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중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중목은 일제강점기, 미군정, 대한민국 정치에 참여한 인물이다. 1918년 와세다 대학교 정경과를 졸업하고 거창군에서 근무했으며, 미군정 시기 거창 군수를 역임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1951년 국회에서 거창 사건을 폭로했다. 이승만 정부에서 농림부 장관을 지냈으며, 농협중앙회 회장, 한국농민자주총연맹 총재 등을 역임했다. 1982년 서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 - 조봉암
    조봉암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농림부 장관,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진보당 사건으로 사형당했으나 2011년 재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 - 최규옥
    최규옥은 강원도 양구 출신으로 의료계와 정계에서 활동한 정치인이자 의사로, 신탁통치 반대 운동과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강원도지사, 농림부장관 등을 역임했다.
  • 거창군 출신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거창군 출신 - 박종문 (1932년)
    경북대학교 농학 박사 출신인 박종문(1932년)은 농촌진흥청 입사 후 농림부 및 농수산부 고위직,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농수산위원장,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강원도지사, 농수산부 장관, 그리고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5공화국 시대 정치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관료이다.
  • 거창 신씨 - 신성범
    신성범은 KBS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19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현재 제22대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 거창 신씨 - 신후담
    신후담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성리학자로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서학을 비판적으로 연구했고, 천주교 교리를 비판한 《서학변》을 저술했으며,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며 남인 공서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조선 후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신중목
기본 정보
신중목
신중목
출생1907년 3월 25일
사망1998년 12월 25일
본관평산 신씨
학력
학력일본 메이지 대학 법학부 졸업
경력
주요 경력제2대 국회의원
제6대 국회의원
제7대 국회의원
제8대 국회의원
제9대 국회의원
제10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정책의장
국회 재무위원장
국회 예산결산위원장
국회 건설위원장
국회 농림위원장
상훈
상훈청조근정훈장

2. 생애

신중목은 와세다 대학 정경과를 수료하고 경상남도 창원군, 거창군 군수를 지냈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을 거쳐 독립촉성국민회 거창군 지부장을 역임했다.[2][4] 1951년 3월 29일, 피난국회 54차 본회의에서 국군 11사단에 의해 자행된 거창 신원면 양민 학살 사건을 폭로했다.[2] 1952년 8월 29일부터 1953년 9월 9일까지 제7대 농림부 장관을 역임하며 농업 정책을 이끌었다.[5][6]

2. 1. 초기 생애 및 일제강점기 활동

와세다 대학 정경과를 수료하고 경상남도 창원군, 거창군 군수를 지냈다. 1945년 10월 미군정 시기 거창 군수에 임명되었으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거창지부의 후신인 거창 인민위원회는 다른 군수를 임명했다. 미군정은 인민위원회가 임명한 군수를 파면하고 인민위원회 측에 탄압을 가했기 때문에, 거창군에서 좌우익의 갈등이 심각해졌다.[2][4] 1932년 거창군 서기로 근무할 당시 뇌물 사건으로 징역 10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1936년에 창립된 거창 약주 합명회사의 지배인을 맡았으며, 1937년과 1938년 조선 주류 품평회에서 우등상을 획득했다. 1938년에는 거창읍에서 군내 최초의 양어장을 개설하여 양어를 했다. 또한 1922년에 창립된 거창 인쇄소의 후신으로 출발한 합자회사 동광사에 투자하여 운영에 참여했다. 1939년, 정원 11명의 거창읍 협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2. 2. 해방 이후 정치 활동

미군정 시기인 1945년 10월, 신중목은 거창군수에 임명되었으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거창지부의 후신인 거창 인민위원회는 다른 군수를 임명했다. 미군정은 인민위원회가 임명한 군수를 파면하고 인민위원회 측에 탄압을 가했기 때문에, 거창군에서 좌우익의 갈등이 심각해졌다.[2][4] 1946년 11월에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경상남도 대의원에 당선되었다. 1948년 제1대 총선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선거후원회의 추천을 받아 출마했지만, 표현태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2][4]

1949년, 신중목은 독립촉성국민회 거창군 지부장, 국민회 경남대회 임시집행위원회의 의장, 국민회 경남본부 부위원장을 거쳤다.[4][5] 1950년 제2대 총선에서는 거창군 선거구에서 우익 성향의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국회의원 재직 중인 1951년 3월, 대한청년단 거창군단장의 보고에 의해 지역에서 대량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고, 3월 29일(3월 10일 설도 있음) 국회 본회의에서 거창군에서 발생한 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을 폭로하고 진상 보고와 규명을 요구했다. 이후 현지 조사단에 참가하여 조사를 했다.[2][4]

1952년 8월 29일부터 1953년 9월 9일까지 이승만 정권에서 제7대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재임 중 농업 단체의 재편, 협동조합의 설치, 입도선매제의 철폐 등 식량 증산을 위한 긴급 계획을 추진했다.[5][6] 퇴임 후 대한농민회 최고위원에 임명되었다.[4] 1954년 제3대 총선에서는 자유당에서 출마했지만, 민국당의 신도성에게 패하여 낙선했다.[2] 1955년 12월에 자유당을 탈당하고, 공화당에 참여했다.[4]

2. 3. 제2대 국회의원과 거창 양민 학살 사건 폭로

1949년 국민회 거창군 지부장, 국민회 경남대회 임시집행위원회의 의장, 국민회 경남본부 부위원장을 역임하고[4][5], 1950년 제2대 총선에서는 거창군 선거구에서 우익 성향의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국회의원 재직 중인 1951년 3월 대한청년단 거창군단장의 보고로 지역에서 대량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고, 3월 29일(3월 10일 설도 있음) 국회 본회의에서 거창군에서 발생한 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을 폭로하고 진상 보고와 규명을 요구했다. 이후 현지 조사단에 참가하여 조사를 했다.[2][4]

2. 4. 농림부 장관 시절

1952년 8월 29일부터 1953년 9월 9일까지 이승만 정권에서 제7대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재임 중 농업 단체의 재편, 협동조합 설치, 입도선매제 철폐 등 식량 증산을 위한 긴급 계획을 추진했다.[5][6]

2. 5. 이후 정치 활동 및 사망

미군정 시기인 1945년 10월, 신중목은 거창 군수에 임명되었으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거창지부의 후신인 거창 인민위원회는 다른 군수를 임명했다. 미군정은 인민위원회가 임명한 군수를 파면하고 인민위원회 측에 탄압을 가했기 때문에, 거창군에서 좌우익의 갈등이 심각해졌다.[2][4] 1946년 11월에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경상남도 대의원에 당선되었다. 1948년 제1대 총선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추천을 받아 출마했지만, 표현태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2][4]

1949년, 신중목은 국민회 거창군 지부장, 국민회 경남대회 임시집행위원회의 의장, 국민회 경남본부 부위원장을 역임했다.[4][5] 1950년 제2대 총선에서는 거창군 선거구에서 우익 성향의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국회의원 재직 중이던 1951년 3월, 대한청년단 거창군단장의 보고를 통해 지역에서 대량 학살 사건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3월 29일(3월 10일 설도 있음) 국회 본회의에서 거창군에서 발생한 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을 폭로하며 진상 보고와 규명을 요구했다. 이후 현지 조사단에 참가하여 조사를 진행했다.[2][4]

1952년 8월 29일부터 1953년 9월 9일까지 이승만 정권에서 제7대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재임 중 농업 단체의 재편, 협동조합의 설치, 입도선매제의 철폐 등 식량 증산을 위한 긴급 계획을 추진했다.[5][6] 퇴임 후에는 대한농민회 최고위원에 임명되었다.[4] 1954년 제3대 총선에서는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민국당의 신도성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2] 1955년 12월, 자유당을 탈당하고 공화당에 참여했다.[4]

1960년 7월 11일, 농협중앙회 회장에 당선되어 이듬해 3월까지 역임했다. 1963년 4월, 한국농민자주총연맹의 총재로 선출되었다. 1967년에는 신민당의 운영위원으로 선출되었지만, 제7대 총선에서는 또다시 낙선했다. 1971년 1월, 신당인 국민당에 참여했다. 1981년, 농어민의 권익 대표를 표방한 민주농민당 창당 준비위원회 위원장과 충무회 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2월에는 민주농민당 총재로 선출되었다. 1982년 12월 31일, 지병으로 서울에서 81세로 사망했다.[4][5]

3.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단계에서 결과물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4. 기념

거창사건 추모공원에는 신중목의 공로비가 있다.[4]

5. 약력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48년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대한독립촉성국민회15,743표 (35.14%)2위낙선
1950년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무소속23,561표 (52.21%)1위당선초선
1954년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자유당9,366표 (20.63%)2위낙선
1958년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무소속6,471표 (14.36%)4위낙선
1967년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신민당26,177표 (27.86%)2위낙선
1971년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국민당1,677표 (1.63%)3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3-10-18
[2] 웹사이트 거창의 역사적 변천과정 http://geochang.kccf[...] 2023-10-18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0-18
[4] 웹사이트 신중목 - 디지털거창문화대전 http://geochang.gran[...] 2023-10-18
[5] 웹사이트 신중목(愼重穆) https://encykorea.ak[...] 2023-10-18
[6] 웹사이트 장관 https://www.mafra.go[...] 2023-10-18
[7] 웹사이트 거창 사건 추모 공원 신중목 공로비 - 디지털거창문화대전 http://www.grandcult[...] 2023-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