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스트(Geist)는 독일어로 '정신', '영혼', '유령' 등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는 단어이다.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적 의미를 갖게 되어 성령을 지칭하기도 한다. 18세기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마음', '지성'이라는 의미가 더해지면서 지적 탁월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발전했다. 헤겔 철학에서는 개인의 의식을 넘어선 객관적 실체로, 세계정신(Weltgeist)의 개념으로 나타난다. 세계정신은 역사 발전의 주체이며, 민족정신(Volksgeist)을 통해 실현된다. 시대정신(Zeitgeist)은 특정 시대의 지배적인 지적, 문화적 경향을 의미하며, 헤겔뿐 아니라 괴테와 헤르더에 의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침철석
침철석은 삼산화철 수산화물 광물로, 녹과 늪철광석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다른 철 함유 광물의 풍화 작용으로 형성되어 토양, 철광석, 오커 안료, 보석 등으로 사용된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위치한 대학교로, 1914년 개교하여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기반인 사회연구소가 위치해 있으며, 법학, 경제학, 철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재단형 대학이다. - 마음 - 영혼
영혼은 육체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인격적 실재 또는 영원불멸의 존재를 의미하며,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뤄지고 사후 세계와 관련되어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해석되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탐구되고 철학적으로도 논의되는 개념이다. - 마음 - 심령주의
심령주의는 1848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영혼과의 소통을 믿는 사상으로, 서양 철학의 영향을 받아 하이즈빌 사건 이후 미국과 유럽으로 확산되었으며, 카르덱의 스피리티즘, 근대 신지학 등으로 발전하고, 현대에는 임사 체험, 환생 연구와 연결된다. - 유령 - 잭오랜턴
잭오랜턴은 할로윈의 상징으로, 속을 파내고 얼굴을 새긴 호박 등불을 가리키며,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유래하여 악령을 쫓거나 초자연적 존재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녔고, 미국에서는 19세기부터 호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유령 - 영혼
영혼은 육체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인격적 실재 또는 영원불멸의 존재를 의미하며,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뤄지고 사후 세계와 관련되어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해석되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탐구되고 철학적으로도 논의되는 개념이다.
가이스트 |
---|
2. 어원 및 번역
독일어 '가이스트(Geist)'는 영어의 'spirit'와 'ghost'에 모두 대응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 단어는 고대 고지 독일어 'geist'에서 유래했으며, 서게르만어 'gaistaz'를 거쳐 인도유럽조어 'g̑heis-'(흥분하다, 겁먹다)에서 파생되었다. 따라서 게르만어 단어는 원래 무서운 유령이나 귀신을 지칭하는 동시에, 게르만 머큐리 숭배와 관련된 "열광적인 흥분"이라는 의미도 담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초기부터 기독교의 성령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면서 종교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고대 영어 ''sē hālga gāst'' "성령", OHG ''ther heilago geist'', 현대 독일어 ''der Heilige Geist'').[2]
18세기에는 프랑스어 '에스프리(esprit)'의 영향을 받아 '지성', '마음'이라는 의미가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18세기 독일, 특히 18세기 독일 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단어가 되었다. 'Geist'는 지적 탁월성, 혁신, 박식함 등을 가리키게 되었고, 'geistlich'(영적인, 종교와 관련된)와 'geistig'(지적인, 마음에 관련된)라는 형용사 구분이 생겨났다. 유령이나 귀신은 'geisterhaft'(유령 같은, 환영 같은)로 표현하게 되었다.[3]
18세기에서 19세기에는 수많은 독일어 복합어가 형성되었는데, 그중 일부는 프랑스어 표현을 차용한 번역이었다. 예를 들어 ''Geistesgegenwart'' (''présence d'esprit'', "정신적 존재, 예리함"), ''Geistesabwesenheit'' (''absence d’esprit'', "정신 부재, 산만함"), ''geisteskrank'' ("정신 질환이 있는"), ''geistreich'' ("재치 있는, 지적으로 훌륭한"), ''geistlos'' ("무지한, 상상력이 없는, 공허한") 등이 있다. Zeitgeist와 같이 '-geist'를 포함하는 특정 독일어 복합어는 영어로 차용되기도 했다.[4]
독일어에는 '유령'을 뜻하는 또 다른 단어인 'Gespenst(das Gespenst, 중성 명사)'가 있다. 'Geist'는 'Gespenst'보다 (날아다니는 하얀 존재의) 유령을 지칭하는 데 조금 더 자주 사용된다. 관련된 형용사로는 'gespenstisch'(유령 같은, 으스스한)와 'gespensterhaft'(유령 같은)가 있다. 'Gespenst'는 'spukender Totengeist'(유령이 나타나는 죽은 자의 영혼)로 묘사된다. 반면 'geistig'와 'geistlich'는 으스스한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될 수 없으며, 'geistig'는 "정신적인", 'geistlich'는 "영적인" 또는 교회의 직원을 지칭한다. 'Geisterhaft'는 'gespensterhaft'처럼 "유령 같은"을 의미한다.
"스푸크(유령)"는 'der Spuk'(남성 명사)를 의미하지만, 이 단어의 형용사는 영어 형태인 'spooky'로만 사용된다. 더 일반적인 독일어 형용사는 'gruselig'이며, 'der Grusel'에서 파생되었다 (''das ist gruselig'', 구어체: ''das ist spooky'', "그것은 으스스하다").
2. 1. 'Geist'와 'Seele'의 구분
독일어에는 'Geist' 외에도 'Seele'(영혼)라는 단어가 있다. 'Seele'는 주로 개인의 내면적, 감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반면, 'Geist'는 보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정신, 지성, 이성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다.3. 헤겔 철학에서의 정신
헤겔 철학에서 '가이스트'(''Geist'')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대부분의 해석에 따르면, 헤겔에게서 가이스트는 개인의 의식을 넘어서는 객관적인 실체로, 역사의 발전 과정을 통해 '절대정신'(''Absolute Geist'')이 스스로를 실현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헤겔은 '세계정신'(''Weltgeist'', "세계 정신")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는데, 이는 실제 객체나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라 역사를 철학적으로 사유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 세계정신은 다양한 '민족정신'(''Volksgeist'', "민족 정신")의 매개를 통해 역사 속에서 실현되며, 나폴레옹과 같은 역사 속 위대한 인물들은 "구체적인 보편성(철학)"으로 간주된다.
헤겔은 역사 철학에서 "보편적(철학) 국가" (''Universalstaat'', "국가(정치)"가 아닌 보편적인 "질서" 또는 "규정"을 의미)와 "역사의 종말"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는 그의 역사 철학이 훨씬 더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3. 1. 세계정신 (Weltgeist)
헤겔 철학의 핵심 개념인 '세계정신'(''Weltgeist'')은 역사를 철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는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라, 여러 민족 고유의 정신인 '민족정신(Volksgeist)'을 통해 역사 속에서 실현되는 개념이다. 나폴레옹과 같은 위대한 인물들은 이러한 세계정신의 "구체적인 보편성(철학)"으로 여겨진다.[11]헤겔은 '이성의 간계'라는 개념을 통해, 위대한 영웅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세계정신의 도구로 이용되어 역사적 사명을 완수하고, 그 후에는 역사에서 멀어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역사 철학을 자신의 철학으로 귀결시키는 목적론적 원칙에 따른 것이다.[12] 헤겔이 예나 전투 전날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폴레옹을 "말을 탄 세계 영혼"(''die Weltseele zu Pferde'')이라고 묘사한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13]

3. 2. 민족정신 (Volksgeist)
''Volksgeist'' 또는 ''Nationalgeist''는 개별 민족(''Volk'')의 "정신", 즉 "국가 정신" 또는 "국민성"을 의미한다.[16] 'Nationalgeist'라는 용어는 1760년대에 유스투스 뫼저와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에 의해 사용되었다. 이 시기의 'Nation'이라는 용어는 ''natio'' ("국가, 민족 집단, 인종")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1800년 이후에는 'Volk'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었다.[17]19세기 초,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는 "대중적인" 정의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 'Volksgeist'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사비니는 볼테르가 사용한 'esprit des nations'의 개념[18]과 몽테스키외가 언급한 'esprit général'을 명시적으로 언급했다.[19]
헤겔은 그의 저서 ''역사철학 강의''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헤겔의 용어 사용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 빌헬름 분트, 모리츠 라자루스와 하에만 슈타인탈은 ''Völkerpsychologie'' ("민족 심리학") 분야를 설립했다.
독일에서 Volksgeist의 개념은 시대와 분야를 거치면서 발전하고 그 의미가 변화했다. 가장 중요한 예는 다음과 같다.
이는 이 개념이 모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낭만주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21]
이 개념은 미국의 문화 인류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4. 시대정신 (Zeitgeist)
복합어인 '자이트가이스트(Zeitgeist)'(Zeitgeist|자이트가이스트영어)는 '시대 정신' 또는 '시대의 정신'을 의미하며, 세계사에서 특정 시대를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원동력 또는 힘을 묘사한다. 이는 '벨트가이스트(Weltgeist)'와 유사하다.
이 용어는 헤겔과 주로 연관되어 있지만, 헤겔이 사용한 '폴크스가이스트(Volksgeist)'와 '벨트가이스트(Weltgeist)'와는 대조적이다. 이 용어는 헤겔 이전에 헤르더와 괴테에 의해 만들어지고 대중화되었다.[4]
현대에는 패션 또는 유행을 가리키는 데 더 실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건축 분야에서 무엇이 수용 가능하거나 세련된 것인지를 규정하는 데 사용된다.[23]
헤겔은 ''정신현상학''(1807)에서 ''벨트가이스트(Weltgeist)''와 ''폴크스가이스트(Volksgeist)''를 모두 사용했지만, '자이트가이스트(Zeitgeist)'라는 독일어 복합어보다는 '시대 정신'을 의미하는 ''Geist der Zeiten''이라는 구절을 선호했다.[24]
헤겔은 문화와 예술이 시대를 반영한다고 믿었다. 그는 현대 세계에서는 고전 예술을 창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는데, 현대성은 본질적으로 "자유롭고 윤리적인 문화"이기 때문이다.[25]
'자이트가이스트(Zeitgeist)'는 지적 또는 미학적 패션 또는 유행의 의미로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찰스 다윈이 1859년에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가 일어난다고 주장한 것은, 동시대인인 알프레드 러셀 윌리스가 같은 기간에 유사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었음을 감안할 때, "때가 온" 생각, 즉 시대의 "시대정신"의 사례로 인용되었다.[26] 마찬가지로, 1920년대의 논리 실증주의의 등장,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행동주의와 백지설에 대한 집중, 그리고 1950년대에서 1960년대 동안 행동주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 이론으로의 전환과 같은 지적 유행은 지적 또는 학문적 "시대정신"의 표현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26]
더 최근에는 Forsyth(2009)가 그의 "리더십 이론"을 언급하는 데 '자이트가이스트(Zeitgeist)'를 사용했으며,[27] 비즈니스 또는 산업 모델을 설명하는 다른 출판물에서도 사용되었다. 말콤 글래드웰은 그의 저서 ''아웃라이어''에서 초창기 신생 산업에서 성공한 기업가들이 종종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
5. 한국 사회와 정신 개념
한국 사회에서 '정신' 개념은 유교, 불교, 샤머니즘 등의 전통 사상과 근대 이후 서구 사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특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From Plato to Jesus: What Does Philosophy Have to Do with Theology?
2011
[2]
문서
[3]
웹사이트
Geist
https://www.dwds.de/[...]
Wolfgang Pfeifer, ''Etymologisches Wörterbuch''
2010
[4]
문서
[5]
웹사이트
Definition/Meaning of Weltgeist
http://www.engyes.co[...]
EngYes
2019-12-17
[6]
웹사이트
Weltgeist
http://woerterbuchne[...]
Grimm, ''Deutsches Wörterbuch''
[7]
서적
Wörterbuch der philosophischen Begriffe
1904
[8]
서적
Geist der Göthezeit
1923
[9]
서적
Gedichte
1745
[10]
서적
Ausgewählte Werke
1871
[11]
서적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1944
[12]
문서
[13]
서적
Schelling und die Philosophie der Romantik
https://books.google[...]
1859
[14]
간행물
Göttingische gelehrte Anzeigen
https://books.google[...]
1861
[15]
간행물
Reden gehalten in der Aula der Universität Leipzig beim Rectoratswechsel am 31. October 1874
https://books.google[...]
1874
[16]
웹사이트
Volksgeist – Encyclopedia.com
Encyclopedia.com
2019-11-26
[17]
서적
Volksgeist und Recht. Hegels Philosophie der Einheit und ihre Bedeutung in der Rechtswissenschaft
Königshausen & Neumann, Würzburg
2000
[18]
서적
Essai sur les mœurs et l’esprit des nations
1756
[19]
서적
Vom Geist der Gesetze
1748
[20]
서적
Volksgeist-Herri Gogoa. Ilustraziotik nazismora
[21]
서적
Volksgeist-Herri Gogoa. Ilustraziotik nazismora
[22]
웹사이트
zeitgeist noun – Definition, pictures, pronunciation and usage notes |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at 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https://www.oxfordle[...]
[23]
서적
Shaping the Futu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6
[24]
서적
The Hege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A & C Black
2010
[25]
서적
Aesthetics & The Philosophy Of Spirit
Peter Lang, New York
2005
[26]
서적
History of Psychology
2004
[27]
서적
Group dynamics
New York: Wadsworth
2009
[28]
서적
From Plato to Jesus: What Does Philosophy Have to Do with Theology?
2011
[29]
서적
Hegel, as the national philosopher of Germany
18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