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상남도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남도의회는 경상남도의 입법 기관으로,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의회는 의회운영위원회 등 7개의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등 2개의 특별위원회, 그리고 사무처로 구성된다. 1952년 제1대 의회부터 시작하여 2022년 제12대 의회까지 지방선거를 통해 의원을 선출해왔으며, 현재는 국민의힘 60석, 더불어민주당 4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에서는 지역구 34명과 비례대표 6명을 포함하여 총 40명의 의원을 선출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21석, 자유한국당이 19석, 정의당이 1석을 차지했다.
  • 경상남도의 정치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선거는 지역구, 비례대표 의원 및 교육의원을 선출한 결과,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두었으나 민주당, 자유선진당, 무소속 후보도 의석을 확보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경상남도의회
기본 정보
지방의회 휘장
휘장
원명Gyeongsangnam-do Provincial Council
의회 임기경상남도의회
의회 구성
의회 체제단원제
의장최학범
의장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유계현
부의장 정당국민의힘
부의장박인
부의장 정당국민의힘
정원64석
의원 임기4년
선거 정보
선거 제도보통선거평등선거직접 선거비밀 선거
선거 제도 상세소선거구제 (58석)
비례대표제 (6석)
이전 선거2022년 6월 1일
정당 구성
위치
의사당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림동
기타
웹사이트경상남도의회

2. 조직

경상남도의회는 의장단, 위원회, 사무기구를 두고 있다.[1] 의장단은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나뉜다. 상임위원회는 의회운영, 기획행정, 교육, 농해양수산, 경제환경, 건설소방, 문화복지 위원회가 있다. 특별위원회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가 있다. 사무기구는 사무처와 총무담당관실,[2] 의사담당관실,[3] 입법정책담당관실,[3] 전문위원으로 구성된다.

2. 1. 의장단

경상남도의회 의장단은 다음과 같다.

직책구성
의장1명
부의장2명


2. 2. 위원회

경상남도의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 상임위원회에는 의회운영위원회, 기획행정위원회, 교육위원회, 농해양수산위원회, 경제환경위원회, 건설소방위원회, 문화복지위원회가 있다. 특별위원회에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가 있다.

2. 2. 1.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교육위원회
  • 농해양수산위원회
  • 경제환경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문화복지위원회

2. 2. 2.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 사무처[1]
  • * 총무담당관실[2]
  • * 의사담당관실[3]
  • * 입법정책담당관실[3]
  • * 전문위원

3. 역대 경상남도의회 선거 결과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부터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경상남도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대 경상남도의회 정당별 의석수
대수선거자유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대한청년단민주국민당대한노동총연맹민주당신민당민주자유당신민주연합당민주당민주당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새정치국민회의국민신당새천년민주당민주노동당열린우리당민주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친박연합자유선진당사회당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통합진보당노동당정의당녹색당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중당대한애국당국민의힘진보당기본소득당무소속
제1대1952년19석11석3석1석1석25석
제2대1956년21석4석6석36석
제3대1960년42석2석36석
제4대1991년73석1석1석14석
제5대1995년58석3석0석33석
제6대1998년44석2석0석5석
제7대2002년47석1석1석0석0석1석
제8대2006년47석2석1석3석
제9대2010년38석5석3석2석1석0석0석0석5석
제10대2014년50석2석0석1석0석0석2석
제11대2018년34석21석0석1석0석0석0석2석
제12대2022년60석4석0석0석0석



각 선거별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선거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1. 제1대 경상남도의회 (1952년)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1952년 5월 10일에 60명의 제1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19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11석
대한청년단3석
민주국민당1석
대한노동총연맹1석
무소속25석


3. 2. 제2대 경상남도의회 (1956년)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7명의 제2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21
민주당6
대한독립촉성국민회4
무소속36


3. 3. 제3대 경상남도의회 (1960년)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80명의 제3대 경상남도의원이 1960년 12월 12일에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당42석
신민당2석
무소속36석


3. 4. 제4대 경상남도의회 (1991년)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89명의 제4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자유당73
신민주연합당1
민주당1
무소속14


3. 5. 제5대 경상남도의회 (1995년)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94명의 제5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85명과 비례대표 의원 9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자유당52658
민주당033
무소속33-33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자유당738,59744.6%6
민주당139,6768.4%3
자유민주연합1,8960.1%0
무소속777,62646.9%-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자유당에 6석, 민주당에 3석이 배분되었다.

3. 6. 제6대 경상남도의회 (1998년)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1명의 제6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46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color:#0065BD"|한나라당41344
style="background-color:#008275"|새정치국민회의022
style="background-color:#BDBDBD"|무소속5-5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color:#0065BD"|한나라당644,94156.6%3
style="background-color:#008275"|새정치국민회의95,5038.4%2
style="background-color:#F59200"|자유민주연합33,7652.0%0
style="background-color:#E51919"|국민신당12,2851.1%0
style="background-color:#BDBDBD"|무소속352,80131.0%-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3석, 새정치국민회의에 2석이 배분되었다.

3. 7. 제7대 경상남도의회 (2002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0명의 제7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45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4347
새천년민주당011
민주노동당011
무소속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906,75074.50%3
새천년민주당131,28510.78%1
민주노동당108,9998.95%1
자유민주연합40,7213.34%0
사회당29,2012.39%0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새천년민주당과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8. 제8대 경상남도의회 (2006년)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3명의 제8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8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4347
민주노동당112
열린우리당011
무소속3-3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855,77763.83%3
열린우리당242,98818.12%1
민주노동당241,87718.04%1


3. 9. 제9대 경상남도의회 (2010년)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9명의 제9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9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35338
민주노동당415
민주당213
진보신당202
국민참여당101
무소속5-5
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722,88048.15%3
민주당268,63017.89%1
민주노동당218,99914.58%1
국민참여당103,8576.91%0
친박연합86,2685.74%0
진보신당57,5323.83%0
자유선진당35,0222.33%0
사회당7,9090.52%0


3. 10. 제10대 경상남도의회 (2014년)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5명의 제10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0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47350
새정치민주연합022
노동당101
무소속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누리당913,46759.19%3
새정치민주연합445,51428.86%2
통합진보당81,7175.29%0
노동당44,5892.88%0
정의당38,7662.51%0
녹색당19,2141.24%0


3. 11. 제11대 경상남도의회 (2018년)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8명의 제11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1]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color:#0066CC;" |더불어민주당31334
style="background-color:#FF0000;" |자유한국당19221
style="background-color:#FFCC00;" |정의당011
style="background-color:#C0C0C0;" |무소속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color:#0066CC;" |더불어민주당799,59345.31%3
style="background-color:#FF0000;" |자유한국당685,82438.86%2
style="background-color:#FFCC00;" |정의당135,3397.66%1
style="background-color:#00BFFF;" |바른미래당93,9655.32%0
style="background-color:#800080;" |민중당23,4351.32%0
style="background-color:#008000;" |녹색당14,4370.81%0
style="background-color:#800000;" |대한애국당12,0110.68%0


3. 12. 제12대 경상남도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4명의 제12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8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56460
더불어민주당22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국민의힘913,84562.36%4
더불어민주당461,47331.49%2
정의당62,8034.28%0
진보당12,3090.84%0
기본소득당7,5170.51%0
녹색당7,3740.50%0


4. 정당별 의석 수 (현재)

정당의석 수
더불어민주당4석
국민의힘60석


5. 교섭단체

경상남도의회는 총 정원의 10퍼센트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의원이 총 정원의 10퍼센트가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4]

참조

[1] 법령
[2] 법령
[3] 법령
[4] 웹인용 경상남도의회 교섭단체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칙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