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화왕후는 고려 태조 왕건의 증조모이며, 강보육의 딸이자 강진의이다. 그녀는 신라에서 온 당나라 귀족과 관계하여 작제건을 낳았고, 작제건은 원창왕후와 결혼하여 왕륭을 낳았으며, 왕륭의 아들이 왕건이다. 정화왕후의 가계는 강보육, 강충, 강덕주로 이어진다. 작제건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당나라 숙종, 선종, 또는 중국인 상인 등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추존왕후 - 선의왕후 (고려)
선의왕후는 고려 태조의 딸이자 대종의 부인으로, 성종을 낳았으며 아들이 왕위에 올라 왕후로 추존되었고,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 등장한다. - 고려의 추존왕후 - 위숙왕후
위숙왕후는 왕륭의 부인이자 고려 태조 왕건의 어머니로서, 고려 왕조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드라마 등의 대중문화 작품에서 자주 등장한다. - 신라 사람 - 장화왕후
장화왕후는 고려 태조의 제2비이자 혜종의 어머니로, 태조와의 만남과 혜종 출생 설화, 그리고 삼한 통일에 기여한 나주 오씨 가문의 위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신라 사람 - 유덕영
유덕영은 정주 류씨 출신 아버지에게서 태어났으며, 그의 딸인 정덕왕후는 고려 태조의 왕후가 되어 태조는 그의 사위가 되었다. - 고려 신화의 인물 - 고려 세조
고려 세조 왕륭은 고려 태조 왕건의 아버지로, 의조 왕제건과 원창왕후 저민 사이에서 태어난 송악 호족 출신으로 궁예에게 귀부하여 금성태수를 지냈으며, 사후 아들 왕건에 의해 세조위무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고려 신화의 인물 - 고려 국조
고려 국조는 고려 태조 왕건의 선조에 대한 논쟁적인 기록으로, 김관의는 국조를 강보육으로 기록했으나 이제현은 이를 반박하고 이색은 강호경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정화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본관 | 신천 강씨 |
종교 | 불교 |
개인 정보 | |
휘 | 강진의 (康辰義) |
출생 | 생년 미상 |
사망 | 몰년 미상 |
묘소 | 미상 |
가족 관계 | |
부 | 강보육 |
모 | 강덕주 |
배우자 | 고려 국조 |
자녀 | 1남 고려 의조 |
왕후 정보 | |
시호 | 정화 (貞和; "Chaste and Harmonious") |
추존 시호 | 정화왕후 (貞和王后) |
능묘 | 미상 |
전임 왕후 | 신설 |
후임 왕후 | 원창왕후 |
기타 정보 | |
활동지 | 개성시 |
2. 생애
김관의(金寬毅)의 책 《편년통록》에 의하면, 강보육은 일찍이 곡령에 올라 남쪽을 향하여 오줌을 누었더니, 삼한의 산천이 은빛 바다로 변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다음날 보육은 그의 형 이제건에게 말했더니 이제건이 꿈을 해몽하며, “너는 큰 인물을 낳으리라” 하고 그의 딸 덕주를 아내로 삼아 뒤에 두 딸을 낳았다.[24][25] 이제건은 딸 덕주가 있었고 보육에게는 딸만 둘 있었는데 그 중 둘째딸 진의는 언니의 꿈을 산 뒤 고려 국조와 작제건을 낳았다고 한다.
정화왕후의 남편이 누구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고려 건국 후 정화왕후로 추존된 강씨는 고려 국조의 왕비이자 고려 의조의 어머니였다. 그런데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기록이 서로 다르고, 조선시대의 기록에는 의조의 아버지가 당 숙종이라는 설도 있었다. 고려 말 학자 이제현은 의조의 아버지가 당 숙종이라는 주장은 허구라고 하였다.
[1]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http://www.segye.com[...]
Segye Ilbo
2013-04-02
이제건의 딸 덕주는 그녀의 친정어머니이면서 사촌언니가 된다. 작제건은 왕건의 할아버지이다. 뒤에 증손자 왕건(王建)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정화왕후로 추존하였다.
고려사절요에서는 국조의 비(妃)를 정화왕후로 기록하고 있고, 고려사에서는 정화왕후를 강보육의 딸로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국조를 강진의의 친정아버지인 보육이라고 하는 설이 있어서 이 설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또한 조선시대 때 일설에서는 정화왕후의 아들인 의조의 아버지를 당 숙종과 정화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고려 말의 학자 이제현은 《왕대종족기(王代宗族記)》를 인용하며 의조(작제건)의 아버지가 당 숙종이라는 이야기를 허구로 규정하였다.
강충은 강호경의 아들이며, 신천 강씨의 시조이다.[1][2][3] 그는 이적건, 보승, 보육 세 아들을 두었다. 강보육은 조카인 이적건의 딸 강덕주와 결혼하여 딸 강진의를 낳았다. 강진의는 중국 귀족과 관계하여 작제건을 낳았다. 그녀의 아들의 중국인 아버지는 중국 당나라의 지배 가문인 이씨 왕조 출신이었다.[4]
고려사에 따르면, 그녀의 언니는 꿈속에서 오관산 (五冠山) 꼭대기에 올라갔다. 꿈속에서 그녀는 소변을 보아 온 세상을 물로 채웠고, 이 꿈에 대해 여동생 진의에게 이야기했다. 진의는 이 꿈이 행운을 암시한다고 생각하고 언니의 꿈을 그녀의 비단으로 짠 치마 저고리로 샀다. 그 후 그녀는 신라에서 당나라 왕자를 만나 작제건을 낳았다.[10]
3. 남편과 관련된 논란
고운기(연세대학교)는 작제건이 당나라 황족과 신라 여인 진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왕건의 가계가 중국계라고 주장했다.[17]
최완수(간송미술관 연구실장)는 왕건 가문이 송악산(현재의 개성시) 일대의 상업 세력인 호상이었고, 작제건의 아버지는 이들과 거래하던 중국 상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서는 작제건의 아버지를 숙종이라고 칭했지만, 이는 고려 측의 추측일 수 있으며, 작제건이 중국 상인의 아들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주장했다.[22]
야하타 가즈오는 진의가 신원 미상의 중국 상인과 결합하여 작제건(의조)을 낳았고, 작제건은 부계 혈통으로 중국인의 혈통을 잇는다고 말했다.[23]
4. 가계
강충은 신천 강씨의 시조 강호경의 아들이다.[1] 그는 이적건, 보승, 보육 세 아들을 두었다. 강보육은 조카인 이적건의 딸 강덕주와 결혼하여 딸 강진의를 낳았다. 강진의는 중국 귀족과 관계하여 작제건을 낳았다.[4]
참조
[2]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신천강씨 信川康氏
http://terms.naver.c[...]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3]
웹사이트
강(康)-뿌리를 찾아서
http://www.rootsinfo[...]
2017-08-00
[4]
논문
2001
[5]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경강대왕 景康大王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6]
논문
2001
[7]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의조경강대왕 懿祖景江大王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8]
논문
2013
[9]
논문
2001
[10]
논문
2001
[11]
논문
2001
[12]
논문
2001
[13]
서적
誤解だらけの韓国史の真実
イースト・プレス
2015-04-10
[14]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http://www.segye.com[...]
세계日報
2013-04-02
[15]
뉴스
신천강씨 信川康氏
https://archive.ph/A[...]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
뉴스
강씨(康氏)의 본관
http://www.rootsinfo[...]
rootsinfo
[17]
논문
2001
[18]
뉴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뉴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의조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논문
2001
[21]
논문
2001
[22]
뉴스
王建의 후삼국통일 배후, 禪僧세력
http://www.donga.com[...]
[23]
서적
誤解だらけの韓国史の真実
イースト・プレス
2015-04-10
[24]
웹사이트
즐거움의 새이름-스포츠칸
http://sports.khan.c[...]
[25]
뉴스
(24) 동굴 뛰쳐나간 호랑이는 어디로 ::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