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차수 −1인 2차 멱영 연산자 Δ를 가진 등급 초가환 대수이다. 이 대수는 게이지 이론의 양자화에 등장하며, 이때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의 등급은 유령수가 된다.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고차 미분 연산자, 거스틴해버 괄호, 그리고 바탈린-빌코비스키 라플라스 연산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대수는 게이지 이론의 양자화, 고전 으뜸 방정식, 그리고 양자 으뜸 방정식과 같은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미분형식 전기역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플렉틱 기하학 - 푸아송 다양체
    푸아송 다양체는 매끄러운 다양체에 푸아송 괄호를 갖춘 구조로, 해밀턴 계의 일반화이며, 텐서장, 리 준대수 등으로 정의되고 물리학, 비가환 기하학 등과 연관된다.
  • 심플렉틱 기하학 - 푸아송 괄호
    푸아송 괄호는 해밀턴 역학에서 일반화 좌표와 운동량으로 표현되는 두 함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산으로, 운동 방정식의 표현을 간결하게 하고 운동 상수 분석에 유용하며 반대칭성, 야코비 항등식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대수 - 미분 등급 대수
    미분 등급 대수는 체 위의 등급 대수와 미분의 순서쌍으로, 대수적 위상수학 및 호모토피 이론에서 활용되며, 등급 대수에 차수, 라이프니츠 규칙, 멱영성을 만족하는 미분을 추가하여 정의됩니다.
  • 대수 - C* 대수
    C* 대수는 복소수 대합 대수와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구조를 결합한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에 따라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선형 연산자 대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함수해석학, 수리물리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수리물리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리물리학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
정의
유형장-빌코비스키 대수(Gerstenhaber-Batalin-Vilkovisky algebra)의 예
분야수학, 이론 물리학
연구이오안 바탈린(Ioan Batalin), 그리고르 빌코비스키(Grigori Vilkovisky)
세부 사항
설명바탈린-빌코비스키 형식주의(Batalin-Vilkovisky formalism)는 장-빌코비스키 대수 구조를 갖춘 미분 등급 대수(differential graded algebra)이다. 이 구조는 홀수 푸아송 괄호(odd Poisson bracket) 또는 델타 연산자(delta operator)로 특징지어진다.
응용 분야게이지 이론 양자화, 끈 이론, 거울 대칭, 위상 양자장론
관련 개념BRST 형식주의
게이지 고정
장-빌코비스키 대수
미분 등급 대수
푸아송 괄호

2. 정의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 (A,\Delta)는 특정한 수학적 구조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4]


  • 등급 초가환 대수 A=\bigoplus_{i\in\mathbb Z}A_i. 이는 곱셈이 결합 법칙과 등급화된 교환 법칙 (ab = (-1)^

    ba)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다.
  • A 위에 작용하는 등급 -1의 2차 미분 연산자 \Delta\colon A_\bullet\to A_{\bullet-1}. 이 연산자는 \Delta^2 = 0 (멱영성)을 만족하며, '''바탈린-빌코비스키 라플라스 연산자'''라고 불린다.


  • \Delta 연산자는 특정한 2차 조건 항등식을 만족해야 한다. 때로는 정규화 조건 \Delta(1)=0이 추가로 요구되기도 한다.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 구조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하여 '''게르스텐하버 괄호''' (또는 '''반괄호''', '''버틴 괄호''', '''홀수 푸아송 괄호''')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A는 게르스텐하버 대수의 구조를 갖게 된다. 이 괄호는 등급 -1을 가지며, 등급화된 반대칭성과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한다.

    2. 1. 고차 미분 연산자

    (단위원을 갖는) 정수 등급가환결합 대수

    :A = \bigoplus_{i\in\mathbb Z}A_i

    :ab = (-)^{\deg a\deg b}ba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대수 위에서 왼쪽 곱셈 연산자 \mathsf L_a와 초괄호 [\cdot,\cdot\}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mathsf L_a b = ab

    :[a,b\} = ab - (-)^{\deg a\deg b}ba

    초괄호는 등급을 갖는 동차 연산자에 대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대수 A 위의 연산자 D \colon A_\bullet \to A_{\bullet+k}가 등급 k(즉, \deg D = k)를 가지고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이를 '''nk등급 미분 연산자'''(nth-order degree-k operator영어)라고 한다.

    :D(1_A) = 0

    :[\dotso

    여기서 초괄호를 계산할 때, 연산자의 등급은 \deg \mathsf L_a = \deg a\deg D = k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0차 미분 연산자는 단순히 D(1_A) = 0인 연산자이다. 1차 미분 연산자는 n=1인 경우로,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0 =

    := (D\mathsf L_a - (-)^{k\deg a}\mathsf L_a D)\mathsf L_b 1_A - (-)^{(k+\deg a)\deg b}\mathsf L_b (D\mathsf L_a - (-)^{k\deg a}\mathsf L_a D)1_A

    := D(ab) - (-)^{k\deg a}a(Db) - (-)^{(k+\deg a)\deg b}b(Da) - (-)^{k\deg a + (k+\deg a)\deg b} \mathsf L_b \mathsf L_a (D 1_A)

    D(1_A)=0이므로 마지막 항은 0이다. 따라서 1차 미분 연산자는 다음의 등급화된 곱 규칙을 만족시킨다.

    :D(ab) = (Da)b + (-)^{k\deg a}a(Db)

    홀수 등급(k가 홀수)을 가지는 2차 미분 연산자 \Deltan=2인 경우에 해당하며, 다음 항등식을 만족시킨다.

    :\Delta(abc)-\Delta(ab)c-(-1)^{\deg a}a\Delta(bc)-(-1)^{(\deg a+1)\deg b}b\Delta(ac)+\Delta(a)bc+(-1)^{\deg a}a\Delta(b)c+(-1)^{\deg a+\deg b}ab\Delta(c)=0

    이는

    2. 2. 거스틴해버 괄호

    등급 가환 결합 대수

    :A=\bigoplus_{i\in\mathbb Z}A_i

    A 위의 사슬 복합체 구조

    :\partial \colon A_\bullet \to A_{\bullet-1}

    :\partial_1 = 0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다음과 같은 일련의 괄호들을 정의할 수 있다.

    :\Phi^{n+1}(a_0,a_1,\dotsc,a_n) =

    이를 n+1항 '''거스틴해버 괄호'''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Phi^0() = 0

    :\Phi^1(a) = \partial a

    :\Phi^2(a,b) = \partial (ab) - (-)^{\deg a}a\partial b - (\partial a)b

    곱셈 구조를 제외하면, (A,\Phi^\bullet)는 L∞-대수를 형성한다. 만약 \partialn차 미분 연산자라면, 오직 \Phi^1,\dotsc,\Phi^n만이 0이 아닐 수 있다.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에서는 다음과 같은 '''거스틴해버 괄호'''(Gerstenhaber bracket|거스틴해버 브래킷영어) 또는 '''반괄호'''(antibracket|앤티브래킷영어) (a,b)를 정의할 수 있다.

    :(a,b) = (-1)^{\deg a}\Phi^2(a,b)

    이는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한다.

    • 차수 −1: \deg(a,b)=\deg a+\deg b-1
    • 등급가환성: (a,b)=-(-1)^{(\deg a+1)(\deg b+1)}(b,a)
    • 등급 야코비 항등식: (-1)^{(\deg a+1)(\deg c+1)}(a,(b,c))+(-1)^{(\deg b+1)(\deg a+1)}(b,(c,a))+(-1)^{(\deg c+1)(\deg b+1)}(c,(a,b))=0
    • 등급 라이프니츠 규칙: (ab,c)=a(b,c)+(-1)^{\deg a\deg b}b(a,c)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다음과 같이 '''게르스텐하버 괄호'''를 정의하면 게르스텐하버 대수가 된다.

    :(a,b) := (-1)^{\left|a\right|}\Delta(ab) - (-1)^{\left|a\right|}\Delta(a)b - a\Delta(b)+a\Delta(1)b .

    게르스텐하버 괄호는 '''버틴 괄호''', '''안티브래킷''', 또는 '''홀수 푸아송 괄호'''라고도 불린다. 안티브래킷은 다음 성질들을 만족한다.

    • |(a,b)| = |a|+|b| - 1 (안티브래킷 (,)의 차수는 −1)
    • (a,b) = -(-1)^{(|a|+1)(|b|+1)}(b,a) (반대칭성)
    • (-1)^{(|a|+1)(|c|+1)}(a,(b,c)) + (-1)^{(|b|+1)(|a|+1)}(b,(c,a)) + (-1)^{(|c|+1)(|b|+1)}(c,(a,b)) = 0 (야코비 항등식)
    • (ab,c) = a(b,c) + (-1)^

    b(a,c) (푸아송 성질; 라이프니츠 규칙)

    '''왼쪽 곱셈 연산자''' L_{a}L_{a}(b) := ab로 정의하고, 슈퍼교환자 [,]를 임의의 두 연산자 ST에 대해 [S,T]:=ST - (-1)^{\left|S\right|\left|T\right|}TS 로 정의하면, 반괄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 (a,b) := (-1)^{\left|a\right|}

    여기서 연산자는 단위 원소 1에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즉, [\Delta,L_{a}] 는 1차 연산자이고,

    :

    2. 3.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 (A,\Delt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4]

    • 등급 대수이면서 초가환 대수인 A=\bigoplus_{i\in\mathbb Z}A_i. 이는 단위원을 가지며, 곱셈은 결합 법칙((ab)c = a(bc))과 등급 교환 법칙(ab = (-1)^

    ba)을 만족하고, 곱의 등급은 각 인자의 등급 합과 같다(|ab| = |a| + |b|).
  • A 위에 작용하는 2차 미분 연산자 \Delta\colon A_\bullet\to A_{\bullet-1}. 이 연산자는 등급을 1만큼 낮추며(|\Delta(a)| = |a| - 1), 멱영성(\Delta^2 = 0)을 만족한다. 이 \Delta를 '''바탈린-빌코비스키 라플라스 연산자'''라고 부른다.


  • 또한, \Delta 연산자는 다음의 2차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begin{align}

    0 = & \Delta(abc) \\

    &-\Delta(ab)c-(-1)^

    a\Delta(bc)-(-1)^{(|a|+1)|b|}b\Delta(ac)\\

    &+\Delta(a)bc+(-1)^

    a\Delta(b)c+(-1)^

    ab\Delta(c)\\

    &-\Delta(1)abc

    \end{align}

    때로는 다음과 같은 정규화 조건이 추가로 요구되기도 한다.

    • \Delta(1)=0


    이 경우, 정규화된 연산자 {\Delta}_{\rho}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Delta}_{\rho} := \Delta-\Delta(1)

    이 연산자는 특히 홀수 푸아송 기하학의 맥락에서 '''홀수 라플라시안'''이라고 불리며, 안티브래킷 (,)에 대해 다음과 같은 미분 규칙을 만족한다.

    • {\Delta}_{\rho}(a,b) = ({\Delta}_{\rho}(a),b) - (-1)^{\left|a\right|}(a,{\Delta}_{\rho}(b))


    정규화된 연산자의 제곱 {\Delta}_{\rho}^{2}=(\Delta(1),\cdot)은 홀수 해밀토니안 \Delta(1)을 갖는 해밀턴 벡터장이며, '''모듈러 벡터장'''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벡터장은 곱셈에 대해 라이프니츠 규칙을 만족한다.

    • {\Delta}_{\rho}^{2}(ab) = {\Delta}_{\rho}^{2}(a)b+ a{\Delta}_{\rho}^{2}(b)

    만약 정규화 조건 \Delta(1)=0을 가정하면, 홀수 라플라시안 {\Delta}_{\rho}는 원래의 \Delta 연산자와 같아지고, 모듈러 벡터장 {\Delta}_{\rho}^{2}은 0이 된다.

    3. 게이지 이론의 양자화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게이지 이론양자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유령수(ghost number영어)가 등장하며, 이는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의 등급(grading)에 해당한다. 게이지 이론을 양자화하기 위해 도입되는 유령장과 반대장 등의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3. 1. 게이지 이론과 BV 형식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게이지 이론양자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맥락에서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의 등급(grading)은 유령수(ghost number)에 해당한다.

    어떤 게이지 이론이 장(field) \phi^i와 고전적 작용 S_0(\phi)으로 정의된다고 가정해 보자. 이 이론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게이지 변환이 존재한다.

    :\delta\phi^i=R_{\alpha_1}^i\epsilon^{\alpha_1}

    여기서 \epsilon^{\alpha_1}은 게이지 변환을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다. 게이지 변환들 사이에는 서로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R^{i_p}_{i_{p+1}}R_{i_p}^{i_0}=C^{ij}_{\alpha_{p+1}}\frac{\delta S_0}{\delta\phi^{j_0}}

    이 식에서 C^{ij}_{\alpha_{p+1}}는 특정 형태의 텐서를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게이지 이론이 단순히 기본적인 게이지 변환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고차 게이지 변환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1차 게이지 변환: \delta\phi^i/\delta\epsilon^{\alpha_1}
    • 2차 게이지 변환: \delta\epsilon^{\alpha_1}/\delta\epsilon^{\alpha_2}
    • 3차 게이지 변환: \delta\epsilon^{\alpha_2}/\delta\epsilon^{\alpha_3}
    • ... 등등


    바탈린-빌코비스키 양자화 방법론에서는 이러한 각 (고차) 게이지 변환 \delta/\delta\epsilon^{\alpha_p}에 대응하여 유령장(ghost field) c^{\alpha_p}을 도입한다. 유령장은 해당 게이지 변환의 통계적 성질(보손 또는 페르미온)과 반대되는 통계를 따른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게이지 변환에 대응하는 유령장은 페르미온이고, 초대칭 게이지 변환에 대응하는 유령장은 보손이다.

    또한, 물리적 장 \phi^i와 각 유령장 c^{\alpha_p}에 대응하는 반대장(反對場, antifield영어) \phi^*_ic^*_{\alpha_p}를 정의한다. 반대장들은 원래의 장과 반대 통계를 가진다. 이 모든 장들에는 유령수(幽靈數, ghost number영어)라는 정수 등급이 부여된다.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물리적 장(\phi^i)의 유령수는 0이다.
    • p차 게이지 변환에 대응하는 유령장(c^{\alpha_p})의 유령수는 p이다.
    • 유령수 g를 가진 장에 대응하는 반대장의 유령수는 -g-1이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장 종류기호통계 \sigma(\Phi^A) (+1: 보손, −1: 페르미온)유령수 \deg\Phi^A
    물리적 장\phi^i\sigma(\phi^i) (보손: +1, 페르미온: −1)0
    물리적 반대장\phi^*_i-\sigma(\phi^i)−1
    유령장c^{\alpha_p}-\sigma(\epsilon^{\alpha_p}) (일반 대칭: −1, 초대칭: +1)p
    유령 반대장c^*_{\alpha_p}\sigma(\epsilon^{\alpha_p})-p-1



    결과적으로, 이 장들은 유령수를 등급으로 하는 등급대수 구조를 형성한다.

    3. 2. Δ 연산자와 거스틴해버 괄호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차수 -1인 2차 멱영 연산자 Δ를 가진 등급 초가환 대수이다. 이 Δ 연산자는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Delta(a)| = |a| - 1 (Δ는 차수 −1을 갖는다)
    • \Delta^2 = 0 (멱영성 (2차))
    • Δ 연산자는 2차이다. 이는 다음 항등식으로 표현된다.

    :\begin{align}

    0 = & \Delta(abc) \\

    &-\Delta(ab)c-(-1)^

    a\Delta(bc)-(-1)^{(|a|+1)|b|}b\Delta(ac)\\

    &+\Delta(a)bc+(-1)^

    a\Delta(b)c+(-1)^

    ab\Delta(c)\\

    &-\Delta(1)abc

    \end{align}

    종종 정규화 조건 \Delta(1)=0도 요구된다.

    이 Δ 연산자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거스틴해버 괄호'''(Gerstenhaber bracket영어), 또는 '''반괄호'''(antibracket영어), '''버틴 괄호''', '''홀수 푸아송 괄호'''라고도 불리는 연산 (a,b)를 정의할 수 있다.

    :(a,b) := (-1)^{\left|a\right|}\Delta(ab) - (-1)^{\left|a\right|}\Delta(a)b - a\Delta(b)+a\Delta(1)b .

    이 괄호는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한다.

    • |(a,b)| = |a|+|b| - 1 (차수는 −1)
    • (a,b) = -(-1)^{(|a|+1)(|b|+1)}(b,a) (반대칭성)
    • (-1)^{(|a|+1)(|c|+1)}(a,(b,c)) + (-1)^{(|b|+1)(|a|+1)}(b,(c,a)) + (-1)^{(|c|+1)(|b|+1)}(c,(a,b)) = 0 (야코비 항등식)
    • (ab,c) = a(b,c) + (-1)^

    b(a,c) (푸아송 성질 또는 등급 라이프니츠 규칙)

    따라서 Δ 연산자를 갖춘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이 거스틴해버 괄호를 통해 거스틴해버 대수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만약 정규화 조건 \Delta(1)=0이 성립하면, 거스틴해버 괄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a,b) = (-1)^{\left|a\right|}\Delta(ab) - (-1)^{\left|a\right|}\Delta(a)b - a\Delta(b)

    정규화된 연산자 {\Delta}_{\rho} := \Delta-\Delta(1)는 '''홀수 라플라시안'''이라고도 불리며, 안티브래킷(거스틴해버 괄호)을 다음과 같이 "미분"하는 성질을 갖는다.

    • {\Delta}_{\rho}(a,b) = ({\Delta}_{\rho}(a),b) - (-1)^{\left|a\right|}(a,{\Delta}_{\rho}(b))

    정규화된 연산자의 제곱 {\Delta}_{\rho}^{2}=(\Delta(1),\cdot)은 홀수 해밀토니안 Δ(1)을 갖는 해밀턴 벡터장이며, '''모듈러 벡터장'''이라고도 한다. 이는 라이프니츠 규칙을 만족한다.

    • {\Delta}_{\rho}^{2}(ab) = {\Delta}_{\rho}^{2}(a)b+ a{\Delta}_{\rho}^{2}(b)

    만약 정규화 \Delta(1)=0을 가정하면, 홀수 라플라시안 {\Delta}_{\rho} 는 Δ 연산자와 같아지고, 모듈러 벡터장 {\Delta}_{\rho}^{2} 은 0이 된다.

    왼쪽 곱셈 연산자 L_{a}(b) := ab와 슈퍼교환자 [S,T]:=ST - (-1)^{\left|S\right|\left|T\right|}TS 를 사용하면, 거스틴해버 괄호와 Δ의 2차 조건을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 (a,b) = (-1)^{\left|a\right|}

    여기서 연산자는 단위 원소 1에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물리적인 장 이론의 맥락에서는, 장들의 등급대수 위에 Δ 연산자와 거스틴해버 괄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도 한다. 모든 장들을 통칭하여 \Phi^A=(\phi^i,c^{\alpha_p}), 반장(antifield)들을 \Phi^*_A=(\phi^*_i,c^*_{\alpha_p})로 표기할 때,

    • Δ 연산자: \Delta=(-1)^{\sigma(\Phi^A)}\frac{\delta^L}{\delta\Phi^A}\frac{\delta^L}{\delta\Phi^*_A}
    • 거스틴해버 괄호: (X,Y)=\frac{\delta^RX}{\delta\Phi^A}\frac{\delta^LY}{\delta\Phi^*_A}- \frac{\delta^RX}{\delta\Phi^*_A}\frac{\delta^LY}{\delta\Phi^A}.

    여기서 \delta^L/\delta\Phi^A\delta^R/\delta\Phi^A는 각각 함수 미분의 일종인 좌미분과 우미분이다. 이렇게 정의된 연산자들을 갖춘 장들의 등급대수는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를 이룬다.

    3. 3. 고전 으뜸 방정식

    고전적 작용S_0(\phi^i)는 유령수가 0인 양이다. 게이지 고정을 위해서는 이 고전적 작용에 유령장과 그에 대응하는 반대장들을 추가하여 교정된 작용 S를 구성해야 한다. 이 교정된 작용은 다음과 같은 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S=S_0+S_1+S_2+\dots

    여기서 각 항 S_pp개의 유령장과 그 유령수를 상쇄시키는 반대장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체 교정된 작용 S의 총 유령수는 0이 된다 (\deg S=0).

    이렇게 구성된 교정된 작용 S고전 으뜸 방정식(classical master equation영어)이라고 불리는 다음의 중요한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S,S)=0

    여기서 (\cdot, \cdot)는 안티브라켓(Antibracket)을 나타낸다. 이 방정식은 이론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조건이며, 이 방정식을 풀어서 교정된 작용 S의 구체적인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고전 으뜸 방정식을 만족하는 작용 S를 이용하면 이론의 BRST 대칭 변환 \delta_{\text{BRST}}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delta_{\text{BRST}}=(S,\cdot)

    이 정의에 따르면, 작용 S 자체는 BRST 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이는 고전 으뜸 방정식으로부터 바로 유도된다.

    :\delta_{\text{BRST}}S=(S,S)=0

    작용 S의 유령수는 0이고 안티브라켓은 유령수를 +1만큼 증가시키므로, BRST 변환 \delta_{\text{BRST}}는 작용하는 대상의 유령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연산자이다.

    BRST 변환은 중요한 성질인 \delta_{\text{BRST}}^2 = 0을 만족한다. 이는 BRST 변환을 두 번 연속으로 적용하면 항상 0이 된다는 의미이며, 미분기하학에서의 외미분 연산자와 유사한 성질이다. 이 성질 덕분에 BRST 연산자에 대한 코호몰로지H^p(\delta_{\text{BRST}})를 정의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의미 있는 관측량은 유령수가 0인 BRST 코호몰로지 군 H^0(\delta_{\text{BRST}})의 원소들로 정의된다. 즉, 어떤 고전적인 연산자 O_0가 주어졌을 때, 이로부터 물리적인 관측량을 얻으려면 유령장과 관련된 항들을 추가하여 교정된 연산자 O = O_0 + O_1 + O_2 + \cdots를 구성해야 한다. 이 교정된 연산자 O는 BRST 불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delta_{\text{BRST}}O=(S,O)=0

    이 조건을 만족하는 연산자만이 물리적으로 의미 있는 관측량에 해당한다.

    3. 4. 게이지 고정

    유령항을 추가한 뒤, 경로 적분을 사용하려면 작용을 게이지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유령수가 −1이고, 반대장들을 포함하지 않는 페르미온 연산자 \psi를 선택한다. 이를 게이지 고정 페르미온(gauge-fixing fermion영어)이라고 한다. 이러한 연산자가 주어지면, 작용에서 반대장을 다음과 같이 치환한다.[3][5]

    :\Phi^*_A\mapsto\frac{\delta\psi}{\delta\Phi^A}

    작용에서 반대장들을 이렇게 치환하게 되면, 게이지가 고정된다.

    게이지 고정 페르미온은 &minus1;의 유령수를 가져야 하는데, 반대장이 아닌 장들은 모두 음이 아닌 유령수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론에 음의 유령수를 가진 보조장들을 추가하여야 한다.[5]

    3. 5. 양자 으뜸 방정식

    양자화를 하게 되면, 작용뿐만 아니라 경로 적분의 측도 또한 BRST 불변이어야 한다. 측도가 BRST 불변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3]

    :\Delta S=0

    예를 들어, 양-밀스 이론의 경우 이 조건이 성립한다.

    만약 측도가 BRST 불변이 아니라면, 작용에 적절한 항들을 추가하여 이를 상쇄시켜야 한다. 이는 플랑크 상수\hbar에 비례하게 된다. 즉, S=\hat S^{(0)}으로 놓으면, 다음과 같이 전개할 수 있다.

    :\hat S=\hat S^{(0)}+\hbar S^{(1)}+\hbar^2S^{(2)}+\cdots

    이에 대한 '''양자 으뜸 방정식'''(quantum master equation영어)은 다음과 같다.[3]

    :\Delta(\exp(i\hat S/\hbar))=0

    이는 아래 표현과 동치이다.

    :(\hat S,\hat S)=2i\hbar\Delta\hat S

    이를 \hbar에 대해 전개하면 다음과 같은 일련의 식들을 얻는다.

    :(\hat S^{(0)},\hat S^{(0)})=0

    :(\hat S^{(0)},\hat S^{(1)})=i\Delta \hat S^{(0)}

    :(\hat S^{(0)},\hat S^{(2)})+\frac12(\hat S^{(1)},\hat S^{(1)})=i\Delta \hat S^{(1)}

    :\cdots

    이 가운데 첫 번째 방정식, (\hat S^{(0)},\hat S^{(0)})=0, 이 바로 고전 으뜸 방정식이다.

    피적분량 X를 위와 같이 게이지 고정시켜 경로 적분한다고 가정하자. 이 적분이 게이지 고정 페르미온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으려면, 그 바탈린-빌코비스키 라플라스 연산자 \Delta에 대한 작용이 0이어야 한다.[5] 따라서, 연산자를 삽입하지 않은 경로 적분

    :\int\exp(iS/\hbar)

    를 고려하면 양자 으뜸 방정식

    :\Delta\exp(iS/\hbar)=0

    이 만족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연산자 O가 삽입된 경로 적분의 경우, 마찬가지로 다음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

    :(W,O)=i\hbar\Delta O

    이는 스토크스 정리와 유사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경로 공간(장들의 무한 차원 짜임새 공간) 위에서 \exp(iS/\hbar)를 다중벡터(multivector)로 생각할 수 있다. 경로 적분의 측도 D\Phi를 짜임새 공간 위의 미분형식으로 간주하면, D\Phi\,\exp(iS/\hbar)는 경로 공간 위의 미분형식이 되고, 그 외미분은 바탈린-빌코비스키 연산자 \Delta에 해당한다. Δ-코호몰로지에서는 부분적분에 따라, 임의의 부분공간 N 위의 적분은

    :\int_N \Delta X=0

    이 된다. 또한 만약 \Delta Y=0이라면, 적분값

    :\int_N Y

    N의 무한소 변화에 의존하지 않으며, 오직 N의 호몰로지류에만 의존한다. 게이지 이론의 양자화에서는 D\Phi\,O\exp(iS/\hbar)가 닫혀 있다면 (즉, \Delta 작용 결과가 0이라면), 경로 적분은 게이지 고정 방식의 변화에 의존하지 않는다.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에서 짝수 차수 원소 ''S''(작용)에 대한 고전 으뜸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S,S) = 0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에서 짝수 차수 원소 ''W''에 대한 양자 으뜸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 \Delta\exp \left[\frac{i}{\hbar}W\right] = 0 ,

    이는 아래 식과 동등하다.

    :\frac{1}{2}(W,W) = i\hbar{\Delta}_{\rho}(W)+\hbar^{2}\Delta(1) .

    만약 정규화 조건 \Delta(1) = 0을 가정하면, 양자 으뜸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frac{1}{2}(W,W) = i\hbar\Delta(W) .

    4. 예시

    바탈린-빌코비스키 대수는 다양한 게이지 이론에 적용될 수 있다. 주요 예시로는 비가환 게이지 이론의 대표격인 양-밀스 이론과 고차 미분형식을 다루는 미분형식 전기역학 등이 있으며, 각 이론의 구체적인 적용 방식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양-밀스 이론

    로런츠 지표는 \mu,\nu,\dots로, 게이지 리 대수 지표는 a,b,\dots로 쓴다.

    비가환 양-밀스 이론의 경우, 게이지장 A^a_\mu는 다음과 같은 게이지 대칭을 가진다.

    :\delta A^a_\mu=\partial_\mu\epsilon^a+gf^{abc}A_\mu^b\epsilon^c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반가환 유령장 c^a 및 반대장 \phi^*_a, c^*_a가 존재한다. 작용

    :S_0=-\frac14\int d^dx\,F^2

    에 유령항들을 추가하면 다음과 같은 BRST 불변 작용을 얻는다.[5]

    :S=S_0+\int d^dx\, A_a^{*\mu}D_\mu c^a+\frac12\int d^dx\,c_a^*f^a{}_{bc}c^bc^c

    게이지 고정을 위해, 유령수 −1의 페르미온 \bar c_a와 유령수 0의 보손 b_a를 추가하고, 작용에 다음과 같은 보조장항을 더한다.[3]

    :S'=S-i\int d^dx\,\bar c^{*a}b_a

    그렇다면 게이지 고정 페르미온

    :\psi=i\int d^dx\,\bar c_a\left(\partial^\mu A_\mu^a+\xi b^a/2\right)

    를 삽입한다. 여기서 \xi는 임의의 상수다. 이렇게 하여 반대장들을 치환하면, 다음과 같은 게이지 고정 작용을 얻는다.

    :S=\int d^dx\,\left(-\frac14F^2-i\partial^\mu\bar c_aD_\mu c^a+\left(\partial^\mu A^a_\mu+\xi b^a/2\right)b_a\right)

    기호통계유령수
    게이지 장A^a_\mu+0
    게이지 반대장A^{*\mu}_a−1
    유령장c^a1
    유령 반대장c^*_a+−2
    보조장b_a+0
    보조 반대장b^*_a−1
    보조 유령장\bar c^a−1
    보조 유령 반대장\bar c^*_a+0


    4. 2. 미분형식 전기역학

    ''p''차 미분형식 전기역학의 경우, ''p''차 미분형식 게이지 퍼텐셜 A^{(p)}는 다음과 같은 게이지 변환들을 가진다.

    :\frac{\delta A^{(p)}}{\delta\epsilon^{(p-1)}}=d\epsilon^{(p-1)}

    :\frac{\delta\epsilon^{(p-1)}}{\delta\epsilon^{(p-2)}}=d\epsilon^{(p-2)}

    :⋮

    :\frac{\delta\epsilon^{(1)}}{\delta\epsilon^{(0)}}=d\epsilon^{(0)}

    여기서 \epsilon^{(k)}k차 미분형식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유령장들과 반대장들이 존재한다.

    기호통계유령수
    게이지 장A^{(p)}+0
    유령장c^{(k)}pk
    게이지 반대장A^{*(p)}−1
    유령 반대장c^{*(k)}+kp−1



    유령항을 추가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5]

    :S=\int d^dx\,\left(-\frac12F^{(p+1)}\wedge*F^{(p+1)}+*A^{*(p)}\wedge dc^{(p-1)}

    +\sum_{k=0}^{p-2}*c^{*(k+1)}\wedge dc^{(k)}

    \right)

5. 역사

이고리 아니톨리예비치 바탈린(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Бата́линru)과 그리고리 알렉산드로비치 빌코비스키(Григо́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илковы́скийru)가 초중력을 양자화하기 위해 도입하였다.[6][7] 이후 바탈린-빌코비스키 양자화는 닫힌 끈 장론 등을 양자화하는 데 쓰였다.

6. 관련 개념

바탈린-빌코비스키(BV) 대수의 기본 정의에서 Δ 연산자에 대한 2차 가정을 제거하면 일반화된 BV 대수의 개념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수 -1을 갖는 무한한 계층의 고차 브래킷 \Phi^{n}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Phi^{n}(a_{1},\ldots,a_{n}) := \underbrace{

여기서 L_aa와의 곱셈 연산자이다. 이 브래킷들은 등급이 매겨진 대칭성을 만족하며, 즉 순열 \pi\in S_{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Phi^{n}(a_{\pi(1)},\ldots,a_{\pi(n)}) = (-1)^{\left|a_{\pi}\right|}\Phi^{n}(a_{1},\ldots, a_{n})

여기서 (-1)^{\left|a_{\pi}\right|}는 코쥘 부호이다. 이 브래킷들은 호모토피 리 대수 (또는 L_{\infty} 대수)를 이루며, 다음과 같은 일반화된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한다.

: \sum_{k=0}^n \frac{1}{k!(n\!-\!k)!}\sum_{\pi\in S_{n}}(-1)^{\left|a_{\pi}\right|}\Phi^{n-k+1}\left(\Phi^{k}(a_{\pi(1)}, \ldots, a_{\pi(k)}), a_{\pi(k+1)}, \ldots, a_{\pi(n)}\right) = 0.

낮은 차수의 브래킷들은 다음과 같다.


  • \Phi^{0} := \Delta(1)
  • \Phi^{1}(a) := [\Delta,L_{a}]1 = \Delta(a) - \Delta(1)a =: {\Delta}_{\rho}(a) (정규화된 연산자 또는 홀수 라플라시안)
  • \Phi^{2}(a,b) :=


Δ 연산자가 n차라는 것은 \Phi^{n+1} 브래킷이 사라지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때 대수를 BV n-대수라고 부른다. 따라서 일반적인 BV 대수는 BV 2-대수와 같다. 이 경우 \Phi^{3}=0 이며, \Phi^2 (안티브래킷)에 대한 야코비 항등식이 성립한다. 만약 정규화 조건 \Delta(1)=0을 만족하고 \Phi^{2}=0 (즉, 안티브래킷이 사라짐)이면, 이는 BV 1-대수가 되며, 이는 미분 Δ를 가진 미분 등급 대수(DGA)와 동일하다.

BV 대수는 홀수 기하학적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n|n) 차원의 슈퍼다양체 위에 홀수 푸아송 이중 벡터 \pi^{ij} (P-구조)와 베레지니안 밀도 \rho (S-구조)가 주어졌다고 하자. 국소 좌표 x^i에 대해, 홀수 푸아송 이중 벡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left|\pi^{ij}\right| = \left|x^{i}\right| + \left|x^{j}\right| -1 (차수 -1)
  • \pi^{ji} = -(-1)^{(\left|x^{i}\right|+1)(\left|x^{j}\right|+1)} \pi^{ij} (등급 반대칭성)
  • (-1)^{(\left|x^{i}\right|+1)(\left|x^{k}\right|+1)}\pi^{i\ell}\partial_{\ell}\pi^{jk} + {\rm cyclic}(i,j,k) = 0 (야코비 항등식)


이를 이용하여 함수 f, g에 대한 홀수 푸아송 괄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f,g) := f\stackrel{\leftarrow}{\partial}_{i}\pi^{ij}\partial_{j}g .

여기서 \stackrel{\leftarrow}{\partial}_{i}는 오른쪽 미분을 나타낸다. 또한, 해밀토니안 f에 대한 해밀턴 벡터장 X_fX_{f}[g] := (f,g)로 정의된다.

벡터장 X = X^i \partial_i(초-)발산은 밀도 \rho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rm div}_{\rho} X := \frac{(-1)^{\left|x^{i}\right|(|X|+1)}}{\rho} \partial_{i}(\rho X^{i})

이를 이용하여 홀수 라플라시안 \Delta_\rho는 (부호를 제외하고) 해당 해밀턴 벡터장의 발산의 절반으로 정의된다.

: {\Delta}_{\rho}(f) := \frac{(-1)^{\left|f\right|}}{2}{\rm div}_{\rho} X_{f} = \frac{(-1)^{\left|x^{i}\right|}}{2\rho}\partial_{i}\rho \pi^{ij}\partial_{j}f.

만약 모듈러 벡터장 \Delta_\rho^2가 사라지면, 홀수 푸아송 구조 \pi^{ij}와 베레지니안 밀도 \rho호환된다고 한다. 이 경우, 홀수 라플라시안 \Delta_\rho는 정규화된(\Delta(1)=0) BV Δ 연산자가 되며, 해당 슈퍼다양체 위의 함수 대수는 BV 대수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다양체를 홀수 푸아송 다양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홀수 푸아송 이중 벡터 \pi^{ij}가 가역 행렬이면, 다양체는 홀수 심플렉틱 다양체가 된다. 이 경우 홀수 다르부 정리에 의해, 국소적으로 홀수 푸아송 괄호가 (q^i, p_j) = \delta^i_j 형태가 되는 다르부 좌표 (q^i, p_j) (여기서 |q^i| + |p_j| = 1)를 찾을 수 있다. 이론 물리학에서는 이들을 각각 (\phi^i)과 반장(\phi^{*}_j)이라고 부른다.

홀수 심플렉틱 다양체에서는 P-구조에만 의존하는 Khudaverdian 연산자 \Delta_{\pi} := (-1)^{\left|q^{i}\right|}\frac{\partial}{\partial q^{i}}\frac{\partial}{\partial p_{i}}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연산자는 반밀도 공간에 작용하며 멱영(\Delta_\pi^2 = 0)이고 차수가 -1이지만, 반밀도 공간 자체는 곱셈에 대해 닫혀 있지 않으므로 BV Δ 연산자는 아니다. 하지만 고정된 밀도 \rho를 이용하여 함수(스칼라) 공간 위에 작용하는 BV Δ 연산자를 \Delta(f) :=\frac{1}{\sqrt{\rho}}\Delta_{\pi}(\sqrt{\rho}f)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다른 관련 개념으로는 다중 벡터장에 대한 스호턴-니엔하위스 괄호가 있으며, 이는 안티브래킷의 한 예시이다. 또한, 리 초대수 L이 주어졌을 때, 그 대칭 대수 S(\Pi L) (여기서 Π는 등급을 바꾸는 연산자)는 리 대수 코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적인 미분 연산자를 BV Δ 연산자로 가지는 BV 대수 구조를 갖는다.

7. 참고 문헌


  • 코스텔로, K. (2011). "[https://bookstore.ams.org/surv-170 재규격화와 유효장 이론]". ISBN 978-0-8218-5288-0 (섭동적 양자장론과 천-시몬스 이론 및 양-밀스 이론의 BV-형식을 사용한 양자화와 같은 엄밀한 측면을 설명한다.)

참조

[1] 서적 Quantization of Gauge System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2] 저널 Local BRST cohomology in gauge theories 2000-11
[3] 저널 BRST-antifield quantization: a short review 2005-10
[4] 저널 An introduction to the Batalin–Vilkovisky formalism 2004
[5] 저널 Antibracket, antifields and gauge-theory quantization 1995-08
[6] 저널 Gauge algebra and quantization 1981-06-04
[7] 저널 Quantization of gauge theories with linearly dependent generators 1983-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