갸루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갸루게는 일본에서 PC 게임을 중심으로 하는,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와의 연애를 다루는 게임 장르를 의미한다. 갸루게는 일반적으로 성적 묘사가 제한적인 반면, 에로게는 하드코어한 성적 묘사를 포함하며 규제 대상이 된다. 갸루게는 1980년대 후반 액션 게임에서 시작되어 1990년대 육성 시뮬레이션과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발전하며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 후반 갸루게 시장은 정점을 찍었으나, 2000년대 이후 쇠퇴하며, 최근에는 갸루게와 성인 게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갸루게 잡지는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디오 게임 장르 - 오픈 월드
오픈 월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탐험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비선형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디자인이다. - 비디오 게임 장르 - 전쟁 게임
전쟁 게임은 18세기 후반 프로이센의 크리크슈필에서 시작되어 전투나 전쟁을 시뮬레이션하는 게임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군사 목적과 오락 목적, 그리고 현실성과 게임성, 규모, 전장의 안개 등의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제작된다. - 미소녀 게임 - 쿠사리
《쿠사리》는 Leaf의 오사카 개발실에서 제작한 어드벤처 게임으로, 초고속 실험선 바실리스크호의 첫 시험 항해 중 벌어지는 끔찍한 사건들과 그 중심에 있는 키시다 요이치의 음모를 다룬다. - 미소녀 게임 - 센티멘탈 그래피티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이사를 자주 다니며 여러 소녀들과 인연을 맺은 고등학생이 정체불명의 편지를 받고 발신인을 찾아 전국을 여행하는 어드벤처 게임인 《센티멘탈 그래피티》는 플레이어가 소녀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며 호감도와 애절함 수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엔딩을 맞이하는 미디어믹스 작품이다.
갸루게 | |
---|---|
개요 | |
![]() | |
장르 | 미소녀 게임, 어드벤처 게임, 연애 시뮬레이션 |
대상 | 성인 |
플랫폼 | PC PSP PS Vita 안드로이드 |
미디어 | CD-ROM 다운로드 |
입력 방식 |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
개발사 | 일본: 다양한 회사 (아쿠아플러스, 키 (비주얼 아츠), 타입-문 등) 대한민국: 동인 팀 (에르텔, 팀 디.에스.디 등) |
발매일 | 1990년대 중반 ~ 현재 |
특징 | |
시나리오 | 복잡한 설정, 다양한 캐릭터, 선택에 따른 멀티 엔딩 |
캐릭터 디자인 | 매력적인 미소녀 캐릭터 |
게임 시스템 | 어드벤처 파트: 텍스트 읽기, 선택지 선택 육성 파트: 캐릭터 능력치 육성 전투 파트: 미니 게임 형식의 전투 |
사운드 | 캐릭터 보이스, 배경 음악 |
한국 갸루게 | |
역사 | 2000년대 초반부터 동인 팀을 중심으로 제작 시작 |
특징 | 일본 갸루게의 영향을 받았으며, 한국적인 소재와 스토리를 담음 |
대표작 | 에르텔 팀의 《윈디×윈덤》 팀 디.에스.디 팀의 《세 개의 세계》 |
관련 용어 | |
비주얼 노벨 |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의 한 종류 |
에로게 | 성인 등급의 미소녀 게임 |
동인 게임 | 아마추어 개발자들이 제작하는 게임 |
모에 | 특정 캐릭터에 대한 애정을 나타내는 일본어 표현 |
2. 갸루게의 정의 및 구분
컴퓨터 게임 기술 발전에 따라 게임 내 캐릭터 표현력이 높아지면서, 매력적인 여성이 등장하는 이른바 '갸루게'가 등장하였다. 갸루게는 주로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이나 어드벤처 게임(특히 비주얼 노벨)을 가리킨다.
하지만 갸루게와 비(非) 갸루게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은하 아가씨 전설 유나』와 같이 '갸루게'라는 단어가 일반화되지 않았던 시기에 발매된 게임도 갸루게로 분류되기도 한다.[1][2]
갸루게와 에로게의 구분은 성적 묘사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갸루게는 소프린 심사를 거쳐 '일반 소프트 작품'으로 인정된 것을 지칭하지만,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레이팅 기구(CERO) 심사를 거쳐 발매된 실적은 없다. 반면 에로게는 하드코어 수준의 성적 묘사를 포함하여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 등에 의해 규제 대상이 된다.
1992년 동급생 이후, 성인 게임에서도 가상 연애를 다루는 작품이 주류가 되면서 성 묘사가 적어지고 여성 캐릭터와의 연애 과정을 다루는 게임이 많아졌다. 이로 인해 성인 게임 원작의 콘솔 게임 이식이 증가했고, 울보 게임의 등장으로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었다.
최근에는 갸루게와 성인 게임의 중간 지대에 속하는 작품도 발매되면서 양자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지고 있다.[13]
2. 1. 갸루게
컴퓨터 게임 기술 발전에 따라,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를 내세운 게임들이 등장했는데 이를 갸루게라고 한다. 갸루게는 주로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이나 어드벤처 게임, 특히 비주얼 노벨을 가리킨다. 2000년대 후반 이후 유행하는 칸코레, 아이마스 등 연애 요소가 없는 애니메이션풍 여성 캐릭터 게임은 갸루게라고 부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비슷한 개념으로 미소녀 게임(갸루게와 성인 게임을 합친 개념), 모에 게임이 있지만, 남성향 연애 게임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갸루게는 캐릭터 게임이라고도 불리지만, 캐릭터 게임은 보통 만화나 애니메이션 같은 판권 캐릭터를 사용한 게임을 가리킨다. 갸루게와 아닌 것의 경계는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1][2]
"갸루게"는 "에로게"(성인 게임)와 비슷하게 여겨지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갸루게
: PC 게임의 경우, 소프린 심사를 통해 "일반 소프트 작품"으로 인정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레이팅 기구(CERO) 심사를 거쳐 발매된 실적은 없다.
: 가정용 게임은 대부분 CERO 심사를 받고, 대상 연령 및 콘텐츠 아이콘을 표시한다. 2013년 2월 기준으로, "연애·섹슈얼" 아이콘이 표시되면 대부분 "D 17세 이상 대상"으로 지정되지만, "Z 18세 이상만 대상"과는 달리 구매 규제 대상은 아니다. Steam 등 일부 판매점에서는 자체 판매 구분을 적용하여 일반 작품도 18세 미만에게 판매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2008년 이전에는 "C 15세 이상 대상"이나 "B 12세 이상 대상"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 CERO 심사 기준은 직접적인 성 묘사를 금지하므로 성 표현으로 "Z" 등급이 되는 경우는 드물고, "Z" 등급은 주로 폭력 표현 때문이다.
: 국제 연령 평가 연합 심사 기준은 가벼운 성적 묘사에 관대하여, "18+"나 "16+"로 구분되는 경우는 드물다.
; 에로게
: 하드코어 성 묘사를 포함하여,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 윤리 기구나 콘텐츠·소프트 협동 조합(CSA)의 레이팅 심사 결과에 따라 규제 대상이 된다. 소프린 지정에서는 '''R 지정'''(15세 금지)도 포함된다.
: 게임에 따라 잔혹한 살상, 범죄(특히 강간, 강제 추행 등 성범죄) 묘사가 있을 수 있다. 1986년에는 "177"이 여성 강간 설정으로 문제가 되어 국회에서 거론되었다.[3] 1991년에는 소프트의 과격함이 심해져 절도 사건으로 이어지자, 제조사가 "음란물 진열 판매"로 적발되기도 했다.[4]
: 에로게는 갸루게와 달리 남성 간 동성애를 묘사하는 작품(보이즈 러브 게임)도 포함한다.
: 소프린 윤리 규정에 따라, 성교하는 인물은 모두 18세 이상이거나 18세 미만 캐릭터는 등장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강조하거나,[6] 연령 특정 묘사를 피한다.[5]
: 공략 대상이 학생인 경우, 연령 언급을 피하기 위해 "〜고등학교 → '''〜학원'''·'''〜대학'''"[7], "여'''고'''생 → 여'''교'''생" 등 애매한 표현을 쓰기도 한다. 프리터, 교사 등 직업 설정은 대부분 18세~20대 이상으로 인식되어 언급되지 않는다.
: CSA나 모바게 윤리 규정에는 등장인물 연령 제한이 없어 예외이다.
성 묘사가 적은 성인 게임이나, 성 묘사에 가까운 표현이 있는 갸루게(일반 게임 포함)도 있어 경계가 모호하다.
한국에서는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등급 분류를 받는다.
2. 2. 에로게 (성인 게임)
에로게는 하드코어 수준의 성적 묘사를 포함하여,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와 소프린, 콘텐츠·소프트 협동 조합(CSA) 등의 심사 결과에 따라 규제 대상이 된다.[5] 성 묘사 외에 잔혹한 살상, 성범죄 등 범죄 묘사도 포함될 수 있다.[3][4]소프린 윤리 규정에 따르면, 공략 대상 인물 연령은 "성교하는 인물은 모두 18세 이상" 또는 "본 게임에 18세 미만 캐릭터는 등장하지 않는다"라는 규칙을 강조[6]하거나, 연령 특정 묘사를 피한다. 그래서 공략 대상이 학생이면 "〜고등학교 → '''〜학원'''·'''〜대학'''[7]", "여'''고'''생 → 여'''교'''생" 등 모호한 표현으로 대체한다.
그러나 성 묘사가 적은 성인 게임, 성 묘사에 가까운 표현이 있는 갸루게(일반 게임 포함)도 있어, 양쪽 구분 경계는 모호하다. 최근에는 갸루게와 성인 게임 중간 지대 작품도 발매되어 경계가 더 모호해지고 있다.[13]
한국에서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에로게 유통이 불법 정보로 규정되어 금지된다.
3. 갸루게의 역사
컴퓨터 게임 기술이 발전하면서 게임 속 여성 캐릭터의 표현력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매력적인 여성이 등장하거나 플레이어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게임들이 등장했는데, 이를 '''갸루게'''라고 부른다. 갸루게는 주로 연애를 다룬 시뮬레이션 게임이나 어드벤처 게임(특히 비주얼 노벨)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갸루게와 비슷한 개념으로는 미소녀 게임(갸루게와 성인 게임을 포함), '''모에 게임''' 등이 있으며, 남성향 연애 게임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갸루게는 캐릭터 게임이라고도 불리지만, 캐릭터 게임은 보통 만화나 애니메이션 같은 판권 작품의 캐릭터를 사용한 게임을 가리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1990년대 후반 무렵 갸루게는 정점을 맞이했다. 이후 NEC 인터채널, KID, 휴넥스 등의 제작사가 가정용 게임 오리지널 작품, 성인 게임 이식작 등 다양한 갸루게를 꾸준히 출시했다.
1992년 동급생(엘프) 이후, 성인 게임에서도 가상 연애를 다루는 작품이 주류가 되었다. 이러한 성인 게임들은 성 묘사보다는 여성 캐릭터와의 연애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성 묘사를 삭제해도 게임의 মূল 흐름을 크게 해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성인 게임 원작의 콘솔 게임 이식작 갸루게가 증가했다.
사회 정세 변화에 따른 CERO 심사 기준 개정, 벡터가 운영하는 성인 게임 중심 정보 사이트 "Galge.com"(갸루게 닷컴) 명칭 사용 등 갸루게와 성인 게임의 구별은 점차 모호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갸루게와 성인 게임의 중간 지점에 있는 작품도 출시되면서 경계가 더욱 불분명해지고 있다.[13]
3. 1. 초기 (1980년대)
초기에는 PC-8800 등 게임기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고가의 컴퓨터가 에로게를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EMMYⅡ』 등 18세~22세 전후의 여성 캐릭터를 꼬시는 내용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로 변화하면서, 비정상적인 것은 줄어들고 『아테나』나 『몽환전사 바리스』 등 아케이드에서도 갸루를 주인공으로 한 게임이 늘어났다.[3]최초의 갸루게는 1986년 발매된 『몽환전사 바리스』(일본 텔레넷)이라고 전해진다.[8]
3. 2. 발전기 (1990년대)
1989년, 절묘한 게임 밸런스를 가진 『드래곤 나이트』가 발매되면서 갸루게 장르가 다시 부활했다. 이 게임은 주인공이 적에게 잡힌 갸루를 구출하는 등 RPG의 왕도적인 설정을 가진 시나리오를 선보였다.[4]"갸루게"라는 단어가 게임 잡지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패미콤 통신』 1992년 3월 27일호의 특집 기사였다. 이 특집에서는 『바리스』를 비롯한 횡스크롤 액션 게임을 주로 다루었다. 이와 거의 동시에 PC 게임에서는 『프린세스 메이커』나 『졸업 ~Graduation~』과 같은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 등장했다.
1992년, PC 게임 업계에서는 18금 갸루게와 그렇지 않은 갸루게가 나뉘었고, 소프트웨어 제작사 측에서 규제 기준을 확립했다.[4]
1993년에는 PC용 성인 게임 CD-ROM이 증가했고, 가정용 게임기에서도 PC 엔진은 갸루게를 비교적 많이 발매하기 시작했다. 이는 CG와 음성이라는 갸루게에게 중요한 요소를 기록하는 데 CD-ROM이 적합했기 때문이다.[4] 같은 해 7월, PC판과 같은 이름의 『졸업 그래듀에이션』이 PC 엔진으로 이식되어 시뮬레이션 타입을 기반으로 한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고, 다른 게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10]
1994년에는 남성향 일반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의 선구자가 되는 『두근두근 메모리얼』이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갸루게 제작사가 아닌 대형 제작사가 개발·발매한 독자적인 타이틀로서 큰 화제를 모았고, 이 장르가 일정한 지위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매력적인 여성이 등장하는 게임은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이 발매되었고, 갸루게라는 용어는 이러한 장르의 게임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1994년 말에는 제5세대 게임기가 발매되면서 게임 소프트웨어 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제작사가 다수 나타났다. 갸루게의 수가 특히 늘어난 것도 이 시기로, 다수의 갸루게가 발매되었다. 세가의 『사쿠라 대전』 시리즈나 파이오니아 LDC의 『NOëL』 시리즈, NEC 인터채널의 『센티멘탈 그래프티』 등이 대표적이다.
1990년대 중반~후반, 세가 새턴에서는 CERO 레이팅 전부터 "X 지정" 및 "연령 제한(권장 연령 18세 이상)" 등 독자적인 레이팅을 설정하여 성인 제작사도 참여하게 되었다. 『노노무라 병원의 사람들』, 『EVE burst error』, 『하급생』 등 성인 게임을 이식하여 20~30만 개의 판매량을 기록한 작품이 다수 등장했다. 당시 PlayStation에서는 성적 표현이 SONY의 의향으로 엄격하게 제한되었기 때문에, 성인 게임 이식작 중 세가 새턴만큼의 히트작은 적었지만, PlayStation 독자 타이틀인 『NOëL』 시리즈나 아틀리에 시리즈, 야루도라 시리즈, 『트루 러브 스토리』는 10만 개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3. 3. 성숙기 및 변화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전후, 갸루게는 성인 게임의 잎 키(Leaf, Key) 열풍과 함께 일정한 시장 규모를 유지했다. PS3 발매 이후, NEC 인터채널의 갸루게 출시 중단, KID의 도산 등 2000년대 후반부터 기존 갸루게는 쇠퇴하기 시작했다.[4]최근에는 연애 요소가 없는, 애니메이션풍 여성 캐릭터를 내세운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칸코레, 아이마스, 동방 프로젝트, 러브 라이브!,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벽람항로, 우마무스메 등)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게임들은 갸루게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미소녀 게임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4. 갸루게와 성인 게임
1992년 엘프의 동급생 이후, 성인 게임에서도 가상 연애를 다루는 작품이 주류가 되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기존의 성인 게임에 비해 성 묘사가 적었고, 여성 캐릭터와의 연애 관계를 맺기까지의 과정을 주로 다루었다.[13] 이는 성 묘사를 삭제해도 게임의 핵심 재미를 크게 해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고, 성인 게임을 원작으로 하는 콘솔 게임 이식작(갸루게)이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3] 특히, 성 묘사보다는 감동적인 스토리를 중시하는 이른바 울보 게임이 인기를 얻으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해졌다.
CERO 심사 기준의 변화, 벡터가 운영하는 성인 게임 중심의 정보 사이트 "Galge.com"(갸루게 닷컴)의 명칭 사용 등으로 인해, 갸루게와 성인 게임의 구분은 점차 모호해지고 있다.[13]
최근에는 갸루게와 성인 게임의 중간 지대에 있는 작품도 출시되면서, 갸루게와 성인 게임의 경계는 더욱 불분명해지고 있다.[13]
5. 여성 캐릭터의 전형적인 속성
하렘물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는 한 명의 남성 캐릭터(대부분 주인공)에게 여러 여성 캐릭터가 특별한 감정을 품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갸루게에서 여성 히로인의 전형적인 속성은 하렘물 만화, 애니메이션의 그것과 유사한 경우가 많다.[14]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캐릭터의 패턴을 게임에 응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게임에서의 전형적인 속성이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오타쿠 등 구매력이 있는 사용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유명한 일러스트레이터나 만화가에게 캐릭터 디자인을 의뢰하기도 한다.[14]
현실에서는 실현이 어렵지만 일종의 이상을 실현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이성으로부터의 인기를 누리거나, 현실과 동떨어진 체형, 머리 모양, 얼굴 등 비현실적이지만 매력을 가진 여성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로봇, 안드로이드 등 "사람이 사람을 닮게 만든 인공물형" 여성 캐릭터는 SF적 요소가 있는 이야기에서 히로인으로 자주 등장하며, 제조 목적상 다른 사람에게 우호적으로 대하는 경우가 많다. 천사, 요정, 여신 등 "사람과는 다른 종족으로 존재하는 지적 생명체" 또한 히로인으로 등장하는데, 이들은 분방하고 사람과 대등하거나 내려다보는 캐릭터가 많다.[14]
초창기 갸루게에서는 갸루가 한 명만 등장했다. 그러나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 한 개의 소프트웨어에 안경이나 숏컷 등 여러 특징을 가진 갸루가 등장하게 되었다.[15]
6. 갸루게 잡지
간행 중인 잡지나 휴·폐간된 잡지 외에도, 단발성이거나 몇 호만 나온 잡지도 있었다. "갸루게"에 대항하여 "히로인 게임"이라는 호칭을 정착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전혀 정착되지 않았다.
6. 1. 간행 중
- 컴프티크(KADOKAWA・카도카와 쇼텐)
- 패미통 캐릭터즈 DVD (KADOKAWA・엔터브레인→KADOKAWA Game Linkage)
6. 2. 휴·폐간
- Virtual IDOL(토쿠마 서점 인터미디어)
- * 갸루게 잡지의 "시초"라고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 Game Fan(마이니치 커뮤니케이션즈)
- 프리티 팬(신세이샤)
- * 『게이메스트 EX』에서 파생되었다. 1997년 4월~8월에 총 5호가 간행되었다.
- DearMy... (엔터브레인) ※『매직 큐』에 흡수
- * 『DearMy...』의 전신은 1995년과 1997년에 1권씩 간행된 『패미통』의 증간인 『패미통 Sister.』이다.
- RASPBERRY (소프트뱅크 퍼블리싱)
- 전격 G's magazine(KADOKAWA・아스키 미디어 웍스)
- * 전신은 『전격 PC 엔진』→『전격 G's 엔진』→『전격 G's 매거진』이다. PC 엔진, PC-FX 전문지에서 갸루게 전문지를 거쳐 애니메이션 미소녀 계열 미디어 믹스 전문지가 되었다. 말기에는 2009년부터 이어지는 간판독자 참여 기획인 『러브라이브! 시리즈』의 전문지에 가까운 상태였으며, 2022년 9월을 기점으로 잡지로서의 간행을 종료하고, 증간으로 간행된 동 시리즈 완전 전문지인 『LoveLive!Days』에 역통합된 후, 주잡지 코드도 변경되었다. 편집부는 존속한 채 잡지 공식 사이트는 명칭 그대로 동 시리즈를 중심으로 한 애니메이션 미소녀 계열 미디어 믹스 전문 넷 뉴스 사이트로 전환되었다.
그 외, 단발 또는 몇 호만 나온 것에는 다음 각 잡지가 있다. "갸루게"에 대항하여 "히로인 게임"이라는 호칭을 정착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전혀 정착되지 않은 듯하다.
참조
[1]
웹사이트
PC Engine Best Collection 銀河お嬢様伝説コレクション
https://www.jp.plays[...]
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15-11-28
[2]
웹사이트
『PCエンジン ベスト コレクション 銀河お嬢様伝説コレクション』名作美少女ゲームがひとつに
https://www.famitsu.[...]
KADOKAWA Game Linkage
2015-11-28
[3]
서적
週刊ファミコン通信 no.302
株式会社アスキー
1994-09-30
[4]
서적
週刊ファミコン通信 no.302
株式会社アスキー
1994-09-30
[5]
웹사이트
倫理規程
http://www.sofurin.o[...]
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倫理機構
2020-01-14
[6]
문서
[7]
문서
[8]
블로그
[9]
문서
[10]
서적
ファミ通 No.622
株式会社エンターブレイン
2000-11-17
[11]
간행물
[12]
서적
週刊ファミコン通信 No.344
株式会社アスキー
1995-07-21
[13]
문서
[14]
서적
ファミ通 No.790
エンターブレイン
2004-02-06
[15]
서적
週刊ファミコン通信 no.344
株式会社アスキー
1995-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