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스틴해버 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스틴해버 대수는 정수 등급을 갖는 대수이며, 곱셈과 리 괄호 연산을 포함한다.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는 거스틴해버 대수의 일반화로, 여러 개의 n항 연산을 가지며, A∞-대수와 L∞-대수의 공통적인 일반화로 볼 수 있다.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는 1항 연산인 공경계, 2항 연산인 곱셈과 다른 연산, 그리고 여러 3항 연산을 포함하며, 멱영성, 곱 규칙, 호모토피 결합 법칙 등의 항등식을 만족한다. 거스틴해버 대수는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의 특수한 경우이며,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 등 다양한 예시가 존재한다. 이 개념은 머리 거스틴해버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플렉틱 기하학 - 푸아송 다양체
    푸아송 다양체는 매끄러운 다양체에 푸아송 괄호를 갖춘 구조로, 해밀턴 계의 일반화이며, 텐서장, 리 준대수 등으로 정의되고 물리학, 비가환 기하학 등과 연관된다.
  • 심플렉틱 기하학 - 푸아송 괄호
    푸아송 괄호는 해밀턴 역학에서 일반화 좌표와 운동량으로 표현되는 두 함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산으로, 운동 방정식의 표현을 간결하게 하고 운동 상수 분석에 유용하며 반대칭성, 야코비 항등식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대수 - 미분 등급 대수
    미분 등급 대수는 체 위의 등급 대수와 미분의 순서쌍으로, 대수적 위상수학 및 호모토피 이론에서 활용되며, 등급 대수에 차수, 라이프니츠 규칙, 멱영성을 만족하는 미분을 추가하여 정의됩니다.
  • 대수 - C* 대수
    C* 대수는 복소수 대합 대수와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구조를 결합한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에 따라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선형 연산자 대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함수해석학, 수리물리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이론물리학 - 시공간
    시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4차원 연속체로 통합한 개념으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라 상대적이며, 일반 상대성이론에서는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하고, 현대 물리학과 우주론 연구에 필수적이다.
  • 이론물리학 - 대응원리
    대응 원리는 플랑크 상수가 0에 가까워지는 극한에서 양자역학이 고전역학으로 근사적으로 환원됨을 보이는 원리로서, 초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현대에는 유추적인 역할로 중요성이 감소하였지만,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수학적 대응 관계 연구를 통해 계승되고 있다.
거스틴해버 대수
일반 정보
분야수학, 대수학
정의차등 등급 대수와 리 대수의 호환 가능한 구조를 갖춘 등급 벡터 공간
이름의 유래머리 거스틴해버
관련 개념
관련 분야대수적 위상수학, 변형 이론
관련 개념푸아송 대수, 브라켓

2. 정의

거스틴해버 대수 A는 '''Z'''-등급을 갖는 대수이다. 즉,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A=\bigoplus_{p\in\mathbb Z}(A^p_+\oplus A^p_-)

이 대수 위에는 두 가지 주요 연산이 정의된다. 하나는 등급 0의 (·) 연산이고, 다른 하나는 등급 −1의 리 괄호([, ]) 연산이다. 곱 연산은 초교환 법칙과 결합 법칙을 만족하며, 리 괄호 연산은 특정 반대칭성 규칙(초교환 법칙)과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시킨다. 이 두 연산은 푸아송 항등식이라는 관계식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각 원소는 '''차수'''(등급)라고 불리는 정수 값을 가지며, 이는 연산의 성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론 물리학에서는 이 차수를 '''고스트 넘버'''라고 부르기도 한다.

거스틴해버 대수는 리 괄호의 차수가 통상적인 푸아송 대수와 달리 0이 아닌 −1이라는 점에서 푸아송 슈퍼대수와 구별된다. 모든 연산은 슈퍼대수의 일반적인 부호 규칙을 따른다.

2. 1. 연산

거스틴해버 대수 A\mathbb Z 차수(등급)를 갖는 대수이다.

:A=\bigoplus_{p\in\mathbb Z}(A^p_+\oplus A^p_-)

이 대수 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연산들이 정의된다.

  • '''곱''' (\cdot): 차수 0을 갖는 이항 연산이다.
  • * 결합 법칙: (ab)c = a(bc)
  • * 초교환 법칙: ab = (-1)^

    ba
  • * 차수: |ab| = |a| + |b| (곱 연산은 차수를 더한다)

    • '''리 괄호''' ([,]): 차수 -1을 갖는 이항 연산이다.
    • * 차수: |[a,b]| = |a| + |b| - 1 (리 괄호 연산은 차수를 더하고 1을 뺀다)
    • * 반대칭성 (초교환 법칙): [a,b] = -(-1)^{(|a|-1)(|b|-1)}[b,a]
    • * 야코비 항등식: [a,[b,c]] = a
    • ** 야코비 항등식은 다음과 같은 대칭적인 형태로도 표현할 수 있다.

    (-1)^{(|a|-1)(|c|-1)}[a,[b,c]]+(-1)^{(|b|-1)(|a|-1)}[b,[c,a]]+(-1)^{(|c|-1)(|b|-1)}[c,[a,b]] = 0

    • '''곱과 리 괄호의 관계''' (푸아송 항등식): 곱과 리 괄호는 다음 푸아송 항등식을 만족시킨다.
    • * [a,bc] = [a,b]c + (-1)^{(|a|-1)|b|}b[a,c]


    여기서 |a|는 원소 a의 '''차수'''를 나타내며, 이론 물리학에서는 때때로 '''고스트 넘버'''라고도 불린다. 모든 연산은 일반적인 슈퍼대수의 부호 규칙을 따른다. 거스틴해버 대수는 리 괄호의 차수가 0이 아닌 -1이라는 점에서 푸아송 슈퍼대수와 구별된다.

    2. 2. 항등식

    거스틴해버 대수는 두 개의 곱셈 연산(일반 곱셈 '.' 와 리 괄호 '[, ]')과 '''차수'''(간혹 '''고스트 넘버'''라고도 불림)라고 불리는 '''Z-등급 대수'''를 가진다. 원소 ''a''의 차수는 |''a''|로 표기한다. 이 연산과 차수는 다음 항등식들을 만족시킨다.

    • '''곱셈의 결합 법칙''': (''ab'')''c'' = ''a''(''bc'')
    • '''곱셈의 초교환 법칙 (Supercommutativity)''': ''ab'' = (−1)|''a''||''b''|''ba''
    • '''곱셈의 차수''': |''ab''| = |''a''| + |''b''| (곱셈은 차수 0을 갖는다)
    • '''리 괄호의 차수''': |[''a'',''b'']| = |''a''| + |''b''| − 1 (리 괄호는 차수 −1을 갖는다)
    • '''푸아송 항등식''': [''a'',''bc''] = [''a'',''b'']''c'' + (−1)(|''a''|−1)|''b''|''b''[''a'',''c'']
    • '''리 괄호의 반대칭성 (초교환 법칙)''': [''a'',''b''] = −(−1)(|''a''|−1)(|''b''|−1) [''b'',''a'']
    • '''야코비 항등식''': [''a'',[''b'',''c'']] = ''a''


    야코비 항등식은 다음과 같은 대칭적인 형태로도 표현될 수 있다.

    : ( −1)(|''a''|−1)(|''c''|−1)[''a'',[''b'',''c'']] + (−1)(|''b''|−1)(|''a''|−1)[''b'',[''c'',''a'']] + (−1)(|''c''|−1)(|''b''|−1)[''c'',[''a'',''b'']] = 0.

    거스틴해버 대수는 리 괄호의 차수가 0이 아닌 −1이라는 점에서 푸아송 슈퍼대수와 구별된다.

    3.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homotopy Gerstenhaber algebra영어, G-algebra, braid algebra, 2-algebra)는 거스틴해버 대수의 개념을 호모토피 이론의 관점에서 일반화한 대수 구조이다.[1][2] 이 대수는 \mathbb Z 등급을 가지며, 거스틴해버 대수의 기본적인 연산(곱과 괄호) 외에도 무한히 많은 고차 연산 m_{n_1,\dots,n_k}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고차 연산들은 거스틴해버 대수에서 엄밀하게 성립했던 결합 법칙이나 야코비 항등식과 같은 중요한 대수적 성질들이 정확히 등호(=)로 연결되는 대신, 호모토피적으로, 즉 어떤 '오차 항'을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오차 항들은 미분 연산자(d)와 관련되어 있으며, 대수 구조가 더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구체적인 연산과 항등식의 정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정의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homotopy Gerstenhaber algebra영어, G-algebra, braid algebra, 2-algebra)는 \mathbb Z 등급을 갖는 대수이다.[1][2] 이 위에는 모든

    :n=n_1+\cdots+n_k\qquad(n_i\ge1,k\ge1)

    에 대하여, n항 연산 m_{n_1,\dots,n_k}이 존재하며, 이는 등급 3-n-k을 갖는다.

    처음 몇 연산들은 다음과 같다.

    • 1항 연산은 하나밖에 없으며, 보통 m_1=d로 쓴다. 이는 등급 1의 연산자이며, 공사슬 복합체의 공경계이다.
    • 2항 연산은 두 개가 있다. 보통 m_2=\cdot, m_{1,1}=\circ로 쓴다.
    • 3항 연산은 4개가 있으며, m_{1,1,1}, m_{1,2}, m_{2,1}, m_3이다.


    이들 사이의 처음 몇 개의 항등식들은 다음과 같다.

    • (멱영성) d^2=0
    • (곱 규칙) d(ab)=(da)b+a(db)
    • (호모토피 결합 법칙) a(bc)-(ab)c=m_3(da,b,c)+(-1)^{\deg a}m_3(a,db,c)+(-1)^{\deg a+\deg b}m_3(a,b,dc)
    • (호모토피 교환 법칙) ab-(-1)^{\deg a\deg b}ba=d(a\circ b)-da\circ b-(-1)^{\deg a-1}a\circ db
    • (a\circ b)\circ c-a\circ(b\circ c)+m_{2,1}(a,b;c)-(-1)^{(\deg a-1)(\deg b-1)}m_{2,1}(b,a;c)+(-1)^{(\deg b-1)(\deg c-1)}m_{1,2}(a;c,b)-m_{1,2}(a,b,c)=dm_{1,1,1}(a;b;c)-m_{1,1,1}(da;b;c)-(-1)^{\deg a-1}(a;db;c)-(-1)^{\deg a+\deg b}m_{1,1,1}(a;b;dc)

    3. 2. 주요 연산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homotopy Gerstenhaber algebra영어, G-algebra영어, braid algebra영어, 2-algebra영어)는 \mathbb Z 등급을 갖는 대수이다.[1][2] 이 대수 위에는 모든

    :n=n_1+\cdots+n_k\qquad(n_i\ge1,k\ge1)

    에 대하여, n항 연산 m_{n_1,\dots,n_k}이 존재하며, 이는 등급 3-n-k을 갖는다.

    주요 연산들은 다음과 같다.

    • 1항 연산: 하나만 존재하며, 보통 m_1=d로 표기한다. 이는 등급 1의 연산자이며, 공사슬 복합체의 공경계(coboundary)에 해당한다.
    • 2항 연산: 두 개가 존재하며, 보통 m_2=\cdot (곱)과 m_{1,1}=\circ (원 연산)으로 표기한다.
    • 3항 연산: 네 개가 존재하며, m_{1,1,1}, m_{1,2}, m_{2,1}, m_3이다.


    이 연산들 사이에는 여러 항등식이 성립하며, 그중 기본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다.

    • 멱영성(Nilpotency): d^2=0. 이는 공경계 연산자의 기본적인 성질이다.
    • 곱 규칙(Product rule): d(ab)=(da)b+a(db). 이는 미분 연산자와 유사한 성질을 나타낸다.
    • 호모토피 결합 법칙(Homotopy associativity): a(bc)-(ab)c=m_3(da,b,c)+(-1)^{\deg a}m_3(a,db,c)+(-1)^{\deg a+\deg b}m_3(a,b,dc). 이는 곱셈 연산 \cdot이 엄밀한 의미의 결합 법칙을 만족하지 않고, 호모토피적으로만 만족함을 의미한다.
    • 호모토피 교환 법칙(Homotopy commutativity): ab-(-1)^{\deg a\deg b}ba=d(a\circ b)-da\circ b-(-1)^{\deg a-1}a\circ db. 이는 곱셈 연산 \cdot이 등급을 고려한 교환 법칙을 호모토피적으로 만족함을 의미한다.
    • 고차 항등식: (a\circ b)\circ c-a\circ(b\circ c)+m_{2,1}(a,b;c)-(-1)^{(\deg a-1)(\deg b-1)}m_{2,1}(b,a;c)+(-1)^{(\deg b-1)(\deg c-1)}m_{1,2}(a;c,b)-m_{1,2}(a,b,c)=dm_{1,1,1}(a;b;c)-m_{1,1,1}(da;b;c)-(-1)^{\deg a-1}(a;db;c)-(-1)^{\deg a+\deg b}m_{1,1,1}(a;b;dc). 이는 원 연산 \circ과 다른 연산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나타내는 항등식 중 하나이다.

    3. 3. 항등식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homotopy Gerstenhaber algebra영어, G-algebra, braid algebra, 2-algebra)의 연산들은 여러 항등식을 만족시킨다.[1][2]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에는 \mathbb Z 등급(grade)을 가진 다양한 연산(m_{n_1,\dots,n_k})이 존재하며, 각 연산은 3-n-k (여기서 n=n_1+\cdots+n_k) 등급을 가진다. 낮은 차수의 연산과 이들이 만족하는 기본적인 항등식은 다음과 같다.

    • 1항 연산 (등급 1): m_1=d로 표기하며, 공사슬 복합체의 공경계(coboundary) 연산자와 같다.
    • 2항 연산 (등급 0): m_2=\cdot (곱)과 m_{1,1}=\circ (괄호)가 있다.
    • 3항 연산 (등급 -1): m_{1,1,1}, m_{1,2}, m_{2,1}, m_3 등이 있다.


    이 연산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 멱영성(Nilpotency): 공경계 연산자 d를 두 번 적용하면 0이 된다.

    :d^2=0

    • 곱 규칙(Leibniz rule): 공경계 연산자 d는 곱셈 연산 \cdot 에 대해 다음 곱 규칙을 만족한다.

    :d(ab)=(da)b+a(db)

    • 호모토피 결합 법칙(Homotopy associativity): 곱셈 연산 \cdot 은 엄밀한 의미의 결합 법칙을 만족하지는 않지만, 3항 연산 m_3과 공경계 연산자 d를 통해 그 차이가 호모토피적으로 제어된다.

    :a(bc)-(ab)c=m_3(da,b,c)+(-1)^{\deg a}m_3(a,db,c)+(-1)^{\deg a+\deg b}m_3(a,b,dc)

    • 호모토피 교환 법칙(Homotopy commutativity): 곱셈 연산 \cdot 이 등급을 고려한 교환 법칙에서 벗어나는 정도가 2항 연산 \circ 와 공경계 연산자 d로 표현된다.

    :ab-(-1)^{\deg a\deg b}ba=d(a\circ b)-da\circ b-(-1)^{\deg a-1}a\circ db

    • 고차 항등식: 더 높은 차수의 연산들 사이에도 복잡한 항등식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2항 연산 \circ 와 3항 연산 m_{1,1,1}, m_{1,2}, m_{2,1} 등이 관련된 항등식은 다음과 같다.

    :(a\circ b)\circ c-a\circ(b\circ c)+m_{2,1}(a,b;c)-(-1)^{(\deg a-1)(\deg b-1)}m_{2,1}(b,a;c)+(-1)^{(\deg b-1)(\deg c-1)}m_{1,2}(a;c,b)-m_{1,2}(a,b,c)=dm_{1,1,1}(a;b;c)-m_{1,1,1}(da;b;c)-(-1)^{\deg a-1}m_{1,1,1}(a;db;c)-(-1)^{\deg a+\deg b}m_{1,1,1}(a;b;dc)

    4. 성질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는 A∞-대수(결합 대수의 호모토피화)와 호모토피 리 대수의 공통적인 일반화이다.


    •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의 연산들 m_{n_1,\dots,n_k} 가운데, k=1인 연산들은 A∞-대수의 항등식들을 만족시킨다. 즉, 거스틴해버 대수는 추가 구조를 갖는 A∞-대수이다.
    •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의 연산들 m_{n_1,\dots,n_k} 가운데, k=n인 연산들의 완전 등급 반대칭화는 L∞-대수의 항등식들을 만족시킨다. 즉, 거스틴해버 대수는 추가 구조를 갖는 L∞-대수이다.


    거스틴해버 대수는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의 특수한 경우이다.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 A에서, 2항 연산이 아닌 모든 연산이 0이며, 또한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면 (A,\cdot,[,])은 거스틴해버 대수를 이룬다.

    :a\circ b-(-1)^{\deg a\deg b}b\circ a=[a,b]

    :a\circ b+(-1)^{\deg a\deg b}b\circ a=0

    또한, 일반적인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의 코호몰로지는 거스틴해버 대수를 이룬다.

    5. 예시


    • 결합 법칙을 따르는 대수 A의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H^\bullet(A,A)는 거스틴해버 대수를 이룬다. 또한, 호흐실트 공사슬들의 대수는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를 형성한다.[1]
    • 위상 꼭짓점 연산자 대수는 자연스럽게 호모토피 거스틴해버 대수를 이루며,[1] 여기에 BRST 양자화를 통해 물리적 상태로 구성된 코호몰로지를 취하면, 해당 코호몰로지 위에는 거스틴해버 대수의 구조가 존재한다.[3]
    •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추가적인 구조(\Delta 연산자)를 갖춘 거스틴해버 대수이다. 이 \Delta 연산자를 제외하면 기본적인 거스틴해버 대수가 된다.
    • 리 대수 \mathfrak g외대수 \bigwedge^\bullet\mathfrak g는 자연스럽게 거스틴해버 대수의 구조를 갖는다.
    • 푸아송 다양체의 미분 형식은 거스틴해버 대수를 형성한다.
    • 다양체의 다중 벡터장은 쇼텐-니엔하위스 괄호를 사용하여 거스틴해버 대수를 형성한다.

    6. 역사

    머리 거스틴해버


    머리 거스틴해버(Murray Gerstenhaber|영어)가 도입하였다.[4]

    참조

    [1] 저널 Homotopy Gerstenhaber algebras and topological field theories
    [2] 저널 Operads, homotopy algebra and iterated integrals for double loop spaces
    [3] 저널 New perspectives on the BRST-algebraic structure of string theory http://projecteuclid[...] 1993-06
    [4] 저널 The cohomology structure of an associative ring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