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757년 신라 경덕왕 때 영동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1896년 충청북도 영동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14년 황간군과 통합되었다. 현재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지나 대전,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로의 접근성이 높다.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교차하는 지역으로 산지가 많고, 포도와 감 등의 특산물로 유명하다. 주요 기관으로는 영동경찰서, 영동소방서 등이 있으며, 유원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또한 민주지산, 영국사, 옥계폭포, 월류봉 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포도 축제, 국악 축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동군 - 난계국악박물관
- 충청북도의 군 - 괴산군
괴산군은 충청북도 중앙 만곡부에 위치한 산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현재의 모습이 갖춰졌으며,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의 산업과 유기농 농업이 발달했고, 괴산 올갱이 축제와 산막이옛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충청북도의 군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 충청북도의 지리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 충청북도의 지리 - 우라늄
우라늄은 은백색 금속 원소로, 핵분열을 일으키는 우라늄-235를 포함하며 핵무기 및 원자력 발전소 연료로 사용되고, 다양한 채굴 방법으로 채취되며 인간과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영동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영동군 |
한자 표기 | 永同郡 |
로마자 표기 | Yeongdong-gun |
한글 표기 | 영동군 |
맥쿤-라이샤워 표기법 | Yŏngdong-gun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호서 |
방언 | 충청 방언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하위 행정 구역 | 1읍 10면 |
정치 | |
군수 | 정영철 |
군수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인구 | |
총인구 (2024년) | 43,680명 |
인구 밀도 | 68명/km² |
총인구 (2023년) | 44,195명 |
남자 인구 (2023년) | 22,146명 |
여자 인구 (2023년) | 22,049명 |
세대 (2021년) | 23,813 |
총인구 (2022년 12월) | 44,956명 |
면적 | |
총 면적 | 846.02 km² |
총 면적 (2023년) | 845.05 km² |
총 면적 (2021년) | 845.4km² |
상징 | |
군목 | 감나무 |
군화 | 진달래 |
군조 | 비둘기 |
기타 | |
공식 홈페이지 | 영동군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33340 |
![]() | |
![]() | |
![]() |
2. 역사
-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 영동(吉同→永同)이라 불렸다.
- 고려 성종 때인 995년 계주자사가 설치되었다.
- 1018년 경상도 상주에 속하게 되었다.
- 1172년 감무가 설치되었다.
- 조선 중기에는 영동현, 황간현으로 나뉘어 있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공주부 영동군으로 개편되었다.[12]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영동군으로 개편되었다.[12]
- 1906년 옥천군 양내면, 양남이소면, 양남일소면을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영동군, 황간군을 영동군으로 통폐합하였다.(11면)[12]
- 1940년 11월 1일 영동면이 영동읍으로 승격하였다.[13]
- 1947년 3월 10일 용화면 도덕리, 범화리, 봉림리 등 3개 리를 학산면으로 이속하였다.
- 1961년 11월 11일 군 청사를 영동읍 계산리 667-1에서 부용리 2-4로 이전하였다.
- 1973년 7월 1일 영동읍 고자리, 매곡면 돈대리를 상촌면으로 편입하였다.[14]
- 1989년 1월 1일 매곡면 광평리가 황간면으로 편입되었다.[15]
- 1991년 7월 7일 황금면을 추풍령면으로 개칭하였다.
- 1906년 - 옥천군 양산면을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 군면 폐합에 따라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군 및 옥천군 이내면의 일부, 경상북도 상주군 공성면의 일부를 영동군으로 편성하였다. 영동군에 설치된 면은 다음과 같다.(11면).
- * 영동면·용산면·황간면·황금면·매곡면·상촌면·양강면·용화면·학산면·양산면·심천면
- 1940년 11월 1일 - 영동면이 영동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0면).
- 1947년
- * 2월 1일 - 황간면의 일부가 용산면에 편입되었다.(1읍 10면).
- * 3월 10일 - 용화면의 일부가 학산면에 편입되었다.(1읍 10면).
- 1973년 7월 1일 - 영동읍 고하리·매곡면 둔대리의 일부가 상촌면에 편입되었다.(1읍 10면).
- 1989년 1월 1일 - 매곡면 광평리가 황간면에 편입되었다.(1읍 10면).
- 1991년 7월 1일 - 황금면이 추풍령면으로 개칭되었다.(1읍 10면).
3. 지리
충청북도 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상주시, 김천시, 서쪽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남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북쪽으로는 충청북도 옥천군, 보은군과 접하고 있다.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나뉘는 지역으로서 군 전체에 해발 1,000m 내외의 높은 산들이 많다. 영동 남부의 민주지산(1,242m)은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를 나누는 경계로서 삼도봉이 있다.
3. 1. 지질

영동군은 지체구조상 옥천 습곡대와 영남 육괴에 걸쳐 있으며 그 경계에 영동 단층이 있다. 옥천 습곡대에 속한 영동군 서부에는 옥천 누층군이, 영남 육괴에 속한 영동군 동부에는 선캄브리아기의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편마암이 분포하며 영동군 중부에는 영동 단층에 의해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 분지 영동 분지가 있어 백악기의 퇴적암 지층 영동층군이 있다.
3. 2. 기후
영동군은 쾨펜 기후 분류에서 Dwa형의 온대 습윤 기후에 속하지만, 0℃ 등온선을 기준으로 온대 하우 기후(쾨펜 기후 분류: Cwa)로 분류될 수도 있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최고 기온 기록 (°C) | 14.6 | 22.1 | 27.7 | 31.3 | 35.4 | 36.2 | 39.8 | 38.0 | 35.2 | 30.8 | 25.3 | 21.0 | 39.8 |
평균 최고 기온 (°C) | 2.9 | 5.9 | 11.8 | 18.7 | 23.7 | 26.8 | 28.7 | 29.1 | 25.0 | 19.7 | 12.5 | 5.1 | 17.5 |
평균 기온 (°C) | -1.7 | 0.5 | 5.6 | 12.0 | 17.1 | 21.1 | 23.9 | 24.2 | 19.3 | 13.1 | 6.6 | 0.1 | 11.8 |
평균 최저 기온 (°C) | -6.1 | -4.5 | -0.3 | 5.3 | 10.7 | 16.0 | 20.3 | 20.5 | 14.6 | 7.5 | 1.3 | -4.4 | 6.7 |
최저 기온 기록 (°C) | -17.8 | -16.2 | -11.8 | -5.0 | 1.5 | 5.7 | 11.5 | 11.5 | 4.1 | -4.6 | -10.7 | -17.2 | -17.8 |
강수량 (mm) | 24.1mm | 34.2mm | 52.9mm | 80.3mm | 80.1mm | 136.6mm | 260.7mm | 263.9mm | 135.6mm | 58.1mm | 43mm | 25.8mm | 1195.3mm |
강수 일수 (≥ 0.1 mm) | 8.4 | 7.3 | 9.2 | 8.9 | 8.9 | 10.0 | 15.9 | 14.7 | 9.8 | 6.0 | 8.3 | 8.6 | 116.0 |
상대 습도 (%) | 60.6 | 57.2 | 55.6 | 54.6 | 61.3 | 70.4 | 79.4 | 79.4 | 77.1 | 71.0 | 65.9 | 62.8 | 66.3 |
일조 시간 (시간) | 176.1 | 179.3 | 206.7 | 217.5 | 234.6 | 184.9 | 145.9 | 156.9 | 167.1 | 201.1 | 167.2 | 168.7 | 2206.0 |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37년~현재)[16][17] |
4. 행정 구역
영동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동군의 면적은 845.53km2이며, 인구는 2020년 7월 기준 24,345세대, 47,702명이고, 이 중 45%가 영동읍에 거주한다. 인구 최고치는 1965년 124,075명이었다.[18]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
---|---|---|---|---|
영동읍 | 永同邑 | 100.51km2 | 8,301 | |
용산면 | 龍山面 | 66.89km2 | 1,571 | |
황간면 | 黃澗面 | 90.3km2 | 2,030 | |
추풍령면 | 秋風嶺面 | 55.22km2 | 1,116 | |
매곡면 | 梅谷面 | 45.19km2 | 986 | |
상촌면 | 上村面 | 137.59km2 | 1,166 | |
양강면 | 陽江面 | 82km2 | 1,540 | |
용화면 | 龍化面 | 59.39km2 | 476 | |
학산면 | 鶴山面 | 73.5km2 | 1,470 | |
양산면 | 陽山面 | 57.12km2 | 1,000 | |
심천면 | 深川面 | 77.82km2 | 1,615 | |
영동군 | 永同郡 | 845.53km2 | 24,059 | 50,486 |
읍·면 | 법정리 |
---|---|
영동읍 | 설계리, 계산리, 동정리, 매천리, 산익리, 부용리, 산이리, 오탄리, 심원리, 봉현리, 회동리, 주곡리, 임계리, 화신리, 당곡리, 가리 |
용산면 | 가곡리, 구촌리, 금곡리, 매금리, 미전리, 백자전리, 법화리, 부릉리, 부상리, 산저리, 상룡리, 시금리, 신항리, 용산리, 율리, 천작리, 청화리, 한곡리, 한석리 |
황간면 | 광평리, 금계리, 난곡리, 남성리, 노근리, 마산리, 서송원리, 소계리, 신흥리, 용암리, 우매리, 우천리, 원촌리, 회포리 |
추풍령면 | 계룡리, 관리, 사부리, 신안리, 웅북리, 작천리, 죽전리, 지봉리, 추풍령리 |
매곡면 | 강진리, 공수리, 노천리, 수원리, 어촌리, 옥전리, 유전리, 장척리 |
상촌면 | 고자리, 궁촌리, 대하리, 둔대리, 둔전리, 물한리, 상도대리, 유곡리, 임산리, 하도대리, 흥덕리 |
양강면 | 가동리, 괴목리, 구강리, 남전리, 두평리, 만계리, 묘동리, 묵정리, 산막리, 쌍암리, 양정리, 유전리, 죽촌리, 지촌리 |
용화면 | 안정리, 여의리, 용강리, 용화리, 월전리, 자계리, 조동리 |
학산면 | 도덕리, 박계리, 판화리, 봉림리, 봉소리, 서산리, 아암리, 지내리, 학산리, 황산리 |
양산면 | 고곡리, 원당리, 봉곡리, 죽산리, 송호리, 수두리, 호탄리, 누교리, 가선리 |
심천면 | 각계리, 고당리, 구탄리, 금정리, 기호리, 길현리, 단천리, 마곡리, 명천리, 심천리, 약목리, 용당리, 장동리, 초강리 |
5.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75년 | 108,939명 |
1980년 | 95,046명 |
1985년 | 84,725명 |
1990년 | 76,802명 |
1995년 | 61,973명 |
2000년 | 60,415명 |
2005년 | 49,338명 |
2010년 | 50,532명 |
2015년 | 51,035명 |
2017년 | 50,486명 |
6. 교통
경부선 철도 영동역과 경부고속도로 황간 나들목, 영동 나들목이 있어 대전-서울 및 부산 방향에서 접근이 편리하다. 관내 운행 농어촌버스에 관한 사항은 영동군의 농어촌버스 문서를 참고 바란다.
7. 주요 기관
8. 의료
과거 영동군은 분만 취약 지역의 하나로 대전광역시, 옥천군, 김천시 등으로 원정 출산을 가는 경우가 많았으나 영동병원에 분만실을 설치하면서 원정 출산 건수가 줄어들었고, 예천군, 강진군과 함께 분만 취약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9. 역대 군수
10. 교육 기관
영동군에는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11. 문화 관광
영동군에는 높은 산이 많고 계곡 사이사이로 물이 많이 흐르고 있어 자연 경관이 아름답다. 영동군의 특산물로는 포도와 감이 있는데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매년 여름 포도축제와 국악축제, 곶감축제와 와인축제를 한다.
- '''민주지산''' :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북특별자치도에 걸친 산으로서, 주변의 삼도봉, 석기봉, 각호산과 합쳐 좋은 등산 코스를 형상한다. 산 아래의 물한계곡과 민주지산자연휴양림도 관광 가치를 더한다.
- '''영국사''' : 천태산에 자리한 절이며,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내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 제233호로 지정돼 있다.
- '''옥계폭포''' : 박연폭포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충청북도가 지정한 관광명소이다.
- '''월류봉''' : 달도 머물다 가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황간면의 봉우리로 경치가 아름답다.
한천 8경[6]은 다음과 같다.
한천 8경 |
---|
월류봉 |
산양벽 |
청학굴 |
용연대 |
냉천정 |
법전암 |
사궁봉 |
화원악 |
12. 산업
한국에서 손꼽히는 포도 산지(전국 생산량의 12.7%)이며, 와인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8]
13. 자매 도시
영동군은 대한민국 6곳, 해외 3곳(미국 1곳, 중화인민공화국 1곳, 필리핀 1곳)과 자매결연을 맺었다.[20] 국내에서는 오산시, 서대문구, 용산구, 강남구, 중구, 남동구와, 해외에서는 미국 세도나시 한인회, 중화인민공화국 방성항시, 필리핀 두마게티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협력 중이다.[21]
13. 1. 국내
영동군은 대한민국 6곳, 해외 3곳(미국 1곳, 중화인민공화국 1곳, 필리핀 1곳)과 자매결연을 맺었다.[20] 대한민국에서는 오산시, 서대문구, 용산구, 강남구, 중구, 남동구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해외에서는 미국 북애리조나주 세도나시 한인회, 중화인민공화국 광서장족자치구 방성항시, 필리핀 두마게티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협력 중이다.[21]
13. 2. 해외
영동군은 미국 1곳, 중화인민공화국 1곳, 필리핀 1곳, 총 해외 3곳과 자매결연을 맺었다.[20] 미국 북애리조나주 세도나시 한인회, 중화인민공화국 광서 장족 자치구 방성항시, 필리핀 두마게티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협력 중이다.[21]참조
[1]
웹사이트
Yeongdong County mayor
https://www.yd21.go.[...]
2024-01-01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6]
웹사이트
8 Scenic Sites of Hancheon
https://www.yd21.go.[...]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웹사이트
영동군 포도/와인산업 현황
http://www.yd21.go.k[...]
[9]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추풍령(13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0]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추풍령(13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법률
부령 제111호
1913-12-29
[13]
법률
부령 제221호
1940-10-23
[14]
법률
군조례 제 313호 및 대통령령 제 6642호
[15]
법률
군조례 제 1143호
[16]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추풍령(13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7]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추풍령(13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8]
웹사이트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19]
간행물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20]
웹사이트
자매결연기관>국내 - 영동군청
https://yd21.go.kr/k[...]
[21]
웹사이트
자매결연기관>국외
https://yd21.go.kr/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시민이 기증한 조경수 등 행방 묘연…영동군, 자체 감사 착수
‘지역소멸 위기 극복과 공동체 회복의 실질적 해법 제시’
긴급할 때 위치 파악 ‘사물 주소판’…영동 버스 정류장 234곳 설치
홈앤쇼핑 전통시장 살리기 팔걷어
홈앤쇼핑, 영동전통시장과 상생모델 구축...지역 소상공인 살리기 ‘가속’
‘신비의 광물’ 일라이트 산업 육성하는 충북 영동군, 매장량 조사 나선다
충북 폭염 속 물놀이 사망 잇따라…"안전수칙 꼭 지켜야"
외국인 인재 잡자…충북도, 지역특화 비자 발급 요건 완화
‘국악의 고장’ 충북 영동군, 국립국악원 영동분원 유치 나선다
한국전쟁 75년, 노근리는 살아 있다 [뉴스룸에서]
빛 본 노근리 희생자 위패...봉안관 준공
[6.3 사전투표]충북서도 사전투표 열기 뜨겁다…역대 최대 투표율
오는 9월 국제행사 여는 청주·제천·영동 충북 지자체 3곳 손잡았다
충북 명물 ‘영동 포도’로 만든 마스크팩 나온다
지난해 총선 여론조사서 '역선택 권유' 민주당 당원 벌금형
충북 인구감소지역 빈집 사면 취득세 면제
충북, 전국 최초로 인구감소지역 4자녀 가정 지원
"고된 도시생활 벗어나자"…'월세 8만 원' 청년 농촌 정착 사업 추진
“결혼 앞둔 청년 걱정 마세요”…충북도, 작은 결혼식 및 인구감소지역 결혼 지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