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산군 (왕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산군(永山君)은 조선 성종과 숙용 심씨의 아들로, 1490년에 태어나 1538년에 사망했다. 그는 여러 차례 역모에 연루되었으나, 중종의 비호로 처벌을 면했다. 1508년, 1513년, 1521년에 역모 혐의로 거론되었으며, 1519년에는 부도덕한 행실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결국 1523년 황해도 배천으로 유배되었으나, 1527년 서울로 돌아왔다. 영산군은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 교성군부인 경주 정씨, 함흥군부인 황씨 등과 혼인했으며, 슬하에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0년 출생 - 전성군 (1490년)
    전성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며, 귀인 권씨의 아들이고 단양군부인 안동 권씨를 부인으로 두었으며, 양자로 광천군을 두었다.
  • 1490년 출생 - 무산군 (왕족)
    무산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자 숙원 김씨 소생의 12남으로, 연산군 시절 안동 춘양으로 피신했으며 문필과 문장에 능했고 군부인 평산 신씨와의 사이에서 6남 2녀를 두었다.
  • 1538년 사망 - 효순공주
    중종과 장경왕후의 딸인 효순공주는 능원위 구사안에게 하가했으나 난산으로 사망했고, 구사안은 재혼으로 인해 은권이 박탈되었다.
  • 1538년 사망 -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디 우르비노 공작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으로, 우르비노 공작, 교황령 총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전쟁에 참여하고 페사로의 군주가 되었으나, 레오 10세와의 갈등으로 파문당하고 독살되었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영산군 (왕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조선 성종의 왕자
이전(李恮), 복숭(福崇 · 아명)
시호충희(忠僖)
출생일1490년 11월 6일 (양력)
사망일1538년 7월 6일 (양력)
능묘영산군 이전 묘역(寧山君墓域)
능묘 위치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산39, 산103-1
가계
왕가전주 이씨
아버지성종
어머니숙용 심씨
배우자금릉군부인 청송 심씨, 교성군부인 경주 정씨, 함흥군부인 함흥 황씨
자녀4남 7녀
관직
봉호영산군(寧山君 or 靈山君)

2. 생애

1490년(성종 21년) 윤9월 24일, 성종숙용 심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름은 '''전'''(恮)이며 아명은 복숭(福崇)이다.[8]

1508년(중종 3년), 신복의, 동청례 등의 역모혐의에 거론되었으나 영산군은 이를 부인하였다.

1513년(중종 8년), 반역을 모의한 박영무와 신윤무를 국문할 때도 영산군은 또다시 역모의 추대자로 언급되었다. 이에 영산군은 대죄를 청하였으나 중종이 비호하여 처벌받지 않았다.[9] 대신들과 사헌부에서 두번이나 역모에 연루된 영산군을 외방에 부처할 것을 청하였고[10], 왕실의 종친들 또한 영산군에게 죄줄것을 청했으나 중종은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11]

1519년(중종 14년), 이복형인 경명군과 함께 부도덕한 행동으로 물의를 빚었는데, 경명군은 외지부의 사람을 끌어다가 송사(訟事)를 즐기고, 영산군은 미복 차림으로 종 10명을 데리고 남의 기첩을 빼앗아 집에 데리고 왔다. 박수문은 중종에게 왕자들의 행실을 타이를 것을 청했다.

1521년(중종 16년), 영산군은 안처겸의 모반에 경명군과 함께 거론되었다. 세번째 역모에 연루된 것이다. 대신들은 중종에게 은정(恩情)을 끊고 경명군과 영산군을 처벌할 것을 청했으나 이번에도 중종은 이복 동생인 경명군과 영산군을 비호하였다.[12] 영산군과 경명군은 종부시와 헌부의 감시하에 일체의 사적 모임에 참석하지 못하게 되었다.

{{인용문| 

:"어제 아뢴 경명군(景明君)과 영산군(寧山君)의 일은

: 아래서 아뢰지 않을 수도 없고 중지할 수도 없는 일이니,

: 빨리 은정(恩情)을 끊고 시급하게 처치하심이 어떠하리까?"

:하니, 답하기를,

:"내가 듣건대, 조종조(祖宗朝)에는 반역이 적었는데,

: 내가 즉위한 뒤부터는 서로 잇달아 일어나니 이는 내가 부덕한 소치다.

: 더구나 선왕(성종)의 아들이 자주 간사한 사람의 구설에 오르게 되니 더욱 미안스럽다.

: 지난날의 견성군(甄城君) 일은 비록 부득이 하게 된 것이기는 하지만,

: 내가 매우 후회스러워 뒤에는 비록 간사한 자가 왕자를 빙자하더라도

: 동요하지 않기로 맹세했으니, 이는 특히 한 때의 일만이 아니라 만세를 염려한 것이다.

: 옛말이 ‘한 자의 베도 나누어 꿰맬 수 있고 한 말의 조도 나누어 찧을 수 있는 법인데,

: 형제간에 서로 용납하지 못해서야 되겠는가?’ 하였는데,

: 이 말은 예나 지금이나 마땅히 본받아야 할 말이다.

:

(중략)


: 당초 역적들의 죄를 정할 적에 왕자들에게까지 파급되어 관계되는 바가 가볍지는 않으나,

: 막중한 천륜에는 지극한 정이 따르는 법이니 경 등의 감동했다는 말은 지극히 당연하다.

: 경명과 영산은 죄줄 수 없다."|《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1521년 명 정덕(正德) 16년) 10월 28일 (병오)|align=center}}

1523년(중종 18년), 진세호 등을 국문할 때 또다시 영산군이 거론되자 남곤 등이 영산군을 죄줄것을 다섯번이나 청하고, 대사헌과 대사간이 합사하여 영산군의 일을 계하자 중종은 마침내 영산군을 황해도 배천에 부처[13]하였다. 이후 영산군이 병이 들자 중종은 병구완을 하게 하였고 곡식을 보냈다.

1527년(중종 22년), 외방 부처된 곳에서 방환되어 서울에 머물게 되었다.

1534년(중종 29년), 영산군의 아내인 교성군부인 정씨의 4남매의 패륜과 불효를 의금부로 하여금 추국하게 하였는데, 정씨와 올케 양씨, 올케 이씨, 정씨의 언니 등 4남매가 모친의 상중에 서로 재물을 가지고 싸우고, 영산군의 처 정씨는 올케 양씨와 서로 말싸움하며 구타하였기 때문이었다.

1538년(중종 33년) 6월 11일 졸하였다.

2. 1. 출생과 가계

영산군(永山君)은 조선 성종과 숙용 심씨의 아들이다. 숙용 심씨는 1465년에 태어나 1515년에 사망하였다. 영산군은 경순옹주(1482년생), 숙혜옹주(1486년생), 이성군 이관(1489년생)과 동기간이다.

영산군은 세 명의 부인을 두었다. 정부인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세종의 왕자 수춘군의 외손녀이자 심순로(沈順路)의 딸로, 1524년에 사망하였다.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는 영산군과의 사이에서 두 딸을 낳았는데, 장녀 이의정(1508년생)은 광산 김씨 현감 김종(金綜)과 혼인하였고, 차녀 이경정(1510년생)은 경주 정씨 군수 정충인(鄭忠仁)과 혼인하였다.

계부인 교성군부인 경주 정씨인종의 조카사위가 된다.[14] 또 다른 계부인 함흥군부인 황씨는 주부(主簿) 황징(黃徵)의 딸이다.

영산군은 함흥군부인 황씨와의 사이에서 장남 은천군 정(1514년생)과 차남 장흥군 상(1520년생)을 두었다. 이외에도 3남 음성군 유(1520년생), 4남 양산군 록(1530년생)과 여러 명의 딸을 두었다.

2. 2. 잦은 역모 연루와 중종의 비호

영산군 이 বিশেষণ은 (恮)은 1490년(성종 21년) 성종숙용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8] 이름은 전(恮), 아명은 복숭(福崇)이다.

1508년(중종 3년), 신복의, 동청례 등의 역모 혐의에 영산군이 거론되었으나 부인하였다. 1513년(중종 8년)에는 박영무와 신윤무의 역모에 다시 언급되었고, 영산군은 대죄를 청하였으나 중종이 비호하여 처벌받지 않았다.[9] 대신들과 사헌부[10], 왕실 종친들[11]까지 영산군에게 죄를 줄 것을 청하였으나 중종은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1519년(중종 14년), 이복형 경명군과 함께 부도덕한 행동으로 물의를 빚었다. 박수문은 중종에게 왕자들의 행실을 바로잡을 것을 청했다.

1521년(중종 16년), 안처겸의 모반에 경명군과 함께 다시 역모에 연루되었다.[12] 대신들은 중종에게 은정을 끊고 경명군과 영산군을 처벌할 것을 청했으나, 중종은 이복 동생들을 비호하였다.[12]

{{인용문| 

:"어제 아뢴 경명군(景明君)과 영산군(寧山君)의 일은

: 아래서 아뢰지 않을 수도 없고 중지할 수도 없는 일이니,

: 빨리 은정(恩情)을 끊고 시급하게 처치하심이 어떠하리까?"

:하니, 답하기를,

:"내가 듣건대, 조종조(祖宗朝)에는 반역이 적었는데,

: 내가 즉위한 뒤부터는 서로 잇달아 일어나니 이는 내가 부덕한 소치다.

: 더구나 선왕(성종)의 아들이 자주 간사한 사람의 구설에 오르게 되니 더욱 미안스럽다.

:
(중략)


: 경명과 영산은 죄줄 수 없다."|《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1521년 명 정덕(正德) 16년) 10월 28일 (병오)|align=center}}

1523년(중종 18년), 진세호 등을 국문할 때 영산군이 또다시 거론되자 남곤 등이 다섯 번이나 죄줄 것을 청하고, 대사헌과 대사간이 합사하여 계하자 중종은 영산군을 황해도 배천에 부처[13]하였다. 이후 영산군이 병이 들자 중종은 병구완을 하게 하고 곡식을 보냈다. 1527년(중종 22년), 외방에서 풀려나 서울에 머물게 되었다.

1534년(중종 29년), 영산군의 아내 교성군부인 정씨와 그 4남매의 패륜, 불효를 추국하였다. 정씨와 그 형제자매들이 모친의 상중에 재물을 다투고, 영산군의 처 정씨는 올케와 서로 구타했기 때문이었다.

2. 3. 부도덕한 행실과 사망

영산군 전(恮)은 1490년(성종 21년) 성종과 숙용 심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름은 전(恮)이며 아명은 복숭(福崇)이다.[8] 1508년(중종 3년) 신복의, 동청례 등의 역모 혐의에 거론되었으나 영산군은 이를 부인하였다. 1513년(중종 8년)에는 박영무와 신윤무의 역모에 다시 언급되었으나, 중종의 비호로 처벌받지 않았다.[9] 대신들과 사헌부에서 두 번이나 역모에 연루된 영산군을 외방에 부처할 것을 청하고,[10] 왕실 종친들 또한 영산군에게 죄를 줄 것을 청했으나 중종은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11]

1519년(중종 14년), 이복형인 경명군과 함께 부도덕한 행동으로 물의를 빚었다. 영산군은 미복 차림으로 종 10명을 데리고 남의 기첩을 빼앗아 집에 데리고 왔다. 박수문은 중종에게 왕자들의 행실을 타이를 것을 청했다. 1521년(중종 16년), 안처겸의 모반에 경명군과 함께 세 번째로 역모에 연루되었다. 대신들은 중종에게 은정을 끊고 경명군과 영산군을 처벌할 것을 청했으나, 중종은 이복 동생인 경명군과 영산군을 비호하였다.[12]

{{인용문| 

:"어제 아뢴 경명군(景明君)과 영산군(寧山君)의 일은

: 아래서 아뢰지 않을 수도 없고 중지할 수도 없는 일이니,

: 빨리 은정(恩情)을 끊고 시급하게 처치하심이 어떠하리까?"

:하니, 답하기를,

:"내가 듣건대, 조종조(祖宗朝)에는 반역이 적었는데,

: 내가 즉위한 뒤부터는 서로 잇달아 일어나니 이는 내가 부덕한 소치다.

: 더구나 선왕(성종)의 아들이 자주 간사한 사람의 구설에 오르게 되니 더욱 미안스럽다.

: 지난날의 견성군(甄城君) 일은 비록 부득이 하게 된 것이기는 하지만,

: 내가 매우 후회스러워 뒤에는 비록 간사한 자가 왕자를 빙자하더라도

: 동요하지 않기로 맹세했으니, 이는 특히 한 때의 일만이 아니라 만세를 염려한 것이다.

: 옛말이 ‘한 자의 베도 나누어 꿰맬 수 있고 한 말의 조도 나누어 찧을 수 있는 법인데,

: 형제간에 서로 용납하지 못해서야 되겠는가?’ 하였는데,

: 이 말은 예나 지금이나 마땅히 본받아야 할 말이다.

:
(중략)


: 당초 역적들의 죄를 정할 적에 왕자들에게까지 파급되어 관계되는 바가 가볍지는 않으나,

: 막중한 천륜에는 지극한 정이 따르는 법이니 경 등의 감동했다는 말은 지극히 당연하다.

: 경명과 영산은 죄줄 수 없다."|《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1521년 명 정덕(正德) 16년) 10월 28일 (병오)|align=center}}

1523년(중종 18년), 진세호 등을 국문할 때 또다시 영산군이 거론되자 남곤 등이 영산군을 죄줄 것을 다섯 번이나 청하고, 대사헌과 대사간이 합사하여 영산군의 일을 계하자 중종은 마침내 영산군을 황해도 배천에 부처하였다.[13] 1527년(중종 22년), 외방 부처된 곳에서 방환되어 서울에 머물게 되었다. 1534년(중종 29년), 영산군의 아내인 교성군부인 정씨의 4남매의 패륜과 불효를 의금부에서 추국하였다. 1538년(중종 33년) 6월 11일 졸하였다.

3. 가족 관계

성종과 숙용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심순로(沈順路)의 딸인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와 교성군부인 경주 정씨,[14] 함흥군부인 황씨 등이 있다.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세종의 왕자 수춘군의 외손녀이다.


  • 아버지 : 성종(1457 ~ 1494)
  • 어머니 : 숙용 심씨(1465 ~ 1515)
  • 누나 : 경순옹주 옥환(1482 ~ ? )
  • 누나 : 숙혜옹주 벽환(1486 ~ 1525)
  • 형 : 이성군 관(1489 ~ 1552)
  • 정부인 : 금릉군부인(金陵郡夫人) 청송 심씨(? ~ 1524)
  • * 장녀(적장녀) : 이의정(1508 ~ ? )
  • * 사위 : 광산 김씨 현감(縣監) 증(贈) 참판(參判) 김종(金綜)
  • ** 외손녀 : 광산 김씨(1524 ~ ? ) - 진주 류씨 첨지(僉知) 류용(柳溶)에게 출가
  • ** 외손자 : 감찰(監察) 증판서(贈判書) 김원상(1526 ~ ? )
  • * 차녀(적차녀) : 이경정(1510 ~ ? )
  • * 사위 : 경주 정씨 군수(郡守) 정충인(鄭忠仁)
  • ** 외손녀 : 정옥련(鄭玉蓮, 1531 ~ ?) - 안동 권씨 참의(參議) 권벽(權擘)에게 출가
  • ** 외손자 : 군수(郡守) 정사급(鄭思伋, 1537 ~ ?)
  • ** 외손자 : 사의(司議) 정사억(鄭思億, 1542 ~ ?)
  • 계부인 : 교성군부인(交城郡夫人) 경주 정씨(생몰년 미상)[14]
  • * 조카사위 : 인종
  • 계부인 : 함흥군부인 황씨(咸興郡 黃氏, 생몰년 미상) - 주부(主簿) 황징(黃徵)의 딸
  • * 장남 : 은천군 정(1514 ~ ?)
  • * 며느리 : 첨지(僉知) 김철문(金綴文)의 딸
  • ** 서손녀 : 이전(1532 ~ ?) - 동래 정씨 감목관(監牧官) 정포(鄭誧)에게 출가
  • ** 서손자 : 해풍령 언경(1536 ~ ?)
  • ** 서손녀 : 이훈(1538 ~ ?) - 최대효(崔大孝)에게 출가
  • ** 서손녀 : 이란(1541 ~ ?) - 평강 채씨 채창선(蔡昌先)에게 출가
  • ** 서손녀 : 이혜(1542 ~ ?) - 박전(朴栴)에게 출가
  • ** 서손자 : 해천령 언단(1546 ~ ?)
  • ** 서손녀 : 이청(1552 ~ ?) - 송상겸(宋尙謙)에게 출가
  • ** 서손녀 : 이온(1557 ~ ?) - 부장(部將) 김사려(金師呂)에게 출가
  • * 차남 : 장흥군 상(1520 ~ ?)
  • * 며느리 : 죽산 안씨 - 첨지(僉使) 안종원(安宗元)의 딸
  • ** 손녀 : 이난취(1545 ~ ?) - 진사(進士) 송상우(宋尙友)에게 출가
  • ** 손자 : 덕원수 경의(1547 ~ ?)
  • ** 손녀 : 이추향(1550 ~ ?) - 충의위(忠義衛) 이면(李沔)에게 출가
  • ** 손녀 : 이추영(1557 ~ ?) - 광주 안씨 첨정(僉正) 안민학(安敏學)에게 출가
  • * 며느리(측실) : 노비 금이(今伊)
  • ** 서손녀 : 습독(習讀) 유극충(劉克忠)에게 출가
  • ** 서손녀 : 이추옥(1556 ~ ?) - 증지평( 贈持平) 윤진(尹震)에게 출가
  • ** 서손녀 : 이난옥(1561 ~ ?) - 백광우(白光佑)에게 출가
  • ** 서손자 : 덕신령 경례(1564 ~ ?)
  • ** 서손자 : 덕창령 경지(1568 ~ ?)
  • ** 서손자 : 덕인령 경신(1570 ~ ?)
  • * 3남 : 음성군 유(1520 ~ 1588)
  • * 며느리 : 충의위(忠義衛) 정렬(鄭烈)의 딸
  • ** 서손자 : 광평령 언기(廣平令 彦王+綦, 1544 ~ ?)
  • ** 서손녀 : 이인개(1548 ~ ?) - 신상렴(申尙濂)에게 출가
  • ** 서손녀 : 이갑(1549 ~ ?) - 임기(任起)에게 출가
  • ** 서손자 : 의안령 언침(1553 ~ ?)
  • * 며느리(측실) : 노비 인덕(寅德)
  • ** 서손자 : 덕순령 경충(1573 ~ ?)
  • * 4남 : 양산군 록(1530 ~ 1573)
  • * 며느리 : 병사(兵使) 지세방(池世芳)의 딸
  • ** 서손녀 : 이달문(1538 ~ ?) - 연안 차씨 차금로(車金輅)에게 출가
  • ** 서손자 : 학림령 언진(1549 ~ ?)
  • ** 서손녀 : 이종이(1555 ~ ?) - 안동 권씨 군수(郡守) 권함(權涵)에게 출가
  • ** 서손자 : 봉림령 언선(1558 ~ ?)
  • * 며느리(측실) : 노비 덕상(德上)
  • ** 서손녀 : 이덕향(1557 ~ ?) - 주덕유(周德裕)에게 출가
  • * 며느리(측실) : 노비 덕지(德只)
  • ** 서손자 : 청림군 언형(1563 ~ ?)
  • ** 서손녀 : 이춘향(1564 ~ ?) - 최연(崔淵)에게 출가
  • ** 서손자 : 죽림부령 언관(1570 ~ ?)
  • ** 서손자 : 송림부령 언경(1573 ~ ?)
  • ** 서손자 : 무림부령 언옥(1577 ~ ?)
  • * 3녀 : 전주 이씨(1522 ~ ?)
  • * 사위 : 군수(郡守) 류현조(柳顯祖)
  • 첩 : 향이(香伊)
  • 첩 : 어여분(於汝分)
  • * 4녀(서3녀) : 이종개(1538 ~ ?)
  • * 사위 : 현감(縣監) 최진양(崔震陽)
  • ** 외손자 : 판관(判官) 최암(1558 ~ ?)
  • ** 외손녀 : 최장수(1563 ~ ?) - 직장(直長) 강성일(姜誠一)에게 출가
  • ** 외손녀 : 최열이(1565 ~ ?) - 판관(判官) 이복경(李復慶)에게 출가
  • ** 외손자 : 봉사(奉事) 최급(1567 ~ ?)
  • ** 외손자 : 만호(萬戶) 최율(1568 ~ ?)
  • 첩 : 이름 미상
  • * 4녀 : 이막지(1518 ~ ?)
  • * 사위 : 현감(縣監) 허광우(許光祐)
  • ** 외손녀 : 허옥린(1550 ~ ?) - 충의위(忠義衛) 이섬(李暹)에게 출가
  • ** 외손자 : 내금위(內禁衛) 허응린(1554 ~ ?)

참조

[1] 문서 영산군 태지석
[2] 서적 《The Annals of King Jungjong》, Volume 19, October 22 (병진)
[3] 서적 《The Annals of King Jungjong》, Volume 19, October 26 (Gyeongsin)
[4] 서적 《The Annals of King Jungjong》, Volume 19, October 27 (Sinyu)
[5] 서적 《The Annals of King Jungjong》 Volume 43, 16th year of King Jungjong (16th year of King Jeongdeok, 1521) October 28th
[6] 웹사이트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https://whc.unesco.o[...]
[7] 서적 《중종실록》 19권, 중종 8년(1513년 명 정덕(正德) 8년) 10월 22일 (병진)
[8] 문서 영산군 태지석
[9] 서적 《중종실록》 19권, 중종 8년(1513년 명 정덕(正德) 8년) 10월 24일 (무오)
[10] 서적 《중종실록》 19권, 중종 8년(1513년 명 정덕(正德) 8년) 10월 26일 (경신)
[11] 서적 《중종실록》 19권, 중종 8년(1513년 명 정덕(正德) 8년) 10월 27일 (신유)
[12] 서적 《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1521년 명 정덕(正德) 16년) 10월 28일 (병오)
[13] 문서 귀양보다 낮은 형벌
[14] 문서 별좌(別坐) 증(贈) 찬성(贊成) 정홍선(鄭弘先)의 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