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민 (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태민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에서 군 복무를 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군인이다.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와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신징보안사령부에서 근무한 경력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한국 전쟁에서 여러 전투에 참전했으며, 육군 제9사단 참모장, 제26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1959년 예비군으로 편입되었고, 1960년 사망 후 소장으로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예하 지원군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예하 지원군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만주국의 군인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만주국의 군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대한민국 육군 준장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육군 준장 - 권정달
권정달은 육군 출신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제5공화국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김영삼 정부 이후에도 정계 활동을 이어갔으며, 한국자유총연맹 총재를 역임했다.
강태민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군인 정보 | |
이름 | 강태민 |
현지어 표기 | 姜泰敏 |
생애 | 1922년 ~ 1960년 10월 22일 |
복무 | 만주국군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41년 ~ 1959년 4월 26일 |
최종 계급 | 만주국군 중위 대한민국 육군 준장 |
지휘 | 대한민국 육군 제26사단장 |
근무 | 대한민국 육군본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한국 전쟁 |
2. 생애
강태민은 어린 시절 만주국으로 이주하여 젠다오성 룽징시의 광명(光明)중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예과 3기 및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58기 과정을 졸업했다. 만주국군 장교로 복무하다 광복 후 귀국하여 대한민국 국군에 합류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전투를 지휘했으며, 박정희와는 1기 선배로 친분이 두터워 매주 일요일 그의 자택에서 환담을 나누었다고 한다.[19] 백선엽의 추종자라는 보고도 있다.[20]
전쟁 이후 육군 포병 지휘관으로 복무하며 준장으로 진급했고, 여러 사단장 및 군수사령부 요직을 거쳤다. 1959년 육군 내 각종 사고에 대한 지휘 책임을 지고 예비역으로 편입되었으며, 암 투병 중 1960년 사망하여 소장으로 추서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만주국군 복무
어린 시절에 만주국으로 이주했으며 젠다오성 룽징시에 있던 광명(光明)중학교를 졸업했다. 1941년 4월에 신징에 위치한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에 입학했고 1943년 4월에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예과 3기 과정을 졸업했다. 1944년 5월에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에 편입학했고 1945년 6월에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58기 과정을 졸업했다.만주국군에서 견습군관 과정을 마친 다음에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되어 조선인 만주국군 장교들과 함께 신징보안사령부에서 근무했다. 이러한 행적으로 인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만주국군 중위로 복무하던 도중에 일본 제국이 중일 전쟁에서 패망하자 1946년 4월에 인천으로 귀국했다.
2. 2. 대한민국 국군 복무
1949년 3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 4차 과정을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다.[3][4] 처음에는 대한민국 해군에 배속되어 해군사관학교 생도대장을 맡았지만,[5] 이후 육군으로 전과하여 독립 장갑 연대 제1대대장을 역임했다.[6]1950년 2월 15일 육군 제22연대장(중령)으로 임명되었다.[7] 한국 전쟁 발발 후 한강 전투, 신사동-과천 전투,[8] 시흥-안양-수원 전투, 영덕-강구 전투,[9] 울진-평해 전투에 참전했다. 1951년 5월 25일 박정희의 뒤를 이어 육군 제9사단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11] 그러나 8월 9일 다리 조기 폭파로 많은 장병들이 익사하고 1개 대대 분량의 장비가 유기되어 8월 15일자로 해임되었다.[10] 이후 국민방위군 사관학교 교장, 육군 제3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1952년 10월 13일 광주 육군 포병학교에서 3개월 간 훈련을 받은 육군 포병장성 16인 중 한 명으로,[12] 이후 미국으로 유학했다.
박정희 (제2군단 포병단장, 대통령) |
박경원 (제11포병단장, 내무장관) |
이기건 (제9포병단장, 준장) |
이명재 (소장) |
송석하 (소장) |
이창정 (소장) |
김영주 (준장) |
최경만 (중장) |
박현수 (소장) |
김동수 (제15포병단장, 준장) |
이춘경 (제20포병단장, 준장) |
김상복 (제1군단 포병단장, 중장) |
강태민 (제9사단 포병단장, 소장) |
김동빈 (제7사단 포병단장, 중장) |
이희권 (제12사단 포병단장, 소장) |
이백우 (제12포병단장, 소장) |
귀국 후 육군 포병 지휘관 및 준장으로 진급했고, 1953년 육군 제9사단 포병단장,[13] 1957년 8월 육군 제26사단장을 역임했다.[14] 그 외에 육군 군수사령부 부사령관, 육군 제9사단 부사단장, 제3군단 부사단장, 제8사단장, 군수사 부사령관으로 근무했다.
1959년 4월 26일 육군에서 일어난 각종 사고에 대한 지휘 책임을 물어 육군 제20사단장 이정석 준장과 함께 예비군으로 편입되었다.[15][16]
2. 3. 예편 및 사망
1959년 4월 26일, 육군에서 일어난 각종 사고에 대한 지휘 책임을 물어 제20사단장 이정석 준장과 함께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5][16] 당시 이미 암에 걸려 고향으로 돌아가 농업을 하면서 요양 생활을 했다.[17] 1960년 10월 22일에 사망했고, 1960년 11월 4일에 소장으로 추서되었다.[18]3. 평가
박정희와는 1기 선배이자 친밀한 사이로, 매주 일요일 박정희의 자택을 방문하여 환담을 나누었다고 한다.[19]
필립 찰스 하비브의 보고서에 따르면, 백선엽의 추종자라고 한다.[20]
참조
[1]
웹사이트
姜泰敏の墓の写真
http://blog.daum.net[...]
[2]
웹사이트
姜泰敏
http://www.shinjongw[...]
辛鐘友人名事典
2016-06-07
[3]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4]
웹사이트
6·25 전쟁사 제1권- 전쟁의 배경과 원인
http://www.imhc.mil.[...]
韓国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8-07-06
[5]
뉴스
済州開発50年の序幕を開く 1. 5.16と最年少済州道知事発令('제주개발 50년의 서막을 열다 1. 5.16과 최연소 제주도지사 발령')
http://www.jejunews.[...]
2024-12-04
[6]
뉴스
国軍騎兵の創設と終末('국군 기병대의 창설과 종말')
http://bemil.chosun.[...]
2016-07-01
[7]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8]
웹사이트
新寺洞 - 果川地区の戦い
http://www.wmk.kr/ko[...]
戦争記念館
2016-06-08
[9]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下巻
[10]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下巻
[11]
뉴스
県里敗戦の要因 - 人事の乱脈('현리 패전의 한 요인 - 인사의 난맥')
http://bemil.chosun.[...]
2016-06-08
[12]
웹사이트
韓国初の4星将軍 白善燁(한국 첫 4성장군 백선엽)
http://www.chogabje.[...]
趙甲濟ドットコム
2016-07-01
[13]
웹사이트
韓國戰爭史第9巻 對陣末期(1953.1.1~1953.7.27)
http://www.imhc.mil.[...]
韓国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8-09-22
[14]
뉴스
師團長級異動
http://www.busan.com[...]
2019-10-24
[15]
뉴스
日誌
http://www.busan.com[...]
2019-10-24
[16]
뉴스
二次肅軍을 斷行
http://www.busan.com[...]
2019-10-24
[17]
웹사이트
1962年、米大使館機密文書
http://shindonga.don[...]
新東亜
2016-07-01
[18]
뉴스
故姜泰繁准將 少將으로追敍
http://www.busan.com[...]
2019-10-24
[19]
웹사이트
朴正煕とその時代(3)反正作戦の挫折 心豊かな陸軍大学時代
https://www.chogabje[...]
趙甲濟ドットコム
2016-06-07
[20]
뉴스
1962년 미 대사관 기밀문건 10/22
https://shindonga.do[...]
2021-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