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 로마의 정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로마의 정원은 고대 그리스, 페르시아, 이집트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작물 재배, 휴식, 오락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정원은 도무스, 빌라, 황실 정원 등 다양한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폐쇄형과 개방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주요 설계 요소로는 파티오, 페리스타일, 테라스, 크시스투스 등이 있었으며, 장미, 제비꽃, 허브, 과일 나무 등 다양한 식물을 재배했다.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져나가 각 지역의 기후에 맞게 변형되었으며, 동로마 제국과 이탈리아 정원으로 이어져 근현대 원예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고대 정원 - 루쿨루스의 정원
    루쿨루스의 정원은 로마 장군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가 조성한 호화로운 정원으로, 페르시아 정원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조경 기법을 사용했으며, 예술 작품과 고대 그리스 조각상으로 장식되었다.
  • 로마의 고대 정원 - 호르티 아그리피나이
    호르티 아그리피나이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시대 로마 귀족의 사치스러운 생활과 건축, 예술 발전을 보여주는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지닌 정원으로, 다양한 식물과 건축 양식을 통해 로마의 문화와 권력을 상징했다.
  • 이탈리아의 정원 - 카레지의 메디치 빌라
    코시모 데 메디치가 건설한 카레지의 메디치 빌라는 피렌체 플라톤 아카데미 장소이자 자급자족 농장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토스카나주 정부 소유로 복원 후 공개될 예정이다.
  • 이탈리아의 정원 - 빌라 데스테
    빌라 데스테는 16세기에 추기경 이폴리토 2세 데스테의 의뢰로 건설된 이탈리아 티볼리의 르네상스 시대 빌라로, 정교한 분수 시스템을 갖춘 정원이 특징이며, 현재는 이탈리아의 중요한 문화 유산으로 보존되어 있다.
  • 고대 로마의 문화 - 빵과 서커스
    빵과 서커스는 로마 제국 정치인들이 시민의 불만을 무마하고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치적 권리 대신 식량과 오락을 제공하여 정치적 무관심을 유도한 정책을 풍자하는 표현으로, 현대 사회에서도 대중의 관심을 돌리려는 정책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
  • 고대 로마의 문화 - 로마 건축
    로마 건축은 에트루리아와 그리스 건축 양식을 결합하여 발전했으며, 로마 콘크리트, 아치, 돔 등의 혁신적인 구조 기술로 거대한 건축물을 건설하고 다양한 건축물 유형을 탄생시키는 등 서양 건축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대 로마의 정원
위치 정보
개요
유형도무스 정원
빌라 정원
공공 정원
주요 특징벽으로 둘러싸인 공간
분수
조각상
화분
관상용 식물
그늘 제공
역사
기원고대 이집트와 페르시아의 정원 문화에서 영향 받음
발전헬레니즘 시대의 정원 양식을 받아들이고 발전시킴
특징초기에는 채소와 과일 재배를 위한 실용적인 목적이 강했으나, 점차 장식적인 요소가 강조됨
역할휴식 및 명상 공간
사교 및 오락 장소
부와 권력의 상징
도무스 정원
특징주택 내부의 작은 정원 (페리스타일)
벽화, 모자이크, 조각상 등으로 장식
분수나 작은 연못 설치
꽃과 관상용 식물 재배
목적시각적인 즐거움 제공
집안의 분위기를 개선
외부 소음 차단
빌라 정원
특징도시 외곽이나 시골에 위치한 대규모 정원
다양한 테마와 디자인 적용 (예: 이집트식 정원, 그리스식 정원)
산책로, 테라스, 전망대 등 다양한 시설 설치
조각상, 분수, 연못 등을 활용한 화려한 장식
목적휴식 및 여가 활동 공간 제공
사교 및 연회 장소 제공
권력과 부를 과시하는 수단
공공 정원
특징도시 내 공공장소에 조성된 정원
시민들에게 휴식 및 여가 공간 제공
신전, 목욕탕, 극장 등 공공시설 주변에 조성
나무, 꽃, 분수, 조각상 등으로 장식
유명한 공공 정원폼페이우스 극장 정원
트라야누스 욕장 정원
식물
종류장미
백합
제비꽃
아이비
월계수
올리브 나무
포도 나무
특징아름다운 꽃과 향기를 가진 식물 선호
정원의 디자인과 분위기에 맞는 식물 선택
실용적인 목적을 위한 식물 재배 (예: 허브, 채소, 과일)
영향
후대 정원 문화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정원과 프랑스 정원에 큰 영향을 미침
현대 정원 디자인고대 로마 정원의 요소들이 현대 정원 디자인에도 반영됨 (예: 대칭적인 구조, 분수, 조각상)

2. 기원

고대 로마의 정원 가꾸는 기술은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이후 고대 이집트페르시아 정원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고대 페르시아의 정원은 건조한 기후에 적응하며 발달했는데, 수로실개천을 중심으로 정원을 조성하고 외부와 차단된 폐쇄형 구조를 가졌다. 이는 겨울철 온기를 보존하고 건조한 바람을 막으며, 척박한 주변 환경과 정원을 분리하는 역할을 했다.[37][3][4] 파사르가다에 유적 등에서 이러한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정원에서 수로나 실개천이 있었는지는 고고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로마인들이 그리스를 통해 이러한 정원 기술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된다.[37][3]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서아시아를 정복하면서 그리스에 새로운 과일과 식물이 전해졌고, 이는 그리스인들의 원예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38][4]

정형식 정원의 개념은 이미 기원전 28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나타났다. 이집트 제18왕조 시대에는 부유층의 저택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정원 기술이 발달했다.[39][5] 로마 정원의 주랑현관 (포르티코)은 주택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야외 생활 공간을 만드는 요소인데, 이 역시 그리스에서 유래한 것이다. 헬레니즘 시대 이전 고대 아테네키몬은 자신의 정원 벽을 허물어 공공 공간으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39][5]

로마의 쾌적원(pleasure garden) 문화 역시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 그리스 정원은 과일 재배 목적도 있었지만, 신전의 '신성한 숲'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강해 주택 정원은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40] 반면 로마에서는 주택의 실내와 외부를 연결하는 개방형 중앙 정원인 페리스타일이 발달했다. 이러한 로마식 페리스타일 정원은 아테네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스파르타, 코린트, 파트라스와 같이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난 그리스 도시들에서는 신성림을 아름답게 가꾸고 휴식 공간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40][6]

3. 용도

고대 로마의 정원은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었다. 초기 로마인들에게 정원은 주로 실용적인 목적을 가졌다. 특히 하층민들은 정원을 가족의 생계를 위한 부엌 정원 (텃밭)으로 활용하여 허브나 채소를 재배했다.[41][7] 고대 라티움 지역에서는 농장마다 정원을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대 카토는 그의 저서 농업론에서 정원을 농업 공간으로 보며, "모든 정원은 집에서 가까워야 하며, 화단과 관상용 수목을 길러야 한다"고 언급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스의 정원 문화가 로마에 전래되어 흡수되면서, 정원은 단순한 생산 공간을 넘어 유희와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부유층의 별장이나 궁전에는 즐거움을 위한 정원(열락정원)이 만들어졌고,[42][8] 오락이나 운동을 위한 개방형 공원이나 정원도 생겨났다. 하지만 정원이 부유층만을 위한 특별한 공간으로 여겨지지는 않았으며, 로마 시민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토지나 주택을 소유하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되었다. 폼페이 유적 발굴을 통해 일반 시민들의 주거지에 딸린 정원은 공간적 제약 때문에 규모가 축소되었음이 밝혀지기도 했다.

로마 공화정 말기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당시 화원이 국가적인 사치품으로 여겨질 정도였다고 기록했다.[43][9]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공공을 위한 정원이 조성되기도 했는데,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로마의 오피안 언덕에 공공 정원인 Porticus Liviae를 건설했다. 로마 시 외곽 지역에서는 부유한 중심지를 중심으로 정원이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아프리카, 갈리아, 브리타니아 등 로마 제국의 여러 속주에서는 기존 로마식 정원 양식을 현지 상황에 맞게 변형시킨 정원들이 만들어졌다.

4. 조성 여건

고대 로마의 정원은 다양한 건물과 장소에 조성되었다. 초기에 정원은 주로 실용적인 목적을 가졌다. 특히 하층 로마인들은 가족 부양을 위해 채소밭에서 허브와 채소를 재배했으며,[7] 고대 라티움에서는 정원이 모든 농장의 기본적인 일부였다. 대 카토는 그의 저서 농업론에서 모든 정원은 집 가까이에 있어야 하며 꽃밭과 관상수를 갖추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스 정원의 영향을 받아 로마의 원예는 더욱 발전하여, 단순한 경작지를 넘어 별장과 궁전에는 휴식과 즐거움을 위한 쾌적한 정원이,[8] 공공장소에는 운동이나 여가를 위한 공원과 정원이 만들어졌다. 정원은 부유한 로마인만의 전유물이 아니었으며, 자신의 토지나 집을 소유한 시민이라면 누구나 정원을 가꿀 수 있었다. 폼페이 유적 발굴은 일반 로마인의 주거 공간 제약에 맞게 축소된 정원이 보편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정원의 사회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시인 호라티우스는 그의 시대에 화원 가꾸기가 국가적 사치가 될 정도였다고 기록했다.[9]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로마의 오피안 언덕에 리비아의 포르티쿠스라는 공공 정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로마 외곽의 부유한 지역과 더불어 아프리카, 갈리아, 브리타니아 등 로마 제국의 여러 속주에서도 그 지역의 특성에 맞게 변형된 로마식 정원이 번성했다. 정원은 일반적으로 특정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지어졌다.

4. 1. 도무스 (연립주택)

도무스(Domus)는 여러 개의 방과 아트리움을 갖춘 단층짜리 독립 주택이었다. 아트리움은 집 앞쪽에 위치하여 빗물을 모으고 주변을 밝히는 역할을 했다.[44] 집 뒤편에는 종종 '호르투스'(Hortus|호르투스la, 정원)나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페리스틸리움la, 개방형 안뜰)이라 불리는 정원을 두었다. 이런 형태의 주택과 정원은 폼페이 성벽 안 유적과 같은 도시 주거지에서 흔히 발견된다.[10][44]

초기 로마에서 정원은 실용적인 목적이 강했다. 특히 하층민들은 채소밭에서 가족을 부양할 식량을 얻었으며, 주로 허브와 채소를 길렀다.[7] 고대 라티움 지역에서는 정원이 모든 농장의 일부였다. 대 카토는 그의 저서 농업론에서 모든 정원은 집 가까이에 있어야 하며, 꽃밭과 관상수를 갖추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스 정원의 영향을 받아 로마의 정원 가꾸기(원예)는 더욱 발전했다. 부유한 사람들은 별장과 궁전에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8] 즐거움이나 운동을 위한 공원과 정원도 조성했다. 하지만 정원이 부유한 로마인들만의 전유물은 아니었다. 자신의 땅이나 집이 있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정원을 가꿀 수 있었다. 폼페이 발굴 결과는 일반 로마인들의 집에서도 공간 제약에 맞게 축소된 형태의 정원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시인 호라티우스는 그의 시대에 화원 가꾸기가 국가적인 사치가 될 정도였다고 기록했다.[9]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로마의 오피안 언덕에 리비아의 포르티쿠스라는 공공 정원을 만들기도 했다. 로마 외곽의 부유한 지역에서도 정원이 번성했으며, 이러한 로마식 정원 디자인은 아프리카, 갈리아, 브리타니아와 같은 로마 정착지에도 전파되었다.

4. 2. 빌라 (별장)

소 플리니우스의 편지에 언급된 라우렌툼의 해안 별장을 재현한 그림


빌라 (Villa)는 부유층이 도시 근교나 시골에 지은 저택으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는 장소였다. 빌라와 정원은 위치에 따라 해안 빌라, 교외 빌라, 시골 빌라 등으로 나뉘었다.[45] 대표적인 예로는 소 플리니우스가 편지에서 묘사한 라우렌툼의 해안 빌라가 있다.[46] 빌라의 정원은 화려하게 꾸며졌으며, 때로는 김나시움 (gymnasium)이라 불리는 개인 운동 공간이나 사냥 놀이를 위한 넓은 야외 공간을 포함하기도 했다.[47]

4. 3. 빌라 루스티카

빌라 루스티카는 시골에 자리한 빌라로, 주로 대규모 농업 시설이 집중된 곳에 건설되었다.[48] 빌라 루스티카의 정원은 대규모로 조성되었으며, 가공용 장비가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아 이곳의 수확물을 내다 팔았음을 시사한다.[13] 이러한 정원에서는 관개, 접목, 수분과 같은 복잡한 농업 기술을 사용하기도 하였다.[48][13] 대표적인 사례로는 헤르쿨라네움의 빌라 보스코레알레가 있다. 이곳에서는 발굴 조사 당시 재배되었던 식물군을 확인하기 위해 대대적인 꽃가루 분석 작업이 이루어졌다.[49][14]

4. 4. 황실 정원

황실 정원은 황족만을 위해 조성된 정원으로, 매우 크고 화려했다.[50][15] 이러한 정원은 다양한 장소에 건설될 수 있었다.[50][15] 도시에 지어진 궁전형 정원은 권력이 한 통치 가문에서 다른 가문으로 옮겨갈 때마다 재공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50][16] 반면, 황실 빌라 정원은 일반적인 시골 빌라와 비슷했지만 더 화려하게 꾸며졌다.[51][16]

4. 5. 비주거형 정원

비주거형 정원은 공공의 목적으로 조성 및 관리되거나, 소유자가 사망한 뒤 일반 시민에게 기증된 정원을 의미한다.[52][17] 여기에는 사원 안에 있는 정원이나 신성림(특정 신을 기리기 위해 나무를 심어 조성한 숲이나 공원 등) 등이 포함된다.[52][17] 이러한 비주거형 정원은 '에우에르게테스주의'라는 관행에 따라 건설되었다. 이는 오늘날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비슷한 개념으로, 당시 특권층이 정원을 건설하여 대중에게 헌정한 것이다.[53][18] 주로 극장이나 목욕탕과 같은 공공 시설이나 기념 시설에 부속된 정원으로 만들어졌다.[53][18] 또한 농산물이나 꽃 등을 재배하는 상업용 정원도 비주거형 정원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54][28]

5. 설계

고대 로마의 정원은 크게 폐쇄형 정원과 개방형 정원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55] 하지만 어떤 유형이든 일반적으로 동일한 기본 요소들을 갖추고 있었으며, 정원의 형식, 기능, 유형에 따라 건축 요소를 추가하거나 장식을 더하거나 생략하기도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말리부게티 빌라는 파피리 빌라를 재현한 로마식 정원으로 유명하다. 분수, 퍼걸러, 페리스타일 등 로마 정원의 주요 설계 요소를 잘 보여준다.


로마의 열락정원(쾌적원)은 건축가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설계 요소를 포함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통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56]

  • 파티오 (Patio): 정원 입구에 위치하며 야외 가구, 수반이나 분수 등으로 장식되었다. 이곳은 정원 산책의 시작점으로, 정원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망할 수 있는 지점이었다.
  • 페리스타일 (Peristyle): '주변'을 뜻하는 그리스어 '페리'(peri)와 '기둥'을 뜻하는 '스타일'(style)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주랑 현관(포르티코)을 지지하는 기둥이 늘어선 회랑으로 둘러싸인 개방된 안뜰을 의미한다.
  • 테라스 (Terrace): 언덕과 같은 경사지에 정원을 조성할 때 사용된 방식이다. 평탄한 정원 조성이 어려운 경우, 계단 형태로 층을 만들어 각 층이 서로 대조를 이루도록 설계했다.[57]
  • 크시스투스 (Xystus): 정원 내 산책로나 테라스를 지칭하는 용어로, 로마식 정원의 중요한 요소였다. 주로 아래층의 정원이나 주보랑(암불라티오, ambulation)을 내려다보는 위치에 만들어졌으며, 다양한 종류의 꽃, 나무, 풀 등으로 가장자리를 장식했다. 식사나 대화 후, 또는 여가 시간에 여유롭게 산책하기 좋은 공간이었다.
  • 게스타티온 (Gestatio): 집주인이 말을 타거나 노예가 끄는 가마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그늘진 길을 말한다. 보통 주보랑을 둘러싸거나 별도의 타원형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정원 내부에는 흙, 자갈, 모래, 무른 돌 등을 이용해 길이나 산책로를 만들었다. 또한 정원 곳곳에는 조각상, 프레스코 벽화, 해시계 등 다양한 장식물을 배치했다. 이러한 장식물들은 자연 풍경을 모방하거나, 신 또는 신화 속 존재를 기리는 작은 성소(에디큘라, aedicula) 역할을 하기도 했다.[58]

실내 공간인 아트리움(atrium) 역시 정원의 일부로 여겨졌는데, 이는 천장을 통해 빗물을 받아 모으는 임플루비움(impluvium)이라는 수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일종의 수경 요소로 간주되었다.[59]

정원의 벽은 미적인 기능과 실용적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했다. 벽에는 부조나 벽화 등을 그려 넣어 정원의 아름다움을 더했으며[60], 때로는 깨진 도자기 조각 등을 박아 넣어 외부인의 침입이나 기물 파손, 도난 등을 막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폼페이의 상업용 정원 유적에서 이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61]

6. 원예

고대 로마의 정원에서는 꽃 피는 식물부터 일상적인 요리나 약재로 쓰이는 허브와 야채, 그리고 다양한 나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종류의 식물을 재배했다. 어떤 식물이 주로 심어졌는지는 당대의 문헌 기록, 정원을 묘사한 벽화, 그리고 유적지에서 발견된 꽃가루나 식물이 심어졌던 구멍(뿌리구멍)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로마인들은 이탈리아 자생 식물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들여온 수입 식물도 함께 길렀다.[62] 가정 정원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꽃, 허브 등을 볼 수 있었으며, 장식용으로 작게 다듬은 나무[63]나 키 큰 나무, 여러 종류의 꽃들도 즐겨 심었다. 어떤 종류의 식물을 심을지는 정원의 용도, 위치, 크기에 따라 달라졌지만, 일반적으로 식물의 크기에 따라 배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키가 작은 식물은 화단 앞쪽에, 큰 식물은 뒤쪽에 심는 방식이었다.[62]

로마 정원은 시대와 사회 계층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초기 로마 사회, 특히 서민층에게 정원은 가족의 식량을 조달하기 위한 채소밭의 성격이 강했으며, 주로 허브와 채소를 재배했다.[7] 고대 라티움 지방에서는 정원이 모든 농장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졌다. 대 카토는 그의 저서 농업론에서 모든 정원은 집 가까이에 있어야 하며, 꽃밭과 관상수를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스 정원 문화의 영향을 받아 로마의 원예 기술도 발전했다. 이로 인해 부유층의 별장이나 궁전에는 휴식과 즐거움을 위한 쾌적한 정원이 조성되었고,[8] 공공 공원이나 운동 시설을 갖춘 정원도 등장했다. 하지만 정원이 반드시 부유한 로마인들의 전유물이었던 것은 아니다. 자신의 땅이나 집을 소유한 시민이라면 누구나 정원을 가꿀 수 있었다. 폼페이 유적 발굴을 통해 일반 로마인들도 주거 공간의 제약 속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정원을 가꾸었음을 알 수 있다.

호라티우스는 그가 살던 시대에 화원 가꾸기가 국가적인 사치로 여겨질 정도였다고 기록했다.[9]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로마의 오피안 언덕에 리비아의 포르티쿠스라는 공공 정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로마 시 외곽의 부유한 지역에서는 특히 정원 문화가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로마식 정원 디자인은 제국의 확장과 함께 아프리카, 갈리아, 브리타니아 등 로마의 여러 속주에도 전파되어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며 받아들여졌다.

6. 1. 꽃

고대 로마의 정원에는 다양한 을 심었다. 정원 유적에서 발견된 꽃가루 분석 결과 장미, 제비꽃, 제라늄, 미나리아재비 등이 확인되었고, 정원을 묘사한 프레스코화에는 백합, 붓꽃, 데이지 등이 흔하게 그려졌다.[64][65][26][27]

폼페이 카사 델라 나베 에우로파(Casa della Nave Europa)에 복원된 소형 정원. 나무, 꽃, 기타 식물의 혼합 식재를 보여준다.


로마인들은 지역 식물뿐만 아니라 수입 식물도 재배했으며[24], 꽃 외에도 다양한 식물을 길렀다. 일반적인 가정 정원에서는 소나무, 장미, 사이프러스, 로즈마리, 뽕나무(Morus (plant)) 등이 흔했고, 장식용으로 다듬은 왜성 나무[25], 키 큰 나무, 금잔화, 히아신스, 수선화, 사프란, 카시아, 백리향 등도 찾아볼 수 있었다. 식물은 보통 크기 순서대로 심어 작은 식물은 화단 앞쪽에, 큰 식물은 뒤쪽에 배치했다.[24]

꽃이나 파슬리 같은 식물은 주로 관상용으로 심었지만, 향수 제조나 종교 의식용 화환 제작 등 실용적인 목적으로도 재배되었다.[66][67][28][29] 폼페이의 헤라클레스 정원처럼 대규모 상업용 화원도 발굴된 바 있다.[54][28]

6. 2. 나무

나무는 그늘을 만들고 포도나무를 지지하는 데 쓰였으며,[68][21] 과일나무를 심어 열매를 수확하기도 하였다. 규모를 갖춘 정원이라면 제대로 된 과수원을 조성하기도 하였으며, 반대로 단순한 정원이라면 다른 식물 사이에 나무를 식재하는 식이었다. 로마 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 품종으로는 올리브나무, 밤나무, 사이프러스나무, 소나무, 아몬드나무, 뽕나무 등이 있었으며, 수입된 감귤류 나무(예: 오렌지)도 있었다.[69][70][71][30][29][31] 특히 소나무, 사이프러스, 뽕나무는 전형적인 로마 가정 정원에서 흔히 발견되는 나무였다. 또한 장식 목적으로 손질된 다양한 종류의 왜성 나무도 정원에 포함되었을 수 있다.[25]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인 ''박물지''에서 다양한 신을 기리기 위해 고유한 나무를 심었다고 기록하고 있다.[72][32]

6. 3. 허브

고대 로마의 텃밭형 정원에서는 요리 및 약용 목적으로 허브를 재배하는 것이 흔했다. 마늘, 바질, 고수, , 파슬리, 로즈마리, 양파, 겨자와 같은 허브들이 주로 길러졌으며, 이러한 허브 재배는 로마 제국 전역에서 이루어졌고, 심지어 변방 지역이었던 브리튼섬에서도 그 흔적이 발견된다.[73][33]

6. 4. 덩굴 식물

덩굴 식물은 테라코타 화분에 심어 장식과 그늘을 위해 정원 건물을 따라 자라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재배되었다.[74][27] 가장 흔하게 심은 덩굴식물은 포도나무로, 많은 정원에서 포도를 재배하였다.[75][21] 특히 시골의 농장형 정원인 빌라 루스티카에서는 수확한 포도를 와인으로 가공하는 설비를 갖추기도 했다.[75][21] 포도나무 외에도 종류와 꽃을 피우는 여러 덩굴식물도 정원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75][21] 또한, 따로 심지 않더라도 그 지역에 자생하는 담쟁이덩굴이 정원 풍경을 이루는 경우도 있었다.[76][24]

7. 후대의 영향

고대 로마 정원의 건축 요소와 설계 방식은 로마 제국의 광대한 영토를 따라 전파되었다.[77] 이 과정에서 정원은 각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맞게 변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77][34]

로마 정원의 전통은 후대에 동로마 제국의 정원 문화로 이어졌다.[78][2]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이후에는 이탈리아 정원이 그 맥을 이었으며, 이는 르네상스, 바로크, 신고전주의 시대를 거쳐 20세기 조경 건축에까지 영향을 미쳤다.[78][2] 오늘날에도 이탈리아의 원예 도구나 정원 조성 기술은 고대 로마의 것과 매우 유사하며, 다양한 식물을 함께 심고 테라코타 화분을 사용하는 특징 역시 이어지고 있다.[78][2]

참조

[1]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J. Paul Getty Museum
[3]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4] 간행물 Ancient Mediterranean Pleasure Gardens 1929-01-01
[5] 간행물 Ancient Mediterranean Pleasure Gardens 1929-01-01
[6] 서적 Roman Gardens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2019-10-15
[7] 간행물 The Roman Garden https://www.jstor.or[...] 1950-01-01
[8] 웹사이트 Elements of a Roman-Style Pleasure Garden {{!}} Italy http://www.lifeinita[...] 2015-11-11
[9] 간행물 Ancient Mediterranean Pleasure Gardens 1929-01-01
[10]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11]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12] 서적 The letters of the younger Pliny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1969-01-01
[13]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14] 서적 Pollen analysis of soil samples from the A.D. 79 level at station Boscoreale http://worldcat.org/[...] PANGAEA 2002-03-13
[15]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16]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17]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18]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19]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0]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1] 간행물 The Excavation of a Shop-House Garden at Pompeii (I. XX. 5) http://dx.doi.org/10[...] 1977-04-01
[22]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3]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4]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5] 간행물 The lost dimension: pruned plants in Roman gardens http://dx.doi.org/10[...] 2019-04-10
[26] 간행물 Pollen and Seed Studies of Wisconsinan Vegetation in Illinois, U.S.A http://dx.doi.org/10[...] 1972-01-01
[27]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8] 간행물 "The Garden of Hercules at Pompeii" (II.viii.6): The Discovery of a Commercial Flower Garden http://dx.doi.org/10[...] 1979-10-01
[29]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30] 간행물 The introduction of Citrus to Italy, with reference to the identification problems of seed remains http://dx.doi.org/10[...] 2013-01-08
[31] 간행물 The introduction of Citrus to Italy, with reference to the identification problems of seed remains http://link.springer[...] 2013-09-01
[32] 서적 Natural history, a selection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1991-01-01
[33]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34]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35]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36]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J. Paul Getty Museum
[37]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38] 저널 Ancient Mediterranean Pleasure Gardens 1929-01-01
[39] 저널 Ancient Mediterranean Pleasure Gardens 1929-01-01
[40] 서적 Roman Gardens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2019-10-15
[41] 저널 The Roman Garden https://www.jstor.or[...] 1950
[42] 웹인용 Elements of a Roman-Style Pleasure Garden {{!}} Italy http://www.lifeinita[...] 2015-11-11
[43] 저널 Ancient Mediterranean Pleasure Gardens 1929-01-01
[44]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45]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46] 서적 The letters of the younger Pliny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1969
[47]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48]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49] 서적 Pollen analysis of soil samples from the A.D. 79 level at station Boscoreale http://worldcat.org/[...] PANGAEA 2002-03-13
[50]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51]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52]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53]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54] 저널 "The Garden of Hercules at Pompeii" (II.viii.6): The Discovery of a Commercial Flower Garden http://dx.doi.org/10[...] 1979-10-01
[55]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56]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57]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58] 저널 The Excavation of a Shop-House Garden at Pompeii (I. XX. 5) http://dx.doi.org/10[...] 1977-04-01
[59]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60]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61] 저널 The Excavation of a Shop-House Garden at Pompeii (I. XX. 5) http://dx.doi.org/10[...] 1977-04-01
[62]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63] 저널 The lost dimension: pruned plants in Roman gardens http://dx.doi.org/10[...] 2019-04-10
[64] 저널 Pollen and Seed Studies of Wisconsinan Vegetation in Illinois, U.S.A http://dx.doi.org/10[...] 1972
[65]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66] 저널 "The Garden of Hercules at Pompeii" (II.viii.6): The Discovery of a Commercial Flower Garden http://dx.doi.org/10[...] 1979-10-01
[67]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68] 저널 The Excavation of a Shop-House Garden at Pompeii (I. XX. 5) http://dx.doi.org/10[...] 1977-04-01
[69] 저널 The introduction of Citrus to Italy, with reference to the identification problems of seed remains http://dx.doi.org/10[...] 2013-01-08
[70]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71] 논문 The introduction of Citrus to Italy, with reference to the identification problems of seed remains http://link.springer[...] 2013-09
[72] 서적 Natural history, a selection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1991
[73]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004
[74]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004
[75] 논문 The Excavation of a Shop-House Garden at Pompeii (I. XX. 5) http://dx.doi.org/10[...] 1977-04-01
[76]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004
[77]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J. Paul Getty Museum 2004
[78] 서적 Gardens of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J. Paul Getty Museum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