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정규 그래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리 정규 그래프는 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는 그래프의 한 종류이다. 그래프의 지름 d에 대해, 모든 거리 j (1 ≤ j ≤ d)에 있는 두 정점 u, v에 대해, v와의 거리가 j+1인 u의 이웃이 b_j개이고, v와의 거리가 j-1인 u의 이웃이 c_j개인 정수 배열 {b_0, b_1, ..., b_{d-1}; c_1, ..., c_d}가 존재하면, 해당 그래프는 거리 정규 그래프이다. 이 정수 배열을 교차 배열이라고 하며, 그래프의 교차수 a_j, b_j, c_j는 a_j + b_j + c_j = k를 만족한다. 거리 정규 그래프는 교차 배열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을 가지며, 완전 그래프, 순환 그래프, 홀 그래프 등이 예시로 존재한다. 3차 거리 정규 그래프는 완전히 분류되어 있으며, 13개의 고유한 그래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적 그래프 이론 - 중심성
중심성은 그래프 이론에서 네트워크 내 노드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차수 중심성, 근접 중심성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네트워크 흐름, 워크 구조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 대수적 그래프 이론 - 대칭 그래프
대칭 그래프는 그래프 이론에서 그래프의 구조적 규칙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정점과 간선의 연결 관계가 균일하며 사이클 그래프, 완전 그래프, 하이퍼큐브 그래프 등의 예시가 있고, 네트워크 분석, 암호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정규 그래프 - 페일리 그래프
페일리 그래프는 유한체와 제곱수를 기반으로 구성되며, 강하게 정규적이고 자기 여 그래프이며 해밀턴 순환 그래프이다. - 정규 그래프 - 완전 그래프
완전 그래프는 그래프 내 모든 꼭짓점 쌍이 변으로 연결된 그래프로, 꼭짓점 수 n에 따라 Kn으로 표기되며 n(n-1)/2개의 변을 가지고, 사회 연결망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그래프족 - 척도 없는 네트워크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과학에서 연결 정도 분포가 멱법칙을 따르는, 즉 일부 허브 노드가 압도적으로 많은 연결을 가지는 불균등한 연결 구조를 가진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바라바시-앨버트 모델로 설명된다. - 그래프족 - 정규 그래프
정규 그래프는 그래프 이론에서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동일한 그래프를 의미하며, 각 꼭짓점이 k개의 변에 잇닿아 있는 그래프를 k-정규 그래프라고 하고, 여러 성질 및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거리 정규 그래프 |
---|
2. 교차 배열
거리 정규 그래프는 교차 배열이라는 정수 배열로 특징지어진다. 동일한 교차 배열을 갖는 두 연결 거리 정규 그래프는 코스펙트럴이다. 이는 두 그래프의 인접 행렬이 동일한 스펙트럼을 가질 때 성립한다.[1]
거리 정규 그래프가 단절 그래프일 필요충분 조건은 코스펙트럴 거리 정규 그래프의 분리 합집합인 경우이다.[1]
2. 1. 정의
직경 인 그래프 에 대해, 정수 배열 이 존재하고, 모든 와 거리가 인 의 꼭짓점 쌍 , 에 대해 와의 거리가 인 의 이웃이 개이고 와의 거리가 인 의 이웃이 개일 때, 는 거리 정규 그래프이다. 거리 정규 그래프를 특징짓는 이 정수 배열을 '''교차 배열'''(intersection array)이라고 한다.거리 정규 그래프의 '''교차 배열'''은 형태의 배열이다. 여기서 는 그래프의 지름이며, 각 에 대해 는 거리 에 있는 의 이웃 중에서 의 이웃의 개수를, 는 거리 에 있는 의 이웃 중에서 의 이웃의 개수를 나타낸다. 이는 와 가 거리 에 있는 임의의 두 정점 쌍에 대해 정의된다. 또한 는 로부터 거리 에 있는 의 이웃의 개수를 나타낸다. 는 그래프의 '''교차수'''라고 불린다. 이들은 라는 식을 만족하며, 여기서 는 임의의 정점의 차수, 즉 이웃의 개수이다.
지름이 인 그래프 가 거리 정규 그래프가 되는 필요충분조건은 위에 언급된 교차 배열을 갖는 것이다.
2. 2. 교차수
는 그래프의 교차수라고 불리며, 이들은 를 만족한다. 여기서 는 정점의 차수이다.[1]2. 3. 공스펙트럼 거리 정규 그래프
동일한 교차 배열을 갖는 두 연결 거리 정규 그래프는 공스펙트럼이다.[1] 거리 정규 그래프의 연결은 공스펙트럼 거리 정규 그래프들의 서로소 합집합인 경우에만 끊어진다.[1]3. 성질
만약 가 교차 배열 를 갖는 차수 의 연결된 거리 정규 그래프라고 가정하자. 각 에 대해, 를 주어진 정점으로부터 거리가 인 정점의 개수로 하고, 를 에서 거리가 인 정점 쌍을 연결하여 형성된 인접 행렬 를 갖는 -정규 그래프로 나타낸다.
3. 1. 그래프 이론적 성질
모든 에 대해 이다. 여기서 는 주어진 정점으로부터 거리가 인 정점의 개수이다.[1]또한, 이고, 이다.[1]
3. 2. 스펙트럼 성질
- 는 개의 서로 다른 고윳값을 갖는다.[1]
- 의 단순 고유값이 인 경우, 이다.[1]
- 가 완전 다분 그래프가 아닐 때, 모든 고윳값 중복도 에 대해 이다.[1]
- 가 완전 다분 그래프가 아닐 때, 모든 고윳값 중복도 에 대해 이다.[1]
- 가 강한 정규 그래프인 경우, 이고 이다.[1]
4. 예

5. 거리-정규 그래프의 분류
주어진 차수 k > 2에 대해, 서로 다른 연결된 거리 정규 그래프는 유한 개만 존재한다.[3][1]
마찬가지로, 완전 다분 그래프를 제외하면 주어진 고유값 중복도 m > 2에 대해, 서로 다른 연결된 거리 정규 그래프는 유한 개만 존재한다.[4][2]
5. 1. 3차 거리 정규 그래프
3차 거리 정규 그래프는 완전히 분류되었다.13개의 고유한 3차 거리 정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K4 (또는 사면체 그래프), K3,3, 페테르센 그래프, 정육면체 그래프, 헤우드 그래프, 파푸스 그래프, 콕서터 그래프, 텃-콕서터 그래프, 정십이면체 그래프, 데자르그 그래프, 텃 12-케이지, 빅스–스미스 그래프, 포스터 그래프.
참조
[1]
논문
There are only finitely many distance-regular graphs of fixed valency greater than two
2015-01-10
[2]
논문
Bounding the diameter of distance-regular graphs
1988-12-01
[3]
논문
There are only finitely many distance-regular graphs of fixed valency greater than two
[4]
논문
Bounding the diameter of distance-regular graph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