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오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오강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중국 공산당의 고위 간부로, 1926년 공산당에 입당하여 국공 내전에서 혁명 근거지 건설에 기여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중앙 인민 정부 부주석과 동북 행정 위원회 주석을 겸임하며 동북 지역을 장악했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후방 지원을 담당했다. 1952년 국가 계획 위원회 주석으로 베이징에 진출하여 제1차 5개년 계획을 주도했으나,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를 비판하며 권력 투쟁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1954년 자살했다. 가오강 사건은 중국 공산당 내 권력 투쟁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마오쩌둥의 권력 장악력과 정치적 조종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자살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1954년 자살 - 제툴리우 바르가스
    제툴리우 바르가스는 브라질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쿠데타와 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역임하며 '이스타두 노부' 체제를 수립하고 권위주의 통치를 펼쳤으며, 브라질 현대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 중국의 자살한 정치인 - 리리싼
    리리산은 중국 공산당 초기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극좌적 모험주의 노선으로 몰락했고,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노동부장을 역임했으나 문화대혁명 때 숙청당한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이다.
  • 중국의 자살한 정치인 - 양기
    양기는 후한 시대 순제, 충제, 질제, 환제 4대에 걸쳐 권력을 휘두른 권신으로, 여동생이 황후가 되면서 외척으로서 권력을 잡고 황제 옹립에 관여하며 횡포를 부렸으나, 환제에 의해 몰락하여 자결한 인물이다.
가오강
기본 정보
가오강 사진
가오강
한자 (간체)高岗
한자 (번체)高崗
로마자 표기 (병음)Gāo Gǎng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Kao Kang
인물 정보
출생1905년 10월 25일
출생지청 섬서성 위린시 헝산현
사망1954년 8월 17일 (향년 48세)
사망지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경력
직위중앙인민정부 부주석
임기 시작1949년 10월 1일
임기 종료1954년 8월 17일
정부 주석마오쩌둥
직위 2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주석
임기 시작 21952년 11월 15일
임기 종료 21954년 8월 17일
정부 주석 2마오쩌둥
직위 3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임기 시작 31951년 10월
임기 종료 31954년 8월 17일
정부 주석 3마오쩌둥

2. 초기 생애 및 혁명 활동

산시성 위린시 헝산현에서 태어난 가오강은 192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당과 군에서 경력을 쌓았다. 1930년대 제1차 국공 내전 시기에는 시중쉰 등과 함께 중국 북서부에서 혁명 근거지를 건설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45년 6월, 제7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 회의(제7기 1중 전회)에서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제2차 국공 내전이 발발하자 가오강은 중국 동북부(만주)에서 활동하며 당 중앙 동북국 제1서기, 동북 인민 정부 주석[40], 동북 군구 사령원(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맡아 동북 지역의 당, 정부, 군을 모두 장악했다. 194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앞서 "소련·동북 인민 정부 무역 협정"을 체결하는 등 독자적인 지방 운영을 통해 요시프 스탈린이 이끄는 소비에트 연방과의 관계를 강화했다.[41]

2. 1. 초기 생애

산시성 위린시 헝산현에서 태어났다. 192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당 경력과 군 경력을 쌓아 1930년대 제1차 국공 내전에서 시중쉰 등과 함께 중국 북서부의 혁명 근거지를 건설하는 데 활약했다. 1945년 6월, 제7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 회의(제7기 1중 전회)에서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제2차 국공 내전이 시작되자 중국 동북부(만주)에서 활동하며 당 중앙 동북국 제1서기, 동북 인민 정부 주석[40], 동북 군구 사령원(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맡아 동북부의 당·정·군을 장악했다. 194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앞서 "소련·동북 인민 정부 무역 협정"을 체결하는 등 독자적인 지방 운영을 하며 요시프 스탈린이 이끄는 소비에트 연방과의 관계를 깊게 했다.[41]

2. 2. 중국 북서부 혁명 근거지 건설

가오강은 중학교 동창인 류즈단이 1928년 봉기에 실패하자, 그와 함께 외딴 중국 북서부 산시성으로 가서 게릴라 기지를 건설했다.[6] 북서부 지역의 지역 게릴라 지도자들이 사망하면서 가오강은 혁명 기지의 상징으로 부상했다. 가오강은 마오쩌둥을 1935년 대장정이 산시성에서 끝났을 때 만났다. 두 사람은 개인적인 우정과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에 대한 합의를 바탕으로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켰다.[7] 가오강은 중국 내전 기간 동안 수년간 당 활동을 조율했으며, 이 지역의 최고 사령관 중 한 명이 되었다.[6]

3. 중국 동북 지역(만주)에서의 활동

1948년 동북 지역의 군 지도자들과 함께 있는 가오강. 왼쪽부터 황커청, 탄정, 녜룽전, 샤오화, 뤄룽환, 류야러우, 가오강, 린뱌오


1945년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에 합류한 가오강은[8] 린뱌오와 함께 중국 동북 지역(둥베이)으로 이동하여 당, 국가, 군사 기구의 수장이 되었다. 1947년까지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간부였던[6][9][10] 그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마오쩌둥 휘하 국무원 6명의 주석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11]

소련과 가까웠던 동북 지역은 소련의 산업 조직 및 경제 계획 방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가오강은 이 지역을 중국 중공업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12] 20세기 초 일본의 점령과 1948년 중국 인민해방군의 해방을 거치며 동북 지역은 중국 공산당에게 중요한 산업 기지가 되었다. 1950년 가오강은 보고서에서 "전국 산업화의 시작점 또는 중요한 기지"로서 동북 지역 재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13]

동북 지역은 경제 발전과 함께 새로운 공산주의 정책의 시험장이 되었고, 이는 지역과 가오강의 위상을 높였다.[6] 가오강은 노동자와 농민의 산업 생산 증대 노력을 독려하며 선전 보도를 받았고, 지지 편지와 건강 기원 인사도 출판되었다.[14]

1950년 7월 한국 전쟁 발발 직후, 가오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수비를 담당하는 26만 명 규모의 "북방 변방 경비대" 사령관에 임명되어 참전 가능성에 대비했다. 1950년 11월 중국의 한국 전쟁 참전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 지휘는 펑더화이가 맡았다.[15]

3. 1. 동북 지역 장악



1945년, 가오강은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에 합류했으며,[8] 린뱌오와 함께 중국 동북 지역(둥베이)으로 전출되어 현지 당(동북국)과 국가 및 군사 기구의 수장이 되었다. 1947년까지 가오강은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간부였다.[6][9][10]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마오쩌둥 아래 국무원의 6명의 주석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11]

가오강은 가까운 소련의 영향으로 소련의 산업 조직 및 경제 계획 방식을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이 지역이 중국의 중공업 중심지가 되면서 이러한 아이디어가 두드러졌다.[12] 만주를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은 20세기 초 일본의 점령으로 인해 중국에게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1948년 중국 인민해방군이 국민당으로부터 이 지역을 해방시킨 것은 중국 공산당의 산업 계획에 더욱 매력적인 요소가 되었다. 1950년, 동북 지역의 영향력 있는 지역 당 간부가 된 가오강은 보고서에서 중국 공산당이 "전국 산업화의 시작점 또는 중요한 기지 역할을 하기 위해 동북 지역을 재건해야 한다"고 상세히 밝혔다.[13] 이처럼 가오강은 중국 공산당 정권 초기에 국가 경제 재건 및 일반 생산 관리에 기여한 핵심 인물이었다.

동북 지역은 경제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공산주의 정책을 시험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으며, 이는 이 지역과 가오강 개인의 위상을 모두 높였다.[6] 가오강은 또한 노동자와 농민들이 산업 생산 증대를 위한 그의 '요청'에 응하도록 장려됨에 따라 상당한 선전 보도를 받았으며, 그를 지지하는 개인적인 편지와 그의 건강을 기원하는 인사도 출판되었다.[14]

1950년 7월, 한국 전쟁 발발 직후, 가오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국경에 주둔한 26만 명 규모의 "북방 변방 경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중국의 전쟁 참전 가능성에 대비하여 병력을 준비해야 했다. 1950년 11월, 중국이 한국 전쟁에 참전했을 때 중국 인민지원군은 펑더화이가 지휘했다.[15]

3. 2. 경제 개발 및 소련과의 관계



1945년, 가오강은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에 합류했으며,[8] 린뱌오와 함께 중국 동북 지역(둥베이)으로 전출되어 현지 당(동북국)과 국가 및 군사 기구의 수장이 되었다. 1947년까지 가오강은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간부였다.[6][9][10]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가오강은 마오쩌둥 아래 국무원의 6명의 주석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11]

가까운 소련의 영향으로, 소련의 산업 조직 및 경제 계획에 대한 아이디어가 두드러졌으며, 가오강은 이 지역이 중국의 중공업 중심지가 되면서 이러한 방식을 강력하게 지지했다.[12] 만주를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은 20세기 초 일본의 점령으로 인해 중국에게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1948년 중국 인민해방군이 국민당으로부터 이 지역을 해방시킨 것은 중국 공산당의 산업 계획에 더욱 매력적인 요소가 되었다. 동북 지역의 영향력 있는 지역 당 간부가 된 가오강은 1950년 보고서에서 중국 공산당이 "전국 산업화의 시작점 또는 중요한 기지 역할을 하기 위해 동북 지역을 재건해야 한다"고 상세히 밝혔다.[13] 따라서 가오강은 중국 공산당 정권 초기에 국가의 경제 재건 및 일반 생산 관리에 기여한 핵심 인물이었다.

경제 발전으로 인해, 동북 지역은 종종 새로운 공산주의 정책을 시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이 지역과 가오강 개인의 위상을 모두 높였다.[6] 가오강은 또한 노동자와 농민들이 산업 생산 증대를 위한 그의 '요청'에 응하도록 장려됨에 따라 상당한 선전 보도를 받았으며, 그를 지지하는 개인적인 편지와 그의 건강을 기원하는 인사도 출판되었다.[14]

1950년 7월, 한국 전쟁 발발 직후, 가오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국경에 주둔한 26만 명 규모의 "북방 변방 경비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가오강은 이후 중국의 전쟁 참전 가능성에 대비하여 병력을 준비해야 했다. 중국이 1950년 11월 한국 전쟁에 참전했을 때, 중국 인민지원군은 펑더화이가 지휘했다.[15]

4.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50년 7월, 한국 전쟁 발발 직후, 가오강은 북한과의 국경에 주둔한 26만 명 규모의 "북방 변방 경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중국의 참전 가능성에 대비해 병력을 준비했다.[15] 1950년 11월 중국이 한국 전쟁에 참전했을 때, 중국 인민지원군은 펑더화이가 지휘했다.[15]

4. 1. 중앙 정부 요직 임명

1952년 베이징으로 전출되어 중국 국가계획위원회(SPC) 주석직을 맡았고, 제1차 5개년 계획을 수행하는 주요 책임을 맡게 되었다.[16] 중공업, 경공업 등 8개의 주요 경제 산업을 담당했다.[17] 마오쩌둥천윈, 류사오치와 함께 저우언라이의 권위를 약화시키기 위해 가오강을 베이징으로 승진시켰다는 견해도 있다. 가오강은 정치국 위원, 중앙인민정부 위원회 부주석,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도 확정되었다.[18] 제1차 5개년 계획 자문 단계에서 가오강이 중-소 관계를 원활하게 한 것은 마오쩌둥과 다른 당 고위 간부들에게 그를 유능한 정치국 위원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19]

가오강은 베이징으로 전출되면서 당 중앙의 통제를 더 받게 되었지만, 이는 그가 당 위계 내에서 더 큰 진전을 이루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그는 고위 정부직에 군 지도자가 아닌 당 지도자를 임명하는 것에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1952년과 1953년에는 중앙 행정 구조에 몇 가지 주요 변화가 있었다. 펑더화이는 한국 전쟁에서 소환되어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저우언라이는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 수립에 집중했다. 마오쩌둥저우언라이의 수행에 만족하지 않았고, 1952년 말과 1953년 말에 중앙 정부 계층 구조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가오강, 덩샤오핑, 라오수스 등 여러 지역 사령관도 저우언라이로부터 책임을 인계받기 위해 베이징으로 전출되었다. 저우언라이의 입지는 상당히 약화되었다.[21] 1953년 11월 김일성이 도착했을 때 마오쩌둥은 가오강을 보내 북한 지도자와 계획을 협상하고 맞이하도록 했다.[17]

4. 2. 국가계획위원회 주석 및 경제 정책

가오강은 1952년 베이징으로 전출되어 중국 국가계획위원회(SPC) 주석직을 맡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련식 경제 계획을 중화인민공화국에 도입하는 국가 정책인 제1차 5개년 계획을 수행하는 주요 책임을 맡게 되었다.[16] SPC에 대한 책임 외에도 가오강은 중공업, 경공업, 제1 및 제2 기계 산업, 연료, 건설, 지질 계획, 섬유 등 8개의 주요 경제 산업을 담당하게 되었다.[17] 가오강은 정치국 위원, 중앙인민정부 위원회 부주석,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도 확정되었다.[18] 제1차 5개년 계획 자문 단계에서 가오강이 중-소 관계를 원활하게 한 것은 당에 특히 중요했으며, 마오쩌둥과 다른 당 고위 간부들에게 가오강을 유능한 정치국 위원으로 인식하게 했다.[19]

가오강이 베이징으로 전출되면서 당 중앙의 통제를 더 받게 되었지만, 이는 그가 당 위계 내에서 더 큰 진전을 이루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그는 저우언라이보다 승진하여 마오쩌둥 다음으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지도자라고 생각했다. 베이징으로 임명된 후 그는 고위 정부직에 군 지도자가 아닌 당 지도자를 임명하는 것에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1952년과 1953년에는 중앙 행정 구조에 몇 가지 주요 변화가 있었다. 펑더화이는 한국에서 소환되어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는데, 이 직책은 이전에 저우언라이가 맡고 있었다. 군사적 책임을 펑더화이에게 넘긴 후 저우언라이는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을 소련의 참여와 함께 수립하는 데 노력을 집중했다. 마오쩌둥은 저우언라이의 수행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냈고, 1952년 말과 1953년 말에 중앙 정부 계층 구조의 대대적인 개편을 시작했다. 가오강, 덩샤오핑, 라오수스 등 여러 지역 사령관도 저우언라이로부터 책임을 인계받기 위해 베이징으로 전출되었다. 그는 표면적으로는 공식적인 계층 구조에서 마오쩌둥과 류사오치 다음으로 세 번째로 중요한 자리를 유지했지만, 저우언라이의 입지는 상당히 약화되었다.[21] 예를 들어, 저우언라이가 외교를 담당하는 동안 마오쩌둥은 1953년 11월 김일성이 도착했을 때 가오강을 보내 북한 지도자와 계획을 협상하고 접대하도록 했다.[17] 저우언라이가 차이쥔우, 펑더화이, 가오강에게 보낸 전보에 따르면 마오쩌둥은 가오강에게 "북한의 군사 작전 및 물자, 북한 인민군의 훈련 및 배치, 그리고 북한 인민군이 동북 지역에 진입한 후의 기관, 그리고 기타 문제들을 논의"하도록 특별히 보냈음을 확인시켜 준다.[22]

4. 3. 한국 전쟁 참전 지원

1950년 7월, 한국 전쟁 발발 직후, 가오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국경에 주둔한 26만 명 규모의 "북방 변방 경비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가오강은 중국의 전쟁 참전 가능성에 대비하여 병력을 준비해야 했다.[15] 1950년 11월 중국이 한국 전쟁에 참전했을 때, 중국 인민지원군은 펑더화이가 지휘했다.[15]

5. 가오강 사건과 몰락

"가오강 사건"은 가오강이 류사오치저우언라이를 정부 요직에서 몰아내고 자신의 위상을 높이려 한 사건이다. 1953년 여름, 가오강은 마오쩌둥이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게 불만이 있다고 판단하여 고위 간부들에게 지지를 요청했다. 그러나 안쯔원이 작성한 정치국원 명단을 가오강이 유출하면서 마오쩌둥은 가오강의 의도를 의심하게 되었다.[17] 천윈덩샤오핑 등은 가오강의 계획을 류사오치를 제거하려는 시도로 보았고, 덩샤오핑은 1980년에 가오강이 자신을 포섭하려 했다고 밝혔다.[23]

천윈과 덩샤오핑이 마오쩌둥에게 가오강의 활동을 알리자, 마오쩌둥은 이를 당의 단결을 위협하는 행위로 규정했다. 결국 가오강은 1954년 8월에 자살했다.

5. 1. 권력 투쟁

"가오강 사건"은 가오강이 류사오치저우언라이를 정부 핵심 요직에서 몰아내고 당내에서 자신의 개인적인 위상을 높이려 한 시도였다. 1953년 여름, 가오강은 마오쩌둥이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의 이전 실패에 불만을 품은 듯하자, 마오의 승인이 있다고 가정하고 고위 간부들에게 지지를 요청하기 시작했다.[17] 가오강은 안쯔원 중국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부장이 작성한 정치국원 명단을 유출했는데, 이는 다가오는 중국 공산당 제8차 전국대표대회 전에 마오쩌둥이 가오강의 의도를 의심하게 만들었다. 안쯔원이 명단을 작성한 이유에 대해서는 출처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가오강은 회의 중에 이 기밀 문서를 언급했고, 이는 류사오치가 당내 자신의 입지를 활용하기 위한 책략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17]

가오강은 천윈덩샤오핑을 포함한 다른 여러 간부들에게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들은 가오강의 계획을 류사오치를 완전히 전복시키려는 시도로 보았다. 덩샤오핑은 1980년에 가오강의 "지하 활동"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밝히며 "그는 나를 포섭하려 했고, 류사오치 동지가 미숙하다고 말하며 나와 공식적인 협상을 벌여 류사오치 동지를 몰아내는 데 동참하도록 설득하려 했다"고 말했다.[23] 천윈과 덩샤오핑이 마오쩌둥에게 가오강의 활동을 공식적으로 알리자, 주석은 이를 질서 위반으로 선언했고, 당의 단결에 대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가오강은 1954년 8월에 자살했다.

마오쩌둥은 1952년 말 또는 1953년 초 가오강과 일련의 사적인 대화를 나눴는데, 이 자리에서 그는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해 어느 정도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이들이 중국의 사회주의적 변혁 속도에 대해 너무 신중한 태도를 보인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24][25] 마오쩌둥이 가오강에게 실제로 무슨 말을 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한 어떤 조치를 승인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사적으로 친구에게 자신의 좌절감을 토로했는지 말이다. 중요한 점은 가오강이 마오쩌둥의 말을 이 두 고위 간부에 대한 조치에 대한 동의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이후 가오강은 당 고위 간부들에게 접근하여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으며,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다는 점을 암시하는 중요한 발언을 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장이자 화둥 지역에 기반을 둔 군사 인물인 라오수스는 가오강에게 지지를 보냈다.[26] 라오수스와의 회의 직후 가오강은 린뱌오, 펑더화이, 주더를 중심으로 다른 군 지도자들과 자신의 견해를 논의하기 위해 남부 및 동부 지역을 순회했다.[27]

린뱌오는 실질적인 지원을 하지 않았지만, 가오강의 견해에 동의한 것이 가오강이 계속해서 지지를 구하도록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8] 가오강의 주요 표적인 류사오치에 대해 어느 정도 반감을 가지고 있던 것으로 알려진 펑더화이 역시 어느 정도 지지를 표명했지만, 린뱌오처럼 가오강을 돕기 위해 특별히 한 일은 없었다.[29] 가오강이 뤄룽환에게 접근했을 때, 뤄룽환은 마오쩌둥의 정확한 생각을 알고 싶어 했다. 그는 마오쩌둥이 실제로 그러한 제안을 승인했는지 의심했고, 그렇게 중요한 문제에 대한 그들의 논의가 부적절하다고 가오강에게 말했다.[30]

5. 2. 당내 비판과 자살

1953년 여름, 가오강은 마오쩌둥류사오치저우언라이의 이전 실패에 불만을 품고 있다고 판단,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위해 고위 간부들에게 지지를 요청하기 시작했다. 안쯔원 중국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부장이 작성한 정치국원 명단을 가오강이 유출하면서, 마오쩌둥은 가오강의 의도를 의심하게 되었다.[17] 천윈덩샤오핑 등은 가오강의 계획을 류사오치를 완전히 전복시키려는 시도로 간주했고, 덩샤오핑은 1980년에 가오강이 자신을 포섭하려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23]

천윈과 덩샤오핑이 마오쩌둥에게 가오강의 활동을 알리자, 마오쩌둥은 이를 당의 단결을 위협하는 심각한 행위로 규정하고 1953년 12월 24일 정치국 회의에서 가오강에게 직접 경고했다.[32] 마오쩌둥은 가오강이 "반당 연합"을 형성했다고 비난했다.[27]

류사오치에게 1954년 2월 전원회의를 조직하도록 지시한 것은, 당의 통합성을 위협하는 자에 대한 마오쩌둥의 불관용을 보여주는 신호이자 류사오치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로 여겨졌다.[33] 2월 회의에서 저우언라이는 가오강이 "독립 왕국"을 건설하고, 소련과의 관계에서 "흑백을 혼동"했으며, "마오쩌둥 동지의 말을 조작"했다고 비난했다. 또한 군부가 중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가오강의 주장에 공개적으로 반박하고, 류사오치 및 다른 지도자들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려는 가오강의 시도를 비난했으며, 가오강의 방탕한 생활 방식도 비난했다.[34][35]

마오쩌둥과의 면담이 거부되자 절망한 가오강은 1954년 2월 회의 중에 자살을 시도했고, 1954년 8월 독극물로 자살했다.[36] 1955년, 가오강은 당에서 제명되었고, 그의 동료 라오수스도 제명되어 투옥되었다.[35] 가오강의 죽음은 그가 당의 반역자로서 불명예스럽게 기억되도록 만들었으며, 많은 사람들은 가오강과 라오수스의 몰락을, 중국 공산당 위계에서 정치적 인물을 꺾기 위한 마오쩌둥의 '인격 살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한다.[37]

5. 3. 사후 평가

"가오강 사건"은 가오강이 류사오치저우언라이를 몰아내고 당내에서 자신의 위상을 높이려 한 시도였다. 마오쩌둥이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의 이전 실패에 불만을 품은 듯하자, 가오강은 1953년 여름에 고위 간부들에게 지지를 요청하기 시작했다. 가오강은 천윈덩샤오핑을 포함한 다른 여러 간부들에게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들은 가오강의 계획을 류사오치를 완전히 전복시키려는 시도로 보았다.[17][23]

천윈덩샤오핑이 마오쩌둥에게 가오강의 활동을 알리자, 마오쩌둥은 이를 질서 위반으로 선언했고, 당의 단결에 대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가오강은 1954년 8월에 자살했다.[23]

가오강이 자신의 생각을 리셴녠, 천윈, 덩샤오핑에게 밝히자, 그들은 모두 그의 시도가 당의 단결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1953년 12월 24일 정치국 회의에서 마오쩌둥은 가오강을 직접 만나 그의 활동이 당의 단결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고 엄중히 경고했다.[31][32]

1954년 2월 회의에서 저우언라이는 가오강에 대해 여러 가지 비난을 했다. 저우언라이는 가오강이 "독립 왕국"을 건설했고, 소련과의 관계에서 "흑백을 혼동"했으며, "마오쩌둥 동지의 말을 조작"했다고 비난했다. 또한 가오강의 방탕한 생활 방식을 비난했다.[34][35]

절망한 가오강은 마오쩌둥과 여러 차례 면담을 시도했지만, 마오쩌둥은 그를 만나주지 않았다. 가오강은 2월 회의 중에 자살을 시도했으며, 1954년 8월에는 독극물을 섭취하여 자살에 성공했다.[36] 1955년, 그의 자살 이후 가오강은 공식적으로 당에서 제명되었다. 가오강의 동료였던 라오수스도 중국 공산당에서 제명되었고, 1975년 사망할 때까지 투옥되었다.[35]

가오강의 죽음은 이 사건에 종지부를 찍었을 뿐만 아니라, 그가 당의 반역자로서 불명예스럽게 기억되도록 했다. 많은 사람들이 가오강과 라오수스의 몰락을, 중국 공산당 위계에서 정치적 인물을 꺾기 위한 마오쩌둥의 '인격 살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한다.[37]

6. 가오강 사건의 분석과 영향

"가오강 사건"은 1953년 가오강이 중국 공산당 내에서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류사오치저우언라이를 제거하려 한 시도였다. 마오쩌둥이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의 이전 실패에 불만을 품은 듯하자, 가오강은 마오쩌둥의 승인이 있다고 여기고 고위 간부들에게 지지를 요청했다. 그러나 안쯔원이 작성한 정치국원 명단을 유출하면서 마오쩌둥이 가오강의 의도를 의심하게 되었다.[17] 천윈덩샤오핑은 가오강의 계획을 류사오치를 전복시키려는 시도로 보고 마오쩌둥에게 알렸고, 마오쩌둥은 이를 질서 위반으로 규정했다. 결국 가오강은 1954년 8월에 자살했다.[23]

마오쩌둥은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를 못마땅하게 여겼지만, 그들의 제거를 지지하지는 않았다. 옌안 정풍 운동으로 달성된 "단결"에 만족했고, 1945년 당대회에서 확립된 당 구조를 변경할 의사가 없었다. 또한, 혁명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가오강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고, 당이 국가와 군대에 대한 명확한 지휘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믿었다.[27]

"가오강 사건"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당내 파벌 분열의 위험성을 보여주었다. 비록 성공하지 못했지만, 고위 당원들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권력 투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이 사건 이후 당의 단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중앙 집권화가 강화되었다.[38]

중소 관계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오강이 소련과 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은 사람들에게 의심을 품게 했다. 저우언라이1954년 2월 회의에서 가오강을 비난하며 "소련 관계에서 옳고 그름을 혼동했다"라고 말했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가오강이 중국 공산당의 분위기에 대한 소련 지도부의 주요 정보원이었다고 회고했다.[39]

가오강 사건은 마오쩌둥의 지배력과 조종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마오쩌둥은 가오강을 조종하여 다른 중국 공산당 관리들의 충성심을 시험하고, 당의 권력 역학을 위협하는 자들에게 본보기를 보였다.

6. 1. 권력 투쟁의 배경

"가오강 사건"은 가오강이 중국 공산당 내에서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류사오치저우언라이를 제거하려 한 시도였다. 1953년 여름, 마오쩌둥이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의 이전 정책에 불만을 가진 것으로 보이자, 가오강은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다고 믿고 다른 고위 간부들에게 지지를 요청하기 시작했다.[17]

가오강은 천윈, 덩샤오핑 등에게 이 문제를 논의했지만, 이들은 가오강의 계획을 류사오치를 완전히 제거하려는 시도로 간주했다. 덩샤오핑은 1980년에 가오강이 자신을 포섭하려 했으며, 류사오치가 미숙하다고 주장하며 류사오치를 몰아내는 데 협력하도록 설득하려 했다고 밝혔다.[23] 천윈과 덩샤오핑이 마오쩌둥에게 가오강의 활동을 알리자, 마오쩌둥은 이를 질서 위반으로 규정하고 당의 단결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한 대응 조치를 취했다.

마오쩌둥은 1952년 말 또는 1953년 초 가오강과의 비공개 대화에서 류샤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한 불만을 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이들이 중국의 사회주의적 변화 속도에 대해 지나치게 신중하다고 언급했다.[24][25] 그러나 마오쩌둥이 가오강에게 정확히 어떤 말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며,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한 조치를 승인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개인적인 불만을 표현한 것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중요한 점은 가오강이 마오쩌둥의 발언을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한 조치에 대한 동의로 해석했다는 것이다.

이후 가오강은 당 고위 간부들에게 접근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음을 암시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장이자 화둥 지역 군사 지도자인 라오수스는 가오강을 지지했다.[26] 가오강은 린뱌오, 펑더화이, 주더 등 다른 군 지도자들과도 자신의 견해를 논의했다.[27]

린뱌오는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지 않았지만, 가오강의 견해에 동의한 것이 가오강이 계속 지지를 구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8] 펑더화이 역시 류사오치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어느 정도 지지를 표명했지만 린뱌오처럼 가오강을 돕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았다.[29] 가오강이 뤄룽환에게 접근했을 때, 뤄룽환은 마오쩌둥의 정확한 의중을 알고 싶어했으며, 마오쩌둥이 실제로 그러한 제안을 승인했는지 의심했다.[30]

가오강은 마오쩌둥이 저우언라이와 류사오치를 탐탁지 않게 여긴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제거를 지지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이는 오판이었다. 당시 마오쩌둥은 서로 다른 의견에 비교적 관대했으며,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가 압력을 가하면 자신의 견해를 따를 것이라고 확신했다. 마오는 옌안 정풍 운동을 통해 달성된 "단결"에 만족했고, 1945년 당대회에서 확립된 기본적인 당 구조를 변경할 의사가 없었다. 또한 마오는 혁명에서 가오강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가오강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으며(마오는 이를 과장된 것으로 생각함), 당이 국가와 군대에 대한 명확한 지휘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확고하게 믿었다.[27]

"가오강 사건"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몇 년 동안 당내 파벌 분열의 위험성을 보여주었다. 가오강은 일부 간부들이 다른 간부들에게 품고 있던 불만을 이용하려 했지만, 실제로 그를 지지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가오강 사건"은 정치국 내에서 발생한 실패한 쿠데타 시도로 볼 수 있지만, 그 중요성은 성공 여부가 아니라 당내 권력 투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있다. "가오강 사건" 이후 당의 단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오랫동안 계획되었지만 가오강의 권력 장악 시도로 인해 촉발된 당 및 군사 기구를 갖춘 기존 지역 행정부의 폐지와 함께 중앙 집권화가 강화되었다.[38]

중소 관계 또한 가오강 사건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보인다. 가오강의 권력 장악 시도가 소련의 지원을 받는 움직임으로 보이지는 않았지만, 가오강이 소련과 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은 사람들에게 의심을 품게 했다. 니키타 흐루쇼프의 회고록에 따르면, 가오강은 "중국 당의 분위기"에 대한 소련 지도부의 주요 정보원이었으며, 이오시프 스탈린은 마오쩌둥의 신뢰를 얻기 위해 알렉산드르 파뉴슈킨 러시아 주중 대사의 외교 전보 중 일부를 마오쩌둥에게 넘겼다. 흐루쇼프는 스탈린의 이러한 "배신"이 가오강의 몰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39]

가오강 사건은 마오쩌둥의 민주집중제에 대한 신념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에 그의 지배력과 권모술수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지기도 한다. 마오쩌둥은 가오강에게 영향을 미쳐 당과 고위 간부들에게 반하는 행동을 하도록 만들었지만, 가오강은 자신의 행동이 마오쩌둥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믿었다. 린뱌오와 펑더화이와 같은 고위 간부들은 가오강이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제한적이나마 그를 지지했다. 류사오치 세력을 제거하려는 가오강의 모든 음모는 마오쩌둥이 단 한 번의 정치국 회의에서 자신의 진정한 의도를 밝힘으로써 종결되었다. 가오강이 경솔한 결정을 내리고 마오쩌둥에 대한 자신의 신뢰를 과대평가하여 스스로 몰락을 자초한 것은 분명하지만, 마오쩌둥이 가오강을 조종하여 다른 중국 공산당 간부들의 충성심을 시험하고 당의 권력 역학을 위협하려는 자들에게 경고를 보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6. 2. 마오쩌둥의 역할

마오쩌둥은 1952년 말 또는 1953년 초 가오강과 사적인 대화를 나누면서 류사오치저우언라이에 대한 불만을 표시했다.[24][25] 마오쩌둥은 이들이 중국의 사회주의적 변혁 속도에 대해 너무 신중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이 가오강에게 실제로 무슨 말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한 조치를 승인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친구에게 좌절감을 토로했는지 알 수 없다. 중요한 점은 가오강이 마오쩌둥의 말을 이 두 고위 간부에 대한 조치에 대한 동의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이후 가오강은 당 고위 간부들에게 접근하여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며,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다고 암시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장 라오수스는 가오강을 지지했다.[26]

가오강은 마오쩌둥이 저우언라이와 류사오치를 못마땅하게 여긴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제거를 지지할 것이라고 잘못 판단했다. 당시 마오쩌둥은 서로 다른 의견에 비교적 관대했고,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가 압박하면 자신의 견해에 따를 것이라고 확신했다. 마오는 옌안 정풍 운동을 통해 달성된 "단결"에 만족했고, 1945년 당대회에서 확립된 기본적인 당 구조를 변경할 의사가 없었다. 또한, 마오는 혁명에서 가오강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가오강의 견해(마오쩌둥이 과장되었다고 생각함)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당이 국가와 군대에 대한 명확한 지휘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분명히 믿었다.[27]

가오강 사건은 마오쩌둥의 민주집중제에 대한 헌신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에 그의 지배력과 조종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마오쩌둥의 발언은 가오강에게 영향을 미쳐 당과 고위 간부들에게 반하는 행동을 하게 만들었지만, 가오강은 자신의 행동이 주석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믿었다. 린뱌오펑더화이 같은 고위 간부들은 가오강이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제한적이나마 그를 지지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은 단 한 번의 정치국 회의에서 자신의 진정한 생각을 표현함으로써 가오강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다른 간부들이 실수를 인정하게 만들었다.

가오강이 경솔한 결정을 내리고 마오쩌둥에 대한 신뢰를 과대평가하여 자신의 멸망을 자초한 것은 분명하지만, 마오쩌둥이 가오강을 조종하여 다른 중국 공산당 관리들의 충성심을 시험하고 당의 권력 역학을 위협하려는 자들에게 본보기를 보였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6. 3. 중소 관계의 영향

"가오강 사건"은 중소 관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가오강이 소련의 지원을 받아 권력을 잡으려 한 것은 아니었지만, 소련과의 관계는 사람들의 의심을 샀다. 당시 중소 관계는 긴밀하면서도 긴장감이 있었는데, 중국 공산당은 소련의 경제 계획 방식을 지지했지만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원치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오강의 권력 장악 시도가 소련과의 우호 관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인상은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39]

저우언라이는 1954년 2월 회의에서 가오강을 비난하며 "소련 관계에서 옳고 그름을 혼동했다"라고 말했다.[39] 니키타 흐루쇼프의 회고록에 따르면, 가오강은 소련 지도부에게 "중국 당의 분위기"를 알려주는 주요 정보원이었다. 이오시프 스탈린마오쩌둥의 신뢰를 얻고자 알렉산드르 파뉴슈킨 러시아 주중 대사의 외교 전보 일부를 마오쩌둥에게 넘겼는데, 흐루쇼프는 스탈린의 이러한 "배신"이 가오강의 몰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보았다.[39]

6. 4. 중국 정치에 미친 영향

"가오강 사건"은 1953년 가오강이 류사오치저우언라이를 정부 요직에서 몰아내고 자신의 위상을 높이려 한 시도였다. 마오쩌둥이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의 이전 실패에 불만을 품은 듯하자, 가오강은 마오쩌둥의 승인이 있다고 여기고 고위 간부들에게 지지를 요청했다. 그러나 안쯔원이 작성한 정치국원 명단을 유출하면서 마오쩌둥이 가오강의 의도를 의심하게 되었다.[17] 천윈덩샤오핑은 가오강의 계획을 류사오치를 전복시키려는 시도로 보고 마오쩌둥에게 알렸고, 마오쩌둥은 이를 질서 위반으로 규정했다. 결국 가오강은 1954년 8월에 자살했다.[23]

마오쩌둥은 류사오치와 저우언라이를 못마땅하게 여겼지만, 그들의 제거를 지지하지는 않았다. 옌안 정풍 운동으로 달성된 "단결"에 만족했고, 1945년 당대회에서 확립된 당 구조를 변경할 의사가 없었다. 또한, 혁명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가오강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고, 당이 국가와 군대에 대한 명확한 지휘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믿었다.[27]

"가오강 사건"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당내 파벌 분열의 위험성을 보여주었다. 비록 성공하지 못했지만, 고위 당원들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권력 투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이 사건 이후 당의 단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중앙 집권화가 강화되었다.[38]

중소 관계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오강이 소련과 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은 사람들에게 의심을 품게 했다. 저우언라이1954년 2월 회의에서 가오강을 비난하며 "소련 관계에서 옳고 그름을 혼동했다"라고 말했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가오강이 중국 공산당의 분위기에 대한 소련 지도부의 주요 정보원이었다고 회고했다.[39]

가오강 사건은 마오쩌둥의 지배력과 조종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마오쩌둥은 가오강에게 영향을 미쳐 당과 고위 간부들에게 반하는 행동을 하게 만들었고, 자신의 행동이 주석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믿게 했다. 린뱌오펑더화이와 같은 고위 간부들도 가오강이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다고 생각하여 그를 지지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이 정치국 회의에서 자신의 생각을 밝히자 가오강의 활동은 중단되었고, 다른 간부들은 실수를 인정하게 되었다. 마오쩌둥은 가오강을 조종하여 다른 중국 공산당 관리들의 충성심을 시험하고, 당의 권력 역학을 위협하는 자들에게 본보기를 보였다.

참조

[1] 서적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 Concise Political History New York 1988
[2] 서적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New York 1995
[3]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4] 서적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New York 1995
[5]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6] 서적 Politics and Purges in China: Rectification and the Decline of Party Norms, 1950–1965 New York 1993
[7]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8] 웹인용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9] 서적 Mao's China: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New York 1977
[10] 서적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New York 1995
[11] 웹인용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12] 서적 Mao's China: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New York 1977
[13] 웹사이트 The Economic Reconstruction of Northeast China https://shokuenvertr[...] 2022-01-08
[14] 간행물 Leadership and Authority 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Perspectives from the 1950s 1986
[15] 웹인용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16] 서적 Mao's China: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New York 1977
[17] 논문 Mao and Chinese Elite Politics in the 1950s: The Gao Gang Affair Revisited 2011-01
[18] 서적 Politics and Purges in China: Rectification and the Decline of Party Norms, 1950–1965 New York 1993
[19]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20] 서적 The Politics of China: The Eras of Mao and Deng New York 1997
[21] 웹인용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22] 웹사이트 Telegram from Zhou Enlai to Chai Junwu, Peng Dehuai, and Gao Gang https://digitalarchi[...]
[23] 서적 Deng Xiaoping Wenxuan, 1975–1982 (Selected Works of Deng Xiaoping, 1975–1982) Beijing: Renmin chubanshe 1983
[24] 서적 Mao Zedong and the Chinese Revolution New York 2008
[25]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26] 서적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 Concise Political History New York 1988
[27] 웹인용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28]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29]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30]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31]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32]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33] 서적 The Politics of China: The Eras of Mao and Deng New York 1997
[34]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35] 웹인용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36]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37] 논문 The Gao-Rao Affair: A Case of Character Assassination in Chinese Politics in the 1950s https://doi.org/10.1[...] 2014
[38] 서적 The Establishment and Consolidation of the New Regime, 1949–57 New York 1997
[39] 서적 Khrushchev Remembers Deutsch, London 1974
[40] 서적 高崗事件と東北をめぐる中ソ関係 中央公論社 1978
[41] 서적 巨龍の胎動 毛沢東VS鄧小平 講談社 2004
[42] 서적 毛沢東の朝鮮戦争 ― 中国が鴨緑江を渡るまで 岩波書店 1991
[43] 서적 朱建栄、前掲書
[44] 서적 朱建栄、前掲書
[45] 서적 天児慧、前掲書
[46] 서적 天児慧、前掲書
[47] 서적 天児慧、前掲書
[48] 서적 中嶋嶺雄、前掲書
[49] 서적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 Concise Political History New York 1988
[50] 서적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New York 1995
[51]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52] 서적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2011-03-12
[53] 서적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New York 1995
[54] 서적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New York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