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량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량욱은 1903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나 1983년 사망한 북한의 정치인이다. 김일성의 외삼촌이자, 그의 스승이기도 했던 강량욱은 평양신학 졸업 후 목사가 되었으며, 해방 후 김일성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서기장, 조선기독교연맹 의장, 조선사회민주당 부위원장, 북한 부수상 등을 역임했다. 1982년 김일성훈장을 받았으며, 사후 조국통일상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개신교도 - 조만식
조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주의 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로, 간디의 비폭력 저항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실력 양성 운동에 참여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개신교도 - 김상덕 (1891년)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인 김상덕은 2.8 독립 선언 참여, 임시정부 활동으로 독립에 헌신했으며, 광복 후 제헌 국회의원과 반민특위 위원장을 역임하며 친일 잔재 청산에 힘썼고,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 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한국의 장로교도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한국의 장로교도 - 강우규
강우규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3·1 운동 후 노인단을 조직하여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순국하였으며, 만주와 연해주에서 독립운동 지원 및 민족 교육에 힘썼고, 그의 의거는 3·1 운동 이후 최초의 의열 투쟁으로 평가받아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목회자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목회자 - 신석구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독립운동가인 신석구는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일제에 저항했으며, 광복 후에는 북한에서 반공주의 운동을 펼치다 체포되어 한국 전쟁 중 총살당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강량욱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이름 | 강량욱 |
출생일 | 1903년 12월 7일 |
출생지 | 평양, 대한제국 |
사망일 | 1983년 1월 9일 |
사망지 | 평양, 북한 |
종교 | 장로교 |
직업 | |
직업 | 정치인 |
정치 경력 | |
직위 | 북한 부주석 |
임기 시작 | 1972년 12월 28일 |
임기 종료 | 1977년 12월 15일 |
대통령 | 김일성 |
이전 부주석 | 최용건 |
다음 부주석 | 김동규 |
직위 (2) | 북한 부주석 |
임기 시작 (2) | 1977년 12월 15일 |
임기 종료 (2) | 1982년 4월 5일 |
대통령 (2) | 김일성 |
이전 부주석 (2) | 박성철 |
다음 부주석 (2) | 김일 |
한국어 이름 | |
한글 | 강량욱 |
한자 | 康良煜 |
로마자 표기법 | Gang Ryang-uk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Kang Ryanguk |
2. 생애
강량욱은 1903년 12월 7일에 태어났다.[1][2] 김일성의 외삼촌으로, 김일성의 어머니 강반석은 강량욱의 사촌이었다.[3] 강량욱은 젊은 시절 김일성의 외할아버지 강돈욱이 1908년 칠골에 설립한 사립학교인 창덕학교에서 교사로 일했으며, 이때 김일성이 그의 제자 중 한 명이었다.[4] 1940년대에는 평양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졸업 후 목사가 되었다.
1945년 10월 소련에서 돌아온 직후 김일성의 측근 고문이 되었다. 1946년에는 조선기독교연맹의 의장이 되었으며,[3] 이 단체는 공산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949년에는 모든 개신교 목사들이 강량욱의 조선기독교연맹에 강제로 가입해야 했다.
1940년대 후반, 강량욱은 조선로동당의 측근인 조선사회민주당의 부위원장이 되었다. 1958년 11월에는 당 의장이 되었다.[5]
이후 강량욱은 북한 부수상과 최고인민회의 서기를 역임했다. 1972년 12월 28일 최고인민회의에서 부수상으로 임명되었으며, 1977년 12월 15일에 재임명되었고, 1982년에 그 직책을 떠났다.[6][7][8]
2. 1. 초기 생애와 목회 활동 (1903-1945)
1903년 평안남도 평양부 룡산면 해리 칠곡부락에서 강병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제로는 형 강선욱 등이 있었다. 김일성, 김영주, 김철주의 외할아버지인 강돈욱의 육촌 동생이었다.[11]그는 칠골의 하리 교회에 다녔는데, 1899년 하리 교회를 설립할 당시 장로 중 한 명으로 참여한 것이 그의 육촌 형 강돈욱이었다. 소년 시절 칠골의 신덕학교를 다녔으며, 숙천군 출신의 송석정과 결혼했다.
1923년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후 일본 주오 대학을 졸업하였고, 귀국 후 장로교 목사로 활동하였다. 육촌 형 강돈욱과 함께 칠골 창덕학교 창립에 참여하여 교사로 활동했다. 창덕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할 때, 외삼종손 김일성의 담임으로서 그를 가르치기도 했었다.
창덕소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하던 그는 1930년대에는 진남포 진남포득신소학교의 교사로 재직하였다. 1930년대 중반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재학 중 장대현교회 전도사로 활동했다. 1943년 3월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제38회로 졸업하였다. 1944년 봄, 평양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평양 기림리 고정교회(高貞敎會 또는 高停敎會)의 담임목사로 부임했다. 목사 안수 초기에는 장로교 평서노회에서 활동하다가 해방 무렵에는 평양노회로 옮겼다.
강량욱은 김일성의 외삼촌이었다. 김일성의 어머니이자 강량욱의 사촌인 강반석 또한 독실한 장로교 신자였다.[3] 젊은 시절 강량욱은 장덕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는데, 그의 제자 중 한 명이 김일성이었다. 장덕학교는 김일성의 외할아버지인 강돈욱이 1908년 칠골에 설립한 사립학교였다.[4]
2. 2. 해방 정국 활동과 북한 정권 수립 참여 (1945-1948)
1945년 9월 조만식의 조선민주당에 참가하면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고, 11월 북조선민주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이 되었다.[12] 1946년 북조선민주당 평안남도위원회 위원장, 2월 8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서기장에 선출되었으며,[12]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전신인 북조선기독교연맹 중앙위원장에 피선되었다. 같은 해 3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보낸 백의사 자객에 의해 암살 위기를 모면했으나 아들, 며느리, 딸이 피살당했다.1948년 4월 평양에서 열린 제1차 남북협상과 8월 해주에서 열린 제2차 남북협상에 참석하였다. 1940년대 후반 강량욱은 집권당인 조선로동당의 측근인 조선사회민주당의 부위원장이 되었다.
2. 3. 북한 정권 수립 이후 활동 (1948-1983)
1948년 9월 2일 구성된 최고인민위원회 1기 대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1기 대의원 및 상임위원회 서기장을 역임했다. 이후 최고인민회의 1~5대 대의원 선거에 당선, 연임하였다. 조선민주당 인사들이 월남하고 조만식이 사망한 뒤로는 최용건과 함께 조선민주당의 당권을 장악했으며, 1959년 조선민주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5]1960년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 1971년 대외문화연락협회 위원장, 1972년 국가 부주석[14] 겸 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1972년 12월 28일 최고인민회의에서 부주석으로 임명되었으며, 1977년 12월 15일에 재임명되었고, 1982년에 그 직책을 떠났다.[6][7][8] 1981년 다시 북조선 부주석에 삼선되었다.[14]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외교 활동에 활발히 참가하기도 했다.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위원장 등을 지내기도 하였으며, 한국 전쟁 이후 북조선에서 사라진 개신교 신학원을 개원하는데 노력하여, 1972년 평양신학원을 재건하는데 참여하였다.[14]
1946년에는 기독교연맹(후에 조선기독교연맹으로 개칭됨)의 의장이 되었다.[3] 이 단체는 공산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949년에는 모든 개신교 목사들이 강량욱의 기독교연맹에 강제로 가입해야 했다.
2. 4. 사망
1983년 1월 9일에 사망했다. 김일성은 얼마 후 거행된 추모식에서 그의 죽음을 애도했으며, 1월 12일 그의 사망 발표에 따르면 국장이 계획되었다.[8] 1982년 김일성훈장을 받았고, 1990년 8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조국통일상이 추서되었다.[15] 유해는 평양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어 있다.3. 사후 평가 및 유산
그는 1983년 1월 9일에 사망했다. 김일성은 얼마 후 거행된 추모식에서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1983년 1월 12일 그의 사망 발표에 따르면, 국장이 계획되었다.[8]
강량욱의 차남인 강용섭은 이후 조선그리스도교연맹 회장직을 계승했다.[9]
4. 가족 관계
5. 상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참조
[1]
웹사이트
정세와기도 - 2017년 11월 9일 주여, 감사합니다.
http://jubileeuni.co[...]
[2]
웹사이트
12월 7일 오늘의 역사.. 대설, 미국 진주만 희생자 추모일
https://web.archive.[...]
2018-05-23
[3]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Mass Dictatorship
Springer
[4]
웹사이트
Kim Il-Sung and His Mentor
https://www.marxists[...]
[5]
웹사이트
강량욱(康良旭)
http://www.cybernk.n[...]
2022-01-28
[6]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1973Jan-June.
https://babel.hathit[...]
2019-03-11
[7]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1983Jan-June.
https://babel.hathit[...]
2019-03-11
[8]
뉴스
Kang Ryang Uk, 79, a Leader Of North Korean Communists
https://www.nytimes.[...]
1983-01-12
[9]
웹사이트
North Korean Christian leader Kang Young-sup dies
https://www.pcusa.or[...]
Presbyterian Church USA
2012-01-23
[10]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1]
서적
2000-07-01
[12]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1946-02-08
[13]
서적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14]
웹인용
Home {{!}} Korean UMC
https://web.archive.[...]
2009-10-16
[15]
뉴스
북한, 조국통일상에 임양ㆍ운동권 학생도
1990-08-17
[16]
문서
강돈욱에게도 8촌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