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명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명군은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아들로, 1489년에 태어났다. 우아하고 검소한 성격에 학문에도 능하여 명망이 높았으며, 중종의 총애를 받아 종친부 등의 관직을 겸임했다. 송사에 연루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으며, 1526년에 사망하여 시호는 정민이다. 부인은 파평 윤씨이며, 안성군 이수령, 안남군 이수련 등을 자녀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6년 사망 - 러요시 2세
러요시 2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로, 1516년 즉위 후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여 헝가리가 오스만 제국에 영토를 빼앗기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 1526년 사망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는 스페인 바스크인 탐험가로, 마젤란 탐험대의 반란에 가담했으나 용서받고 마젤란 사후 빅토리아호를 이끌어 세계 최초로 지구를 일주하는 데 성공했으며, 카를 5세로부터 문장을 받았으나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마젤란에 가려져 역사적 평가와 재조명의 대상이 되었다. - 1489년 출생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1489년 출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경명군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명군 |
휘 | 이침(李忱) |
아명 | 충복(忠福) |
아버지 | 성종 |
어머니 | 숙의 홍씨 |
출생일 | 1489년 10월 6일 (양력) |
사망일 | 1526년 7월 4일 (양력) |
작위 | 조선 성종의 왕자 |
시호 | 정민(貞敏) |
배우자 | 강양군부인 파평 윤씨 |
자녀 | 2남 2녀 |
능묘 | 경명군 묘(景明君墓) |
능묘 위치 | 경기도 의정부시 산곡동 산25-1 |
2. 생애
1489년(성종 20년) 8월 18일, 성종과 숙의 홍씨의 다섯번째 아들로 태어났다.[2] 이름은 '''침'''(忱)이며, 아명은 충복(忠福)이다. 성종의 11번째 아들이며, 생모는 숙의 홍씨이다. 우아하고 검소한 성격이었으며, 학문에도 뛰어나 명망이 높았다. 중종의 총애를 받아 종친부·종부사·사찬원 도제조를 겸임하였고, 문소전도 관장하였다.[1]
경명군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1519년(중종 14년), 박수문 등이 왕자들의 행실을 문제삼으며 왕에게 타이를 것을 청하였는데, 경명군은 외지부의 사람을 불러모아 송사(訟事)를 좋아한다는 이유에서였다. 이후에도 경명군은 자주 송사를 일으켜, 부정적인 방법으로 남의 노비를 빼앗아 헌부에서 경명군을 체직할 것을 청했지만 중종은 이를 듣지 않았다.[3] 같은 해, 헌부에서 표문을 배송할 때 경명군은 말에서 내리지 않고 그대로 달려서 지나갔는데, 이를 두고 헌부에서 경명군이 조정을 능멸했다며 국문할 것을 청하니 왕이 종부시로 하여금 추국하게 하였다.
1521년(중종 16년), 이복 동생인 영산군과 함께 안처겸의 옥사에 연루되자, 대간들이 앞다투어 처벌을 주청하였지만 중종의 비호로 무사하였다.[4] 이후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가 되었으나 폐해를 끼쳐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5]
1526년(중종 21년) 5월 25일 졸하였다. 시호는 정민(貞敏)이다.
3. 가족 관계
구분 내용 정부인 강양군부인 윤씨 (? ~ 1537) : 첨정 윤첩의 딸 장녀 이연환 사위 안동 김씨 김생해 (1512 ~ 1558)[6] 장남 안성군 이수령 (1516 ~ ?) 며느리 남양 홍씨 (군수 홍도경의 딸), 나주 나씨 (현령 나윤철의 딸) 손녀 이순현 (1534 ~ ?) 손자 평원군 이일 (1539 ~ ?) 차녀 이옥녀 사위 전주 최씨 판관 최충수 차남 안남군 이수련 (1520 ~ ?) 며느리 안동 김씨 (병사 김공석의 딸), 청송 심씨 (봉사 심봉의 딸) 손자 금천군 이보 (1537 ~ ?), 능성군 이신 (1542 ~ ?), 영천군 이정 (동복 막내동생 양원군의 맏아들 함녕군 이수련의 양자로 감), 문성군 이건 (1560 ~ 1623) (중종의 6남 봉성군의 양자로 입적)
3. 1. 부모
3. 2. 형제자매
3. 3.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 | 자녀 |
---|---|
강양군부인 윤씨(? ~ 1537) - 첨정 윤첩의 딸 | |
사위 | 손자/손녀 (친손) |
손자/손녀 (외손) | |
참조
[1]
웹사이트
경명군
http://people.aks.ac[...]
[2]
서적
국조인물고 권5 국척(國戚) - 이침(李忱)
[3]
서적
중종실록 35권, 중종 14년(1519년) 4월 2일 (을축)
[4]
서적
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1521년 명 정덕(正德) 16년) 10월 28일 (병오)
[5]
서적
중종실록 51권, 중종 19년(1524년 명 가정(嘉靖) 3년) 6월 27일 (경신)
[6]
문서
김상헌의 조부이자, 김창협의 5대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