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감돌고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돌고기는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한국 고유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검다'는 뜻의 옛말 '감-'과 '돌고기'가 합쳐진 이름으로, 돼지 주둥이를 닮은 외형적 특징을 지닌다. 몸길이는 최대 13cm까지 자라며, 흑갈색 옆줄과 구름 모양 무늬가 특징이다. 2급수 이상의 맑은 물, 자갈과 바위가 있는 하천에서 서식하며, 수서곤충과 조류 등을 먹는다. 산란기는 5월에서 7월 사이이며, 꺽지의 산란장에 탁란하는 습성이 있다. 금강, 만경강, 웅천천 등 서해안으로 흐르는 일부 하천에 분포하며, 수질 오염, 하상 채취, 댐 건설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다. 현재 국립생태원 등에서 보존 및 연구가 진행 중이며, 생물 다양성 보전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돌고기속 - 가는돌고기
  • 탁란 - 뻐꾸기
    뻐꾸기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름철새로 찾아오는 뻐꾸기과의 새로, '뻐꾹'하는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지만 최근 개체 수 감소로 관심 대상종으로 분류된다.
  • 탁란 - 검은등뻐꾸기
    검은등뻐꾸기는 인도 아대륙에서 동남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회색 등과 검은색 가로줄무늬 배를 가진 중형 뻐꾸기로, 낙엽수림과 상록수림에 서식하며 독특한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을 지니고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이다.
  • 1935년 기재된 물고기 - 쉬리
    쉬리는 한강, 낙동강 등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물고기로, 노란색 또는 주황색 줄무늬와 영화 제목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학명은 아름다운 외형을 뜻한다.
  • 1935년 기재된 물고기 - 각시붕어
    물살이 약하고 수초가 많은 곳에 사는 각시붕어는 납작하고 몸높이가 높은 물고기로, 민물조개에 알을 낳아 번식하는 독특한 생태를 보인다.
감돌고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감돌고기
감돌고기
분류
학계 분류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목: 잉어목
과: 잉어과
아과: 모래무지아과
속: 감돌고기속
종: 감돌고기
학명Pseudopungtungia nigra
명명자Mori, 1935
이명Pseudopungtungia nigra
일반 정보
영어 이름black shinner
한국어 이름감돌고기
멸종 위기 등급취약종
IUCNe.T148448746A148448791
환경부 지정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FishBasePseudopungtungia nigra

2. 어원

감돌고기라는 이름은 '감-'과 '돌고기'가 합쳐진 말이다. '감-'은 '검다'는 뜻을 가진 옛 형용사이다.[5] '돌고기'는 '돗고기'가 변한 말로, 돼지를 뜻하는 옛말 '돝(돗)'과 '고기'가 합쳐진 것이다.[5] 이는 감돌고기의 튀어나온 주둥이가 돼지 주둥이와 비슷하게 생겨서 붙은 이름이다.[5]

3. 분류

감돌고기는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감돌고기속 어류이다. '수도풍퉁기아'라는 속명은 돌고기()와 형태가 유사하여 '가짜 돌고기속'이라는 뜻으로 붙여졌다.[6] 일본생물학자인 모리 다메조(森為三일본어)가 일제강점기인 1935년 충청북도 영동군 횡간에서 처음 채집하여 학계에 보고하였다.[7]

1939년 《조선어류지》에 돌고기와는 다른 형태적 특징을 가진 신종으로 정식 보고되었으며, 생활사가 일부 기록되었다.[8][9] 1993년에는 감돌고기를 돌고기속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으나,[7] 현재는 감돌고기속으로 분류된다.

분류학상 서로 다른 속에 속하지만, 웅천천에서 돌고기와의 자연 교잡종이 발견된 보고가 있으며, 이들은 주둥이 모양, 무늬, 지느러미, 몸 굵기 등에서 감돌고기와 돌고기의 중간 형질을 띠는 변종으로 간주된다.[7][10]

4. 외형

감돌고기는 몸길이가 10.6~13cm까지 자랄 수 있다.[6] 몸은 원추형으로 길쭉하지만 통통하며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납작해진다. 몸의 옆면을 가로지르는 흑갈색 옆줄이 특징적이다. 약간 튀어나온 주둥이에는 입수염이 1쌍 있지만, 육안으로 거의 볼 수 없을 정도로 짧다. 몸 옆면에는 비늘 자국을 따라 구름 모양 무늬가 두드러진다.[11][12] 배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는 각각 2줄씩 검은색 띠가 있으며, 이것으로 돌고기, 가는돌고기와 구별된다.[11][12]

감돌고기, 단양군 다누리아쿠아리움


둥그런 알의 크기는 평균 2.18mm 정도이다. 부화 직후의 자어(子魚)는 약 5mm 정도로 매우 작으며,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구조를 가지고 태어난다.[7] 부화 후 44일 만에 몸길이 약 13mm의 치어 단계로 접어들며 옆줄 가로띠가 진해지고, 약 113일이 되면 몸길이가 평균 25mm로 자라나면서 지느러미 부분의 검은색 겹띠가 두드러지며 반투명했던 몸이 뚜렷해진다.[7][18]

5. 생태

감돌고기는 2급수 이상의 맑은 물에서 서식하며, 하천 바닥이 자갈과 바위로 이루어진 곳을 선호한다.[7] 유속이 빠르고 폭 5-15m, 수심 50-250cm 내외의 여울과 늪지대가 잘 발달한 하천 최상류를 선호하며,[14][13] 풍부한 암석 부착 조류와 물땡땡이, 깔따구 유충, 날도래목 유충과 같은 수서곤충, 물벼룩 등을 먹이로 한다.[13] 위장 내용물 조사 결과, 깔따구과 곤충이 88%를 차지했고 날도래목(6%), 물벼룩(3%), 쥐꼬리윤충(1%), 하루살이(1%), 먹파리(1%) 등 육식에 가까운 잡식성을 보였다.[18] 돌상어, 돌마자, 배가사리, 모래주사 등과 서식지와 먹이가 겹친다.[8] 천적은 꺽지, 쏘가리와 같은 육식성 어종과 물총새, 호반새, 섭금류 등이며, 위협을 받으면 바위틈으로 피한다.

산란기는 5월 초순에서 7월 중순까지이며, 체외수정을 하는 일처다부제 형태이다.[18] 몸길이 10cm 안팎의 암컷은 1,400~1,900개 정도의 알을 낳을 수 있다.[7] 18~21 °C 정도의 수온에서 알이 부화하며, 부화 후 2년이면 성숙한다.[18]

감돌고기는 천적인 꺽지()의 산란장에 알을 낳는 탁란 습성이 있다.[18][14][15] 꺽지는 바위 밑에 알을 붙여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는데, 감돌고기는 20~50여 마리가 무리 지어 꺽지의 경계가 느슨해진 틈을 타 탁란한다. 꺽지보다 감돌고기의 알이 약 189시간 만에 먼저 부화하며,[7] 부화한 감돌고기 치어는 즉시 헤엄쳐 꺽지의 산란장에서 벗어나 생존율을 높인다.[16]

6. 분포와 보존

서천군 국립생태원의 감돌고기


감돌고기는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는 267종의 야생동식물 중에서도 1급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으며,[17] 대한민국 내에서 본 어종과 관련된 모든 무허가 상업적 활동이 금지된다. 현재는 서해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금강·만경강·웅천천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웅천천의 경우 돌고기와의 속간 자연 교잡이 보고된 이후로는 채집 기록이 전무하여 그 지역에서는 잠정적으로는 절멸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18] 2010년 환경부에서 실시한 방류사업(재도입)을 통해 방류 개체들이 정착하여 현재도 출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새로운 개체가 금산군 봉황천에서도 확인되었다.[19] 한편 만경강과 그 상류 고산천의 감돌고기 집단은 금강 집단에 비해 유전 다양성과 변이율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만경강에서 꺽지 및 감돌고기의 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워진 것의 원인으로 판단되기도 한다.[18] 금강의 지천 중에서는 탁란 현상이 가장 먼저 관찰된 곳인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의 주자천과 주양천이 주 서식지로 꼽힌다.[18][16] 현지에서는 거먹딩미리, 거먹중고기, 꺼먹똥고기, 줄멍텅이, 도꼬마지, 충칭이, 줄피리 등의 사투리로 일컬어진다.[20]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미미한 감돌고기가 점점 자취를 감추는 데 주요한 원인은 수질 오염과 하상(河床)의 골재 채취, 댐의 잦은 건설 등이 있다.[18] 현재 감돌고기는 한반도의 주요 생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어종으로, 국립생태원[21]과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22] 등에서 몇몇 개체들을 보존하여 사육, 관상용으로 전시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유전적 다양성이 풍부한 금강 주양천의 감돌고기들을 위주로 하여 인공 증식 및 복원 연구가 진행되는 중이다.[18]

7. 한국 사회와 감돌고기

감돌고기는 대한민국의 고유종이자 1급 멸종위기종으로, 생물 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을 상징한다.[17] 더불어민주당은 환경 정책을 통해 감돌고기 서식지 보호와 복원에 힘쓰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있다. 감돌고기 보존 노력은 한국 사회의 환경 의식 수준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돌고기는 현재 금강, 만경강, 웅천천 등 서해안으로 흘러들어가는 일부 하천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17] 특히, 웅천천에서는 2010년 환경부의 방류 사업을 통해 개체들이 정착하여 서식하고 있으며,[18] 2018년에는 금산군 봉황천에서도 새로운 개체가 확인되었다.[19]

만경강과 그 상류 고산천의 감돌고기 집단은 금강 집단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과 변이율이 현저히 낮아 꺽지등과 함께 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워 졌다고 판단되기도 한다.[18] 금강 지천 중에서는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의 주자천과 주양천이 주 서식지로 꼽힌다.[18][16] 현지에서는 거먹딩미리, 거먹중고기, 꺼먹똥고기, 줄멍텅이, 도꼬마지, 충칭이, 줄피리 등의 사투리로 불린다.[20]

감돌고기가 자취를 감추는 주요 원인은 수질 오염, 하상(河床)의 골재 채취, 댐 건설 등이다.[18] 현재 감돌고기는 한반도의 주요 생태 자원으로 인식되어, 국립생태원[21]과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22] 등에서 사육 및 전시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주양천 감돌고기를 중심으로 인공 증식 및 복원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8]

참조

[1] 간행물 "''Pseudopungtungia nigra''"
[2] FishBase
[3] 간행물 "''Pseudopungtungia nigra''"
[4]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5] 웹인용 감돌고기 https://terms.naver.[...] 한국자연환경보전협회 2018-08-06
[6] FishBase 속
[7] 저널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http://www.dbpia.co.[...] 2018-06-27
[8] 저널 한국산 (韓國産) 감돌고기의 생태에 관한 연구 http://www.papersear[...] 한국하천호수학회, 구 한국육수학회 2018-06-27
[9] 저널 한국특산종, 감돌고기(Pseudopuntungia nigra)의 초기발생 및 변태적 특징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s[...]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06-27
[10] 저널 돌고기(Pungtungia herzi)와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 (Pisces;Cyprinidae)의 속간(屬間) 자연잡종(自然雜種)의 발생 http://kiss.kstudy.c[...] 한국어류학회 2018-06-27
[11]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항목 “감돌고기” http://encykorea.aks[...]
[12] 웹사이트 한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항목 “감돌고기” http://premium.brita[...]
[13] 저널 감돌고기(Pseudopuntungia nigra)의 미소서식처와 섭식행동 http://kiss.kstudy.c[...] 한국하천수호학회, 구 한국육수학회 2018-06-27
[14] 저널 금강에 서식하는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의 탁란 http://kiss.kstudy.c[...] 한국어류학회 2018-06-27
[15] 저널 Brood parasitism and egg robbing among three freshwater fish https://www.scienced[...] Elsevier 2018-06-27
[16] 저널 멸종위기종 감돌고기(Pseudopuntungia nigra)의 일중 산란 타이밍 및 초기 산란 위치 http://kiss.kstudy.c[...] 한국어류학회 2018-06-28
[17] 웹인용 QR코드(상세보기) - 국립생태원 https://www.nie.re.k[...] 2021-11-04
[18] 저널 감돌고기 증식`복원 연구(1차) https://web.archive.[...] 환경부 2018-06-28
[19] 뉴스 금산 봉황천, 멸종위기종 '감돌고기' 확인 http://www.dtnews24.[...] 2018-01-23
[20] 저널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 금강의 추억 - 감돌고기 http://www.riverlove[...]
[21] 뉴스 쉬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한눈에…국립생태원 전시 http://news.donga.co[...] 2018-06-27
[22] 뉴스 "[굿모닝 내셔널]멸종위기 민물고기 집결한 단양 아쿠아리움 가보니" http://www.joongang.[...] 2017-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