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처리방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인정보처리방침은 개인 정보의 수집, 사용, 공개에 대한 회사의 정책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1960년대 후반 컴퓨터 기술 발전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유럽평의회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서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다. 1970년대부터 스웨덴, 서독, 프랑스 등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되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공정 신용 보고법, 개인 정보 보호 위원회 설립 등을 통해 개인 정보 보호 노력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유럽 연합(EU)의 일반 개인정보 보호 규정(GDPR), 미국의 어린이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법(COPPA), 캘리포니아 소비자 개인 정보 보호법(CCPA) 등 다양한 법률과 규정을 통해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실효성과 소비자의 이해 부족, 투명성 부족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라이버시 법 -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GDPR)은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EU 역내 규제를 통합하기 위해 2018년 5월 25일부터 EU 27개 회원국에 시행된 법규이다. - 프라이버시 법 - 사생활 보호에 대한 기대
사생활 보호에 대한 기대는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사생활이 보호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심리적 상태로, 주관적 및 객관적 기대로 나뉘며, 합리적인 기대는 정당한 수색과 부당한 수색을 구별하는 법적 기준이 된다. - 디지털 권리 - 공정 이용
공정 이용은 저작권법의 예외 조항으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976년 미국 저작권법에서 명문화되었고, 대한민국 저작권법은 2011년 개정을 통해 관련 조항을 신설하였다. - 디지털 권리 -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는 사생활 보호 및 자기 정보 통제권으로, 철학적, 역사적 기원을 가지며 기술 발전과 함께 침해 가능성이 커져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위한 철학적, 사회적,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다. - 이용 약관 - 인터넷 프라이버시
인터넷 프라이버시는 개인 식별 정보의 획득, 공개, 사용을 통제하려는 사용자의 권리 주장으로, IP 주소, 쿠키 등 기술적 요소와 온라인 광고, 사이버 범죄 등 다양한 위협에 대한 보호 노력을 포함하며, 개인 정보 보호 검색 엔진, 브라우저, 법률 및 규정을 통해 보호된다. - 이용 약관 - 자유 라이선스
자유 라이선스는 저작물의 사용, 수정, 배포를 허용하는 라이선스이며, 자유 소프트웨어, 자유 콘텐츠, 오픈 소스 하드웨어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라이선스 호환성 및 범람 문제가 존재한다.
개인정보처리방침 |
---|
2. 역사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역사는 1960년대 후반,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유럽 평의회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이후 유럽, 미국, 캐나다 등에서 관련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2. 1. 초기 논의
1968년 유럽평의회는 컴퓨터 기술 발전에 따른 인권 침해 가능성을 인식하고 관련 연구를 시작하였다. 1969년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개인정보의 국가 간 이동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64][5] 이러한 움직임은 유럽평의회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추천하도록 이끌었고, 1981년 개인 정보의 자동 처리에 관한 개인의 보호에 관한 협약(협약 제108호)이 도입되었다. 세계 최초로 입법화된 개인정보보호법은 1973년 스웨덴 데이터 법이며, 1977년 서독의 데이터 보호법, 1978년 프랑스의 정보, 데이터 뱅크, 자유에 관한 법률이 뒤따랐다.[5]2. 2. 국제 협약 및 법률 제정
1973년, 세계 최초로 스웨덴 데이터 법이 제정되었다.[64][5] 1977년에는 서독에서 데이터 보호법이, 1978년에는 프랑스에서 정보, 데이터 뱅크, 자유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64][5] 1981년, 유럽평의회는 개인정보의 자동적 처리에 관한 개인의 보호에 관한 협약(협약 제108호)을 채택했다.[64][5]2. 3. 미국
미국에서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부터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대한 우려가 공정 신용 보고법의 통과로 이어졌다. 이 법은 개인 정보 보호 법으로 설계되지는 않았지만, 소비자에게 자신의 신용 파일을 검토하고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신용 기록의 정보 사용에 대한 제한을 두었다.[5] 1960년대 후반에 여러 의회 연구 그룹은 자동화된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정보와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조사했다. 그러한 그룹 중 하나는 미국 보건복지부의 자문 위원회였으며, 1973년에는 공정 정보 관행이라는 원칙 강령을 작성했다. 이 자문 위원회의 작업은 1974년의 개인 정보 보호법으로 이어졌다. 미국은 1980년에 경제 협력 개발 기구 가이드라인에 서명했다.[5]2. 4. 캐나다
1977년 캐나다 인권법에 따라 캐나다 개인 정보 보호 위원이 설립되었다. 1982년, 개인 정보 보호 위원 임명은 새로운 개인 정보 보호법의 일부가 되었다. 캐나다는 1984년에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서명했다.[5]3. 공정 정보 관행
유럽 연합(EU)의 데이터 보호법과 미국의 개인 정보 보호법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기준은 EU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EU 시민에 관해 수집된 개인 정보를 이전하는 모든 조직도 충족해야 한다. 2001년 미국 상무부는 옵트인 방식의 안전 항구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조직의 법적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eTRUST가 미국-EU 안전 항구를 준수하도록 간소화하는 것을 인증했다.[1]
3. 1. FTC 공정 정보 관행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공정 정보 원칙을 발표하여 개인 정보 보호 정책 작성 지침을 제공했다. EU의 데이터 보호법과 미국의 개인 정보 보호법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기준은 EU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EU 시민에 관해 수집된 개인 정보를 이전하는 모든 조직도 충족해야 한다. 2001년 미국 상무부는 옵트인 방식의 안전 항구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조직의 법적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eTRUST가 미국-EU 안전 항구를 준수하도록 간소화하는 것을 인증했다.[1]4. 현황 및 법률
1995년 유럽 연합(EU)은 회원국을 위한 데이터 보호 지침[6]을 도입했고, EU 내에서 사업을 하는 많은 조직들이 이를 준수하기 위해 정책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개인 정보의 상업적 사용에 대한 구속력 없는 지침인 공정 정보 원칙[7]을 발표했다.
미국은 개인 정보 처리 방침의 보편적인 시행을 확립하는 특정 연방 규정이 없다. 의회는 온라인 정보 수집을 규제하는 포괄적인 법률을 때때로 고려했지만, 제정된 것은 없다. 2001년, FTC는 산업 자율 규제에 대한 지속적인 집중을 촉진했다.[10]
FTC는 FTC법 제5조에 의해 부여된 권한을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한 약속으로서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의 조항을 시행한다.[11] FTC의 권한은 법적으로 제한되기도 하는데, 항공사는 연방 항공국(FAA)[12], 휴대폰 통신 사업자는 연방 통신 위원회(FCC)[13]의 권한을 받는다.
사적 당사자가 집단 소송을 제기하여 개인 정보 보호 정책 조항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서비스 약관 계약에 포함된 중재 조항으로 인해 선택 사항이 아닌 경우가 많다.[14]
각 국가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다.
4. 1. 유럽 연합 (EU)
사생활 보호권은 유럽에서 매우 발달된 법 분야이다. 유럽 인권 협약 제8조는 사생활 및 가족 생활, 자택 및 통신을 존중할 권리를 규정한다.[30] 1995년, 유럽 연합(EU)은 데이터 보호 지침[6]을 채택하여 EU 내 개인 데이터 처리를 규제했다.1980년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개인 정보 보호 및 국경 간 개인 데이터 흐름에 관한 지침에 관한 이사회의 권고"를 발표했는데,[31] 여기에는 개인 데이터 보호를 위한 7가지 원칙이 포함되어 있었으며,[32] 이는 EU 지침에도 통합되었다.[32]
2018년 5월 25일부터 데이터 보호 지침은 일반 개인정보 보호 규정(GDPR)으로 대체되었다.[35] GDPR은 EU 데이터 주체의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해 더 엄격한 규칙을 부과하며,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만들어야 한다.[35][36] 또한 데이터 관리자는 데이터를 이동 가능하게 하고 특정 상황에서 삭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35][36]
4. 2. 미국
미국은 개인 정보 처리 방침의 보편적 시행을 확립하는 특정 연방 규정은 없지만, 특정 상황에서 개인 정보 처리 방침을 규율하는 몇 가지 연방법이 존재한다.- 어린이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법(COPPA)은 13세 미만의 아동에 대한 정보를 고의로 수집하거나 대상을 하는 웹사이트에 영향을 미친다.[16] 이러한 웹사이트는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게시하고 열거된 정보 공유 제한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17] COPPA에는 산업 자율 규제를 장려하는 "세이프 하버"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18]
- 그람-리치-블라일리 법(GLBA)은 금융 활동에 "상당히 관여"하는[20] 기관에 정보 공유 관행에 대한 "명확하고 눈에 띄며 정확한 진술"을 요구한다. 이 법은 또한 금융 정보의 사용 및 공유를 제한한다.[21]
- 건강 보험 이동성 및 책임에 관한 법(HIPAA) 개인 정보 보호 규칙은 의료 서비스의 개인 정보 보호 관행에 대한 서면 통지를 요구하며, 이 요구 사항은 의료 서비스가 전자적인 경우에도 적용된다.[23]
- [https://oag.ca.gov/privacy/ccpa 캘리포니아 소비자 개인 정보 보호법](CCPA)은 기업이 수집하는 개인 정보에 대해 소비자가 더 많은 통제권을 갖도록 하며, CCPA 규정은 법을 시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24]
- [https://iapp.org/resources/article/the-california-privacy-rights-act-of-2020/ 2020년 캘리포니아 개인 정보 보호 권리 법]](CPRA)은 캘리포니아에서 사업을 하는 대부분의 고용주의 개인 정보 보호 및 정보 보안 의무를 확대한다.[25]
일부 주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대해 보다 엄격한 규정을 시행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의 ''2003년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법 – 사업 및 전문 직업 코드 섹션 22575-22579''는 "웹사이트를 통해 캘리포니아 거주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모든 상업 웹사이트 또는 온라인 서비스가 해당 사이트에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눈에 띄게 게시"하도록 요구한다.[26] 네브래스카와 펜실베이니아는 웹사이트에 게시된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진술을 기만적이거나 사기적인 사업 관행으로 취급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27]
4. 3. 캐나다
개인 정보 보호 및 전자 문서법(PIPEDA)은 캐나다의 민간 부문에 적용되는 연방 개인 정보 보호법으로, 상업 기관의 개인 정보 수집, 사용 및 공개를 규율한다. 이 법은 합리적인 사람이 상황에 적절하다고 간주할 정도의 정보 수집, 공개 및 사용을 허용한다.[28]이 법은 캐나다 개인 정보 보호 위원을 기관에 제기된 모든 불만을 처리하는 옴부즈맨으로 지정한다. 위원회는 강압적인 시행보다는 자발적인 준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며, 불만 조사, 감사 실시, 개인 정보 보호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연구를 수행한다.[29]
4. 4. 호주
개인정보 보호법 1988은 호주에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법적 틀을 제공한다.[37] 여기에는 여러 국가 개인 정보 보호 원칙이 포함되어 있다.[38]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13가지 개인 정보 보호 원칙이 있으며,[39] 개인 정보의 수집, 사용 및 공개를 감독하고 규제하며, 위반 시 책임자를 정하고, 개인의 정보 접근 권한을 보장한다.[39]4. 5. 인도
2000년 정보 기술법에 상당한 변경을 가한 2008년 정보 기술(수정) 법은 제43A조를 도입했다. 이 조항은 기업이 합리적인 보안 관행 및 절차를 구현하고 유지하는 데 부주의하여 타인에게 부당한 손실 또는 부당한 이익을 발생시킨 경우 보상을 제공하도록 규정한다. 이는 기업이 소유, 관리 또는 운영하는 컴퓨터 자원에 민감한 개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소유, 처리 또는 취급하는 경우에 적용된다.2011년, 인도 정부는 2011년 정보 기술(합리적인 보안 관행 및 절차, 민감한 개인 데이터 또는 정보) 규칙[40][41]을 규정했다. 이 규칙은 기업이 민감한 개인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한 개인 정보의 취급 또는 처리에 대한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제공하도록 요구한다.[42]
이러한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은 규칙에 따라 다음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내용 |
---|
해당 관행 및 정책에 대한 명확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진술 |
수집된 개인 또는 민감한 개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유형 |
해당 정보의 수집 및 사용 목적 |
민감한 개인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한 정보 공개 |
합리적인 보안 관행 및 절차 |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은 기업의 웹사이트에 게시되어야 하며, 적법한 계약에 따라 개인 정보를 제공한 정보 제공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온라인 개인정보 인증 프로그램
온라인 인증 또는 "씰" 프로그램은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대한 업계 자율 규제의 한 예시이다. 씰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인증 프로그램에서 결정한 공정한 정보 관행의 구현을 요구하며, 지속적인 준수 모니터링을 요구할 수 있다.[44] 최초의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 씰 프로그램인 트러스트아크(TRUSTArc) 외에도 [46]가 있었다.
5. 1. 주요 프로그램
트러스트아크(TRUSTArc)(구 TRUSTe)는 2007년까지 1,8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했다.[44] 다른 온라인 씰 프로그램으로는 트러스트 가드 프라이버시 베리파이드(Trust Guard Privacy Verified) 프로그램,[45] Webtrust가 있다.[47]6. 기술적 구현
일부 웹사이트는 P3P 또는 인터넷 내용 등급 협회(ICRA)를 사용하여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정의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브라우저는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자동으로 평가하고, 사이트의 개인정보 처리 방침이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설정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해결책은 웹사이트가 실제로 주장하는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준수한다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는다.[48] 이러한 구현은 사용자가 자체 브라우저 개인 정보 설정을 구성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술 지식을 갖추도록 요구한다.[49] 이러한 자동화된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웹사이트와 사용자 모두에게 인기를 얻지 못했다.[49] Jøsang, Fritsch 및 Mahler는 개별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해석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책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하고 인증된 정책을 제안했다.[50]
7. 비판
인터넷에서 발견되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의 효능과 정당성에 대해 많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가 규제하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의 효과성에 대한 우려, 소비자들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 그리고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정확성 부족 등이 주요 비판점으로 지적된다.[51]
7. 1. 실효성 문제
업계에서 규제하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의 효과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많은 기관이 자체적으로 정책 조항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명시적으로 보유하고 있다.[51] 2009년 6월, EFF 웹사이트 TOSback은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포함하여 56개의 인기 인터넷 서비스의 이러한 변경 사항을 추적하기 시작했다.[51]7. 2. 이해 및 인식 부족
소비자들은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개인정보처리방침이 소비자들이 더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스탠퍼드 설득 기술 연구소(Stanford Persuasive Technology Lab)의 2002년 보고서에서는 소비자가 웹사이트의 신뢰성을 평가할 때, 웹사이트의 시각적 디자인이 웹사이트의 개인정보처리방침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52] 카네기 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의 2007년 연구에서는 "중요한 개인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때..." 소비자는 "…해당 사이트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관계없이 가장 저렴한 가격의 판매자로부터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53] 그러나 같은 연구에서는 개인정보 관행에 대한 정보가 명확하게 제시될 때 소비자는 개인정보를 더 잘 보호하는 소매업체를 선호하며 일부는 "더 개인정보 보호적인 웹사이트에서 구매하기 위해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또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의 2007년 연구에서는 "사이트에 개인정보처리방침이 있는 한, 제3자와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75%"라는 사실을 발견하여,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존재와 광범위한 개인정보 보호를 혼동하고 있음을 밝혔다.[54] 이러한 오해의 일반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연구원 조셉 투로우(Joseph Turow)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에 "개인정보처리방침"이라는 용어가 기만적인 상거래 관행을 구성하므로 "귀하의 정보를 어떻게 사용합니까?"와 같은 대체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5]
개인정보 보호 리더십 이니셔티브(Privacy Leadership Initiative)의 2001년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3%만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주의 깊게 읽고, 64%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대충 훑어보거나 전혀 읽지 않았다.[56] 평균적인 웹사이트 사용자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한 번 읽고 나면 그전보다 웹사이트의 신뢰성에 대해 더 많은 불확실성을 가질 수 있다.[57][58] 이러한 문제의 한 가지 가능한 원인은 정책의 길이와 복잡성이다. 카네기 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의 2008년 연구에 따르면, 개인정보처리방침의 평균 길이는 2,500단어이며 읽는 데 평균 10분이 걸린다. 이 연구에서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읽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그 결과 "자주 읽지 않는다"고 언급했다.[59]
7. 3. 투명성 부족
데이터 사용 명세서와 비교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일반적으로 정확성이 부족하다.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데이터 수집 및 사용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개요를 제공하는 데 그쳐, 투명성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55] 개인정보처리방침 간소화는 정보의 과도한 단순화를 초래해 정보 공유 및 판매 정도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투명성 역설'을 야기할 수 있다.[60]참조
[1]
서적
Proceedings of the 2012 ACM workshop on Privacy in the electronic society
2012-10
[2]
간행물
New Privacy Legislation
Beyond Numbers
2011-10-27
[3]
간행물
The Long-Term Risk Effects of the Gramm-Leach-Bliley Act (GLBA) on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http://dx.doi.org/10[...]
Emerald (MCB UP )
2021-09-03
[4]
웹사이트
Privacy Policy
http://www.businessd[...]
2011-10-23
[5]
서적
Who Knows: Safeguarding Your Privacy in A Networked World
Random House of Canada
[6]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Data Protection Directive
http://ec.europa.eu/[...]
[7]
웹사이트
U.S. Federal Trade Commission Fair Information Practice Principles
http://www.ftc.gov/r[...]
FTC.gov
[8]
웹사이트
HR 237 IH, The Consumer Internet Privacy Enhancement Act, as Introduced in House, 107th Congress
http://thomas.loc.go[...]
Loc.gov.
[9]
웹사이트
HR 89 IH, Online Privacy Protection Act of 2001, as Introduced in House, 107th Congress
http://thomas.loc.go[...]
Loc.gov
[10]
뉴스
FTC drops the Call for New Internet Privacy Laws
http://www.sfgate.co[...]
SFGate
2001-10-05
[11]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15 U.S.C. §§ 41-58
http://www.ftc.gov/p[...]
FTC.gov
[12]
웹사이트
Air Travel Privacy
http://epic.org/priv[...]
[13]
웹사이트
Cracking Down: FCC Initiates Enforcement Action Against Hundreds of Telecommunications Carriers For Failing to Certify Compliance With Customer Privacy Rules
http://www.securityp[...]
Security, Privacy and the Law, Foley Hoag, LLP
2009-05
[14]
서적
The Privacy Fallacy: Harm and Power in the Information Econom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The 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Act
http://www.ftc.gov/o[...]
FTC.gov
[16]
웹사이트
COPPA Safe Harbors discussed, Cybertelecom Federal Internet Law & Policy – an Educational Project
http://www.cybertele[...]
Krohn & Moss Consumer Law Center
[17]
웹사이트
Discussion of compliance with the 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Act, FTC Privacy Initiatives
http://www.ftc.gov/p[...]
FTC.gov
[18]
웹사이트
Data Privacy, A Safe Harbor Approach To Privacy: TRUSTe Recommendations
http://www.cdt.org/p[...]
Center for Democracy and Technology
[19]
웹사이트
Gramm-Leach-Bliley Act
http://thomas.loc.go[...]
Loc.gov
[20]
웹사이트
"The Financial Privacy Requirements of the Gramm-Leach-Bliley Act", FTC Facts for Business"
http://www.ftc.gov/b[...]
FTC.gov
[21]
웹사이트
Information Regarding the Gramm-Leach-Bliley Act of 1999, US. Senate Committee on Banking, Housing, and Urban Affairs
http://banking.senat[...]
[22]
웹사이트
Understanding HIPAA Privacy, HHS.gov Health information privacy
https://www.hhs.gov/[...]
[23]
웹사이트
Notice of HIPAA Privacy Practices. Privacy/ Data Protection Project, Miller School of Medicine Miami University
http://privacy.med.m[...]
[24]
웹사이트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 (CCPA)
https://oag.ca.gov/p[...]
2018-10-15
[25]
웹사이트
The California Privacy Rights Act of 2020
https://iapp.org/res[...]
[26]
웹사이트
Privacy Laws,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Justice
http://oag.ca.gov/pr[...]
[27]
웹사이트
Deceptive Trade Practices
http://www.enotes.co[...]
[28]
웹사이트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Electronic Documents Act
http://laws-lois.jus[...]
2019-06-21
[29]
웹사이트
Nous ne pouvons trouver cette page Web (Erreur 404) – Thème de la facilité d'emploi Web du gouvernement du Canada / We couldn't find that Web page (Error 404) – Government of Canada Web Usability theme
http://www.priv.gc.c[...]
[30]
웹사이트
Guide on Article 8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Right to respect for private and family life
http://globalfreedom[...]
2020-10-25
[31]
웹사이트
OECD Guidelines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ransborder Flows of Personal Data – OECD
http://www.oecd.org/[...]
[32]
논문
Do you Want Milk with those Cookies?: Complying with Safe Harbor Privacy Principles
[33]
웹사이트
Safe Harbor Compliance
http://www.export.go[...]
[34]
웹사이트
10 Jahre Safe Harbor – viele Gründe zum Handeln, kein Grund zum Feiern
https://www.datensch[...]
2015-05-07
[35]
웹사이트
Guide to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Right to be informed
https://ico.org.uk/f[...]
2018-01-19
[36]
뉴스
How Europe's new privacy rule is reshaping the internet
https://www.theverge[...]
2018-05-22
[37]
웹사이트
Privacy Act 1988
http://www.austlii.e[...]
AustLII
2013-06-25
[38]
웹사이트
National Privacy Principles
http://www.oaic.gov.[...]
Office of the Australian Information Commissioner
2013-06-25
[39]
웹사이트
Australian Privacy Principles
https://www.oaic.gov[...]
2020-10-26
[4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4-06-03
[41]
문서
G.S.R. 313(E) dated 11 April 2011
[42]
문서
Rule 4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Reasonable security practices and procedures and sensitive personal data or information) Rules, 2011
[43]
웹사이트
TRUSTe
http://forms.truste.[...]
2009-12-02
[44]
웹사이트
Testimony of Deirdre Mulligan before the Senate Committee on Commerce, Science and Transportation Subcommittee on Communications – Center for Democracy & Technology
http://www.cdt.org/p[...]
1998-09-23
[45]
웹사이트
Privacy Seals & Services by Trust Guard
http://www.trust-gua[...]
[46]
웹사이트
Privacy Certification
http://www.etrust.or[...]
[47]
웹사이트
WebTrust seal program
https://www.cpacanad[...]
2019-08-20
[48]
Webarchive
The Platform for Privacy Preferences Project (P3P)
http://www.softsteel[...]
[49]
Webarchive
2006 Privacy Policy Trends Report
http://www.chariotsf[...]
2007-01
[50]
서적
Trust, Privacy and Security in Digital Busines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
[51]
뉴스
EFF tracking policy changes at Google, Facebook and others
http://news.cnet.com[...]
Cnet Digital News
2009-06
[52]
문서
'How Do People Evaluate a Web Site''s Credibility? (abstract)'
http://www.consumerw[...]
BJ, Stanford Persuasive Technology Lab
2002-11
[53]
문서
'The Effect of Online Privacy Information on Purchasing Behavior: An Experimental Study'
http://weis2007.econ[...]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07
[54]
Webarchive
Do Consumers Care About Online Privacy?
http://www.grokdotco[...]
Grokdotcom.com
2007-10
[55]
Youtube
How Retailers Track Us
https://think.kera.o[...]
[56]
문서
On My Mind: The Privacy Hoax
http://www.ericgoldm[...]
EricGoldman.org
2002-10
[57]
웹사이트
Online trust and perceived utility for consumers of web privacy statements
http://wbsarchive.fi[...]
wbsarchive.files.wordpress.com
2008-08
[58]
간행물
Online trust and perceived utility for consumers of web privacy statements
https://www.academia[...]
2008-05
[59]
문서
The Cost of Reading Privacy Policies
http://moritzlaw.osu[...]
Aleecia M. McDonald & Lorrie Faith Cranor
2008-07
[60]
문서
“Big Data’s End Run around Anonymity and Consent.” Privacy, Big Data, and the Public G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pp. 44–75
Barocas, Solon, and Helen Nissenbaum
[61]
간행물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Deep Learning Based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Companies' Privacy Policies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9-22
[62]
문서
New Privacy Legislation
McCormick, Michelle
2003
[63]
웹인용
Privacy Policy
http://www.businessd[...]
2011-10-23
[64]
서적
Who Knows: Safeguarding Your Privacy in A Networked World
Random House of cana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