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평대항축구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평대항축구전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 시작되어 1946년까지 서울과 평양을 대표하는 팀들이 겨룬 축구 경기이다. 조선일보 주최로 시작되었으며, 경성군과 평양군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이 경기는 두 도시 간의 경쟁 의식을 반영하며, 당시 축구 열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이벤트였다. 1933년에는 경성 축구단과 평양 축구단이 창단되면서 정기적인 경기로 발전했고, 1942년 일제의 구기 종목 금지로 중단되었다가 해방 후 1946년에 한 차례 더 열렸다. 경평전은 이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중단되었으나, 1990년과 2002년 남북통일축구대회로 그 맥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경평대항축구전
기본 정보
1930년 경기 당시 사진
1930년 경기 당시 사진
이름경평대항축구전
로마자 표기Gyeong-Pyeong Daehang Chukgujeon
한글경평대항축구전
한자京平蹴球對抗戰
유형리그
관련 대회조선 컵 대회
시작1929년
종료1946년
국가일본 제국
지역일제강점기 조선
참가 팀 수2
최근 우승 팀평양 축구단 (1946)
최다 우승 팀평양 축구단 (9회)
중계 방송국경성방송국
라이벌전 정보
다른 이름해당 없음
첫 번째 경기선발팀 간 경기:
1929년 10월 8일
경성 XI 1–1 평양 XI
클럽 간 경기:
1933년 4월 6일
평양 FC 2–3 경성 FC
마지막 경기1946년 3월 27일 경성 FC 1–3 평양 FC
참가 팀경성 FC
평양 FC
최다 출전 선수해당 없음

2. 명칭

1929년 제1회 대회 관련 당시 동아일보 기사를 보면 '''"조선일보주최 경성평양대항축구 제일회전"'''[30], '''"승부를 결하지 못한 경평대항축구전은"'''[31]과 같이 '''경평대항축구전'''이라는 문구가 나오고 있다. 한편 1933년 대회 관련 동아일보 기사에서는 '''"전경성군 대 전평양군의 축구대항전"'''[32], '''"경성대평양축구대항전 제삼일'''"[33]과 같이 '''경평축구대항전'''이라는 문구가 나오고 있다.

이처럼 '''경평대항축구전'''과 '''경평축구대항전'''이라는 명칭이 당시에 혼용되었다. 그러나 당시 모든 기사를 종합하여 검토해보면 '''경성평양대항축구전'''을 줄인 '''경평대항축구전'''이란 명칭이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대항(對抗)'이란 단어는 국어사전에서 일부 명사 뒤에 쓰여 그것끼리 서로 겨룸(예: 학교 대항 축구 경기, 각 도 학생 대항 연극 공연)이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경평대항축구전이 국어 어법에도 부합하며, 당시 대회의 취지인 경성평양 두 도시가 겨루는 축구 경기라는 의미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당시 다른 종목에서도 '''"경평대항빙상경기"'''[34], '''"경평대항농구전"'''[35]과 같이 '''"경평대항"'''이란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전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36][37], 3지방대항축구전[38][39]과 같이 '전조선도시대항', '3지역대항' 등의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당시 사람들에게 '대항(對抗)'이란 단어는 지역 혹은 도시들이 겨룬다는 의미로 널리 쓰이던 표현이었다. 따라서 경평대항축구전이 보편타당한 명칭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후대에는 '''경평대항축구전'''보다 '''경평축구대항전'''이라는 명칭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당시부터 현재까지 줄여서 '''경평축구전''' 혹은 더 줄여서 '''경평전'''이라는 명칭 역시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역사

1910년대 한국에서 축구 붐이 일면서 많은 축구 클럽과 학교 팀이 만들어졌고, 1921년에는 전조선 축구대회(대한민국 FA컵의 전신)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조선 축구단, 불교청년회 축구단, 건강구락부와 같은 서울 기반 클럽들이 무오 축구단과 같은 평양 클럽들과 경기를 치렀다.

1929년 조선일보 주최로 서울에서 제1회 경평 축구전이 개최되었으며, 각 도시의 연합팀이 참가했다. 경기 당일 대부분의 상점들이 문을 닫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흥분한 팬들 간의 난동으로 인해 이 경기는 자주 중단되었고, 결국 1930년 이후 완전히 폐지되었다.

1933년 평양 FC와 경성 FC가 공식적으로 창단되면서 연례 경기가 다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36년 이후에는 다른 도시의 많은 클럽들이 참가하는 다른 컵 경기로 대체되었다. 경평전은 종말을 맞았지만, 두 클럽은 남북 분단 전까지 여러 대회에서 가끔씩 서로 만났다. 1946년 일제강점기 종결 이후 서울운동장에서 경평전이 열렸으나, 38선으로 남북 통행이 금지되면서 무기한 중단되었다.[42]

3. 1. 배경 (조선 시대)

조선 시대 대한민국의 한양(현재의 서울)은 수도였고, 평양은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그러나 조선 정부는 평양을 포함한 평안도에 대한 차별적인 분위기를 조성했고, 두 도시 사이에는 깊은 갈등이 있었다.[1] 이들은 한국의 역사적 배경 때문에 경쟁 관계를 형성했다.

3. 2. 창설 (1929년)

조선일보 주최로 1929년 10월 8일 첫 경기가 개최되었다. 당시 조선일보 10월 8일 자 사설은 "부지중에 민중적 차원으로 화합하자는 데"에 취지가 있다고 했고, 조선일보 부사장 안재홍은 개회사에서 "경기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조선의 역량을 과시하는 기회"로 승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처럼 경평전은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단합과 극일의 저항정신을 키운 본보기로 평가받았다.[40]

당시에는 '팀' 대신 군(軍)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전경성군(全京城軍), 전평양군(全平壤軍)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경성군은 당시 축구 명문 경신중학 중심으로, 평양군은 일본 최강팀 와세다 대학을 7:0으로 꺾어 이름을 날리던 숭실학교 중심으로 구성되었다.[40] 평양팀은 25세 이상 청장년, 경성팀은 연희와 보성 전문 선수 등 20~23세 대학생이 주축이었다.[40]

제1회 대회는 10월 8일 서울 원서동 휘문고등학교 운동장에서 7천여 관중이 열광하는 가운데 개최되었으며,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날짜결과비고
1차전1929년 10월 8일1 : 1 무승부[2]
2차전1929년 10월 9일평양 4 : 3 승[3]
3차전1929년 10월 10일평양 4 : 2 승[4]



결과적으로 평양팀이 2승 1무로 우승했으며, 평양에서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다.[40]

3. 3. 재개 (1933년)

1933년 조선축구협회의 주선으로 경성과 평양 대표자들이 모임을 갖고, 경성 축구단평양 축구단의 창단을 기념하여 봄, 가을 두 차례 경성과 평양을 오가며 경기를 재개하기로 결정하였다.[1]

1933년 재개된 경평전은 다음과 같다.

횟수날짜홈 팀결과원정 팀경기장
71933년 4월 6일평양 FC2–3경성 FC기림리 경기장, 평양[10]
81933년 4월 8일평양 FC2–2경성 FC기림리 경기장, 평양[11]
91933년 4월 10일평양 FC3-0경성 FC기림리 경기장, 평양[12]
101933년 9월 20일경성 FC3–2평양 FC배재고등보통학교, 경성[13]
111933년 9월 21일경성 FC2–3평양 FC배재고등보통학교, 경성[14][15]
121933년 9월 22일경성 FC1-1평양 FC배재고등보통학교, 경성[16]
131933년 10월 23일평양 FC1–1경성 FC기림리 경기장, 평양[17]
141933년 10월 24일평양 FC1–1경성 FC기림리 경기장, 평양[18]
151933년 10월 25일평양 FC2–1경성 FC기림리 경기장, 평양[19]


3. 4. 해방 이후 (1946년)

1946년 일제강점기 종결 이후 서울운동장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경평전이 열렸다. 1942년 일제의 구기종목 금지 이후 4년 만에 열리는 대회였기에 서울 시민들의 큰 관심과 열광적인 응원 하에 열렸으며, 그 열기가 지나쳐 3월 26일 열린 2차전에서는 관중 난동이 벌어져 경찰이 공포탄을 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42] 38선으로 남북통행이 금지되면서 평양 선수들은 경비망을 뚫고 어렵게 내려왔던 것이었으며, 돌아갈 때는 육로가 위험해 뱃길을 택해야만 했다. 그리고 다음 해에 서울 선수들을 초청하겠다는 그들의 약속은 지켜지지 못한 채 경평전은 무기한 중단되었다.

No.날짜대회홈 팀점수원정 팀득점 (홈)득점 (원정)경기장참고
201946년 3월 25일자유신문
경평 축구 시리즈
서울 FC2–1평양 FC미상동대문운동장,
서울
[24]
211946년 3월 27일서울 FC1–3평양 FC미상[24]


4. 의미

수도와 제2의 도시이자 지역 의식이 남달랐던 기호 지방관서 지방을 대표하는 양대 대도시 서울과 평양에 당시 조선의 최고 빅클럽들이 형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양강 구도가 이루어지면서 이들 최고의 클럽들 대결에 조선 전체가 열광하는, 흡사 지금의 유럽 프로축구 리그처럼 자연스러운 방향으로 클럽 축구가 발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을 살리지 못하고 80년대 프로축구 출범 후 대도시에 연고 구단이 뿌리내리지 못하고, 그 후 기형적인 서울연고공동화정책 등으로 대도시 연고지 빅클럽 구조에서 중소도시 연고지 빅클럽 구조로 바뀌고 부산, 대구, 인천, 광주 같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도시들에 시민구단들이 들어선 점은 아쉬운 점이다.

한편 경평전의 주축이었던 경성 축구단평양 축구단은 해방 이후 각각 남한과 북한 국가대표 축구팀의 모태가 되었다. 가난한 신생 독립국에 불과하던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1954년 스위스 월드컵 본선 및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8강에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역사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그러나 남북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들 간의 교류는 쉽게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경평전 역시 그 명성만이 남은 채 재개되지 못하였다. 월드컵이나 올림픽 등의 지역 예선에서 남북이 마주치기는 했으나 국가대표로서 만난 것이었으며, 경평전과 같이 남북을 대표하는 도시 간의 정기적 경기는 부활되지 못하였다. 물론 1990년 10월 11일에는 평양에서, 10월 23일에는 서울에서 '''남북통일축구대회'''라는 명칭으로, 2002년 9월 5일과 8일에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002 남북통일축구경기'''라는 이름으로 경평축구의 맥을 잇는 축구대표팀 경기가 벌어지기도 하였다.[43]

5. 역대 전적

경평대항축구전의 역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No.날짜대회홈 팀점수원정 팀득점 (홈)득점 (원정)경기장참고
11929년 10월 8일제1회 조선일보
경평 축구 시리즈
경성 XI1–1평양 XI최성손김정식휘문고등보통학교,
경성
[2]
21929년 10월 9일경성 XI3–4평양 XI거복준
최성손
이정식
박의현
[3]
31929년 10월 10일경성 XI2–4평양 XI정원순
최성손
이정식
강기대
?
[4]
colspan="10"|
41930년 11월 28일제2회 조선일보
경평 축구 시리즈
경성 XI3–2평양 XI이영민
최성손
김재신
한영택
경성운동장,
경성
[5]
51930년 11월 29일경성 XI3–5평양 XI이정우
최성손
한영택
박영철
김재신
고정환
[6][7]
61930년 12월 1일경성 XI5–1평양 XI김원겸
최성손
이영민
한영택[8][9]
colspan="10"|
71933년 4월 6일경성 vs 평양
축구 시리즈
평양 FC2–3경성 FC?
김성간
박영환
강영필
기림리 경기장,
평양
[10]
81933년 4월 8일평양 FC2–2경성 FC박의현
김영근
강기순
최성손
[11]
91933년 4월 10일평양 FC3–0경성 FC이정식
이정현
[12]
colspan="10"|
101933년 9월 20일조선체육회
경평 축구 시리즈
경성 FC3–2평양 FC배종호
강영필
김영근
이치순
배재고등보통학교,
경성
[13]
111933년 9월 21일경성 FC2–3평양 FC강영필
채금석
한영택[14][15]
121933년 9월 22일경성 FC1–1평양 FC김일배이정식[16]
colspan="10"|
131933년 10월 23일제1회 경평
정기 축구전
평양 FC1–1경성 FC미상기림리 경기장,
평양
[17]
141933년 10월 24일평양 FC1–1경성 FC박영환강영필[18]
151933년 10월 25일평양 FC2–1경성 FC이정식
박영환
최성손[19]
colspan="10"|
161934년 4월 6일제2회 경평
정기 축구전
경성 FC1–2평양 FC최성손박의현
이정식
배재고등보통학교,
경성
[20]
171934년 4월 7일경성 FC2–2평양 FC한갑석
최성손
김성간
이정식
[21]
colspan="10"|
181935년 4월 13일제3회 경평
정기 축구전
경성 FC0–0평양 FC경성운동장,
경성
[22]
191935년 4월 15일경성 FC0–1평양 FC한영택[23]
colspan="10"|
201946년 3월 25일자유신문
경평 축구 시리즈
서울 FC2–1평양 FC미상동대문운동장,
서울
[24]
211946년 3월 27일서울 FC1–3평양 FC미상[24]



경평대항축구전 외에 전조선축구대회 등 다른 대회에서의 경성 FC와 평양 FC 간의 전적은 다음과 같다.

날짜대회홈 팀점수원정 팀득점 (홈)득점 (원정)경기장참고
1935년 5월 14일조선 축구 선수권 대회경성 FC1–0평양 FC배종호경성운동장,
경성
[25]
1939년 11월 10일조선 축구 협회
3개 지역 리그
경성 FC5–0평양 FC김성간
황정하
김용식
경성운동장,
경성
[26]
1939년 11월 12일경성 FC1–3평양 FC송창엽양원보
현효섭
[27]
1939년 11월 13일경성 FC3–1평양 FC김성간
김인모
양원보[28]



경평 양 팀간의 시리즈 및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리즈경기
경기경기득점실점득실차
경성 FC813425871047470
평양 FC843125107847470



대회 횟수와 전적에 대한 논란은 '대회 횟수와 전적 논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다.

5. 1. 대회 횟수와 전적 논란

경평대항축구전의 제1회 대회를 조선일보 주최의 1929년 대회로 보는 견해가[44] 우세하나, 1929년1930년처럼 경성과 평양의 선발팀 성격이 아닌, 1933년 경성 축구단평양 축구단이 공식적으로 창단된 이후 양 축구단의 창단을 기념하여 1933년 4월 6일 평양 공설운동장에서 벌어진 대회부터를 1회 대회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대회 횟수와 전적이 공식적으로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회 횟수가 각각 다르게 기재되고 있다. 여기서는 최대한 당시 언론에서 기재한 대회 횟수를 반영하여 1929년 10월, 1930년 11월, 1933년 9월에 개최된 대회와 1933년 10월부터 정식으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합의하여 개최되기 시작한 경평대항축구전을 분리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1933년 4월의 대회는 아직 합의 전 평양 축구단이 주최한 일종의 친선경기라는 견해가 있기 때문에 역시 분리하였다.

전적에 있어서는 1929년부터 1935년까지 6년 동안 평양 축구단 기준으로 19전 7승 8무 4패라는 기록의 기사가 있는데,[45] 이는 아래 기재한 전적에서 1935년까지의 전적인 19전 8승 7무 4패와 거의 근접한 기록이다.

또한 한겨레의 '29년 첫 경평축구 개최'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면 총 23전 경성 6승 7무 10패, 평양 10승 7무 6패의 종합전적이 나오고 있으며,[46] 세계일보 (이동윤, 1990년 9월 20일자 11면)의 '기록으로 본 경평축구 - 11승 7무 7패로 평양이 우세'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면 총 25차례 경기가 있었던 것으로 나온다. 이렇게 문헌마다 다른 기록이 나오고 있는 이유는 정기전 성격의 경평대항축구전 이외에 전조선축구대회, 전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3지방대항축구전 등의 대회에서 경성과 평양의 대진 기록을 포함한 것으로 추정되며, 완벽한 전적 기록을 찾기 위해서는 축구계의 확인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5. 2. 전적 총계 (정기전만 포함)

경기수경성 축구단무승부경성 축구단경성 축구단 득점경성 축구단 실점
215793743



경기수평양 축구단무승부평양 축구단평양 축구단 득점평양 축구단 실점
219754337


5. 3. 전적 총계 (모든 대회 포함)

경기수경성 축구단무승부경성 축구단
236710



경기수평양 축구단무승부평양 축구단
231076


6. 상세

경평대항축구전은 1929년부터 1946년까지 서울과 평양을 연고로 하는 축구단 간에 벌어진 친선 경기이다. 초창기에는 조선일보 주최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단체의 주최 및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날짜대회명홈 팀스코어원정 팀골 (홈)골 (어웨이)장소비고
11929년 8월 8일제1회 조선일보 주최 경평축구전경성군1–1평양군최성손김정식서울 원서동 휘문고등학교 운동장,
조선일보
[49]
21929년 8월 9일경성군3–4평양군거복준, 최성손이정식, 박의현[50]
31929년 10월 10일경성군2–4평양군정원순, 최성손이정식, 강기대[51]
colspan="10"|
41930년 11월 28일제2회 조선일보 주최 경평축구전경성군3–2평양군이영민, 최성손김재신, 한영택경성운동장[52]
51930년 11월 29일경성군3–5평양군이정우, 최성손한영택, 박영철, 김재신, 고정한[53][54]
61930년 12월 1일경성군5–1평양군김원겸, 최성손, 이영민한영택[55][56]
colspan="10"|
71933년 4월 6일평양 축구단 주최 친선경기 조선축구협회 주선평양 축구단2–3경성군김성간박영환, 강영필평양공설운동장[57]
81933년 4월 8일평양 축구단2–2경성군박의현, 김영근강기순, 최성손[58]
91933년 4월 10일평양 축구단3–0경성군이정식, 이정현[59]
colspan="10"|
101933년 9월 20일제3회 조선체육회, 조선체육계사 공동 주최 경평축구전 조선중앙일보 후원경성 축구단3–2평양 축구단배종호, 강영필김영근, 이치순서울 배재중학교 운동장[60]
111933년 9월 21일경성 축구단2–3평양 축구단강영필, 채금석한영택[61][62]
121933년 9월 22일경성 축구단1–1평양 축구단김일배이정식[63]
colspan="10"|
131933년 10월 23일제1회 경성-평양 대항 정기 축구전 (평양 축구단 주최)평양 축구단1–1경성 축구단Unknown평양공설운동장[64]
141933년 10월 24일평양 축구단1–1경성 축구단박영환강영필[65]
151933년 10월 25일평양 축구단2–1경성 축구단이정식, 박영환최성손[66]
colspan="10"|
161934년 4월 6일제2회 경성-평양 대항 정기 축구전 (경성 축구단 주최) 조선중앙일보 후원경성 축구단1–2평양 축구단최성손박의현, 이정식서울배재중학교 운동장[67]
171934년 4월 7일경성 축구단2–2평양 축구단Han Gab-seok, 최성손김성간, 이정식[68]
colspan="10"|
181935년 4월 13일제3회 경성-평양 대항 정기 축구전 (경성 축구단 주최)경성 축구단0–0평양 축구단경성운동장[69]
191935년 4월 15일경성 축구단0–1평양 축구단한영택[70]
colspan="10"|
201946년 3월 25일자유신문사 주최 경평축구전서울 축구단2–1평양 축구단Unknown동대문운동장[71]
211946년 3월 27일서울 축구단1–3평양 축구단Unknown[71]


7. 양 구단에서 활약하였던 선수


  • 김용식 (경성: 1933-1937 / 평양: 1940-1942 / 경성: 1946-1948)

참조

[1] 뉴스 지역 비하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https://brunch.co.kr[...] brunch 2019-11-01
[2] 뉴스 京城1平壤1 對抗蹴球第一回戰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29-10-10
[3] 뉴스 本社主催 京平蹴球對抗戰經過 白熱딘血戰 四對三平壤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29-10-11
[4] 뉴스 雌雄다투는决戰에 四對二로平壤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29-10-12
[5] 뉴스 開戰劈頭부터白熱戰 全京城軍快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0-11-30
[6] 뉴스 觀衆은五千餘 拍手聲은如雷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0-12-01
[7] 뉴스 五對三으로 平壤軍雪辱 對京城蹴球戰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0-12-01
[8] 뉴스 平壤軍攻擊猛烈 京城軍守備如神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0-12-03
[9] 뉴스 對平壤蹴球 京城優勝 决勝에5—1로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0-12-03
[10] 뉴스 京平蹴球戰 京城先勝 三對二接戰으로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4-08
[11] 뉴스 京平蹴球 第二日無勝負 2-2同点으로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4-11
[12] 뉴스 蹴球第三日 平壤勝捷 三一○京城軍敗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4-12
[13] 뉴스 平壤蹴球團을마저 京城一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3-09-22
[14] 뉴스 對全京城蹴球 平壤雪辱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3-09-23
[15] 뉴스 對抗蹴球에 平壤雪辱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9-22
[16] 뉴스 京平蹴球戰 無勝負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9-23
[17] 뉴스 延期되엇든 京平蹴球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10-25
[18] 뉴스 京平蹴球戰 또無勝負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10-26
[19] 뉴스 蹴球第三日 京城惜敗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10-27
[20] 뉴스 遠來의平壤蹴球團 第一戰에先勝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4-04-07
[21] 뉴스 2—2 勝敗를未决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4-04-08
[22] 뉴스 第三回京平蹴球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5-04-14
[23] 뉴스 後半劈頭의꼬울一點! 凱歌는平壤陣에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5-04-16
[24] 뉴스 [대한민국 스포츠 100년](76)광복 이후에도 이어진 경평전(서울-평양전) http://www.maniarepo[...] Mania Times 2021-09-07
[25] 뉴스 平蹴과接戰을演하며 京蹴軍필경優勝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5-05-15
[26] 뉴스 平壤의雄圖挫折 京城軍勝利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9-11-11
[27] 뉴스 京城을壓倒코 平壤軍雪辱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9-11-12
[28] 뉴스 平壤의猛擊歸虛 榮冠은京城軍에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9-11-14
[29] 뉴스인용 축구 권투 정구등 스포츠 방송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3-09-21
[30] 뉴스인용 京城(경성)1平壤(평양)1 對抗蹴球第一回戰(대항축구제일회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9-10-10
[31] 뉴스 平壤(평양)4京城(경성)3 對抗蹴球二回戰(대항축구이회전) https://newslibrary.[...]
[32] 뉴스 京平蹴球戰(경평축구전) 京城先勝(경성선승) 三對二接戰(삼대이접전)으로 https://newslibrary.[...]
[33] 뉴스 蹴球第三日(축구제삼일) 平壤勝捷(평양승첩) 三一(삼일)○京城軍敗(경성군패) https://newslibrary.[...]
[34] 뉴스 京平對抗氷上(경평대항빙상) 來十一日頃平壤(내십일일경평양)서 https://newslibrary.[...]
[35] 뉴스 京平對抗籠球(경평대항농구)에 崇實軍連勝(숭실군연승) https://newslibrary.[...]
[36] 뉴스 全朝鮮都市對抗戰(전조선도시대항전)에 京城蹴球團優勝(경성축구단우승) https://newslibrary.[...] 1936-04-29
[37] 뉴스 都市對抗蹴球(도시대항축구) 十九日(십구일)부터四日間(사일간) https://newslibrary.[...] 1940-04-07
[38] 뉴스 蹴球朝鮮(축구조선)"强化(강화)위해 三地方對抗戰計劃(삼지방대항전계획) https://newslibrary.[...] 1938-09-07
[39] 뉴스 朝鮮蹴球(조선축구)의最高峰(최고봉) 三地方對抗今日開幕(삼지방대항금일개막) 第一戰(제일전)은北朝鮮(북조선)-西朝鮮(서조선) https://newslibrary.[...] 1938-10-28
[40] 뉴스 경평대항축구 전평양우승 http://dna.naver.com[...] 조선일보 1929-10-12
[41] 서적 축구는 한국이다 인물과사상사
[42] 서적 축구 = 1 : 國技축구 그 찬란한 아침 국민체육진흥공단 1997
[43] 뉴스 경평축구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8-11-09
[44] 뉴스 29년 첫 경평축구 개최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10-04
[45] 뉴스 한국축구 70년 경성-평향전 (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5-02-27
[46] 뉴스 29년 첫 경평축구 개최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4-10-04
[47] 문서 경성 축구단과 평양 축구단과의 경기는 전조선축구대회, 전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3지방대항축구전 등 여러 대회에서 벌어진 경기들이 있으나, 이 표에서는 경성 축구단과 평양 축구단 이렇게 두 축구단만이 참여하여 경평전이라는 명칭으로 개최한 경기만을 다루기로 한다.
[48] 뉴스 경평축농구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6-03-22
[49] 뉴스 京城1平壤1 對抗蹴球第一回戰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29-10-10
[50] 뉴스 本社主催 京平蹴球對抗戰經過 白熱딘血戰 四對三平壤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29-10-11
[51] 뉴스 雌雄다투는决戰에 四對二로平壤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29-10-12
[52] 뉴스 開戰劈頭부터白熱戰 全京城軍快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0-11-30
[53] 뉴스 觀衆은五千餘 拍手聲은如雷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0-12-01
[54] 뉴스 五對三으로 平壤軍雪辱 對京城蹴球戰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0-12-01
[55] 뉴스 平壤軍攻擊猛烈 京城軍守備如神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0-12-03
[56] 뉴스 對平壤蹴球 京城優勝 决勝에5—1로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0-12-03
[57] 뉴스 京平蹴球戰 京城先勝 三對二接戰으로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4-08
[58] 뉴스 京平蹴球 第二日無勝負 2-2同点으로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4-11
[59] 뉴스 蹴球第三日 平壤勝捷 三一○京城軍敗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33-04-12
[60] 뉴스 平壤蹴球團을마저 京城一勝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3-09-22
[61] 뉴스 對全京城蹴球 平壤雪辱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3-09-23
[62] 뉴스 對抗蹴球에 平壤雪辱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33-09-22
[63] 뉴스 京平蹴球戰 無勝負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33-09-23
[64] 뉴스 延期되엇든 京平蹴球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33-10-25
[65] 뉴스 京平蹴球戰 또無勝負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33-10-26
[66] 뉴스 蹴球第三日 京城惜敗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33-10-27
[67] 뉴스 遠來의平壤蹴球團 第一戰에先勝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34-04-07
[68] 뉴스 2—2 勝敗를未决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4-04-08
[69] 뉴스 第三回京平蹴球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35-04-14
[70] 뉴스 後半劈頭의꼬울一點! 凱歌는平壤陣에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35-04-16
[71] 뉴스 [대한민국 스포츠 100년](76)광복 이후에도 이어진 경평전(서울-평양전) http://www.maniarepo[...] Mania Times 2021-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