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창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창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1963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는 거창군 전 지역을 관할했으며, 제헌 국회부터 제5대 국회까지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표현태, 신중목, 신도성, 서한두, 신중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창군의 정치 -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선거구는 20대 총선 때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선거구에 합천군이 편입되어 신설되었으며, 강석진, 김태호, 신성범이 당선되었고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 거창군의 정치 - 거창군수 선거
    거창군수 선거는 거창군 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이후 여러 차례 실시되었으며 무소속 및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어 거창군의 정치적 지형 변화를 보여준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거창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거창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남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함양군·거창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거창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함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함양군·거창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 (1948년 ~ 1950년)


3. 2. 제2대 국회 (1950년 ~ 1954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신중목 의원이 당선되었다.

3. 3. 제3대 국회 (1954년 ~ 1958년)

1954년 총선에서 민주국민당 신도성 후보가 당선되었다.

3. 4. 제4대 국회 (1958년 ~ 1960년)

wikitext

선거정당의원
1958년style="background-color:"|자유당서한두


3. 5. 제5대 국회 (1960년 ~ 1961년)

선거정당의원
1960년민주당신중하


4. 역대 선거 결과

1948년부터 1960년까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당선자정당득표수 (득표율)
제1대표현태대한독립촉성국민회17,143 (38.26%)
제2대신중목무소속23,561 (52.21%)
제3대신도성민주국민당18,165 (40.01%)
제4대서한두자유당16,536 (36.70%)
제5대신중하민주당21,123 (43.19%)


4. 1. 제1대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1948년 5월 10일에 치러진 대한민국국회의원 선거이다. 경상남도 거창군에서는 총 4명의 후보가 출마하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표현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표현태대한독립촉성국민회17,14338.26
신중목대한독립촉성국민회15,74335.14
박달준조선불교교무원9,71621.68
김상수조선예수교장로회2,1974.90
합계44,799100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중목무소속23,56152.21
최성환대한독립촉성국민회9,48521.02
임유동무소속4,4139.78
이용화대한독립촉성국민회4,1239.13
표현태대한독립촉성국민회1,8084.00
김중수대한노동총연맹1,7303.83
신도성미상00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신도성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도성민주국민당18,16540.01
신중목자유당9,36620.63
이시현무소속5,16611.37
변경식무소속4,91610.82
장동은무소속4,2669.39
임주섭무소속1,6043.53
김성출무소속1,2262.70
김만세대한독립촉성국민회6901.51
신종윤무소속00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서한두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서한두자유당16,53636.70%
신중하민주당10,23522.71%
최성환대한독립촉성국민회8,23218.27%
신중목무소속6,47114.36%
한소문무소속3,5757.93%
합계45,049100%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중하민주당21,12343.19
이용화무소속8,04816.45
정수영무소속7,66715.67
한소문무소속6,24212.76
이희대무소속5,82011.90
합계48,900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