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선거는 경상남도의회 의원 50명(지역구 46명, 비례대표 4명)을 선출했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창원시에서 압승을 거두며 31석을 확보했고, 자유한국당이 19석, 정의당 1석, 무소속 2석을 차지했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3석, 자유한국당이 2석, 정의당이 1석을 얻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경상남도의회 내 정당별 의석 분포에 큰 변화가 있었다.
2. 경상남도의회 구성
2. 1. 지역구 선거구
경상남도의회는 여러 개의 지역구 선거구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선거구에서 한 명의 도의원을 선출한다. 선거구는 인구, 행정구역, 지리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획정된다.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창원시 제1선거구 | 의창구 동읍, 북면, 대산면, 의창동 |
창원시 제2선거구 | 의창구 팔룡동, 명곡동 |
창원시 제3선거구 | 의창구 봉림동, 용지동 |
창원시 제4선거구 | 성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창원시 제5선거구 | 성산구 상남동, 사파동 |
창원시 제6선거구 | 성산구 가음정동, 성주동 |
창원시 제7선거구 | 마산합포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
창원시 제8선거구 | 마산합포구 완월동, 자산동, 교방동, 노산동, 합포동, 산호동, 오동동 |
창원시 제9선거구 | 마산회원구 내서읍 |
창원시 제10선거구 | 마산회원구 회원1동, 회원2동, 회성동, 합성1동, 석전동 |
창원시 제11선거구 | 마산회원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창원시 제12선거구 | 진해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
창원시 제13선거구 | 진해구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
창원시 제14선거구 | 진해구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 |
진주시 제1선거구 |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가호동, 천전동, 성북동, 충무공동 |
진주시 제2선거구 |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
진주시 제3선거구 | 진성면, 일반성면, 이반성면, 사봉면, 지수면, 상평동, 상대동, 하대동 |
진주시 제4선거구 |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초장동, 상봉동 |
통영시 제1선거구 | 산양읍,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미수동, 봉평동 |
통영시 제2선거구 |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
고성군 제1선거구 | 고성읍, 대가면 |
고성군 제2선거구 |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 |
사천시 제1선거구 |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
사천시 제2선거구 | 동서동, 선구동, 동서금동, 벌용동, 향촌동, 남양동 |
김해시 제1선거구 | 생림면, 상동면, 북부동 |
김해시 제2선거구 | 대동면, 삼안동, 불암동 |
김해시 제3선거구 | 동상동, 회현동, 부원동, 활천동 |
김해시 제4선거구 | 진영읍, 한림면 |
김해시 제5선거구 | 주촌면, 진례면, 칠산서부동, 장유1동 |
김해시 제6선거구 | 장유2동, 장유3동 |
김해시 제7선거구 | 내외동 |
밀양시 제1선거구 |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
밀양시 제2선거구 | 삼랑진읍, 하남읍, 상남면, 초동면, 무안면, 청도면, 가곡동 |
거제시 제1선거구 | 장평동, 고현동, 상문동 |
거제시 제2선거구 | 연초면, 하청면, 장목면, 옥포1동, 옥포2동, 수양동 |
거제시 제3선거구 | 일운면, 동부면, 남부면, 거제면, 둔덕면, 사등면, 장승포동, 능포동, 아주동 |
의령군 선거구 | 의령군 일원 |
함안군 제1선거구 | 가야읍, 함안면, 군북면, 법수면, 여항면 |
함안군 제2선거구 | 칠원읍,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산인면 |
창녕군 제1선거구 | 창녕읍, 고암면, 성산면,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대지면 |
창녕군 제2선거구 |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양산시 제1선거구 | 상북면, 하북면, 중앙동, 삼성동, 강서동 |
양산시 제2선거구 | 물금읍, 원동면 |
양산시 제3선거구 | 동면, 양주동 |
양산시 제4선거구 |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
하동군 선거구 | 하동군 일원 |
남해군 선거구 | 남해군 일원 |
함양군 선거구 | 함양군 일원 |
산청군 선거구 | 산청군 일원 |
거창군 제1선거구 |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
거창군 제2선거구 | 거창읍(상림리 상동), 주상면, 웅양면,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남상면, 남하면, 신원면, 가조면, 가북면 |
합천군 선거구 | 합천군 일원 |
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선거 결과
3. 1. 지역구 선거 결과
3. 1. 1. 창원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창원시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대부분의 선거구에서 승리하는 기염을 토했다.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득표율 |
---|---|---|---|
창원시 제1선거구 | 김석규 | 더불어민주당 | 53.52% |
창원시 제2선거구 | 김지수 | 더불어민주당 | 54.09% |
창원시 제3선거구 | 김영진 | 더불어민주당 | 58.06% |
창원시 제4선거구 | 남택욱 | 더불어민주당 | 47.81% |
창원시 제5선거구 | 원성일 | 더불어민주당 | 33.71% |
창원시 제6선거구 | 박문철 | 더불어민주당 | 43.35% |
창원시 제7선거구 | 이옥선 | 더불어민주당 | 51.20% |
창원시 제8선거구 | 박옥순 | 자유한국당 | 51.17% |
창원시 제9선거구 | 송순호 | 더불어민주당 | 56.04% |
창원시 제10선거구 | 박삼동 | 자유한국당 | 58.13% |
창원시 제11선거구 | 이상인 | 더불어민주당 | 53.21% |
창원시 제12선거구 | 심상동 | 더불어민주당 | 48.37% |
창원시 제13선거구 | 김진옥 | 더불어민주당 | 50.25% |
창원시 제14선거구 | 김하용 | 더불어민주당 | 56.23% |
창원시 제5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원성일 후보가 33.71%를 득표하여 당선되었지만, 정의당 여영국 후보가 32.51%로 바짝 추격하며 자유한국당 후보를 제치는 이변을 연출했다. 특히, 정의당 여영국 후보는 진보 정당의 약세 지역인 경상남도에서 상당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창원시 제6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문철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정의당 김순희 후보 역시 26.6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만만치 않은 저력을 과시했다.
창원시 제8선거구와 제10선거구에서는 자유한국당 후보가 당선되어, 여전히 보수세가 강한 지역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다른 선거구에서는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과반 이상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면서, 창원시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압도적인 강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 운영에 대한 높은 지지와, 지역 정치 지형의 변화를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3. 1. 2. 진주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 제1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장규석 후보가 49.1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양해영 후보는 41.71%를 득표하여 낙선하였고, 무소속 고경국 후보는 9.13%를 득표하였다.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 제2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성연석 후보가 42.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정인태 후보는 34.03%를 득표하여 낙선하였고, 무소속 최진덕 후보는 15.74%, 바른미래당 정연해 후보는 6.37%, 무소속 백미희 후보는 1.70%를 득표하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 제3선거구에서는 자유한국당 강민국 후보가 53.2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천진수 후보는 46.70%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주시 제4선거구에서는 자유한국당 김진부 후보가 41.2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양도근 후보는 38.58%를 득표하여 낙선하였고, 무소속 남정만 후보는 20.17%를 득표하였다.
3. 1. 3. 기타 시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통영시, 고성군, 사천시 등 기타 시군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후보, 그리고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을 벌였다.- '''통영시'''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통영시 제1선거구 | 정동영 | 자유한국당 | 22,191 | 52.13% |
송현영 | 더불어민주당 | 16,166 | 37.97% | |
김영구 | 무소속 | 4,208 | 9.88% | |
통영시 제2선거구 | 강근식 | 자유한국당 | 12,244 | 43.10% |
유용문 | 더불어민주당 | 9,153 | 32.22% | |
송건태 | 무소속 | 7,005 | 24.66% |
- '''고성군'''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고성군 제1선거구 | 이옥철 | 더불어민주당 | 5,038 | 32.61% |
정도범 | 자유한국당 | 5,006 | 32.41% | |
백수명 | 무소속 | 4,615 | 29.88% | |
허도학 | 대한애국당 | 786 | 5.08% | |
고성군 제2선거구 | 황보길 | 자유한국당 | 9,154 | 54.57% |
이동호 | 무소속 | 7,619 | 45.42% |
- '''사천시'''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사천시 제1선거구 | 박정열 | 자유한국당 | 16,639 | 46.78% |
최준기 | 더불어민주당 | 12,769 | 35.90% | |
강석모 | 무소속 | 6,157 | 17.31% | |
사천시 제2선거구 | 김현철 | 자유한국당 | 9,961 | 36.05% |
최갑현 | 무소속 | 8,062 | 29.17% | |
손성호 | 더불어민주당 | 5,979 | 21.64% | |
정갑수 | 정의당 | 3,627 | 13.12% |
- '''김해시'''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해시 제1선거구 | 신영욱 | 더불어민주당 | 26,336 | 61.97% |
최학범 | 자유한국당 | 16,159 | 38.02% | |
김해시 제2선거구 | 이종호 | 더불어민주당 | 14,351 | 56.89% |
서희봉 | 자유한국당 | 10,874 | 43.10% | |
김해시 제3선거구 | 김진기 | 더불어민주당 | 20,238 | 58.21% |
김홍진 | 자유한국당 | 14,524 | 41.78% | |
김해시 제4선거구 | 김호대 | 더불어민주당 | 17,234 | 60.32% |
이종원 | 자유한국당 | 7,592 | 26.57% | |
권요찬 | 무소속 | 3,744 | 13.10% | |
김해시 제5선거구 | 김경수 | 더불어민주당 | 24,581 | 67.03% |
박병영 | 자유한국당 | 12,089 | 32.96% | |
김해시 제6선거구 | 손덕상 | 더불어민주당 | 30,268 | 71.84% |
김수종 | 자유한국당 | 11,859 | 28.15% | |
김해시 제7선거구 | 박준호 | 더불어민주당 | 24,858 | 67.55% |
이규상 | 자유한국당 | 11,937 | 32.44% |
- '''밀양시'''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밀양시 제1선거구 | 이병희 | 자유한국당 | 17,163 | 47.95% |
박진양 | 더불어민주당 | 16,331 | 45.63% | |
염경일 | 무소속 | 2,296 | 6.41% | |
밀양시 제2선거구 | 예상원 | 자유한국당 | 14,627 | 59.78% |
하원호 | 더불어민주당 | 9,840 | 40.21% |
- '''거제시'''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거제시 제1선거구 | 김성갑 | 더불어민주당 | 25,487 | 60.41% |
박용안 | 자유한국당 | 12,488 | 29.60% | |
이길종 | 민중당2017 | 4,209 | 9.97% | |
거제시 제2선거구 | 송오성 | 더불어민주당 | 16,809 | 45.91% |
김창성 | 자유한국당 | 11,203 | 30.60% | |
이행규 | 무소속 | 8,594 | 23.47% | |
거제시 제3선거구 | 옥은숙 | 더불어민주당 | 19,535 | 48.20% |
김창규 | 자유한국당 | 13,874 | 34.23% | |
성만호 | 민중당2017 | 7,117 | 17.56% |
- '''의령군'''
- '''함안군'''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함안군 제1선거구 | 장종하 | 더불어민주당 | 9,824 | 51.94% |
이만호 | 자유한국당 | 9,088 | 48.05% | |
함안군 제2선거구 | 빈지태 | 더불어민주당 | 7,801 | 38.64% |
조인제 | 자유한국당 | 6,762 | 33.49% | |
이성용 | 무소속 | 3,918 | 19.40% | |
김송숙 | 무소속 | 1,705 | 8.44% |
- '''창녕군'''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창녕군 제1선거구 | 성낙인 | 자유한국당 | 10,737 | 56.07% |
김태완 | 더불어민주당 | 6,356 | 33.19% | |
박태승 | 무소속 | 2,054 | 10.72% | |
창녕군 제2선거구 | 신용곤 | 자유한국당 | 11,178 | 59.29% |
배근우 | 더불어민주당 | 7,675 | 40.70% |
- '''양산시'''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양산시 제1선거구 | 한옥문 | 자유한국당 | 16,833 | 50.39% |
이강렬 | 더불어민주당 | 16,571 | 49.60% | |
양산시 제2선거구 | 이상열 | 더불어민주당 | 34,684 | 65.74% |
홍순경 | 자유한국당 | 18,070 | 34.25% | |
양산시 제3선거구 | 표병호 | 더불어민주당 | 21,069 | 62.90% |
조성례 | 자유한국당 | 12,427 | 37.09% | |
양산시 제4선거구 | 성동은 | 더불어민주당 | 20,745 | 47.58% |
김판조 | 자유한국당 | 13,787 | 31.62% | |
박인 | 무소속 | 9,063 | 20.78% |
- '''하동군'''
- '''남해군'''
- '''함양군'''
- '''산청군'''
- '''거창군'''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거창군 제1선거구 | 강철우 | 무소속 | 7,044 | 38.19% |
박주언 | 자유한국당 | 6,561 | 35.57% | |
홍정희 | 더불어민주당 | 4,836 | 26.22% | |
거창군 제2선거구 | 김일수 | 자유한국당 | 12,402 | 65.00% |
이곤섭 | 더불어민주당 | 6,677 | 34.99% |
- '''합천군'''
3. 2. 비례대표 선거 결과
3. 2. 1. 정당 투표 결과
wikitable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더불어민주당 | 799,593 | 45.31% | 3 | |
자유한국당 | 685,824 | 38.86% | 2 | |
정의당 | 135,339 | 7.66% | 1 | |
바른미래당 | 93,965 | 5.32% | 0 | |
민중당 | 23,435 | 1.32% | 0 | |
녹색당 | 14,437 | 0.81% | 0 | |
대한애국당 | 12,011 | 0.68% | 0 |
3. 2. 2. 비례대표 당선자
wikitable
4. 제7회 지방선거 이후 경상남도의회 변화
4. 1. 전체 결과
wikitable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style="background-color: #0064b0;"| | 더불어민주당 | 31 | 3 | 34 |
style="background-color: #e82128;"| | 자유한국당 | 19 | 2 | 21 |
style="background-color: #ff8e00;"| | 정의당 | 0 | 1 | 1 |
style="background-color: #d9d9d9;"| | 무소속 | 2 | - | 2 |
4. 2. 정당별 의석 분포 변화
4. 3. 영향 및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