |
1967년 1월 | 요시다 공업 주식회사(현 YKK 주식회사) 입사 |
1968년 1월 | 일본 샐러리맨 유니온 이사 |
1969년 1월 | 마쓰에 YKK 산업 주식회사 이사 |
1970년 3월 | 재단법인 산업경제연구협회 이사 |
3. 2. 자유민주당 국회의원
자유민주당 소속 시절에는 제2차 하시모토 개조 내각에서 국토청 장관을 역임했으며, 당내에서는 국회대책위원회 부위원장, 총무회 부회장, 정무조사회 부회장 및 회장 대리 등을 맡으며 당 삼역에 가까운 위치에 있었다.2005년 7월 5일, 이른바 우정 국회의 중의원 본회의에서 우정 민영화 법안에 반대표를 던졌다. 이는 당시 자민당의 주요 정책에 반하는 소신 투표로 평가받는다. 같은 해 8월, 와타누키 민푸 등 우정 민영화에 반대하는 의원들과 함께 국민신당 창당에 참여하여 초대 간사장을 맡았다.
2007년 7월 제21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에서는 그의 장녀 가메이 아키코가 시마네현 선거구에서 국민신당 공천과 민주당 추천을 받아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2009년 8월 30일 실시된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신의 지역구인 소선거구에서 낙선하였고, 비례대표 부활 당선에도 실패했다. 중의원 의원직 상실에 따라 창당 이후 계속 맡아왔던 국민신당 간사장 자리에서 물러나 당 고문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10월, 당시 총무대신이었던 하라구치 가즈히로의 요청으로 사회민주당 부간사장 호사카 노부토 등과 함께 총무성 고문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간포의 숙소 매각 문제 등 우정 민영화와 관련된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특별 조사팀에 참여했다.[2]
2012년 4월, 장녀 가메이 아키코가 가메이 시즈카와 함께 국민신당을 탈당하자, 그 역시 국민신당 고문직을 사임했다. (시즈카는 히사오키와 같은 우다 겐지사사키 씨류로 여겨지는 가메이 씨 가계에 속하지만, 히사오키와는 먼 혈연 관계이다.[3])
같은 해 12월, 고령을 이유로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 은퇴를 표명했다.[4]
2023년에는 시마네현 일화친선협회 회장 자격으로 대만의 전 행정원장 셰 창팅과 회담했으며, 이 자리에는 장녀 아키코도 동석했다.[5]
=== 주요 경력 ===
연도 | 내용 |
---|---|
1974년 7월 | 제10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시마네현 선거구)에서 자민당 공천으로 첫 당선 (목요클럽 소속, 1기) |
1978년 12월 | 우정정무차관 |
1980년 7월 | 제12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시마네현 선거구)에서 자민당 공천으로 재선 (2기) |
1981년 10월 | 자민당 홍보위원회 부위원장 겸 문화국장, 국회대책위원회 부위원장 |
1982년 12월 | 참의원 상공위원장 |
1986년 7월 | 제3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시마네현 전현 구역)에 보수계 무소속으로 출마, 낙선 (중의원 전환 시도) |
1986년 9월 | 국제아동협회 회장 |
1990년 2월 | 제3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시마네현 전현 구역)에 보수계 무소속으로 출마, 중의원 첫 당선 (1기, 이후 자민당 추가 공인). 중의원 농림수산위원 |
1991년 11월 | 자민당 국민운동본부 부본부장 |
1993년 1월 | 중의원 체신위원장 |
1993년 5월 | 자민당 시마네현 연합 부회장 |
1993년 7월 |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시마네현 전현 구역)에서 자민당 공천으로 출마, 낙선 |
1996년 10월 |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시마네현 제3구)에서 자민당 공천으로 당선 (2기). 중의원 체신위원회 수석이사, 자민당 치산치수해안대책 특별위원장 |
1997년 9월 | 제2차 하시모토 내각 (개조)에서 국토청 장관으로 첫 입각 |
1999년 1월 | 고치카이 탈퇴, 대용회 결성 참여 및 회장 대행 취임 |
1999년 10월 | 자민당 총무회 부회장 |
2000년 6월 |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시마네 3구)에서 자민당 공천으로 당선 (3기) |
2000년 7월 | 자민당 정무조사회 부회장 |
2000년 12월 | 자민당 정무조사회 회장 대리 |
2003년 11월 |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비례 중국 블록)에서 자민당 공천으로 당선 (4기). (선거구 개편으로 시마네 3구가 소멸하고 시마네 2구로 통합됨에 따라, 기존 2구 의원인 다케시타 와타루가 출마하게 되어 비례대표로 전환) |
3. 3. 자민당 탈당 후
2005년 7월 5일 우정 국회의 중의원 본회의에서 우정 민영화 법안에 반대표를 던졌고, 같은 해 8월 17일 자유민주당을 탈당했다. 이후 와타누키 민푸 등과 함께 국민신당 창당에 참여하여 초대 간사장을 맡았다.2005년 9월 11일 실시된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국민신당 공천으로 시마네현 제2구에 출마했으나, 자민당의 다케시타 와타루에게 패배했다. 그러나 비례대표 주고쿠 블록에서 부활하여 5선에 성공했다.
2007년 7월 제21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에서는 장녀 가메이 아키코가 시마네현 선거구에서 국민신당 공천과 민주당 추천을 받아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9년 8월 30일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다시 시마네현 제2구에서 다케시타 와타루에게 패배했으며, 비례대표 부활에도 실패하여 의원직을 상실했다. 선거 다음 날인 8월 31일, 국민신당 간사장직을 사임하고 당 고문으로 취임했다.
2009년 10월 23일, 하라구치 가즈히로 총무대신의 요청으로 총무성 고문으로 임명되었다.[1][8] 사회민주당 부간사장 호사카 노부토 등과 함께 간포의 숙소 매각 문제를 비롯한 우정 민영화 관련 의혹 해명을 위한 특별 조사팀에 참여했다.[2]
2012년 4월, 장녀 가메이 아키코가 가메이 시즈카와 함께 국민신당을 탈당하자, 히사오키 본인도 국민신당 고문직을 사임했다. (가메이 시즈카는 히사오키와 같은 우다 겐지사사키 씨류로 여겨지는 가메이 씨 가계에 속하지만, 상당히 먼 혈연 관계이다.[3])
같은 해 12월, 고령을 이유로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불출마하고 정계를 은퇴할 것을 표명했다.[4]
2013년 11월, 가을 서훈에서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2023년, 시마네현 일화친선협회 회장 자격으로 전 대만 행정원장 셰 창팅과 회담했으며, 이 자리에 딸 아키코도 동석했다.[5]
4. 정책 및 주장
4. 1. 당내 개혁
자민당 내에서는 굉지회, 이후 대용회 파벌에 속했다.1976년, 일본 정계가 록히드 사건으로 큰 혼란에 빠졌을 때, 당시 참의원 의원이었던 나카야마 타로 전 외무대신 등 뜻을 같이하는 의원들과 함께 자민당 개혁 운동에 나섰다[6].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자민당의 각 도도부현 지부와 소속 지방 의원들에게 참여를 호소하여 "새로운 자민당을 만드는 모임"을 결성했다. 이 모임은 국민에게 열린 정당을 만들자는 목표 아래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으며, 그 결과 총재 선거에 모든 당원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6].
4. 2. 우정 민영화
자민당에서는 굉지회, 이후 대용회에 속했다.1979년 제1차 오히라 내각에서 우정 정무 차관을 맡았을 당시, 전국전신전화노동조합(전逓)의 대규모 투쟁으로 인해 연하 우편 배달이 지연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이때 시라하마 니키치 우정대신을 보좌하며 우정 사업을 안정시키고, 이후 건전한 노사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6]
1993년에는 중의원 체신위원장을 맡았다.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우정대신 정책에 반발한 체신위원회는 여당과 야당이 합의하여 심의 거부에 나서면서 위원회가 열리지 못했고, 우정 관련 법안 처리가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가메이는 장관과 위원회 사이에서 조정을 맡아 위원회를 원만하게 정상화시켰고, 결국 모든 관련 법안을 처리하는 데 성공했다.[6]
그러나 이후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추진한 우정 민영화 관련 법안에는 반대하여 자민당을 탈당했다.
4. 3. 헌법
헌법의 정치적 운용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일본국 헌법을 여러 면에서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일 안보 조약과 제9조가 외교 전략상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다만, 제9조 자체를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2007년 7월 8일 아사히 신문참조
[1]
간행물
総務省顧問の発令
https://www.soumu.go[...]
総務省
2009-10-23
[2]
뉴스
日本郵政の疑惑解明、総務省が特別チーム発足へ
https://web.archive.[...]
読売新聞東京本社
2009-10-30
[3]
웹사이트
亀井静香の発言(2002年)早坂茂三との対談
http://www.kamei-shi[...]
[4]
웹사이트
亀井久興・元国土庁長官が政界引退を表明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https://www.roc-taiw[...]
[6]
웹사이트
亀井久興略歴
https://www.kantei.g[...]
[7]
서적
人事興信録45版
[8]
뉴스
総務省顧問に9人
読売新聞
2009-10-23
[9]
웹사이트
亀井久興公式ホームページ
[10]
웹사이트
亀井家第16代当主「昭和天皇に東宮侍従として仕えた祖父の日記を『実録』のために貸出」 〈週刊朝日〉
https://dot.asahi.co[...]
2019-11-28
[11]
웹사이트
亀井氏系譜(武家家伝)
http://www2.harimay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