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제 구율포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 구율포진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성이다. 동쪽을 제외한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계곡에 위치하며, 성 밖은 민가, 안은 경작지로 사용되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우수영에 속한 방어진지로 활용되었으며, 칠천량 해전 때 왜구의 침입을 받았다. 숙종 14년(1688) 통제사 이세현의 상소로 축성되었으며,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옹성이 북쪽과 남쪽에 설치되었으나, 북쪽 옹성은 흔적만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제시의 문화유산 - 거제 해금강
    거제 해금강은 빼어난 경관으로 '바다의 금강산'이라 불리며 세 개의 바위섬이 맞닿아 이루어진 곳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층과 십자동굴이 유명하여 명승 제2호로 지정되었다.
  • 거제시의 문화유산 - 거제 구영등성
    거제 구영등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있는 조선시대 석성으로, 왜구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으며, 영등포진이 이동하면서 구영등성으로 불리게 되었고, 현재는 성벽이 훼손되었지만 조선 전기 읍성 축조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자료이다.
  • 경상남도의 기념물 - 통도사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불보사찰로, 석가모니불의 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과 불상 없는 대웅전, 그리고 다수의 국보와 보물을 보유한 한국 3대 사찰 중 하나이다.
  • 경상남도의 기념물 -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약 1억 년 전 백악기 시대에 두 발로 걷는 초식 공룡 20여 마리가 남긴 400여 개의 발자국 화석으로, 공룡의 종류, 크기, 행동 양식, 사회적 행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지만 해수 침식과 훼손으로 보존 대책이 시급하다.
거제 구율포진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거제 구율포진성
거제 구율포진성 이미지
거제 구율포진성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율천리 325-1번지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206
지정일1998년 11월 13일
면적15,826m2
필지 수29필지

2. 역사

구율포진성은 원래 외포 바닷가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율포부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거제군지에 따르면 조선 숙종 14년(1688) 통제사 이세현이 상소를 올려 성을 만들고 무종 9품의 권관을 두어 방어하게 하였다.

2. 1. 축성 배경 및 목적

이 성은 원래 외포 바닷가에 있던 것을 옮겨왔다고 하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율포부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거제군지』에 따르면 조선 숙종 14년(1688) 통제사 이세현이 상소를 올려 이곳에 성을 만들고 무종 9품의 권관을 두어 방어하게 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우수영에 속한 방어진지로 사용되었으며, 칠천량해전 때 왜구의 침입을 받기도 하였다.

2. 2. 임진왜란과 율포성

임진왜란우수영에 속한 방어진지로 사용되었으며, 칠천량 해전에서 왜구의 침입을 받기도 하였다.[1]

3. 구조 및 특징

구율포진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성곽이다. 동쪽을 제외한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계곡에 돌로 쌓은 성이다. 성 밖에는 민가가 있고 안은 경작지로 사용하는 등 주변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원래 외포 바닷가에 성을 만들었는데 이곳으로 옮겼다고 하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율포부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거제군지』에 따르면 숙종 14년(1688) 통제사 이세현이 글을 올려 이곳에 성을 만들고 무종 9품의 권관을 두어 방어하게 하였다고 한다.[1]

3. 1. 성곽 구조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있는 이 성은 동쪽을 제외한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계곡에 돌로 쌓은 성이다.

성 밖에는 민가가 있고 안은 경작지로 사용하는 등 주변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터에는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작은 성이 북쪽과 남쪽에 있는데, 남쪽은 그런대로 남아 있으나 북쪽은 겨우 흔적만 남아 있다. 원래 외포 바닷가에 성을 만들었는데 이곳으로 옮겼다고 하며, 『신증동국여지승람』 거제조에는 율포부라 불렀다고 한다. 『거제군지』에 따르면 숙종 14년(1688) 통제사 이세현이 글을 올려 이곳에 성을 만들고 무종 9품의 권관을 두어 방어케 하였다고 한다.[1]

3. 2. 문터와 부속 시설

문터에는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작은 성인 옹성이 북쪽과 남쪽에 있는데, 남쪽은 비교적 잘 남아 있으나 북쪽은 겨우 흔적만 남아 있다.[1]

참조

[1] 간행물 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http://210.104.249.3[...] 경상남도지사 2018-12-20
[2] 보고서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 1185번지 일원 내 梁山 架山里遺蹟 Ⅴ. 고찰 https://www.cha.go.k[...]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15-09-01
[2]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양산석산지구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http://www.feaci.or.[...]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06-12-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