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충은 고구려계 신라 사람인 강호경의 아들이며, 고려 태조 왕건의 외6대조이다. 강충은 신라에서 사찬, 상사찬, 아간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아들 강보육은 작제건을 낳고, 작제건은 왕건의 할아버지가 되었다. 강충의 아버지 강호경은 풍수지리 설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송악산에 소나무를 심어 왕건이 삼한을 통일할 인물로 태어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신화의 인물 - 정화왕후
정화왕후는 고려 태조 왕건의 증조모이자 작제건의 어머니로, 신천 강씨 가문과 고려 왕실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 고려 신화의 인물 - 고려 세조
고려 세조 왕륭은 고려 태조 왕건의 아버지로, 의조 왕제건과 원창왕후 저민 사이에서 태어난 송악 호족 출신으로 궁예에게 귀부하여 금성태수를 지냈으며, 사후 아들 왕건에 의해 세조위무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신라의 문신 - 최승우
최승우는 신라 말기 육두품 출신으로 당나라 유학 후 후백제 관료로 활동하며 뛰어난 문장력을 인정받아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일대삼최로 불린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다. - 신라의 문신 - 소벌도리
소벌도리는 신라 건국 설화 속 돌산고허촌 촌장으로, 박혁거세를 발견하고 양육하여 신라 건국에 기여, 사량부 대인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은 경주 최씨와 진주 소씨의 시조가 되었다. - 신천 강씨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신천 강씨 - 강풀
강풀은 2002년 웹툰 작가로 데뷔하여 《순정만화》, 《아파트》, 《타이밍》, 《무빙》, 《26년》 등의 대표작을 통해 '강풀 유니버스'라는 공유 세계관을 구축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다양한 영상 매체로 제작되었고, 드라마 《무빙》의 각본을 쓰기도 했으며, 그의 작품을 주제로 한 '강풀 만화거리'도 조성되었다.
강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강충 |
한자 | 康忠 |
로마자 표기 | Gang Chung |
인물 정보 | |
작위 | 문신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황해남도 신천군(黃海南道 信川郡) |
사망일 | 몰년 미상(沒年 未詳) |
사망지 | 미상 |
배우자 | 구씨(具氏) |
자녀 | 이제건(伊帝建) 강보육(康寶育) 강보전(康寶甸) |
부친 | 강호경(康虎景) |
모친 | 좌곡 여인 |
종교 | 불교(佛敎) |
가문 | 신천(信川) |
왕조 | 고려(高麗) |
2. 생애
아버지는 고구려계 신라 사람인 강호경이고 어머니는 좌곡 여인이다.[13][14] 강충은 후일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의 외6대조가 된다.
신라 조정에 출사하여 사찬(沙飡), 상사찬(上沙餐), 아간(阿干) 등의 벼슬을 지냈다.[15]
슬하에 이제건(伊帝建), 강보육(康寶育, 개명 전 이름 손호술(損乎述)), 강보전(康寶甸) 세 아들을 두었다.[13][14][15] 첫째 아들 이제건의 후손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 중 강보육은 어느 날 곡령(鵠嶺)에 올라 남쪽을 향해 오줌을 누니 삼한의 산천이 은빛 바다로 변하는 꿈을 꾸었다. 형 이제건에게 꿈 이야기를 하자, 이제건은 "네가 큰 인물을 낳을 징조"라며 자신의 딸 덕주(德周)를 보육에게 시집보냈다. 강보육과 덕주 사이에서는 딸만 둘이 태어났다.[13][14] 그중 둘째 딸인 진의(辰義)는 언니의 꿈을 산 뒤, 신라에 온 당나라 황족(숙종 또는 선종으로 전해짐)과 인연을 맺어 아들 작제건을 낳았다.[9][10] 작제건은 태조 왕건의 할아버지이다.
다른 아들 강보전(康寶甸)은 신라 시대에 문하태학사(門下太學士)를 지냈으며, 그의 후손들은 고려 시대까지 이어졌다. 후손 중 강지연은 고려 충렬왕 때 공신이 되었고, 그 외에도 강순산(康淳山, 좌정승), 강만루(康萬嶁, 대장군), 강연창(康衍昌, 우정승), 강태주(康泰周, 형부상서), 강억(康億, 이부상서) 등이 높은 관직을 지냈다.[15]
2. 1. 풍수지리 설화
강충의 아버지 강호경이 평나산에서 사냥을 하다가 산신을 만났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산신은 강호경에게 결혼하여 함께 신정 정치를 다스리자고 제안했으나, 이미 아내가 있던 강호경은 이를 거절했다. 그러나 본처를 잊지 못해 꿈속에서 아내를 만났고, 그 결과 아내가 임신하여 강충을 낳았다고 한다.[1][3] 김관의(金寬毅)의 《편년통록》 등 여러 기록에는 강호경이 백두산에서 부소산으로 와 살다가 평나산의 신녀와 결혼했지만, 밤마다 몰래 본처를 찾아가 관계하여 아들 강충을 얻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3][14]강충이 살았던 곳과 관련된 설화도 있다. 《송도지》(松都誌)에 따르면 경기도 장단부(長湍府)의 오관산(五冠山)이 그가 살던 곳이라고 한다.[15] 또한, 한 승려가 부소산 남쪽에 집을 짓고 살면 장차 군왕이 태어날 것이라고 예언하였고, 이에 강충이 송악 부소산 근처에 터를 잡고 집을 지어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5]
신라의 풍수가 팔원(八元)과 관련된 설화는 특히 유명하다. 어느 날 팔원이 강충(혹은 그의 아버지 강호경[2])을 찾아와 "송악|松岳한국어산에 소나무를 심어 바위가 보이지 않게 하면, 삼한을 통일할 인물이 태어날 것이다"라고 예언했다. 이 예언에 따라 소나무를 심어 바위를 덮자 그 산이 송악산이 되었고, 훗날 그의 후손인 태조 왕건이 태어나 삼한 통일의 위업을 달성하게 되었다고 한다.[2][4]
3. 가계
중국 산시성 징자오군 출신인 강숙(康叔)의 67대손[5][6][7]이자 신라의 성골장군(聖骨將軍)이라 불린 강호경(康虎景)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좌곡(佐谷) 출신의 여인이다.
강충은 서강(西江) 영안촌(永安村) 부호 구씨(具氏)의 딸인 구치의(具置義)와 혼인하여 두 아들 이제건(伊帝建)과 강보육(康寶育)을 낳았다. 이제건은 강보승(康寶甸)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렸으며, 하라 문하시중 태학사를 지냈다. 강보육은 자신의 조카이자 이제건의 딸인 강덕주(康德州)를 아내로 맞아 아들 강적(康迪)과 딸 강진의(康辰義)를 낳았다. 강적은 평장사를 역임했으며, 딸 강진의는 후에 고려 태조 왕건의 할머니가 되는 정화왕후이다.[8]
『편년통록』, 『고려사절요』 등의 기록에 따르면, 당나라의 황족(숙종 또는 『편년강목』에서는 선종으로 전해짐)[10][9]이 신라에 왔을 때 강진의와 인연을 맺어 왕제건(王帝建)을 낳았다고 한다.[9] 왕제건은 아버지를 찾아 당나라로 가던 중 서해 용왕의 딸 용녀(원창왕후)를 만나 결혼하였고, 둘 사이에서 아들 왕륭(王隆)이 태어났다.[9][11] 『성원록』에 따르면 원창왕후는 중국 평주 출신인 두은점각간의 딸이라고도 한다.[11] 왕륭의 아들이 바로 고려를 건국한 왕건이다.[5][3]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강호경 (康虎景) | 별칭 성골장군(聖骨將軍) |
어머니 | 좌곡 여인 | |
부인 | 구치의 (具置義) | 서강 영안촌 부호 구씨의 딸 |
장남 | 이제건 (伊帝建) | 다른 이름 강보승(康寶甸), 하라 문하시중 태학사 |
차남 | 강보육 (康寶育) | |
손녀 | 강덕주 (康德州) | 이제건의 딸, 강보육의 부인 |
손자 | 강적 (康迪) | 강보육의 아들, 평장사 |
손녀 | 강진의 (康辰義) | 강보육의 딸, 고려 왕건의 할머니 |
4. 기타
강충은 당나라 사람의 가계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나, 왕건의 활약을 그린 한국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그의 선조가 장보고와 함께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왔다고 왕건에게 말하는 장면이 묘사되었다.[12]
5. 참고 문헌
참조
[1]
서적
한국의 중세에 있어서 여성 : 13세기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http://koara.lib.kei[...]
慶應義塾大学 日吉紀要刊行委員会
[2]
웹사이트
【噴水台】開城
http://japanese.join[...]
JoongAng Ilbo
2017-03-06
[3]
서적
(페이지 정보만 있음)
2001
[4]
뉴스
【噴水台】開城
https://japanese.joi[...]
2004-12-16
[5]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4-02
[6]
뉴스
신천강씨 信川康氏
https://archive.ph/A[...]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뉴스
강씨(康氏)의 본관
http://www.rootsinfo[...]
rootsinfo
[8]
서적
誤解だらけの韓国史の真実
https://books.google[...]
イースト・プレス
2015-04-10
[9]
서적
(페이지 정보만 있음)
2001
[10]
뉴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뉴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의조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서적
한국대하드라마 공식가이드북 태조왕건
인포레스트
2012-10-26
[13]
웹사이트
[홍순래의 꿈으로 본 역사] 〈19〉 고려 건국 이야기
http://sports.khan.c[...]
[14]
뉴스
(24) 동굴 뛰쳐나간 호랑이는 어디로
http://legacy.www.ha[...]
한겨레
2005-05-05
[15]
웹사이트
부천 족보 도서관
http://www.jokb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