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라이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 라이선스는 저작물의 사용, 수정, 배포를 허용하는 라이선스로, 1970년대 해커 문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오픈 소스 운동 등과 관련하여 발전해 왔다.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자유 콘텐츠 라이선스, 오픈 소스 하드웨어 라이선스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자유의 정도, 콘텐츠 유형, 라이선스 제정 주체에 따라 구분된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라이선스 호환성 및 라이선스 범람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작권 라이선스 - 바이러스성 라이선스
바이러스성 라이선스는 원저작물의 라이선스가 2차적 저작물에도 적용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용어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가 적용된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경우 전체가 동일한 라이선스의 제약을 받게 되는 '전염성'을 가지며, 이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긍정적으로, 독점적인 개발자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상호 운용성, 법적 해석,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 등 다양한 논의를 낳는다. - 저작권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는 창작자가 저작물 이용을 특정 조건하에 허락하는 라이선스 체계로, 저작자표시(BY), 비영리(NC), 변경금지(ND), 동일조건변경허락(SA)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다양한 라이선스를 제공하며, 국제 공통 라이선스로 개발되고 있다. - 오픈 소스 하드웨어 - 슈퍼H
슈퍼H는 히타치에서 개발한 RISC 기반 CPU 코어 제품군으로, 상위 호환성을 갖는 명령어 집합과 높은 코드 밀도를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여러 기기에 탑재되었으나, ARM 아키텍처의 부상으로 개발이 중단된 후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를 통해 라이선스가 제공되고 SH-2 특허 만료 후에는 오픈 소스 구현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 오픈 소스 하드웨어 - 픽스호크
픽스호크는 NuttX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무인항공기의 원격 조정 및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32비트 ARM 아키텍처의 STM32 MCU를 사용하며 리눅스 재단의 드론코드 프로젝트에 채택되었고, 다양한 비행 모드와 오픈 소스 지상관제 프로그램 및 원격조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 이용 약관 - 인터넷 프라이버시
인터넷 프라이버시는 개인 식별 정보의 획득, 공개, 사용을 통제하려는 사용자의 권리 주장으로, IP 주소, 쿠키 등 기술적 요소와 온라인 광고, 사이버 범죄 등 다양한 위협에 대한 보호 노력을 포함하며, 개인 정보 보호 검색 엔진, 브라우저, 법률 및 규정을 통해 보호된다. - 이용 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처리방침은 개인 정보의 수집, 이용, 제공 등에 대한 기업이나 조직의 정책을 명시한 문서로, 컴퓨터 기술 발전과 함께 개인 정보 보호 필요성이 커지면서 각국에서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으나, 효용성과 소비자의 이해도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자유 라이선스 |
---|
2. 역사
"자유 라이선스"라는 용어의 발명과 사용자의 권리에 대한 집중은 1970년대 해커 문화의 공유 전통, 공공 도메인 소프트웨어 생태계, 사회적, 정치적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1980년대부터), 그리고 오픈 소스 운동 (1990년대부터)과 관련이 있다.[1] 이러한 권리는 자유 소프트웨어 정의, 오픈 소스 정의, 데비안 자유 소프트웨어 지침, 자유 문화 작품의 정의, 그리고 오픈 정의에서 다양한 단체와 조직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 대해 성문화되었다.[2] 이러한 정의들은 그 후 저작권을 법적 메커니즘으로 사용하여 라이선스로 변환되었다. 자유/오픈 라이선스에 대한 아이디어는 그 이후 사회의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었다.
오픈 소스, 자유 문화 (자유 및 오픈 소스 운동으로 통합), 반저작권, 위키미디어 재단 프로젝트, 퍼블릭 도메인 옹호 단체 및 해적 정당은 자유 및 오픈 라이선스와 관련이 있다.
2. 1. 한국에서의 자유 라이선스 운동
3.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라고도 하며, 콘텐츠의 사용, 수정 및 공유를 허용하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이다. 이러한 라이선스는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FOSS) 개발을 촉진한다. 지적 재산권 (IP) 법률은 창작물의 수정 및 공유를 제한한다. 자유 및 오픈 소스 라이선스는 이러한 기존의 법적 구조를 역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는 수신자에게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소스 코드를 검토하고, 수정하고, 수정을 배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법률)한다. 이러한 기준은 오픈 소스 정의와 자유 소프트웨어 정의에 요약되어 있다.
1980년 이후, 미국은 소프트웨어를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는 문학 작품으로 취급하기 시작했다. 리처드 스톨만은 독점 소프트웨어의 증가에 대응하여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시작했다. "오픈 소스"라는 용어는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자 브루스 페렌스와 에릭 S. 레이먼드가 설립한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 (OSI)에서 사용되었다. "오픈 소스"는 소프트웨어 자유보다는 오픈 개발 모델의 강점을 강조하는 대체 라벨이다. 용어의 이면의 목표는 다르지만,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는 동일한 유형의 라이선스를 설명한다.
자유 및 오픈 소스 라이선스의 두 가지 주요 범주는 허용적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 카피레프트이다. 둘 다 소프트웨어 변경 및 배포에 대한 권한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귀속 (저작권) 및 소프트웨어 제품 책임의 면책 조항이 필요하다. 허용적 라이선스는 학계에서 나왔다. 카피레프트 라이선스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서 나왔다. 카피레프트 라이선스는 파생 저작물을 소스 코드와 유사한 라이선스로 배포해야 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여러 국가의 법원은 두 유형의 라이선스 조건을 유지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저작권 침해 및 계약 위반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3. 1. 허용적 라이선스 (Permissive License)
3. 2.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Copyleft License)
4. 자유 콘텐츠 라이선스
일반적이고 로열티가 없는 저작권 라이선스는 사용자에게 법적으로 허용되는 것보다 더 많은 종류의 사용을 할 권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오픈 라이선스로 간주된다.[3] 이러한 권한은 사용자에게 무료로 부여된다. 자유 문화 작품의 정의에 의해 정의된 모든 자유 콘텐츠 라이선스는 오픈 콘텐츠 라이선스로 간주된다.
4. 1.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5. 분류
자유 라이선스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자유의 정도에 따른 분류
- * 퍼블릭 도메인 관련 동의
- ** 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저작권자가 저작권을 포기한 경우에 해당한다.
- ** 종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CC0, WTFPL, 유니라이선스, 퍼블릭 도메인 헌정 및 라이선스(PDDL)[8]
- * 퍼미시브 라이선스
- ** 사용자에게 광범위한 자유를 허용한다.
- ** BSD 허가서, MIT 허가서, 모질라 공용 허가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등이 있다.
- * 카피레프트
- ** 파생 저작물도 동일한 라이선스로 배포하도록 요구한다.
-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LGPL, AGP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모질라 공용 허가서, 공동 개발 및 배포 허가서,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프리 아트 라이선스등이 있다.
- * 상업적 사용을 허용하는 라이선스
- ** 아파치 라이선스, BSD 라이선스, MIT 라이선스 등이 있다.
- * 카피레프트 & 특허레프트 라이선스
- ** GNU GPL, LGPL (약한 카피레프트), AGPL (강한 카피레프트)
-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등이 있다.
- 콘텐츠 유형에 따른 분류
- *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권''': 소프트웨어에 특화된 라이선스로, 자유 소프트웨어의 정의에 부합하는 라이선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GPL, LGPL, MIT, BSD 등이 있다.
- * '''자유 콘텐츠 라이선스''':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콘텐츠에 적용되는 라이선스이다. 오픈 콘텐츠 라이선스나 오픈 퍼블리케이션 라이선스 등이 해당된다. 대표적으로 CC BY, CC BY-SA 등이 있으며, 자유 저작물 라이선스로 자유 문화 작품의 정의에 따른다.
- * '''오픈 소스 하드웨어 라이선스''': 하드웨어 설계 및 제조에 사용되는 라이선스이다.
- *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데이터베이스에 특화된 라이선스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v4 및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등이 있다.
- * '''오픈 특허 라이선스''': 특허 기술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용하는 라이선스이다.
- 라이선스 제정 주체에 따른 분류
-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GNU GPL, LGPL, AGPL 등 다양한 라이선스를 개발했다.
- *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는 오픈 소스 정의에 부합하는 라이선스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는 저작물 이용 허락 조건인 CC 라이선스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 * 오픈 데이터 커먼스는 Open Knowledge Foundation에서 개발되었으며,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ODC-ODbL) 등 데이터베이스 관련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 * 유럽 연합은 유럽 연합 공공 라이선스(EUPL)을 개발했다.
- * 마이크로소프트는 공유 소스 라이선스인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Ms-PL)와 마이크로소프트 리시프로컬 라이선스(Ms-RL)를 개발했다.
- 기타 분류
-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 오픈 소스 정의
- * 오픈 콘텐츠
- ** 오픈 콘텐츠 라이선스
- ** 오픈 퍼블리케이션 라이선스
- * 오픈 소스 하드웨어
- * 오픈 데이터베이스
-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v4
- **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 * 오픈 콘텐츠 프로젝트
- * 오픈 데이터 커먼스 (오픈 지식 재단)
- ** 퍼블릭 도메인 헌정 및 라이선스 (PDDL)
- ** 저작자 표시 라이선스 (ODC-By)
- **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ODC-ODbL)
5. 1. 자유의 정도에 따른 분류
자유 라이선스는 자유의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8]- 퍼블릭 도메인 관련 동의
- 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저작권자가 저작권을 포기한 경우에 해당한다.
- 종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CC0, WTFPL, 유니라이선스, 퍼블릭 도메인 헌정 및 라이선스(PDDL)[8]
- 퍼미시브 라이선스
- 사용자에게 광범위한 자유를 허용한다.
- BSD 허가서, MIT 허가서, 모질라 공용 허가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등이 있다.
- 카피레프트
- 파생 저작물도 동일한 라이선스로 배포하도록 요구한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LGPL, AGP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모질라 공용 허가서, 공동 개발 및 배포 허가서,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프리 아트 라이선스등이 있다.
- 상업적 사용을 허용하는 라이선스
- 아파치 라이선스, BSD 라이선스, MIT 라이선스 등이 있다.
- 카피레프트 & 특허레프트 라이선스
- GNU GPL, LGPL (약한 카피레프트), AGPL (강한 카피레프트)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등이 있다.
5. 2. 콘텐츠 유형에 따른 분류
자유 라이선스는 콘텐츠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권: 소프트웨어에 특화된 라이선스로, 자유 소프트웨어의 정의에 부합하는 라이선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GPL, LGPL, MIT, BSD 등이 있다.
- 자유 콘텐츠 라이선스: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콘텐츠에 적용되는 라이선스이다. 오픈 콘텐츠 라이선스나 오픈 퍼블리케이션 라이선스 등이 해당된다. 대표적으로 CC BY, CC BY-SA 등이 있으며, 자유 저작물 라이선스로 자유 문화 작품의 정의에 따른다.
- 오픈 소스 하드웨어 라이선스: 하드웨어 설계 및 제조에 사용되는 라이선스이다.
-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데이터베이스에 특화된 라이선스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v4 및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등이 있다.
- 오픈 특허 라이선스: 특허 기술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용하는 라이선스이다.
5. 3. 라이선스 제정 주체에 따른 분류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GNU GPL, LGPL, AGPL 등 다양한 라이선스를 개발했다.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는 오픈 소스 정의에 부합하는 라이선스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는 저작물 이용 허락 조건인 CC 라이선스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오픈 데이터 커먼스는 Open Knowledge Foundation에서 개발되었으며,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ODC-ODbL) 등 데이터베이스 관련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유럽 연합은 유럽 연합 공공 라이선스(EUPL)을 개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공유 소스 라이선스인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Ms-PL)와 마이크로소프트 리시프로컬 라이선스(Ms-RL)를 개발했다.6. 문제점
자유 라이선스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6. 1. 라이선스 호환성
6. 2. 라이선스 범람
7. 한국의 자유 라이선스 관련 단체 및 기관
8. 관련 법률 및 제도 (대한민국)
9. 국제 협력
참조
[1]
웹사이트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free Software - Two Bits
http://twobits.net/p[...]
Duke University
[2]
웹사이트
Open Definition 2.1
http://opendefinitio[...]
[3]
웹사이트
Logo contest
http://freedomdefine[...]
2006
[4]
웹사이트
PDDL 1.0
http://opendatacommo[...]
[5]
웹사이트
The Open Source Definition
http://opensource.or[...]
[6]
웹인용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free Software - Two Bits
http://twobits.net/p[...]
듀크 대학교
[7]
웹사이트
Open Definition 2.1
http://opendefinitio[...]
[8]
웹사이트
PDDL 1.0
http://opendatacomm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