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 (송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구는 북송 시대의 인물로, 휘종 황제의 총애를 받아 태위까지 오른 인물이다. 개봉부 출신으로 소식의 종이었으며, 뛰어난 축국 실력으로 황제의 신임을 얻어 승진했다. 군정을 장악하고 군자금을 횡령하는 등 부정부패를 저질러 금나라의 침략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소설 《수호전》에서는 간신으로 묘사되어 임충을 모함하고 양산박을 공격하는 악역으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6년 출생 - 데이시 내친왕 (1076년)
데이시 내친왕은 1078년 조랴쿠 2년에 태어나 이세 신궁의 사이오를 지냈고, 호리카와 천황의 준모로 책봉된 후 중궁에 책립되어 조정의 안정을 도왔으나 21세에 사망, 이쿠호몬인으로 칭해졌다. - 1076년 출생 - 므스티슬라프 1세
므스티슬라프 1세는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키예프 대공, 노브고로드와 로스토프 공작을 역임하며 키예프 루스의 통일을 위해 힘썼고, 종교 건축에도 투자했으며, 러시아 정교회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나 그의 사망 후 키예프 루스는 쇠퇴했다. - 1126년 사망 - 기욤 9세 다키텐 공작
기욤 9세 다키텐 공작은 1071년에 태어나 1126년에 사망한 아키텐 공작이자 트루바두르이며, 15세에 공작위를 계승하여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고 1101년 십자군에 참여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을 남긴 작가로 서정시 전통 확립에 기여했다. - 1126년 사망 - 이자겸
고려 중기 문신 이자겸은 문종부터 인종까지 왕실 외척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리며 문하시중에 올라 국정을 농단하고 왕위를 넘보았으나, 이자겸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 북송의 정치인 - 포증
포증은 북송 시대의 청렴하고 강직한 정치가이자 관료로, '포청천'이라고도 불리며 부패 척결과 공정한 판결로 명성을 얻어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고 사후에는 청백리의 상징이 되었다. - 북송의 정치인 - 사마광
사마광은 북송 시대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며 《자치통감》 편찬으로 유명하고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했으며 철종 시대에 재상으로 복귀하여 신법 폐지를 주도하는 등 시대적 배경과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인물이다.
고구 (송나라)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고구 |
로마자 표기 | Go Gu |
시대 | 북송 |
생몰년도 | 미상 |
주요 활동 | 환관, 군사적 역할 |
생애 | |
환관 | 본래 환관 출신은 아니지만, 후에 환관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 |
군사적 역할 | 수호전에서 악역으로 묘사, 군사적 재능보다는 권력을 이용한 부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짐 |
수호전에서의 묘사 | |
역할 | 악역, 탐관오리 |
특징 | 권력을 남용하여 백성을 괴롭히고, 부패한 관리의 전형으로 등장 |
평가 |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 민중의 원망을 받는 존재 |
기타 | |
특징 | 축구를 잘했다고 전해짐. |
2. 생애
고구는 개봉부에서 태어나 소식, 왕신 등을 섬기며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휘종의 총애를 받아 태위까지 올랐으나, 흠종 대에 이르러 세력을 잃고 병사했다. 그의 생애는 출세와 몰락, 그리고 상반된 평가가 공존하는 복잡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고구의 생애에 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고구는 개봉부에서 고돈복(高敦復)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제가 2명 있었다.[1] 출생 시기는 1076년경으로 추정된다.[1]왕명청(王明卿)이 쓴 중국 역사서 《휘저록》(揮麈錄, Huizhulu)에 따르면, 고구는 아버지 고돈복이 지어준 이름이며, 집안의 둘째였다.[1] 『송사』에는 고구에게 여러 형제와 네 명의 아들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고구의 형제로는 고걸(高傑)과 고신(高伸)이 있었다.[11] 형제들의 이름에는 모두 인(人) 변이 들어 있었다.
『송사』 및 『휘저후록(揮麈後録)』 등 야사에서는 고구가 타고난 방탕하고 무뢰한 기질을 지녔으며, 여러 유력자의 집을 식객으로 전전했다고 전한다. 영종의 사위인 왕준(王詵)의 식객이었을 때는, 당시 단왕이었던 조길(趙佶)(후의 휘종)에게 시중을 들면서 축국 실력을 보여주어 칭찬을 받고 그의 곁을 섬기게 되었다.
『휘진록(揮麈錄)』에 따르면 고구는 소식의 종 출신으로, 글을 잘 썼다고 한다.
2. 2. 관직 생활
소식(蘇軾)을 섬긴 후 화가 왕신을 섬겼다.[2] 이후 휘종 때 유중무의 지휘 아래 전투에 참여했고, 임려(zh)를 따라 요나라에 사절로 파견되었다.[1] 황제의 총애를 받은 그는 빠르게 승진하여 1117년에 태위(太尉)에 올랐다.[1]1105년, 객성사(客省使)였던 고구는 휘종의 명으로 요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될 때 부사를 맡았다. 당시 재상 채경(蔡京)은 정사 임우(林攄)에게 요나라를 도발하도록 은밀히 지시하여 전쟁을 유도하려 했다. 고구가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임우는 채경의 지시대로 천조제(天祚帝)에게 고압적인 태도를 보여 송과 요는 전쟁 직전까지 갔다. 휘종은 이 사실을 알고 분노하여 채경을 일시 파면했다.[12]
고구는 금군 최고 사령관 동관(童貫)과 결탁하여 군정을 장악하고 군자금을 착복했다. 병사들을 사적으로 이용하거나 저택 개수 공사에 동원하고, 다른 고관이나 유력자의 사적인 일에도 병사를 파견하여 금군을 약화시켰다.
고구는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지만, 동시에 적들을 파렴치하게 몰락시켰다. 그러나 옛 상관인 류중무의 아들을 휘종에게 추천하여 장군으로 만들었고, 소식의 제자들을 재정적 지원과 존경으로 보살폈다.[1]
2. 3. 사망
흠종 원년(1126년) 5월 14일에 병으로 죽었다.[3] 휘종 퇴위 후 세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사후에 관직에서 파면되었다.[3][4]고구는 휘종이 개인에 대한 호불호만을 가지고 능력과 상관 없이 인물을 등용한 예로 꼽힌다. 당시에도 좋은 평을 받지 못했으며, 악인이 아닌 고구가 상당한 악인으로 알려지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1]
3. 평가
고구는 휘종이 개인에 대한 호불호만으로 능력과 상관없이 인물을 등용한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당시에도 좋은 평을 받지 못했으며,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악인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악인으로 알려지게 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수호전』에서 고구는 주요 악당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거리의 불량배였던 고구는 뛰어난 축국 실력으로 휘종의 눈에 띄어 급속히 출세하여 대원수에 올랐다. 권력을 잡은 후에는 량산 영웅들의 본래 의도를 무시하고 간신들과 결탁하여 량산을 포위하고 조정을 압박했다.[6] 양아들 고아내가 임충의 아내를 탐내자 임충을 모함하여 유배 보내고 죽이려 했으며, 량산 토벌에 실패하고 생포되기도 했다.[7]
중국 역사소설 『당구지(蕩寇志)』에서는 채경과 결탁하여 량산을 모함하려다 뢰횡과 주동에게 죽임을 당한다. 주동은 그의 머리를 임충에게 가져갔지만, 임충은 그의 머리에 화를 냈다고 한다.[10]
3. 1. 긍정적 평가
고구는 뛰어난 축국 실력으로 총애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의 예술적 취향과 생활 방식 또한 휘종 황제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따라서 그들의 관계는 일반적인 군주와 신하의 관계를 넘어, 벗과 같은 깊은 관계였다고 볼 수 있다. 그가 25년 이상 총애를 받았던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고구는 수호전에 묘사된 것처럼 배은망덕한 인물이 아니었다. 오히려 은혜를 아는 사람이었다. 그는 휘종 황제에게 탄압받던 소식의 제자들을 보살폈다.[5] 류중무는 한때 고구의 상관이었고, 그의 승진을 도왔다. 고구가 대원수가 된 후, 그는 류중무의 아들인 류기를 추천했는데, 류기는 후에 금나라와 싸운 유명한 장군이 되었다. 이 두 가지 사례를 통해 고구의 인품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5]
3. 2. 부정적 평가
고구는 휘종이 개인에 대한 호불호만으로 능력과 상관없이 인물을 등용한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당시에도 좋은 평을 받지 못했으며,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악인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악인으로 알려지게 된 원인이 되기도 했다.[6]실제 역사에서 고구는 사간신(四姦臣)으로 불리는 채경이나 동관에 비해 공적과 악행 모두 훨씬 미미했으며, 당시 간신의 대표로 불렸던 "육적(六賊)"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송사』에는 개별적인 열전은 물론 간신전에도 그의 전(傳)이 없다. 현대 중국 학자 성손창(盛巽昌)은 『송사』가 너무나 허술하여 고구의 열전을 세울 수 없었던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수호전』에 묘사되는 것처럼 완전히 은혜를 저버리는 인물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법파인 채경의 권세하에 구법파였던 소식 일족은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세상으로부터 외면받았지만, 고구만은 과거 소식 밑에서 서기로 일했던 은혜 때문에 그 일족을 평생 지원했다고 한다. 이러한 기록으로 볼 때 실제 고구는 좋든 싫든 유협(遊俠)의 기질이 강한 인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1]
유명한 비평가 금성탄은 "《수호전》의 180명에 대해 쓰기 전에 먼저 고구에 대해 쓴다. 정부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8] 실제로 고구가 권력에서 물러난 후, 다른 정직한 대원수인 소원수의 도움을 받은 같은 무리가 다시 조정의 중추가 되었다. 이는 관리들이 백성들을 봉기에 이르게 한 당시 사회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었다.[9]
3. 3. 현대적 관점
고구(高俅)는 뛰어난 축국 실력으로 휘종의 총애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예술적 취향과 생활 방식 또한 황제의 마음에 들어 일반적인 군신 관계를 넘어선 벗과 같은 깊은 관계를 맺었다. 25년 이상 총애를 받은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고구는 『수호전』에 묘사된 것처럼 배은망덕한 인물이 아니라, 오히려 은혜를 아는 사람이었다. 그는 휘종에게 탄압받던 소식(소동파)의 제자들을 보살폈다.[5] 류중무는 고구의 상관으로 그의 승진을 도왔는데, 고구가 대원수가 된 후 류중무의 아들 류기를 추천했고, 류기는 훗날 금나라와 싸운 유명한 장군이 되었다.[5]
『송사』에는 고구의 열전이 없지만, 현대 중국 학자 성손창(盛巽昌)은 『송사』가 허술하여 고구의 열전을 세울 수 없었던 것이라고 평가한다. 또한, 고구는 『수호전』에 묘사되는 것처럼 은혜를 저버리는 자는 아니었으며, 신법파 채경의 권세 아래에서 구법파였던 소식 일족이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외면받았지만, 고구는 과거 소식 밑에서 서기로 일했던 은혜 때문에 그 일족에 대한 지원을 평생 동안 게을리하지 않았다는 기록도 있다.
4. 대중문화 속 고구
고구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주요 등장인물로 나타난다.
수호전에서 고구는 휘종의 총애를 받아 태위가 된 인물로 그려진다. 그는 권력을 남용하여 왕진, 임충 등에게 악행을 저지르고, 양산박을 토벌하려다 실패한다. 결국 송강 등에게 독살당하는 최후를 맞는다. 당구지(蕩寇志)와 같은 다른 소설에서도 유사하게 묘사된다.
2차 창작 소설인 『수호후전』에서는 고구가 실각하여 유배를 가던 중 양산박 잔당에게 붙잡혀 짐독을 먹고 죽는다.
4. 1. 소설 수호전
수호전에서 고구는 주요 악당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시정의 건달 출신으로 축국을 잘하여 단왕(휘종)의 눈에 들어 황제 즉위 후 태위가 되었다. 태위에 취임하자마자 건달 시절 자신을 혼쭐냈던 약장수의 아들 80만 금군교두 왕진에게 벌을 주려 했으나, 주변 신하들의 만류로 왕진은 노모와 함께 도주했다.[6]양아들인 고아내가 임충의 처를 탐냈던 관계로 고구는 임충을 모함하여 유배를 보내고 죽이려 했다. 그러나 임충은 양산박으로 달아났고, 고당주 지부를 지내던 사촌동생 고렴이 양산박 군사에게 죽임을 당하자, 고구는 군을 동원하여 침공했지만 오히려 사로잡히게 된다.[6]
고구는 량산 영웅들의 ‘충성으로 나라를 섬기고’ ‘나라에 공헌하겠다’는 본래 의도를 무시하고, 간신들과 결탁하여 량산을 포위하고, 조정을 압박하여 강화를 꾀했다.[6] 송강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조정에 출두한 후에도 고구는 여전히 량산 사람들을 의심하여 독주로 노준의와 송강을 죽였다. 원소칠 또한 고구의 부하들에게 벼슬을 빼앗기고 백성으로 강등되었다.[7]
유명한 비평가 금성탄은 “《수호전》의 180명에 대해 쓰기 전에 먼저 고구에 대해 쓴다. 정부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라고 말했다.[8] 실제로 고구가 권력에서 물러난 후, 다른 정직한 대원수인 소원수의 도움을 받은 같은 무리가 다시 조정의 중추가 되었다. 관리들이 백성들을 봉기에 이르게 한 사회 현실이 다시 한번 증명되었다.[9]
중국 역사소설 당구지에서는 고구가 《수호전》의 또 다른 간신 채경과 결탁하여 량산을 모함하려다 뇌횡과 주통에게 죽임을 당했다. 주통은 그의 머리를 임충에게 가져다주었지만, 임충은 그의 머리에 화를 냈다.[10]
고구는 원래 고이라는 이름의 무뢰배로, 봉술, 씨름, 음악과 한시 등에 정통했고, 특히 축국에 매우 능숙하여 "고구"라고 불릴 정도였다. 단왕(후의 휘종)에게 축국 기량을 선보인 것을 계기로 총애를 받아 곁을 시중들게 되었고, 단왕이 황제로 즉위하자 전수부 태위까지 올라섰다.
고구는 전형적인 악인으로 묘사되어 권력을 남용하였다. 사진의 스승이자, 원한을 품고 있는 왕승의 아들 왕진의 관직을 박탈하여 도망을 유발하였다. 또한 양자인 고아내가 임충의 아내를 짝사랑했기 때문에 임충을 누명을 씌워 채진이 양산박에 들어가게 만드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야기의 마지막에서는 방랍 토벌 후 개선하여 관직에 오른 송강·노준의 등의 암살을 모의하여 성공시킨다.
2차 창작 소설 『수호후전』에서는 실각하여 유배되는 도중에 이응 등 양산박의 잔당을 만나, 그동안의 악행을 욕먹은 끝에 짐독을 먹고 숨을 거둔다.
4. 2. 기타
원래는 '''고이(高二)'''라는 이름의 무뢰배로, 방간을 하며 돈을 벌고, 동료들을 이끌고 무뢰한 짓을 저질렀다. 고이는 악행을 거듭하여 헌병에게 체포되었고, 낭인 출신의 금군(禁軍) 사범인 왕승(王昇)의 재판을 받아 매를 맞는 형벌을 받은 과거가 있다. 하지만 그는 다재다능한 인물로, 봉술(棒術), 씨름(相撲), 음악과 시문 등에 정통했고, 특히 축국(蹴鞠)에 매우 능숙하여 그 기량으로 사람들에게 "고이(高二)"가 아닌 "'''고구(高毬)'''"라고 불릴 정도였다. 송(宋)의 황족인 단왕(端王)(후의 휘종(徽宗))에게 우연히 축국 기량을 선보인 것을 계기로 단왕에게 총애를 받아 그의 곁을 시중들게 되었다. 단왕이 황제로 즉위하자 함께 승진하여, 결국 전수부(殿帥府) 태위(太尉)까지 올라섰다. 또한 이때 고위 관직에 있으면서 "고구(高毬)"라는 이름이 너무나 어울리지 않다는 이유로 "고구(高俅)"로 개명하였다.『수호전(水滸伝)』 최대의 악역임에도 불구하고, 고구(高俅)는 무사히 최종화를 맞이했지만, 2차 창작 소설 『수호후전(水滸後伝)』에서는 실각하여 유배되는 도중에 이응(李応) 등 량산박(梁山泊)의 잔당을 만나, 그동안의 악행을 욕먹은 끝에 짐독을 먹고 숨을 거둔다.
참조
[1]
서적
Shui hu xun song
[2]
서적
Sung Biographies: Painters
F. Steiner
[3]
서적
Song shi · Qin zong ji
[4]
서적
Song shi · Li ruo shui zhuan
[5]
서적
Jin qian chen
[6]
웹사이트
无赖的官僚 官僚的无赖——《水浒》高俅形象赏析 - 中国知网
https://kns.cnki.net[...]
2022-05-05
[7]
서적
水浒传
http://worldcat.org/[...]
Shi jie tu shu chu ban guang dong you xian gong si
2020
[8]
서적
貫華堂選批唐才子詩
http://worldcat.org/[...]
Jiangsu gu ji chu ban she
1986
[9]
학술지
林冲与高俅——《水浒传》成书研究
https://kns.cnki.net[...]
[10]
서적
荡寇志
http://worldcat.org/[...]
Jiang xi mei shu chu ban she
2018
[11]
서적
風流天子と「君主独裁制」- 北宋徽宗朝政治史の研究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2]
서적
風流天子と「君主独裁制」-北宋徽宗朝政治史の研究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3]
서적
Shui hu xun so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