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이젠하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젠하임은 라인강 오른쪽에 위치한 도시로, 비스바덴과 뤼데스하임 암 라인 사이에 있으며, 4개의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772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중세부터 근세까지 마인츠 대주교령에 속했고, 1864년부터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44년에는 나치 강제 수용소의 외부 지령소가 설치되기도 했다. 가이젠하임은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포도 재배에 적합하여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주요 건축물로는 라인가우 돔, 쇤보른 성 등이 있으며, 가이젠하임 대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기관이 위치해 "학교 도시"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센주의 도시 - 뤼데스하임암라인
    뤼데스하임암라인은 독일 헤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라인강 우안과 라인가우 와인 산지, 니더발트 기념비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포도 재배, 선박 운송,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헤센주의 도시 - 하나우
    독일 헤센주에 위치한 하나우는 마인강과 킨치히강 합류 지점의 운터마인 분지에 자리 잡은 도시로, 위그노 난민 유입 등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그림 형제 고향이자 금세공인 박물관, 필립스루에 궁전 등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가 있는 헤센주에서 여섯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지만, 2020년 극우 총기 난사 사건으로 아픔을 겪었다.
가이젠하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슐로스 요하니스베르크 바실리카
슐로스 요하니스베르크 바실리카
라인가우-타우누스 군 내 가이젠하임 위치
라인가우-타우누스 군 내 가이젠하임 위치
기본 정보
유형도시
문장 그림Wappen-Geisenheim.png
위치 좌표49° 59′ 4″ N, 7° 58′ 2″ E
위치헤센 주
행정 구역다름슈타트
라인가우-타우누스 군
해발 고도95미터
면적40.34 제곱킬로미터
우편 번호65366
지역 번호06722
차량 번호판RÜD, SWA
지방 자치체 코드06 4 39 004
하위 행정 구역4개 구역
시장크리스티안 아스만
시장 임기2023–29
웹사이트가이젠하임 공식 웹사이트
정치
행정 구역다름슈타트 행정 구역
라인가우-타우누스 군
일반 정보
약칭Geisenheim 가이젠하임
로마자 표기Gaiseunhaim
추가 정보
호흐슐슈타트 (고등 교육 도시) 칭호 획득일2015년 10월 19일

2. 지리

가이젠하임은 라인강 우안, 비스바덴과 뤼데스하임 암 라인 사이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3km, 마인츠에서는 동쪽으로 21km 떨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로르흐, 동쪽으로는 외스트리히-빈켈, 남쪽으로는 인겔하임과 빙엔(둘 다 라인란트-팔츠의 마인츠-빙겐에 위치)에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뤼데스하임과 접해 있다.

가이젠하임 시역은 라인강에서 타우누스 산지 주맥으로 이어지는 라인가우 산지 남사면까지, 폭 약 3km의 띠 모양으로 남북으로 뻗어 있다. 가이젠하임 지역과 요하니스베르크 아랫부분(고도 250m 부근)까지는 주로 포도밭이며, 북쪽은 숲이다. 숲 가장자리에는 순례수도원이 있는 마리엔탈 주택지가 있고, 그 위 개간지에는 슈테판스하우젠이 있다. 가이젠하임에서 가장 높은 산은 474m의 헬코프이다. 타우누스 산지 주맥 건너편, 캄머부르크와 라우크스부르크 근처 에른스트바흐탈 하류와 Wisper|en|Wisperde 좌안을 포함한 배후지 숲도 가이젠하임에 포함된다. 라인강에서 비스퍼 강까지 시역은 약 13km이다.

요하니스베르크 성 약간 남쪽, "슐로스 요하니스베르크" 포도 농장을 북위 50도 위선이 지나간다. 기반암 위에는 두 개의 주철제 표식이 있다. 도시 앞에는 길게 뻗은 라인강 모래섬 쇤보른셰 아우에가 있으며, 재자연화 과정에서 해안으로부터 다시 분리되었다.

가이젠하임은 해양성 기후(쾨펜: ''Cfb'')를 보이며, 비교적 온화한 기후는 이 도시를 라인가우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양질의 와인을 생산하는 주요 지역 중 하나로 만들었다.[4][5] 독일 기상청은 가이젠하임에 농업 기상학 출장소를 두고 있으며, 1884년부터 지속적으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13]

가이젠하임(가이젠하임 대학교 근처), 해발 120m, 1991-2020년 평년값[7][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4.2°C18.2°C25.1°C29.5°C31°C33.8°C35.2°C35.2°C32.1°C27.3°C18.4°C15.5°C35.2°C
평균 최고 기온 (°C)5.1°C6.7°C11.4°C16.3°C20.3°C23.7°C25.9°C25.5°C20.8°C14.9°C9°C5.7°C15.4°C
평균 기온 (°C)2.5°C3.3°C6.8°C11°C14.9°C18.2°C20.2°C19.6°C15.3°C10.6°C6.2°C3.3°C11°C
평균 최저 기온 (°C)-0.1°C0.1°C2.7°C5.8°C9.7°C12.8°C14.8°C14.3°C10.8°C7.1°C3.6°C0.9°C6.9°C
최저 기온 기록 (°C)-18.5°C-16.6°C-12°C-5.2°C-0.2°C3.4°C5.4°C5.8°C2.7°C-2.5°C-8.5°C-14.4°C-18.5°C
강수량 (mm)39.3mm34mm36.2mm30.7mm49.8mm47.5mm57.7mm48.3mm43mm45.2mm43.1mm50.4mm525.4mm
강수 일수 (≥ 1mm)16.213.513.712.213.411.913.212.111.715.116.017.4166.6
일조 시간50.780.0136.5189.9212.1222.0236.0221.4163.198.348.441.71717.1
상대 습도 (%)81.077.170.864.164.664.664.667.173.781.083.783.2자료 없음
강설 일수 (≥ 1cm)5.42.51.200000000.23.5자료 없음



가이젠하임 시 (1884년 - 2008년)[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5.6°C18.2°C25.1°C30.6°C34.5°C37.3°C37.9°C38.3°C35.3°C27.3°C19.6°C17°C
평균 기온 (°C)1.1°C2.2°C5.7°C9.7°C14.2°C17.2°C18.8°C18°C14.6°C9.7°C5.1°C2.1°C
최저 기온 기록 (°C)-23.9°C-22.8°C-12.4°C-5.2°C-1.7°C1.7°C5.1°C4.1°C-0.9°C-7.2°C-13.6°C-19.8°C
강수량 (mm)37.6mm33.3mm35mm35.9mm47.8mm55mm56.4mm52.9mm43.2mm45.6mm43.3mm44mm
일조 시간46.977.4129.7173.5217.8221.4228.3212.2157.097.448.236.8


2. 1. 구성 지역

요하니스베르크 성


가이젠하임 시는 4개의 지구로 나뉜다: 본 시(가이젠하임이라고도 함), 요하니스베르크(그룬트, 베르크, 슐로스하이드), 마리엔탈, 슈테판스하우젠.

요하니스베르크는 가이젠하임의 구성 지역 사회 중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슈패트레제''(더 정확하게는 아우스레제의 체계적인 생산)의 발상지이며, 원산지 명칭으로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포도밭 한가운데에 있는 북위 50도


요하니스베르크 성에는 오늘날에도 미지의 ''슈패트레제라이터''("늦 수확 기사")를 기념하는 조각상이 있다. 여기의 포도원을 따라 ''성'' 아래로 북위 50도선이 지나간다.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공작은 빈 회의 이후 1816년에 이전 소유주였던 황제 프란츠 1세로부터 선물로 ''성'' 영지를 획득했다.[1]

마리엔탈은 인근 마리엔탈 수도원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수도원은 ''마리엔발파르트'' (순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세계 최초의 수도원 인쇄소이기도 했다.[1]

2. 2. 기후

가이젠하임은 해양성 기후(쾨펜: ''Cfb'')를 보이며, 해안 도시보다 다소 기온차가 크지만, 평평한 지형과 내해의 존재로 인해 서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2][3] 비교적 온화한 기후는 이 도시를 라인가우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양질의 와인을 생산하는 주요 지역 중 하나로 만들었다(언덕으로 덮여 라인강 계곡의 추위를 막아준다).[4][5]

기상 관측소는 1884년부터 운영되어 왔으며, 현지 주립 대학교 근처에 있는 독일 기상청(DWD)의 농업 기상 부서에서 관리한다.[6] 독일 기상청은 가이젠하임에 농업 기상학 출장소를 두고 있으며, 이 측후소에서는 1884년부터 지속적으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13] 연간 강수량은 5월부터 9월 사이에 50mm 이상으로 가장 습하며, 1월부터 4월까지는 40mm 미만으로 가장 건조하다. 북위 50°에 근접하거나 같아서 일조 시간은 겨울과 여름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며 12월부터 7월까지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이다. 7월은 23.9°C의 높은 평균 기온으로 가장 따뜻하며, 신선함에서 더위까지 변화한다. 겨울의 평균 최저 기온은 -1.2°C이지만, 오후에는 평균보다 높다.[3]

가이젠하임(가이젠하임 대학교 근처), 해발 120m, 1991-2020년 평년값[7][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4.2°C18.2°C25.1°C29.5°C31°C33.8°C35.2°C35.2°C32.1°C27.3°C18.4°C15.5°C35.2°C
평균 최고 기온 (°C)5.1°C6.7°C11.4°C16.3°C20.3°C23.7°C25.9°C25.5°C20.8°C14.9°C9°C5.7°C15.4°C
평균 기온 (°C)2.5°C3.3°C6.8°C11°C14.9°C18.2°C20.2°C19.6°C15.3°C10.6°C6.2°C3.3°C11°C
평균 최저 기온 (°C)-0.1°C0.1°C2.7°C5.8°C9.7°C12.8°C14.8°C14.3°C10.8°C7.1°C3.6°C0.9°C6.9°C
최저 기온 기록 (°C)-18.5°C-16.6°C-12°C-5.2°C-0.2°C3.4°C5.4°C5.8°C2.7°C-2.5°C-8.5°C-14.4°C-18.5°C
강수량 (mm)39.3mm34mm36.2mm30.7mm49.8mm47.5mm57.7mm48.3mm43mm45.2mm43.1mm50.4mm525.4mm
강수 일수 (≥ 1mm)16.213.513.712.213.411.913.212.111.715.116.017.4166.6
일조 시간50.780.0136.5189.9212.1222.0236.0221.4163.198.348.441.71717.1
상대 습도 (%)81.077.170.864.164.664.664.667.173.781.083.783.2자료 없음
강설 일수 (≥ 1cm)5.42.51.200000000.23.5자료 없음



가이젠하임 시 (1884년 - 2008년)[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5.6°C18.2°C25.1°C30.6°C34.5°C37.3°C37.9°C38.3°C35.3°C27.3°C19.6°C17°C
평균 기온 (°C)1.1°C2.2°C5.7°C9.7°C14.2°C17.2°C18.8°C18°C14.6°C9.7°C5.1°C2.1°C
최저 기온 기록 (°C)-23.9°C-22.8°C-12.4°C-5.2°C-1.7°C1.7°C5.1°C4.1°C-0.9°C-7.2°C-13.6°C-19.8°C
강수량 (mm)37.6mm33.3mm35mm35.9mm47.8mm55mm56.4mm52.9mm43.2mm45.6mm43.3mm44mm
일조 시간46.977.4129.7173.5217.8221.4228.3212.2157.097.448.236.8


3. 역사

가이젠하임은 772년에 처음으로 문서에 언급되었으며, 중세 시대부터 마인츠 대주교령, 이후 나사우 공국, 프로이센 왕국, 그리고 헤센 주에 속해 있었다. 1864년부터 가이젠하임은 도시 지위를 유지해 왔다.[15]

6-7세기 프랑크족 묘지에서 발굴된 항아리


최초의 정착은 500년경에 이루어졌으며, 1954년과 2016년 발굴에서 6세기 초부터 8세기 초까지의 프랑크족 묘지 유적이 출토되었다.

중세부터 근세에 걸쳐 가이젠하임은 마인츠 대주교령에 속했으며, 1806년부터 1866년까지는 나사우 공국, 그 후에는 프로이센 왕국에 속했다가 1946년부터 헤센 주에 속해 있다. 가이젠하임은 1864년부터 도시권을 가지고 있다.

나치 시대인 1944년 9월 26일, 가이젠하임의 요하니스베르크 기계 제조 GmbH의 공장(현재의 알테 베르크할레)에 프리드리히 크루프 AG의 군수품 제조 계획을 유지하기 위해 나츠바일러 강제 수용소의 외부 지령소가 설치되었다. 1944년 12월 12일에 첫 번째 강제 수용소 수용자들이 가이젠하임으로 보내졌다. 200명의 여성들이 바락에 수용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우치의 게토에서 끌려온 폴란드유대인으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노동 능력이 있다"고 선발된 사람들이었다. 1945년 3월 18일에 이 여성들은 다하우의 뮌헨-알라흐 강제 수용소로 이동되었고, 미국군에 의해 해방되었다.[16] 공장 부지 내에는 25명의 소비에트 전쟁 포로가 수용된 회사 고유의 수용 시설도 있었다(1943년 시점).[17]

이 도시는 사료에서 역사적 변천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18]

연도표기
772년Gisenheim
788년Gysenheim
776년–796년 (789년/794년?)Gisenheim
954년–984년Gysenheim
1107년Gysinheim
1108년Gysenheim
1128년Gisenheim
1133년–1137년Gisenheim
1144년Gisenheim
1215년Gisenheim
1350년Gysinheym
1408년Gysenheym



헤센 주의 지역 재편에 따라, 1971년 12월 31일에 요하니스베르크가 자발적으로 합병했다.[19] 1977년 1월 1일에 법률에 따라 슈테파스하우젠이 가이젠하임에 합병되었다.[20]

4. 정치

2006년 3월 26일에 실시된 가이젠하임 시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및 유권자 단체2006년 득표율2006년 의석2001년 득표율2001년 의석
기독교 민주 연합 (CDU)39.7%1538.2%14
사회 민주당 (SPD)35.0%1336.6%14
동맹 90/녹색당 (녹색당)8.9%310.7%4
자유 민주당 (FDP)13.2%511.0%4
Freie Wähler Geisenheim und Ortsteile (FWG)3.3%1--
공화당 (REP)--3.5%1
합계100.0%37100.0%37
투표율41.8%47.6%



가이젠하임 시의회는 37석으로 구성된다.[21] 시정 위원회는 시장과 10명의 명예직 위원으로 구성되며, 시장이 대표한다. 2017년 11월 1일부터 크리스티안 아스만이 시장을 맡고 있다. 전임자인 프랑크 킬리안은 라인가우-타우누스 군의 군수 선거에서 당선되어 2017년 7월 4일부터 군수직을 수행하고 있다.

역대 시장은 다음과 같다.


  • 1980년 - 1992년: 라이너 클라인
  • 1992년 - 2010년: 만프레트 페데렌
  • 2010년 - 2017년: 프랑크 킬리안


가이젠하임시는 1978년 10월 5일 헤센주 내무부 장관으로부터 문장 사용을 인가받았다.[24] 문장은 은색 바탕에 지붕이 있는 다리로 연결된 두 개의 붉은색 2층 탑이 있고, 다리 위에는 6개의 스포크가 있는 붉은색 바퀴, 다리 아래에는 창에 찔려 불을 뿜는 붉은 드래곤이 묘사되어 있다. 1972년 지역 재편 이후 요하니스베르크와 슈테판스하우젠의 문장이 추가되었다.

가이젠하임 시청

4. 1. 자매 도시

가이젠하임은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5]

5. 문화



가이젠하임은 본 시(가이젠하임), 요하니스베르크(그룬트, 베르크, 슐로스하이드), 마리엔탈, 슈테판스하우젠의 4개 지구로 나뉜다.

요하니스베르크는 슈패트레제(늦수확) 와인의 발상지로 원산지 명칭으로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요하니스베르크 성에는 ''슈패트레제라이터''("늦 수확 기사")를 기념하는 조각상이 있으며,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공작은 빈 회의 이후 1816년에 프란츠 1세에게서 선물로 ''성'' 영지를 받았다.

마리엔탈은 인근 마리엔탈 수도원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마리엔발파르트'' (순례)와 세계 최초의 수도원 인쇄소로 잘 알려져 있다.

린덴 광장의 보리수


시청 앞에는 도시의 상징인 수령 700년 된 피나무가 있다. 1970년대에 질병으로 꼭대기가 잘렸으며, 매년 7월 둘째 주에 '린덴페스트(Lindenfest)'가 열린다.

페퍼츠촐(직역: 후추 세관)은 과거 향신료 형태로 통행세를 징수하던 곳으로, 아름다운 출창이 있으며 현재 라인강에서 200m 이상 떨어진 구시가지 남동부에 있다.

라인가우어 성당


정기 행사로는 라인가우 음악 축제[9], 가이젠하임 린덴페스트, 가이젠하임 포도 품종 연구소의 ''Tage der offenen Tür''(열린 문 날), "Besser als nix! Das Festival"(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낫다!), 솜머나흐트페스트(여름밤 축제), 요하니스베르크 성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 축제[32] 등이 있다.

5. 1. 주요 건축물

라인가우 돔


가이젠하임의 쇤보른 백작 와이너리


빌라 몽레포


쇤보른 성

  • 라인가우 돔: 고딕 건축 양식의 교회인 "Heilig Kreuz"(성 십자가)는 19세기에 쌍둥이 탑이 완성되었으며, 쾰른 대성당과 유사하여 라인가우 돔이라고 불린다. 네오 고딕 파사드와 탑의 건축가는 필리프 호프만(건축가)이며, 그는 비스바덴에도 랜드마크를 건설했다. 16세기 초의 본당과 성가대석, 중요한 무덤과 풍부한 내부 장식, 희귀한 슈툼 오르간낭만주의 시대의 것으로 볼거리가 많다.[30]
  • Pfefferzoll (후추 통행세): 한때 도시를 지나는 배에 당시 귀중한 향신료로 관세를 부과했던 곳이다. 아름다운 돌출 창이 있는 작은 집은 오늘날 구시가지 남동쪽에 있는 라인강에서 200m 이상 떨어져 있다.
  • 독일 개신교 교회: 1897년경 로마네스크 리바이벌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 오래된 궁전들: 마을의 동쪽과 서쪽에 위치한다.
  • 쇤보른 성: 1550년에 지어졌으며 기차역 근처 포도원 한가운데에 있어 사진작가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오늘날까지도 쇤보른-비젠하이트 백작 가문의 소유이지만, 궁전 단지의 많은 부분이 좋지 않은 상태이다.
  • 오슈타인 궁전: 18세기 초에 지어진 말굽 모양의 건물로, 1815년경 재산 분할로 인해 중앙 건물이 버려졌다. 현재는 ''성 우르술라 학교'' 소유이다.
  • 빌라 몽레포: 19세기에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폰 라데(가이젠하임 포도 품종 육종 연구소 설립자)가 지은 훌륭한 공원 내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 코자켄베르크 성 (구 잉겔하임): 기차역 위에 있는 건물로, 17세기에 지어졌으며 현재는 와이너리, 레스토랑 및 음악 학교로 사용되고 있다.
  • 츠비어라인 궁전: 코자켄베르크 성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여러 차례 개조를 거쳐 현재는 다세대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바로크 양식의 공원은 주택 단지로 바뀌었다.
  • 기타 건축물:
  • 라인가우어 대성당: 19세기 네오 고딕 양식의 2개의 탑이 있는 파사드. 16세기 초의 본당내진. 귀중한 묘와 풍부한 내부 장식. 19세기의 유명한 슈톰 오르간[30]
  • 복음주의 교회: 네오 로마네스크 양식. 1891년부터 1897년에 루드비히 호프만의 설계에 기초하여 건설되었다.
  • 요하니스베르크-가이젠하임 기계 공장 (MJG)의 알테 베르크스할레: 가이젠하임의 오랜 기계 제조의 전통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산업 문화재이다.
  • 크론베르거 호프: 16세기 후반의 옛 귀족 저택.
  • 에버바허 호프: 에버바흐 수도원의 사무 건물로, 건축가 필리프 호프만의 부모의 집이다.
  • 바헤린-하우스: 1695년경에 지어진 바헤린 가문의 옛 집. 메인 거실의 1822년/1823년 제작의 손으로 그린 벽지. 독일의 민가의 손으로 그린 벽지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31]


가이젠하임의 복음주의 교회

5. 2. 스포츠

가이젠하임 서부, 뤼데스하임과의 시 경계에 있는 라인강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 라인가우슈타디온: 잔디 구장과 합성수지 육상 경기 시설이 있다. FV 08 가이젠하임의 홈 구장이다.
  • 라인가우바트: 라인가우에서 유일한 공공 실내 수영장이다. 뤼데스하임과 공동 운영한다.

5. 3. 정기 행사


  • 라인가우 음악 축제 (요하니스베르크 성, 라인가우 대성당 및 라인가우 전체에서 개최)[9]
  • 7월 두 번째 주말: 가이젠하임 린덴페스트(Geisenheimer Lindenfest)와 ''고향의 시간''(Stunde der Heimat)
  • 9월 첫 번째 주말: 가이젠하임 포도 품종 연구소의 ''Tage der offenen Tür''(열린 문 날)
  • 예수 승천 축일 주말(아버지의 날): "Besser als nix! Das Festival"(직역: 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낫다!)
  • 7월 셋째 주말: 4일간의 가이젠하임 린덴페스트(직역: 보리수 축제)
  • 8월 첫째 주말: 라인안라겐에서의 솜머나흐트페스트(직역: 여름밤 축제)
  • 홀수 해 9월 첫째 주말: 가이젠하임 연구소 오픈 도어 데이
  • 9월 둘째 주말: 요하니스베르크 성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 축제
[32]

6. 경제 및 인프라

가이젠하임은 교육 및 연구 기관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경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러 상업, 서비스업, 수공업체 외에도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기업들이 가이젠하임에 본사를 두고 있어 상업 및 공업 도시로서 중요성이 컸다. MAN 롤랜드 인쇄 기계 AG의 이전은 큰 변화였지만, 도시 경제는 다시 안정되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이젠하임에는 페로스타르 공업 설비 GmbH(구 프리츠 베르너 공작 기계)가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이 회사는 에센의 페로스타르 콘체른의 자회사이다. 바헨도르프 기업 그룹은 자동화 기술 및 제어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약 470명을 고용하고 있다. 가족 기업인 엘프스레이는 음료 제품 제조 및 판매로 발전했다. GAT(Gesellschaft für Antriebstechnik mbH)는 2009년에 가이젠하임에 정착했다. 2012년에는 합성 수지 재활용 전문 회사가 구 MAN 롤랜드 인쇄 기계 AG 본사에 입주했다. 영화관 "린덴=테아터"는 비영리 단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가이젠하임역

6. 1. 교통

비스바덴코블렌츠를 잇는 연방 도로 B42호선이 가이젠하임을 통과한다.[33] 우측 라인 철도를 이용하면 비스바덴까지 30분, 지역 버스를 이용하면 약 1시간이 소요된다.

2007년부터 쾰른-뒤셀도르퍼 라인쉬파르트 여객선이 마리엔탈, 요한니스베르크, 슈테판스하우젠과 가이젠하임을 연결하고 있다. 소형 개인 보트를 위한 선착장도 있다.

가이젠하임역은 2014년 10월 3일 포인트 전환소가 폐쇄된 후 전자 제어 전환소와 연결되었다. 라인가우의 모든 역은 이 전환소에서 원격으로 조작된다.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운영 센터에서 가동되는 운행 서비스 컨트롤러 "라스탄 쥐트"가 가이젠하임역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2005년 11월 10일, 가이젠하임은 ICE 1을 지원하는 150번째 도시가 되었다. 비스바덴 중앙역에서 차량에 "가이젠하임/라인가우"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2007년부터 라인-마인 교통 연맹은 버스로 마리엔탈, 요하니스베르크, 할가르텐, 프레스베르크, 슈테판스하우젠과 가이젠하임을 연결하고 있다.

헤센 광역 자전거 도로 R3호선의 별도 노선인 R3a호선이 시내를 통과한다. R3a호선은 엘트빌레까지 라인가우어 리슬링 루트를 통과한다.[33]

6. 2. 교육

가이젠하임은 학교 도시로서의 명성을 학교 클러스터에 힘입고 있다.

학교 종류학교 이름
초등학교, 하우프트슐레가이젠하임 초등학교 및 하우프트슐레
김나지움 (사립, 로마 가톨릭)성 우르술라-슐레
기숙학교 (우수 학생 대상)인터나트슐레 슐로스 한센베르크
김나지움라인가우슐레
직업학교상업학교, 파호베어슐레, 가이젠하임 라인가우 직업학교
특수학교레오폴트-바우징어-슐레
기타가이젠하임 시립 도서관, 에멜리-자르치히-슐레(기초 과정 학교), 요하네스-데-라스페-슐레(기초 과정 학교), 슐로스 한젠베르크 기숙 학교(헤센 주의 기숙사가 있는 김나지움 상급 학교), 가이젠하임 단과 대학(2013년 1월 1일부터)



1872년부터 가이젠하임은 포도 재배원예를 위한 가이젠하임 포도 품종 개량 연구소의 본거지였다. 1894년에는 가이젠하임 효모 육종 센터가 설립되었다.

요하니스베르크에는 슐로스 한센베르크가 있다. 2003년부터는 특히 우수한 학생들을 위한 ''오버슈투펜김나지움''이 되었다.

가이젠하임에는 1872년부터 와인 제조와 조경을 위한 가이젠하임 연구소가 있다. 이 연구소는 1970년대 초부터 가이젠하임에 학과를 가지고 있던 비스바덴 전문 단과 대학(후에 라인마인 단과 대학으로 개명)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소의 중점 분야는 조경과 와인 제조 및 음료 공학이었다. 가이젠하임의 학과는 2013년 1월 1일에 가이젠하임 연구소와 통합되어 가이젠하임 단과 대학이 되었다. 이 헤센 주에서 13번째 단과 대학은 소위 "신타입 단과 대학"으로, 응용 연구 및 기초 연구의 학사 과정, 석사 과정을 포함하는 실천적인 학교 교육을 실시하는 동시에 박사 과정도 갖추고 있다. 이 단과 대학을 가지고 있다는 점으로 인해 이 도시는 헤센 자치체법 제13조 제2항에 의거하여 "호흐슐레슈타트"(직역: 대학 도시)의 칭호를 받았다[11]

요하니스베르크의 주 소유인 한젠베르크성은 2003년에 헤센 주에서 특별한 실적과 사회 활동의 김나지움 상급 학년 학교로서 기숙 학교로 개축되었다.

7. 인물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폰 라데

  • 야콥 크리스트만(1554-1613): 동양학자, 천문학자. 요하니스베르크 출생.
  • 필리프 호프만(1806-1889): 건축가, 건물 건설 기술자.
  • 페터 요제프 블룸(1808-1884): 림부르크 주교.
  •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폰 라데(1817-1904): 은행가, 외교관, 원예가, 식물 재배자이자 아마추어 천문학자. 가이젠하임 포도 재배 연구소 설립자이자 가이젠하임 최초의 명예 시민.
  • 구스타프 드레젤(1818-1848): 작가.
  • 오토 드레젤(1826-1890): 작곡가, 피아니스트.
  • 로렌츠 베르트만(1858-1921): 카리타스 설립자.
  • Hermann Müller (Thurgau)|헤르만 뮐러-투르가우|en|Hermann Müller (Thurgau)de(1850-1927): 식물생리학자, 식물학자, 와인학자, 포도 육종가. 1876년부터 1890년까지 가이젠하임 연구소의 식물생리학 연구소에 소속.
  • 페터 스프링(1882-1945): 정원사, 과수 재배 기술자, 사회 민주주의자, 평화주의자. 다하우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
  • 한스 부르게프(1883-1976): 식물학자, 생약학자.
  • 프란츠 슈람(1887–1966): 1946-1947년 헤센 문화부 장관.
  • 구스타프 군들라흐(1892-1963): 가톨릭 사회 윤리학자, 사회 철학자, 사회 과학자.
  • 하인리히 비르크(1898–1973): 포도 재배 전문가. 가이젠하임에서 사망.
  • 헬무트 베커(1927-1990): 포도 재배자, 강사.
  • 프란츠 요제프 융(1949년 출생): 기독교민주연합 소속 정치인, 법학자. 2005-2009년 국방부 장관 역임. 라인가우슐레 졸업.

참조

[1] 웹사이트 Ergebnisse der jeweils letzten Direktwahl von Landrätinnen und Landräte sowie (Ober-)Bürgermeisterinnen und (Ober-)Bürgermeister in Hessen, Stand 13.04.2023 https://statistik.he[...] Hessisches Statistisches Landesamt 2023-07-06
[2] 웹사이트 Geisenheim, Germany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2019-02-03
[3] 웹사이트 Geisenheim, Germany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019-02-03
[4] 웹사이트 Rheingau https://www.germanwi[...] 2019-02-03
[5] 웹사이트 Geisenheim Wine Region http://www.wine-sear[...] 2019-02-03
[6]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 Deutscher Wetterdienst -- Suchergebnis http://www.dwd.de/si[...] 2019-02-03
[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8] 웹사이트 Geisenheim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3-21
[9] 문서 Rheingauer Dom https://archive.toda[...]
[10]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1] 웹사이트 Geisenheim erhält den Titel „Hochschulstadt“ https://www.hessen.d[...] 2021-07-22
[12] 웹사이트 Franziskanerkloster Marienthal http://franziskaner-[...] 2021-07-22
[13] 간행물 125 Jahre Wetterstation Geisenheim 1884-2009 https://www.dwd.de/E[...] Deutscher Wetterdienst 2021-07-22
[14] 간행물 Mittelwerte und Extreme in Geisenheim aus dem Zeitraum 1884 – 2008 https://www.dwd.de/E[...] Deutscher Wetterdienst 2021-07-22
[15] 웹사이트 Ausgrabung im merowingerzeitlichen Gräberfeld in Geisenheim https://lfd.hessen.d[...] Landesamt für Denkmalpflege Hessen 2021-07-23
[16] 웹사이트 Topografie des Nationalsozialismus in Hessen - Geisenheim, KZ-Außenkommando Geisenheim, Maschinenfabrik Johannisberg GmbH https://www.lagis-he[...] 2021-07-23
[17] 웹사이트 Topografie des Nationalsozialismus in Hessen - Geisenheim, Lager für sowjetische Kriegsgefangene https://www.lagis-he[...] 2021-07-23
[18] 웹사이트 Historisches Ortslexikon - Geisenheim https://www.lagis-he[...] 2021-07-23
[19] 서적 Historisches Gemeindeverzeichnis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Namens-, Grenz- und Schlüsselnummernänderungen bei Gemeinden, Kreisen und Regierungsbezirken vom 27.5.1970 bis 31.12.1982 W. Kohlhammer
[20] 간행물 Gesetz zur Neugliederung des Rheingaukreises und des Untertaunuskreises (GVBl. II 330-30) vom 26. Juni 1974 http://starweb.hesse[...] 2021-07-23
[21] 웹사이트 Endgültiges Ergebnis Der Gemeindewahl am 14. März 2021 - Geisenheim, Hochschulstadt https://wahlen.stati[...] 2021-07-24
[22] 웹사이트 Bürgermeisterwahl in Geisenheim, Hochschulstadt (Stichwahl) am 2017-10-08 https://www.statisti[...] Hessisches Statistisches Landesamt 2021-07-24
[23] 웹사이트 Geisenheim - Bürgermeister Frank Kilian strebt eine zweite Amtszeit in Geisenheim an http://www.wiesbaden[...] 2021-07-24
[24] 간행물 Genehmigung eines Wappens der Gemeinde Geisenheim, Rheingau-Taunus-Kreis vom 5. Oktober 1978 http://starweb.hesse[...] Der Hessische Minister des Inneren
[25]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geisenhe[...] Stadt Geisenheim 2021-07-24
[26] 문서 Die Linde in Geisenheim
[27] 문서 Gerichstlinde
[28] 웹사이트 Gerichtsstätten in Hessen - Geisenheim, Linde https://www.lagis-he[...] 2021-07-24
[29] 웹사이트 Tanzlinde in Geisenheim https://www.baumkund[...] 2021-07-24
[30] 문서 Stumm
[31] 간행물 Geisenheim. Bachelin-Haus und Altstadtsanierung
[32] 웹사이트 Rheingau Musik Festival https://www.rheingau[...] 2021-07-25
[33] 웹사이트 Radweg Hessischer Radfernweg R3: Rhein - Main - Kinzig https://www.biroto.e[...] 2021-07-25
[34] 웹인용 Geisenheim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