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맞는 상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결맞는 상태는 양자 조화 진동자의 소멸 연산자의 고유 상태로, 양자 광학, 응집 물질 물리학, 양자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에르빈 슈뢰딩거가 처음 도입했으며, 로이 글라우버가 양자광학에 적용하여 전자기장의 결맞음에 대한 이론을 제시했다. 결맞는 상태는 최소 불확정성 상태이며, 광자 수 분포는 푸아송 분포를 따른다. 또한, 위치와 운동량, 위상과 광자 수 사이에는 불확정성 관계가 존재한다. 결맞는 상태는 과잉 완전 기저를 형성하며, 임의의 양자 상태를 중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양자 광학에서는 레이저 빛과 같이 결맞음이 큰 빛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응집 물질 물리학에서는 초유체 헬륨-4의 초유동 현상과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된다. 결맞는 상태는 하이젠베르크 군뿐만 아니라 다른 군과도 연관될 수 있으며, 양자장론과 끈 이론에서도 일반화되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결맞는 상태 | |
---|---|
개요 | |
유형 | 양자역학 상태 |
분야 | 양자 광학, 양자장론 |
발견자 | 에르빈 슈뢰딩거 로이 J. 글라우버 조지 수다르샨 |
발견 시기 | 1926년 (슈뢰딩거), 1963년 (글라우버, 수다르샨) |
상세 정보 | |
정의 | 양자 조화 진동자의 고유 상태 중 하나이며, 고전적인 진동과 가장 유사한 양자 상태 |
관련 개념 | 양자 조화 진동자 푸아송 분포 불확정성 원리 글라우버-수다르샨 P 표현 |
특징 | 시간에 따라 모양이 변하지 않음 (최소 불확정성 유지) 푸아송 분포를 따르는 광자 수 분포 고전적인 전기장과 유사한 간섭 패턴 형성 |
응용 | 레이저 이론 양자 정보 처리 양자 통신 |
수학적 표현 | |α⟩ = e^(-|α|^2/2) Σ(n=0 to ∞) (α^n / √(n!)) |n⟩ 여기서 α는 복소수, |n⟩은 number state |
2. 역사
에르빈 슈뢰딩거가 1926년에 최소 불확정성 가우스 파동 묶음 형태로 결맞는 상태를 처음 도입하였다.[43] 슈뢰딩거는 대응 원리를 만족하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를 찾으면서, 위치와 운동량에 대해 상대적인 분산이 같도록 하는 최소 불확정성 상태를 유도했다. 이 상태는 각 에너지 모두 고에너지에서 동일하게 작다.
양자 조화 진동자의 소멸 연산자 의 고유 상태가 결맞는 상태로 정의된다. 임의의 복소수 에 대해, 결맞는 상태 는 다음을 만족한다.[1]
결맞는 상태는 양자역학에서 여러 가지 흥미로운 성질을 갖는다.
1963년, 로이 글라우버(Roy Jay Glauber영어)는 결맞는 상태를 양자광학에 도입하여 전자기장의 결맞음에 대한 완전한 양자 이론적 설명을 제공하였다.[44] 글라우버는 별의 직경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간섭 패턴을 생성한 핸버리-브라운 & 트위스 실험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도입했다.
3. 정의
:
즉, 결맞는 상태는 소멸연산자 에 대해 고윳값 를 갖는 고유상태이다.
결맞는 상태는 진공 상태에 변위 연산자 를 작용하여 얻을 수 있다.[1]
:
4. 성질
결맞는 상태는 다음을 만족한다.[5]성질 수식 평균 위치 () 평균 운동량 () 위치와 운동량의 불확정성 (, ) 평균 입자 수 () 및 분산 () \langle n\rangle=(\Delta n)^2=>\alpha|^2
여기서 는 결맞는 상태를 나타내는 복소수이며, 와 는 각각 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나타낸다.
입자 수 은 푸아송 분포를 따르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는 개의 입자를 측정할 확률을 나타낸다.
양자 광학에서 결맞는 상태는 양자화된 전자기장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는 최대 종류의 결맞음과 고전적인 동작을 설명한다.[2][6][7] 에르빈 슈뢰딩거는 1926년에 대응 원리를 만족하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를 찾으면서 "최소 불확정성" 가우스 파동 묶음으로 결맞는 상태를 유도했다.[1]
로이 J. 글라우버는 1963년에 전자기장의 결맞음에 대한 완전한 양자 이론적 설명을 제공하면서 결맞는 상태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8]
고전 광학에서 빛은 전자기파로 생각되지만, 양자 이론에서는 광자라는 입자의 흐름으로 설명된다. 레이저 빛은 공진 공동에서 생성되며, 매우 결맞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레이저 빛은 결맞는 상태로 이상화될 수 있다.
결맞는 상태는 빔 분할기의 양자 작용을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하다.[11]
결맞는 상태는 소멸 연산자의 고유 상태로 정의되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는 복소수이다.
thumb에 필요한 것처럼 평균 광자 수는 광자 수 분포의 분산과 같다.]]
서로 다른 결맞는 상태는 직교하지 않지만,[22] 과잉 완전성(Overcompleteness)을 만족하여, 임의의 양자 상태를 결맞는 상태의 중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4. 1. 최소 불확정성
결맞는 상태에서 정준 좌표
:
:
를 측정했을 때, 그 표준 편차 , 는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
따라서 결맞는 상태는 최소 불확정 상태이다. 위상 공간에서 결맞는 상태는 국소화되어 있다.
한편, 광자 수와 위상의 불확정성에 관해서는 결맞는 상태는 가 작을 때는 최소 불확정 상태가 아니다. 그러나 가 클 때, 즉 광자 수가 많을 경우 광자 수와 위상의 최소 불확정 상태에 가까워지고 고전적인 빛에 대응하게 된다.
4. 2. 광자 수 분포
결맞는 상태에서 광자 수를 측정하면 푸아송 분포를 따른다. 즉,
:
이다. 여기서 은 개의 광자를 감지할 확률이다.
평균 광자 수와 분산은 다음과 같다.
:.
이는 광자 수의 표준 편차가 광자 수 평균의 제곱근과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큰 값에서는 고전적인 안정파의 통계와 동일하다.
4. 3. 위상과 광자 수의 불확정성
로이 J. 글라우버의 연구에서 비롯된 결맞는 상태는 광자 수와 위상의 불확정성과 관련된 특징을 보인다. 특히 광자 수가 많아질수록, 즉 가 클수록 결맞는 상태는 광자 수와 위상의 최소 불확정 상태에 가까워지며, 이는 고전적인 빛의 특성과 유사해진다.[14][15][16][17][18][19][20][21]
결맞는 상태에서 위상 와 광자 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불확정성 관계가 존재한다.
:
이러한 불확정성으로 인해 고전적인 파동()에 가까운 상태는 광자 수의 요동()이 매우 크다.
글라우버는 고전적 전자기장( 또는 )에 가장 가까운 양자역학적 상태(결맞는 상태)의 확률 분포를 전자기장(, ) 사이의 불확정성 관계(, 여기서 V는 전자기장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체적)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조건으로부터 유도했다.
결맞는 상태는 광자 소멸 연산자의 고유 상태가 되며, 이는 결맞는 상태에서 광자 1개를 소멸시켜도 양자 상태가 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결맞는 상태의 광자 수 분포는 푸아송 분포를 따르며, 이는 개별 광자 검출 사건이 서로 상관없이 일어남을 나타낸다. 푸아송 분포의 특성상 광자 수의 평균값과 분산은 일치한다.
:
결맞는 상태의 진폭을 와 같이 진폭과 위상으로 분리하면, 결맞는 상태는 위상이 일치하고 광자 수 분포는 무작위적임을 알 수 있다.
정준 좌표를 측정했을 때, 그 표준 편차 , 는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
따라서 결맞는 상태는 최소 불확정 상태이다. 그러나 광자 수와 위상의 불확정성과 관련하여, 가 작을 때는 최소 불확정 상태가 아니지만, 가 클 때, 즉 광자 수가 많을 경우 광자 수와 위상의 최소 불확정 상태에 가까워져 고전적인 빛에 대응하게 된다.
4. 4. 과잉 완전성
서로 다른 결맞는 상태는 직교하지 않지만,[22] 다음의 완전성 관계를 만족한다.
:
:
즉, 결맞는 상태는 과잉 완비 기저를 형성하며, 임의의 양자 상태를 결맞는 상태의 중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글로버-수다샨 P 표현의 전제이다.
5. 표현
결맞는 상태는 포크 기저와 위치 기저로 전개하여 표현할 수 있다.
5. 1. 포크 기저 표현
포크 기저로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6. 양자 광학에서의 결맞는 상태
양자 광학에서 결맞는 상태는 양자화된 전자기장의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최대 종류의 결맞음과 고전적인 종류의 동작을 설명한다.[2][6][7] 결맞는 상태는 레이저 빛과 같이 결맞음이 큰 빛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결맞는 상태는 빔 분할기의 양자 작용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11] 두 개의 결맞는 상태 입력 빔은 고전적인 전자기파 공식에 의해 주어진 새로운 진폭을 가진 두 개의 결맞는 상태 빔으로 출력에서 변환된다.[11]
7. 응집물질물리학에서의 결맞는 상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은 모두 동일한 양자 상태에 있는 보손 원자들의 모임이다.[25] 액체 헬륨-4의 초유동성은 이상 기체에서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4He는 강한 상호 작용을 가지며 액체 구조 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4He의 초유동 구성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결맞는 상태를 사용한 것은 느린 중성자 산란 결과와 일치하는 초유동성에서 응축/비응축 분율을 잘 추정할 수 있었다.[26][27][28] 4He의 초유동 구성 요소는 전이 온도에서 0에서 절대 영도에서 100%로 증가하지만, 응축 분율은 절대 영도(T=0K)에서 약 6%이다.[29]
초유동성 연구 초기에 펜로즈와 온사거는 초유동성에 대한 지표("차수 매개변수")를 제안했다.[30] 이는 1차 축소 밀도 행렬에서 거시적 인수 구성 요소(거시적 고유값)로 표현되었다. 이후 C. N. 양은 페르미온과 보손 시스템을 모두 포함하는 "비대각선 장거리 순서"(ODLRO)라는 거시적 양자 결맞음에 대한 보다 일반화된 척도를 제안했다.[31] 초전도성은 2차 (쿠퍼 전자 쌍) 축소 밀도 행렬에서 큰 인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초유동체에서 거시적 양자 결맞음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축소 밀도 행렬은 복사에서 결맞음 차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상관 함수와 형식적으로 동일하다.
전자는 페르미온이지만, 쿠퍼쌍을 이루면 보존처럼 행동하며, 낮은 온도에서 집단적으로 결맞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짝짓기는 실제로 전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전자가 해당 상태로 드나들 수 있는 상태에서 발생한다.[32] 쿠퍼 짝짓기는 초전도 현상에 대한 최초의 모델이다.[33]
이러한 결맞는 상태는 저온 초전도 반도체에서 나타나는 양자 홀 효과와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기여한다.
8. 일반화
질모어(Gilmore)와 페렐로모프(Perelomov)는 결맞는 상태의 구성이 군론의 문제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맞는 상태가 하이젠베르크 군뿐만 아니라 다른 군과도 연관될 수 있음을 독립적으로 증명했다.[34][35][36][37] 이러한 결맞는 상태는 양자군으로 일반화될 수도 있다. 이 주제는 수리물리학에서의 결맞는 상태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양자장론과 끈 이론에서 결맞는 상태의 일반화는 무한히 많은 자유도를 가진 진공 상태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이 진공 상태는 원래의 진공과 다른 진공 기댓값을 가진다.
페르미온 자유도를 가진 1차원 다체 양자 시스템에서, 저에너지 여기 상태는 입자-홀 여기를 생성하는 보존장 연산자의 결맞는 상태로 근사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보존화라고 한다.
비상대론적 양자 역학의 가우시안 결맞는 상태는 클라인-고든(Klein-Gordon) 입자와 디랙(Dirac) 입자의 ''상대론적 결맞는 상태''로 일반화될 수 있다.[38][39][40]
결맞는 상태는 루프 양자 중력 연구나 (반)고전적 정준 양자 일반 상대성이론 구성에도 나타났다.[41][42]
참조
[1]
논문
Der stetige Übergang von der Mikro- zur Makromechanik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
서적
Coherent States
World Scientific
[3]
서적
Quantum Mechanics
McGraw Hill
[4]
논문
The action option and a Feynman quantization of spinor fields in terms of ordinary c-numbers
Elsevier BV
[5]
논문
Measurement of the quantum states of squeezed light
http://gerdbreitenba[...]
Springer Nature
[6]
논문
Coherent states: Theory and some application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90-10-01
[7]
서적
Coherent States in Quantum Physics
Wiley-VCH
[8]
논문
Coherent and Incoherent States of the Radiation Field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63-09-15
[9]
논문
Equivalence of Semiclassical and Quantum Mechanical Descriptions of Statistical Light Beam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63-04-01
[10]
논문
The Theory of Quantized Fields. III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53-08-01
[11]
서적
Measuring the Quantum State of L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2]
웹사이트
The Energy Density of Fields
https://www.sjsu.edu[...]
[13]
서적
"Quantum Photonics, 2nd ed."
Springer Nature
[14]
간행물
Quantum mechanical phase and time operator
[15]
논문
Phase and Angle Variables in Quantum Mechanic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68-04-01
[16]
논문
On the Hermitian Optical Phase Operator
Informa UK Limited
[17]
논문
Who Is Afraid of POV Measures? Unified Approach to Quantum Phase Observables
Elsevier BV
[18]
논문
'Nonclassical' states in quantum optics: a 'squeezed' review of the first 75 years
IOP Publishing
2002-01-08
[19]
서적
Theory of Nonclassical States of Light
Taylor \& Francis
[20]
논문
Analytic representations in quantum mechanics
IOP Publishing
2006-02-01
[21]
서적
Coherent States in Quantum Physics
Wiley-VCH
[22]
서적
Quantum Op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3]
논문
Nonclassical properties of states generated by the excitations on a coherent state
1991-01-01
[24]
논문
Thermal Coherent States and Thermal Squeezed States
Informa UK Limited
[25]
간행물
Observation of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Dilute Atomic Vapor
[26]
논문
A proposal for an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equilibrium condensate fraction in superfluid helium
Elsevier BV
[27]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Phase Coherence, and Two-Fluid Behavior in 4He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2004-04-01
[28]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and two fluid behavior in 4He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2006-07-26
[29]
논문
Condensate fraction in superfluidHe4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87-04-01
[30]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and Liquid Helium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56-11-01
[31]
논문
Concept of Off-Diagonal Long-Range Order and the Quantum Phases of Liquid He and of Superconducto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62-10-01
[32]
간행물
see [[John Bardeen]]'s chapter in: Cooperative Phenomena, eds. H. Haken and M. Wagner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1973)
[33]
논문
Theory of Superconductivity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57-12-01
[34]
간행물
Coherent states for arbitrary Lie groups
https://arxiv.org/ab[...]
[35]
서적
Generalized coherent states and their applications
Springer
[36]
논문
Geometry of symmetrized states
Elsevier BV
[37]
논문
On properties of coherent states
https://rmf.smf.mx/p[...]
[38]
서적
Quantum Physics, Relativity, and Complex Spacetime: Towards a New Synthesis
North-Holland
[39]
서적
Coherent States, Wavelets and Their Generalizations
Springer-Verlag
[40]
논문
Generalized coherent states for spinning relativistic particles
2004-08-25
[41]
논문
Coherent State Transforms for Spaces of Connections
[42]
논문
Coherent states for canonical quantum general relativity and the infinite tensor product extension
Elsevier BV
[43]
저널
[44]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