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비사이신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비사이신경은 가슴신경의 앞가지로, 12개의 흉추 신경에서 기원하며 가슴과 복부의 피부와 근육에 분포한다. 첫째 갈비사이신경은 팔신경얼기와 연결되거나 갈비사이공간을 따라 주행하며 가슴 앞쪽 피부에 분포한다. 둘째부터 여섯째 갈비사이신경은 늑간신경으로 불리며, 갈비사이동맥과 정맥 아래로 주행하며 가슴벽에 분포한다. 일곱째부터 열한째 갈비사이신경은 가슴배신경으로 불리며 가슴과 복부에 분포하고, 열두째 갈비사이신경은 갈비아래신경이라고 불리며 배벽의 근육과 피부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수신경 - 음부신경얼기
- 척수신경 - 엉치신경얼기
엉치신경얼기는 허리엉치신경얼기의 일부로, 엉치신경의 앞갈래에 의해 형성되며, 궁둥구멍근과 골반 근막 뒤에 위치하여 궁둥신경, 위볼기신경, 아래볼기신경 등을 형성하고 둔부, 다리, 발, 골반 부위의 근육과 피부 감각을 지배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갈비사이신경 | |
---|---|
해부학 정보 | |
이름 | 갈비사이신경 |
영어 | intercostal nerves |
라틴어 | nervi intercostales |
![]() | |
![]() | |
분포 구조 | 갈비사이근 |
기원 | 가슴신경 (T1-T11) |
2. 첫째 가슴신경
첫째 가슴신경(T1)은 척수에서 나와 두 갈래로 나뉜다. 큰 가지는 팔신경얼기로 합류하고, 작은 가지는 첫째 갈비사이공간을 따라 주행하는 첫째 늑간신경이 된다.
2. 1. 팔신경얼기와의 연결
첫 번째 가슴신경의 앞갈래는 두 개의 가지로 나누어진다. 더 큰 가지는 첫째 갈비뼈의 목 앞에서 가슴을 떠나 팔신경얼기로 들어간다.[9][10] 더 작은 가지인 첫째 갈비사이신경은 첫째 갈비사이공간을 주행하여 가슴의 앞쪽에서 가슴의 첫째 앞피부가지로 끝난다. 가끔 앞피부가지는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첫째 갈비사이신경은 드물게 가쪽피부가지를 내기도 하지만 가끔 갈비사이위팔신경과 교통하는 작은 가지를 내기도 한다.
둘째 가슴신경에서 가끔 연결되는 가지가 둘째 갈비뼈의 목을 넘어 첫째 갈비사이신경으로 연결된다. 이 신경은 쿤츠(Kuntz)에 의해 1927년 처음 묘사되었으며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가 존재하지만 대략 40~80% 정도의 사람들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9][10]
2. 2. 첫째 늑간신경
첫째 가슴신경의 앞갈래는 두 개의 가지로 나누어진다. 더 큰 가지는 첫째 갈비뼈의 목 앞에서 가슴을 떠나 팔신경얼기로 들어간다. 더 작은 가지인 첫째 갈비사이신경은 첫째 갈비사이공간을 주행하여 가슴의 앞쪽에서 가슴의 첫째 앞피부가지로 끝난다. 가끔 앞피부가지는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9][10]첫째 갈비사이신경은 드물게 가쪽피부가지를 내기도 하지만 가끔 갈비사이위팔신경과 교통하는 작은 가지를 내기도 한다.[9][10]
둘째 가슴신경에서 가끔 연결되는 가지가 둘째 갈비뼈의 목을 넘어 첫째 갈비사이신경으로 연결된다. 이 신경은 쿤츠(Kuntz)에 의해 1927년 처음 묘사되었으며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가 존재하지만 대략 40~80% 정도의 사람들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9][10]
3. 위쪽 가슴신경 (둘째~여섯째)
둘째에서 여섯째 가슴신경(T2-T6)의 앞갈래와 첫째 가슴신경에서 온 작은 가지는 가슴벽에만 분포하여 가슴갈비사이신경(thoracic intercostal nerves)이라고 하며, 늑간신경이라고도 불린다.
네 번째 늑간 신경은 특히 젖꽃판 아래에 밀집된, 천천히 적응하거나 빠르게 적응하는 기계수용체에 의해 지배된다. 그 후 지배는 옥시토신 방출을 유발하고, 이는 말초 혈류 내에서 근상피 세포 수축과 젖 분비를 일으킨다. 이는 신경이 아닌 지배에 의한 근육 반사의 예시이다.
3. 1. 늑간신경의 주행 경로
갈비사이동맥, 갈비사이정맥 아래쪽에서 갈비사이공간을 따라 주행한다. 가슴 뒤쪽에서는 가슴막과 뒤갈비사이막 사이에 놓여 있지만, 곧 속갈비사이근과 맨속갈비사이근 사이에서 주행하며 앞쪽에서는 가슴막과 속갈비사이근 사이에 위치한다.복장뼈 가까이에서는 속가슴동맥과 가로가슴근 앞쪽을 가로지르며 속갈비사이근, 앞갈비사이막, 큰가슴근을 관통한다. 이때 가슴의 앞피부가지를 형성하며 가슴 앞쪽의 외피와 유방에 분포한다. 둘째 갈비사이신경의 가지는 목신경얼기의 안쪽빗장위신경과 합쳐진다.
3. 2. 늑간신경의 가지
여러 얇은 미세섬유가 근육가지로서 갈비사이근, 갈비아래근, 갈비올림근, 위뒤톱니근, 가로가슴근에 분포한다. 가슴의 앞쪽에서 몇몇 가지들이 갈비사이공간에서 다른 갈비사이공간으로 갈비연골을 가로지르기도 한다.- 가쪽피부가지(lateral cutaneous branches)는 척추와 복장뼈의 중간 지점에서 갈비사이신경으로부터 갈라져 나온다. 이들은 바깥갈비사이근과 앞톱니근을 뚫고 나와 앞가지와 뒤가지로 나뉜다.
- 앞가지(anterior branches)는 가슴과 피부의 측면과 앞쪽을 주행하며, 넷째 갈비사이신경의 앞가지는 젖꽃판과 유방에 분포하며 다섯째와 여섯째 갈비사이신경의 앞가지는 배바깥빗근의 앞쪽 근육가지에 분포한다.
- 뒤가지(posterior branches)는 뒤쪽으로 주행하여 어깨뼈와 넓은등근을 덮는 피부에 분포한다.
둘째 갈비사이신경의 가쪽피부가지는 다른 신경들과 다르게 앞가지와 뒤가지로 나누어지지 않으며, 따로 갈비사이위팔신경이라고 한다.
네 번째 늑간 신경은 특히 유륜 아래에 밀집된 천천히 적응하는 및 빠르게 적응하는 기계수용체에 의해 지배된다. 그 후 지배는 옥시토신 방출을 유발하고, 이는 말초 혈류 내에서 근상피 세포 수축과 젖 분비를 일으킨다.
4. 아래쪽 가슴신경 (일곱째~열한째)
일곱째에서 열한째 가슴신경(T7-T11)의 앞갈래는 가슴뿐만 아니라 배 부위에도 분포하며, 가슴배신경(흉복 신경)이라고 불린다.
5. 가장 아래쪽 (열두째)
열두째 가슴신경(T12)의 앞갈래는 갈비아래신경이라고 불린다. 갈비아래신경은 열두째 갈비 아래를 따라 주행하며, 배벽의 근육과 피부에 분포한다. 늑간사이신경 참고.
마지막 가슴신경의 가쪽피부가지[1]는 크기가 크며 나누어지지 않는다. 이 가지는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을 뚫고 나와 엉덩아랫배신경의 가쪽피부가지 앞쪽에서 엉덩뼈능선을 따라 내려간다. 그 후 볼기근의 앞쪽 부분에 분포하며 일부 섬유는 넙다리뼈의 큰돌기까지 내려간다.[1]
5. 1. 갈비아래신경
갈비아래신경은 열두째 갈비 아래를 따라 주행하며, 배벽의 근육과 피부에 분포한다. 늑간사이신경 참고.5. 2. 가쪽피부가지
마지막 가슴신경의 가쪽피부가지[1]는 크기가 크며 더 이상 나누어지지 않는다. 이 가지는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을 뚫고 나와 엉덩아랫배신경의 가쪽피부가지 앞쪽에서 엉덩뼈능선을 따라 내려간다. 그 후 볼기근의 앞쪽 부분에 분포하며 일부 섬유는 넙다리뼈의 큰돌기까지 내려간다.[1]참조
[1]
간행물
Chapter 34 - Injuries of the Nerves of the Thorax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1-17
[2]
간행물
CHAPTER 19 - Reconstructive procedures for the upper extremity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1-17
[3]
간행물
55 - Truncal Blocks
http://www.sciencedi[...]
Mosby
2020-11-17
[4]
논문
Thoracic origin of a sympathetic supply to the upper limb: the 'nerve of Kuntz' revisited
2001
[5]
논문
Thoracoscopic and anatomic landmarks of Kuntz's nerve: implications for sympathetic surgery
2008
[6]
간행물
Chapter 34 - Injuries of the Nerves of the Thorax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1-17
[7]
간행물
CHAPTER 19 - Reconstructive procedures for the upper extremity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1-17
[8]
간행물
55 - Truncal Blocks
http://www.sciencedi[...]
Mosby
2020-11-17
[9]
논문
Thoracic origin of a sympathetic supply to the upper limb: the 'nerve of Kuntz' revisited
2001
[10]
논문
Thoracoscopic and anatomic landmarks of Kuntz's nerve: implications for sympathetic surgery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