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단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間)은 일본 제국 및 대한제국에서 사용되던 길이 및 넓이 단위이다. 길이 단위로서 1간은 6자이며,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1.82미터에 해당한다. 넓이 단위로서는 1간은 1평과 같다. 한국 전통 사회에서 보(步)와 간(間)은 같은 경우도 있었고, 다른 경우도 있었는데, 대한제국 도량형법과 일본식 도량형법을 거치며 같은 단위로 바뀌었다. 오늘날 국궁 과녁 거리 등에서는 보와 간을 다르게 사용하기도 하며, 《속대전》과 김정호의 《대동지지》에서는 1보를 1간처럼 6척으로 셈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관법 - 자 (단위)
척(尺)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길이 단위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길이가 다양하게 변화했으며, 현재는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 척관법 - 되
되는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부피 단위로, 일본에서 다이호 율령 시기부터 사용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크기로 존재했으며, 에도 시대 신쿄 되가 표준으로 사용되다 메이지 시대 미터법에 따라 크기가 정의되었으나 현대에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일본 문화에서 번성을 기원하는 상징으로도 활용되었다. - 넓이의 단위 - 제곱마일
제곱마일은 야드파운드법과 미국 단위계에서 사용되는 면적 단위로, 한 변이 1마일인 정사각형의 넓이이며, 2.589988110336 제곱킬로미터 또는 640 에이커에 해당한다. - 넓이의 단위 - 제곱킬로미터
제곱킬로미터는 한 변의 길이가 1킬로미터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0,000 m², 100 헥타르, 247.105381 에이커와 같으며, 지도에서 축척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고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면적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활용된다. - 길이의 단위 - 보어 반지름
보어 반지름()은 물리 상수들로 정의되며, 약 5.292 × 10-11 m의 값을 가지고, 보어 모형에서 가장 안쪽 전자 궤도의 반지름으로 제시되어 원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 길이의 단위 - 피트
피트는 다양한 정의와 기원을 가진 길이 단위로, 국제적으로는 0.3048 미터로 정의된 국제 피트가 표준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종류가 사용되었고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 간 (단위) | |
|---|---|
| 개요 | |
| 종류 | 길이의 단위 | 
| SI 단위 | 정의되지 않음 | 
| 사용 국가 | 한국 | 
| 값 | 약 1.8 ~ 2.1 m | 
| 관련 단위 | 자 보  | 
| 역사 및 용도 | |
| 어원 | '사이'를 뜻하는 사이에서 유래 | 
| 정의 |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 집의 칸을 세는 단위 | 
| 길이 | 사람 키의 약 1.5배 ~ 2배 일반적으로 약 6 자 미터법 환산 시 약 1.8 ~ 2.1 m  | 
| 용도 | 건축물의 크기, 길이, 높이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 토지의 넓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 거리나 공간의 크기를 어림잡아 표현하는 데 사용  | 
| 기타 | |
| 참고 | '간'은 단순한 길이 단위가 아닌, 공간의 크기, 비례, 관계 등을 나타내는 개념 한국 전통 건축에서 중요한 기준 척도  | 
| 관련 속담 | '간에 가 붙었다 쓸개에 가 붙었다 한다' : 이익을 좇아 쉽게 변절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간이 콩알만 하다' : 겁이 많고 소심한 사람을 놀리는 말  | 
2. 미터법 환산
대한제국 시기 제정된 도량형에 따라, 간은 미터법으로 환산될 수 있다.[1]
2. 1. 길이 단위
1간은 여섯 자이며,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60/33 미터로 약 1.82m 또는 약 181.82cm이다. 또한 360보(步)는 1리(里)인데, 이때 1보가 1간이다.[1]2. 2. 넓이 단위
넓이 1간은 길이 1간의 제곱, 곧 6자 평방이며, 이는 1평과 같다.3. 보(步)와 간(間)의 관계
한국 전통 사회에서 보(步)와 간(間)은 서로 같은 경우도 있고, 다른 경우도 있었다. 서로 같은 경우는 두 단위가 모두 6자였으며, 서로 다른 경우에는 보(步)는 약 4자, 간(間)은 6자였다. 이것은 대한제국 도량형법(1905년 3월 21일)과 일본식 도량형법(1909년 9월 20일)을 거치며 같은 단위로 바뀌었다.[3]
《속대전》과 김정호의 《대동지지》에서는 “주척(周尺)을 쓰되 6척은 1보이고 360보는 1리이며 3600보는 10리로 된다.”라고 밝혀, 1보를 1간처럼 6척으로 셈하기도 했다.[4]
3. 1. 역사적 변천
한국 전통 사회에서 보(步)와 간(間)은 경우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다. 두 단위가 모두 6자(尺)로 같을 때도 있었지만, 보(步)는 약 4자, 간(間)은 6자인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대한제국 도량형법(1905년 3월 21일)과 일본식 도량형법(1909년 9월 20일)을 거치며 두 단위가 같아지도록 변화하였다.[3]그러나 오늘날에도 국궁 과녁 거리 등에서는 보와 간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국궁에서 과녁까지의 거리는 120보(步)이며, 이는 79간(間) 2분(分)으로,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144m이다.[3] 이에 따르면 1보는 1.2m이며, 1간은 약 181.82cm(약 1.82m, 6자)이다. 다만 이때의 1분은 단위가 아니라, 앞 단위의 1/10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79간 2분은 79.2간을 한국 전통 표현법으로 이른 치수이다. 여기에서 2분은 소수 0.2 또는 0.2배를 나타내며, 길이 1분은 1치의 1/10을 나타낸다.
한편, 《속대전》과 김정호의 《대동지지》에서는 1보를 1간처럼 6척으로 셈하는 기록도 나타난다.[4] 이 기록에서는 "주척(周尺)을 쓰되 6척은 1보이고 360보는 1리이며 3600보는 10리로 된다"고 밝히고 있다.
3. 2. 현대적 사용
오늘날 국궁 과녁 거리 등에서는 보와 간을 서로 다르게 쓰고 있다. 국궁에서 과녁까지의 거리는 120보이며, 이는 79.2간으로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144미터이다.[3] 이에 따르면 1보는 1.2미터이며, 1간은 약 1.82미터(6자)이다.참조
[1] 
웹사이트
 
koreanarchitecture.org - kan
 
http://www.koreanarc[...] 
2015-10-25
 
[2] 
웹사이트
 
koreatimes.co.kr - kan
 
https://www.koreatim[...] 
2015-05-08
 
[3] 
뉴스
 
세계민족궁대축전
 
http://www.archeryne[...] 
국궁신문
 
2010-06-20
 
[4] 
서적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