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은 신고베역과 세이신추오역을 잇는 노선이다. 1977년 신나가타역 - 묘다니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었다.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복구를 통해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다. 호쿠신 급행 전철 호쿠신 선과 직결 운행하며, 여성 전용 차량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베 시영 지하철 노선 - 고베 시영 지하철 가이간선
고베 시영 지하철 가이간선은 고베시 주오구의 산노미야·하나도케이마에역에서 나가타구의 신나가타역을 잇는 고베 시 교통국의 철도 노선으로, 개통 후 적자 해소를 위한 정책이 시행 중이며, 철인 28호, 삼국지 등 고베시의 문화적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 긴키 지방의 철도 노선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긴키 지방의 철도 노선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이름 | 세이신·야마테선 |
다른 이름 | 미도리노 U라인 (초록색 U라인) |
원래 이름 | 西神山手線 (세이신·야마테선) |
원래 이름 (언어) | ja (일본어) |
노선 색상 | 녹색 (#00AE8F)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시스템 | 고베 시영 지하철 |
상태 | 운영 중 |
위치 | 고베시 |
기점 | 신코베역 |
종점 | 세이신추오역 |
역 수 | 16개 역 |
노선 기호 | S |
운영 | |
소유자 | 고베시 교통국 |
운영자 | 고베시 교통국 |
차량기지 | 묘다니 차량기지, 세이신 차량기지 |
사용 차량 | 6000형 전동차 |
기술 정보 | |
노선 길이 | 22.7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
신호 방식 | CS-ATC, ATO |
최대 경사 | 34 ‰ (야마테선, 세이신 연장선) 29 ‰ (세이신선 이타야도역 - 묘다니역) |
최고 속도 | 90 km/h |
역사 | |
개통 | 1977년 3월 13일 |
전체 개통 | 1987년 3월 18일 |
노선도 | |
![]() |
2. 역사
1971년 10월 15일, 고베 시 교통국이 운수성(현 국토교통성)으로부터 신고베역과 묘다니역을 연결하는 철도 사업 면허를 취득하면서[18] 세이신·야마테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77년 3월 13일, 첫 구간인 신나가타역-묘다니역 구간(당시 통칭 세이신선)이 개통되었고[12][18], 이후 단계적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1983년에는 오쿠라야마역-신나가타역 구간(당시 통칭 야마테선)이[21][18], 1985년에는 신코베역-오쿠라야마역 구간과 묘다니역-가쿠엔토시역 구간이[14][21][18], 1987년에는 가쿠엔토시역-세이신추오역 구간이 개통되어[22][18] 현재 노선의 전체 구간이 완성되었다.
1988년 4월 2일부터는 호쿠신 급행 전철 호쿠신선(현재 고베 시영 지하철 호쿠신선)과 신코베역에서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21]. 1993년에는 세이신미나미역이 신설되었고, 세이신추오역-신코베역 간 쾌속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으나, 이 쾌속 운행은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중단되어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1995년 1월 17일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노선 전체가 큰 피해를 입어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구간부터 순차적으로 운행을 재개하여 2월 16일에는 전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으나[23], 일부 역은 통과하는 등 제한적인 운행이었다. 모든 복구 작업이 완료되고 정상 운행으로 돌아온 것은 지진 발생 6개월 후인 7월 21일이었다.
1999년 10월 1일부터 스룻토 KANSAI 카드 사용이 가능해졌고, 2000년 3월 1일에는 안내상의 노선명이 현재의 "세이신·야마테선"으로 통일되었다. 2002년 12월 16일에는 세이신추오 방면 4호차에 일본 최초로 종일 운영되는 여성 전용 차량이 도입되었다. 2006년 10월 1일부터는 PiTaPa 카드 이용도 가능해졌다. 이후에도 스크린도어 설치, 신형 차량 도입 등 시설 개선과 운영 효율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2. 1. 연혁
1971년 10월 15일, 당시 운수성은 고베 시 교통국에 신고베역과 묘다니역을 잇는 철도 사업 면허를 교부했다[18]. 이듬해인 1972년 11월 25일, 신나가타역과 묘다니역 사이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었다[20]. 1976년 2월 23일에는 지하철 1000형 차량이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준공되었다.1977년 3월 13일, 신나가타역-묘다니역 구간(통칭 세이신선)이 처음으로 개통하며 1000형 차량의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12][18]. 같은 해 12월 17일에는 신나가타역-오쿠라야마역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었다[20]. 이후 1979년 8월 1일에는 오쿠라야마역-신코베역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고[20], 1982년 2월 17일에는 운수성으로부터 묘다니역-세이신추오역 간의 철도 사업 면허가 교부되었으며[18], 같은 해 8월 30일 해당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었다[20].
1983년 6월 17일, 오쿠라야마역-신나가타역 구간(통칭 야마테선)이 개통되었다[21][18]. 1985년 6월 18일에는 신코베역-오쿠라야마역 구간과 묘다니역-가쿠엔토시역 구간이 동시에 개통하며 노선이 연장되었다[14][21][18]. 1987년 3월 18일, 가쿠엔토시역-세이신추오역 구간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 형태가 완성되었다[22][18].
1988년 2월 26일에는 2000형 차량이 영업 운전을 시작했고, 3월 10일에는 선불 카드인 "U 라인 카드"가 도입되었다. 같은 해 4월 2일, 호쿠신 급행 전철 호쿠신선(현재의 고베 시영 지하철 호쿠신선)이 개통하면서[21] 신코베역을 통해 상호 직결 운행을 개시했으며, 호쿠신 급행의 7000계 차량도 운행을 시작했다.
1993년 3월 20일, 이카와다니역과 세이신추오역 사이에 세이신미나미역이 신설되었고, 야마테(현청 앞)역은 현청 앞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3000형 차량이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같은 해 4월 15일에는 "NEW U 라인 카드"를 통한 스토어드 페어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7월 9일부터는 세이신추오역-신코베역 구간에서 쾌속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5년 1월 17일,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으로 큰 피해를 입어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다음 날인 1월 18일 15시 33분(JST, UTC+09), 이타야도역-세이신추오역 구간의 운행이 재개되었으나, 묘다니역-가쿠엔토시역 구간은 단선으로 운행되었다. 1월 25일에는 묘다니역-가쿠엔토시역 구간이 복선 운행으로 복구되었다. 2월 16일에는 전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지만[23], 산노미야역, 가미사와역, 신나가타역은 복구 지연으로 인해 통과했다[24]. 이후 3월 16일에 산노미야역과 신나가타역이[25], 3월 31일에 가미사와역이 영업을 재개했다[26]. 7월 21일에는 모든 구간이 정상 운행으로 복귀했으나, 지진 이후 중단되었던 쾌속 운행은 폐지되었다.
1999년 10월 1일부터 스룻토 KANSAI 대응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2000년 3월 1일에는 안내상의 노선명이 현재의 "세이신·야마테선"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12월 16일에는 세이신추오 방면 4호차에 일본 최초로 종일 운영되는 여성 전용 차량이 도입되었다. 2006년 10월 1일부터는 PiTaPa 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7월 1일에는 차내 방송이 자동화되었고, 2018년 3월 3일에는 산노미야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9년 2월 16일에는 신형 차량인 6000형이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27].
2021년 7월 24일에는 3000형 차량이[28][29], 2022년 3월 19일에는 2000형 차량이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36]. 2022년 6월 10일에는 스크린도어 설치에 따른 정차 시간 조정을 포함한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졌다. 2023년 8월 18일에는 차량기지 기능 재편에 따라 타니가미 차량기지의 운용이 일시 중지되면서 시간표가 개정되었고, 이로 인해 1000형 차량과 7000계 차량이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30].
2. 2. 한신·아와지 대지진 피해 및 복구
1995년 1월 17일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세이신·야마테선 역시 큰 피해를 입어 운행이 중단되었다.[23]주요 피해 상황은 다음과 같다.
구간 / 시설 | 피해 내용 |
---|---|
신코베역 - 신나가타역 구간 | 터널 지주 손괴 |
산노미야역 | 지하 1층 변전소, 방재 설비, 콘코스 손괴 |
산노미야역 - 현청 앞역 구간 | 환기 설비, 방재 설비 손괴 |
가미사와역 | 변전소, 방재 설비, 콘코스, 승강장 손괴 |
신나가타역 | 방재 설비, 역 입구 주변 손괴 |
묘다니역 - 종합운동공원역 구간 | 서행선 교각 손괴 |
이카와다니역 | 승강장, 가선주 손괴 |
대부분의 열차는 기타신 선(구 호쿠신 급행 전철 호쿠신 선)과 서로 직결 운행을 한다.
특히 야마테선 구간(신코베역-신나가타역)은 거의 전 노선에 걸쳐 피해가 심각했다.
지진 다음 날인 1월 18일 오후 3시 33분(JST)부터 피해가 비교적 적었던 이타야도역 - 세이신추오역 구간의 운행이 잠정적으로 재개되었다.[24] 당시 이타야도역에서는 회차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선로 피해가 없었던 신나가타역까지 열차를 회송시켜 회차 운행을 실시했다. 또한, 묘다니역 서쪽의 교각 손괴로 인해 묘다니역 - 가쿠엔토시역 구간은 단선으로 운행하다가 1월 25일 복선 운행이 재개되었다.
신코베역 - 신나가타역 구간, 특히 산노미야역 - 현청 앞역 구간과 가미사와역 - 신나가타역 구간의 피해가 커 복구에 난항이 예상되자, 고베시는 응급 복구가 완료되는 대로 운행을 재개하고 야간에 복구 공사를 진행하는 방식을 당시 운수성(현 국토교통성)에 제안했다. 운수성은 안전 문제를 이유로 처음에는 거부했으나, 시민 불편을 해소해야 한다는 고베시의 요청을 받아들여 서행 운전 및 피해가 큰 산노미야역, 가미사와역, 신나가타역 3개 역 통과를 조건으로 운행 재개를 승인했다.[23][24]
이에 따라 2월 16일, 호쿠신 급행선을 포함하여 고베 시내 철도 노선 중 가장 먼저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다.[23][24] 다만, 앞서 언급된 3개 역은 통과했으며, 야간 복구 공사를 위해 운행 시간도 약 3시간 단축되었다. 이후 복구 공사가 진척됨에 따라 3월 16일에는 산노미야역과 신나가타역이,[25] 3월 31일에는 가미사와역이 영업을 재개했다.[26]
지진 발생 6개월 후인 7월 21일, 모든 복구 작업이 완료되어 정상 운행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지진 발생 이전까지 운행되던 쾌속 열차는 이 시점을 계기로 폐지되었다.
3. 노선 정보
이 노선은 정식 명칭으로 신고베역 ~ 신나가타역 구간의 '''야마테 선'''(山手線|야마테센일본어), 신나가타역 ~ 묘다니역 구간의 '''세이신 선'''(西神線|세이신센일본어), 묘다니역 ~ 세이신추오역 구간의 '''세이신 연장선'''(西神延伸線|세이신엔신센일본어)의 세 구간으로 나뉘지만, 실제 운행은 하나의 노선처럼 통합되어 이루어지며 일반 승객에게는 통칭 세이신·야마테 선으로 안내된다[7].
3. 1. 노선 구성
이 노선은 정식 명칭으로 다음 세 구간으로 나뉘지만, 일반 승객에게는 구분하여 안내되지 않는다.
고베 시가지와 당시 개발 중이던 스마 뉴타운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망으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서쪽으로는 세이신 뉴타운, 동쪽으로는 고베시 중심 시가지인 산노미야나 산요 신칸센의 신고베역으로 순차적으로 연장되어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정식으로는 중간의 신나가타역과 묘다니역을 경계로 야마테 선, 세이신 선, 세이신 연장선의 3개 노선으로 나뉘지만, 열차 운행은 하나의 노선처럼 통합 운영된다. 거의 모든 열차가 전 구간을 직통 운행하며, 통칭하여 세이신·야마테 선으로 안내한다[7]. 신고베역에서는 고베 시영 지하철 기타신 선과 직결 운행을 한다.
역 번호의 노선 기호는 '''S'''이며, 번호는 직통 운행하는 기타신 선과 통합하여 부여된다. 세이신·야마테 선의 각 역 번호는 녹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표시되지만, 기타신 선의 다니가미역은 흰색 바탕에 녹색 테두리와 글씨로 표시된다.
이용자 수는 간사이권 지하철 중 Osaka Metro 미도스지 선, Osaka Metro 다니마치 선,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 선에 이어 4번째로 많으며, 2016년도 기준 하루 평균 약 26만 명이 이용했다[8].
일본의 지하철 노선 중 두 개 이상의 옛 령제국(셋쓰국, 하리마국)에 걸쳐 있는 노선은 몇 개 있지만[9], 두 개의 오기칠도(기나이, 산요도)에 걸쳐 있는 노선은 세이신·야마테 선이 유일하다.
기타신 선과 합산한 총 길이는 30.2km로, 도영 지하철 오에도 선(40.7km),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40.4km), 도쿄 메트로 도자이 선(30.8km)에 이어 일본에서 4번째로 길다.
신고베역 ~ 신나가타역 구간, 특히 산노미야역 ~ 신나가타역 구간은 JR 고베 선(도카이도 본선·산요 본선)과 나란히 달린다. 또한, 산노미야역 ~ 이타야도역 구간은 한신 고베 고속선(일부는 산요 전기 철도 본선 및 한신 본선)과 병행하며, 일부 구간은 해안 쪽으로 떨어져 고베 시영 지하철 가이간선과도 경로가 겹친다. 전반적으로 운임은 JR이나 고베 고속선이 더 저렴한 편이다.
신고베역에는 JR의 재래선(기존선)이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이 노선은 산요 신칸센과 JR 고베 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산노미야역에는 "JR 승차권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과거 한큐 고베 본선과의 상호 직통 운행이 검토된 적이 있어, 가공 전차선 방식과 19m 3도어 차량 규격으로 건설된 것은 이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2018년부터 검토가 본격화되었으나[10], 2020년 3월 "현시점에서 투자 대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구체적인 검토가 일단 중단되었다[11].
산노미야역 ~ 오쿠라야마역 구간은 폭이 좁은 이쿠타 신도 지하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하행선이 2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겐초마에역과 산노미야역의 승강장도 2층 구조이다.
=== 야마테 선 ===
신고베역 ~ 신나가타역 구간이다. 노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노미야역 ~ 신나가타역 구간에서는 JR 고베 선, 한신 고베 고속선 등과 병행한다. 노선 계획 초기에는 (가칭)누노비키역(신고베역으로 결정)을 산요 신칸센과 나란히 설치하고, 장래에는 아오타니 또는 오지 동물원 방면으로 연장하는 구상도 있었다. 그러나 이후 기타신 지구 접근성 향상을 위해 호쿠신 급행 전철 호쿠신선(현 고베 시영 지하철 기타신 선)과 접속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어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 세이신 선 ===
신나가타역 ~ 묘다니역 구간이다. 후술할 세이신 연장선과 함께 '세이신 선'으로 통칭되기도 한다. 1971년 11월 스마 뉴타운의 교통 수단 확보를 위해 착공되어 1977년 3월에 개통한 고베시 최초의 시영 지하철 노선이다[12]. 묘다니역과 묘호지역 부근은 지상 구간(단, 묘호지역은 반지하 구조)이다.
=== 세이신 연장선 ===
묘다니역 ~ 세이신추오역 구간이다. 세이신 뉴타운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하며, 그 이름처럼 세이신 선을 연장한 노선이다. 연선에는 오릭스 버펄로스의 홈구장인 홋토못토 필드 고베가 있어 경기 개최 시에는 많은 승객으로 붐빈다[13].
이 구간은 5개의 터널을 제외하면 대부분 지상으로 운행된다. 특히 종합운동공원역 부근에서는 산요 신칸센 선로 위를 교차하는[14][15] 독특한 구조도 있다. 선로의 해발 고도는 묘다니 ~ 종합운동공원 구간(서행선)의 약 107m가 가장 높고[16], 이카와다니역 부근의 약 55m가 가장 낮아, 구릉과 계곡을 통과하기 때문에 경사가 많은 편이다.
이 구간은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가 아닌, 뉴타운 철도 등 정비 사업비 보조를 받아 건설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노선명을 가지며, 엄밀한 의미에서는 지하철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17].
=== 킬로미터 표지 ===
역사적 경위로 인해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표가 묘다니역을 기준으로 나뉘어 있다(화살표 방향으로 킬로미터 수가 증가).
# '''신고베역 ← 묘다니역''': 세이신 선 및 야마테 선으로 개통된 구간을 통합하여 묘다니역을 기점으로 킬로미터 표지를 설치했기 때문이다.
# '''묘다니역 → 세이신추오역''': 세이신 연장선으로 개통된 구간을 묘다니역을 기점으로 킬로미터 표지를 설치했기 때문이다.
=== 노선 데이터 ===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 총 연장 22.7km * 야마테선 (S09 - S02): 7.6km * 세이신선 (S12 - S09): 5.7km * 세이신 연장선 (S12 - S17): 9.4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역 수 | 총 16개 역 (S02 ~ S17. S09, S12 중복 계산 제외) * 야마테선: 8개 역 (S02 ~ S09) * 세이신선: 4개 역 (S09 ~ S12) * 세이신 연장선: 6개 역 (S12 ~ S17)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지상 구간 | 묘호지역(S11) - 세이신추오역(S17) 구간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방식 |
보안 장치 | CS-ATC, ATO |
최고 속도 | 90 km/h |
2023년도 혼잡률 | 107% (묘호지역(S11) → 이타야도역(S10) 7:15-8:14) |
3. 2. 노선 데이터
- 노선 거리: 총 연장 22.7km
- 야마테선: 신나가타역 - 신코베역 구간 7.6km
- 세이신선: 묘다니역 - 신나가타역 구간 5.7km
- 세이신 연장선: 묘다니역 - 세이신추오역 구간 9.4km
- 궤간: 1435mm
- 역 수: 총 16개 역 (기종점 포함)
- 야마테선: 8개 역 (기종점 포함)
- 세이신선: 4개 역 (기종점 포함)
- 세이신 연장선: 6개 역 (기종점 포함)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전철화 (직류 1,500 V / 가공 전차선 방식)
- 지상 구간: 묘호지역 - 세이신추오역 구간
- 폐색 방식: 차내 신호 방식
- 보안 장치: CS-ATC / ATO
- 최고 속도: 90km/h
- 2023년도 혼잡률: 107% (묘호지역 → 이타야도역 7:15-8:14)
3. 3. 운행 형태
기타신 선과 일체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낮 시간에는 다니가미역 - 세이신추오역 간의 기타신 선 직통 열차와 신고베역 - 세이신추오역 간의 열차가 교대로 운행된다. 모든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하는 완행 열차이며, 과거에는 쾌속이 운행되었던 시기도 있었다. 아침과 저녁 시간대에는 묘다니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구간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신고베역 - 세이신추오역 구간의 운행 간격은 다음과 같다.
- 아침: 평일 약 3.5분 ~ 7분 간격, 토요일·공휴일 약 5분 ~ 8분 간격
- 낮 시간대: 평일·토요일·공휴일 모두 7.5분 간격 (1시간에 8편)
- 저녁: 평일 5분 ~ 6분 간격, 토요일·공휴일 6분 ~ 7분 간격
2022년 6월 10일 시간표 개정으로 스크린도어 개폐 시간이 정차 시간에 추가되어 전체 소요 시간이 늘어났다.[31]
섣달 그믐날부터 설날에 걸친 심야 운행은 2000년 섣달 그믐날부터 2001년 설날 사이에만 한시적으로 시행되었다.
=== 과거의 쾌속 운행 ===

1993년 7월 9일부터 1995년 1월 16일까지 신고베역 - 세이신추오역 구간에서 쾌속이 운행되었으나, 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쾌속 열차의 행선판 종별 표시는 빨간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쾌'(측면은 '쾌속')로 표시되었다.
- 정차역: 산노미야역, 신나가타역, 묘다니역 (이벤트 개최 시에는 종합운동공원역에도 임시 정차)
- 운행 시각: 매일 신코베 발 세이신추오행 10시 45분 ~ 16시 45분 출발, 세이신추오 발 신코베행 10시 9분 ~ 16시 9분 출발
- 운행 간격: 30분 간격
- 소요 시간: 신코베역 - 산노미야역 2분, 산노미야역 - 신나가타역 8분, 신나가타역 - 묘다니역 7분, 묘다니역 - 세이신추오역 10분 (전 구간 27분. 당시 보통 열차는 대피 없이 32분 소요)
쾌속 운행은 실험적인 성격이 강했으며, 운행 시간대와 횟수가 제한적이었다. 통과역에서는 안전을 위해 속도를 크게 줄여 운행했다. 대피 설비가 묘다니역에만 있었기 때문에, 세이신추오행 쾌속은 앞서가는 묘다니행 보통 열차를 따라갔고, 신코베행 쾌속은 묘다니역에서 앞서가는 보통 열차를 추월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쾌속은 다니가미역까지 운행되지 않았고, 고베시 교통국 소속 차량만 투입되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운행이 중단된 후, 노선 완전 복구 시 쾌속 운행 재개와 각역 정차 증편을 비교 검토했다. 그러나 세이신 지역의 이용 동향, 쾌속 통과역 주민들의 편의성, 열차 대기 시간을 포함한 전체적인 이동 시간 등을 고려했을 때, 각역 정차 열차를 더 자주 운행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쾌속 운행은 부활시키지 않았다. 대신 묘다니역에서 회차하던 열차를 전 구간 운행으로 전환하여 세이신 지역의 열차 운행 횟수를 늘렸다.
쾌속 운행이 중단된 지 20년 이상 지났음에도, 일부 쾌속 통과역에는 "통과하는 전철은 위험합니다. 손잡이를 잡아주세요"라는 안내판과 손잡이가 남아있다. 또한 1000형, 2000형, 3000형 전동차에는 모든 차량에 통과 표시등[32]이 설치되어 있었고, 차량 방향막에는 '쾌속 세이신추오', '쾌속 신코베' 표시가 남아 있었으며, 정기 열차로는 운행되지 않았던 '쾌속 묘다니', '쾌속 학원도시' 표시도 포함되어 있었다.
2018년, 한큐 고베 본선과의 상호 직통 운행을 염두에 두고 쾌속 운행 부활이 검토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33], 고베시는 쾌속 운행을 위해서는 여러 곳에 대피역을 설치하고 추가적인 설비 개선 및 시간표 개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단기간에 실현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34].
3. 4. 여성 전용 차량
2002년 12월 16일부터 여성 전용칸이 도입되었다. 직통 운행하는 기타신선 구간을 포함하여, 세이신추오 방면으로 가는 열차의 4번째 차량(4호차)이 여성 전용 차량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제한은 매일 종일 적용되며, 이는 일본 최초의 사례이다.[35]{| class="wikitable"
|+ 여성 전용칸 위치
|-
! ← 세이신추오 !! 신고베·다니가미 →
|-
| colspan="2" |
1 | 2 | 3 | 4 | 5 | 6 |
|}
열차 운행이 혼잡하거나, 핫토못토 필드 고베에서 프로 야구 경기가 열리거나 산노미야 주변에서 이벤트 등으로 혼잡할 때는 일시적으로 여성 전용칸 운영이 해제될 수 있다.
4. 역 목록
역 번호 순서대로 기술한다. 정식 기점은 야마테선이 신나가타역, 세이신선 및 세이신 연장선이 묘다니역이다.
모든 역은 효고현 고베시 내에 위치한다.
신코베역, 산노미야역, 오쿠라야마역, 신나가타역, 묘다니역, 학원도시역, 세이신 중앙역을 제외한 역은 킨키 일본 철도에 역 업무를 위탁하고 있다.
역명 뒤 괄호 안은 부역명이며, 2019년 3월 31일부로 역명판 하단 광고 계약이 종료되었다.[39]
접속 노선명의 괄호 안은 노선 애칭 및 접속역의 역 번호이다. 접속역명이 다른 경우 ⇒ 표시로 역명을 표기한다.
각 역에는 이미지 테마가 설정되어 있다.
정식 노선명 | 역 번호 | 역명 | 역간 영업 킬로 | 누계 영업 킬로 | 역 이미지 테마 | 접속 노선 | 소재지 |
---|---|---|---|---|---|---|---|
야마테선 | S02 | 신코베역 | - | 0.0 | 폭포 | 고베 시영 지하철:기타신선 (S01, 직통 운행)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고베 리조트 서비스:고베 누노비키 로프웨이⇒허브원 산로쿠역 | 주오구 |
S03 | 산노미야역 | 1.3 | 1.3 | 국제성과 미래 지향 | 고베 시영 지하철:-- 가이간선 ⇒ 산노미야·하나토케이마에역 (K01) 한신 전기 철도: 한큐 전철: 고베 신교통: 포트 아일랜드선 (P01)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 (JR 고베선) ⇒ 산노미야역 (JR-A61) | ||
S04 | 현청 앞역 | 0.9 | 2.2 | 이진칸 | |||
S05 | 오쿠라야마역 | 1.1 | 3.3 | 빛과 조각 | |||
S06 | 미나토가와 공원역 | 1.0 | 4.3 | 강과 다리 | 고베 전철: | 효고구 | |
S07 | 가미사와역 | 1.0 | 5.3 | 벚꽃 | |||
S08 | 나가타역 (나가타 신사 앞) | 0.8 | 6.1 | 돌담길과 도리이 | 한신 전기 철도: 한신 고베 고속선 ⇒ 고속 나가타역 (HS 38) | 나가타구 | |
S09 | 신나가타역 (철인 28호 앞) | 1.5 | 7.6 | 비둘기 | 고베 시영 지하철:-- 가이간선 (K10)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JR 고베선) (JR-A65) | ||
세이신선 | |||||||
S10 | 이타야도역 | 1.2 | 8.8 | 판자 | 산요 전기 철도:-- 본선 (SY 02) | 스마구 | |
S11 | 묘호지역 | 2.9 | 11.7 | 가을 | |||
S12 | 묘다니역 | 1.6 | 13.3 | 봄 | rowspan="2" | | ||
세이신 연장선 | |||||||
S13 | 종합 운동 공원역 | 1.8 | 15.1 | 약동감 | |||
S14 | 학원도시역 | 1.7 | 16.8 | 학생과 시민의 만남 | 니시구 | ||
S15 | 이카와다니역 | 1.6 | 18.4 | 역사로의 초대 | |||
S16 | 세이신미나미역 | 1.7 | 20.1 | 무지개 | |||
S17 | 세이신추오역 | 2.6 | 22.7 | 태양과 녹지 |
5. 차량
현재 운행하는 주력 차량은 6000형이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신형 차량인 6000형이 순차적으로 도입되어 기존에 운행하던 1000형, 2000형, 3000형, 호쿠신 급행 7000계 차량을 대체하였다.[2] 6000형은 가와사키 차량(구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디자인은 오쿠야마 겐 디자인이 감독했다.[2] 6000형은 2019년 2월 16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27], 2023년 11월 기준으로 29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과거 운행했던 차량으로는 1000형, 2000형, 3000형, 호쿠신 급행 전철 7000계 등이 있었으며, 이 차량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모든 열차는 타니가미 차량기지와 묘다니 차량기지에 배치되어 있다. 개업 이후 현재까지 모든 차량은 현지 가와사키 차량(구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컴퍼니) 효고 공장에서 제조되었다. 세이신·야마테선 연장 구간이나 호쿠신선 터널에 경사가 많기 때문에 모든 차량에 억속 제동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지상 구간 및 이타야도 - 묘다니 간의 산악 터널 구간에서는 지하철 노선으로는 드물게 복합 카테나리 방식이 채용되었다. 신코베 - 이타야도 간은 일반적인 강체 가선 방식이다.
세이신·야마테선 차량에는 IC를 이용한 자동 방송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과거에는 차장이 직접 육성 안내를 했으나, 2012년 7월 1일부터 자동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신코베역 도착 시에는 일본어, 영어 외에 중국어, 한국어 안내 방송도 제공된다. 이는 ATO에 의한 원맨 운전을 시행하는 해안선이나 기타신선 구간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이신·야마테선에서는 주의 환기 방송이나 특정 행사 기간(예: 1985년 유니버시아드 고베 대회) 외에는 오랫동안 자동 방송을 사용하지 않았다.
5. 1. 과거 차량
- 1000형: 1977년 3월 13일 노선 개업과 함께 영업 운전을 시작한 차량이다[12][18]. 총 18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2023년 8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30].

- 호쿠신 급행 전철 7000계: 1988년 4월 2일 호쿠신 급행 전철 호쿠신선(현재의 고베 시영 지하철 호쿠신선) 개업과 함께 직통 운행을 시작한 차량이다[21]. 총 5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2023년 8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세이신·야마테선에서의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30].
모든 과거 차량은 현지 가와사키 차량(구: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컴퍼니) 효고 공장에서 제조되었으며, 노선 내 급경사 구간 운행을 위해 억속 제동 기능을 탑재했다. 6000형 차량이 도입되면서 순차적으로 퇴역하였다.
6. 차량 기지
- 묘다니차량 기지
- 세이신차량 기지
- 명곡 차량기지 (세이신선 내)
- 서신 차고 (세이신 연장선 내)
모든 열차는 타니가미 차량기지 및 묘다니 차량기지에 배치되어 있다.
구분 | 차량 형식 | 운행 기간 | 편성 수 | 비고 |
---|---|---|---|---|
현재 운행 | 6000계 | 2019년 ~ 현재 | 25개 편성 | 가와사키 제작, 오쿠야마 겐 디자인 감독[2] |
과거 운행 | 1000형 | 1977년 3월 13일 ~ 2023년 8월 17일[30] | 18개 편성 | 통과 표지등 설치 |
2000형 | 1988년 2월 26일 ~ 2022년 3월[36] | 4개 편성 | 통과 표지등 설치 | |
3000형 | 1993년 3월 20일 ~ 2021년 7월 24일[28][29] | 6개 편성 | 통과 표지등 설치 | |
7000계 | 1988년 4월 2일 ~ 2023년 8월 17일[30] | 5개 편성 | 호쿠신 급행 전철 소속이었으나 2020년 6월 고베 시에 양도. |
2018 회계연도부터 2022년까지 기존 차량을 대체하기 위해 신형 차량인 6000계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2] 이 차량은 가와사키에서 제작되었으며, 디자인은 오쿠야마 겐이 감독했다.
과거에 운행했던 1000형, 2000형, 3000형 차량에는 1995년까지 운행되었던 쾌속 열차를 위한 통과 표지등(종별 표시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7. 향후 전망
2018 회계연도부터 2022년까지 신형 열차인 6000계가 순차적으로 도입되어 기존의 모든 열차를 대체할 예정이다. 이 신형 열차는 가와사키에서 제작되었으며, 디자인은 오쿠야마 겐 디자인이 감독했다.[2] 2000계의 마지막 편성은 2021년 3월에 운행을 종료했다.[3]
서신중앙역(고베시 니시구)에서 노선을 서쪽으로 더 연장하여 히가시하리마 방면으로 잇는 구상이 존재한다. 다음 3개의 노선안이 심의 및 검토되었으나, 구체적인 경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또한, 운영 주체인 고베시의 재정 상황으로 인해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 서신중앙역 - 타마츠 지구 - 니시아카시역 (니시아카시·서신선)
- 서신중앙역 - 고베시 니시구 신데정 - 고베시 니시구 이와오카정 - 가코군 이나미정 - 히가시하리마 방면 (가코가와선 야쿠진역 방면) (서신·히가시하리마선)
- 서신중앙역 - 고베 전철 아오선 방면 (오시베다니역 방면)
1989년의 운수성(현재의 국토교통성)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10호 「오사카권에 있어서 고속철도를 중심으로 하는 교통망 정비에 관한 기본 계획에 대하여」에서는, 서신중앙역 - 니시아카시역 노선을 '2005년까지 정비에 착수하는 것이 적당한 노선'으로 언급했다. 하지만 나머지 2개의 노선은 가쿠엔토시역 - 마이코역 노선과 함께 '향후 정비에 대해 검토해야 할 노선'으로 분류되었다.
2004년 10월 8일의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제8회) 답신안에서는 3개의 노선 모두 검토 대상이 되었지만, '사업의 구체화 가능성을 검토해야 할 사업'이나 '중장기적으로 바라는 철도' 목록에서는 제외되었다.
참조
[1]
서적
Neko Publishing
2013-01-19
[2]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10-17
[3]
웹사이트
神戸市営地下鉄2000形が引退、1000形を基本にデザイン性高めた車両
https://news.mynavi.[...]
2022-04-12
[4]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02
[5]
서적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実業之日本社
[6]
웹사이트
神戸市:名谷車両基地
https://www.city.kob[...]
2024-10-21
[7]
문서
神戸市営地下鉄海岸線 관련 내용
[8]
PDF
地下鉄 駅別乗車人員(1日平均)
http://www.city.kobe[...]
[9]
문서
각 노선에 대한 설명
[10]
웹사이트
地下鉄と阪急直通 神戸市長「三宮で接続可能性高い」
https://www.kobe-np.[...]
2018-06-26
[11]
웹사이트
相互乗り入れ「投資見合わず」神戸地下鉄と阪急電鉄の協議仕切り直し
https://www.kobe-np.[...]
2020-03-06
[12]
간행물
「特集 神戸市営地下鉄開業」『市民のグラフこうべ』No.56(昭和52年3月号)
神戸市広報課
1977-03
[13]
문서
구단 로고와 헤드마크 관련 내용
[14]
간행물
「特集 市営地下鉄延伸」『市民のグラフこうべ』No.153(昭和60年6月号)
神戸市広報課
1985-06
[15]
문서
U라인 카드 관련 내용
[16]
문서
지하철 노선 관련 내용
[17]
문서
지하철 노선 관련 내용
[18]
서적
平成十八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19]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8-02
[20]
PDF
『神戸市交通局100年史』
https://www.city.kob[...]
[21]
간행물
「特集 新聞に見る神戸100年(下)」『市民のグラフこうべ』No.199(平成1年5月号)
神戸市広報課
1989-05
[22]
간행물
「特集 災害とまちづくり」『市民のグラフこうべ』No.269(平成7年9月号)
神戸市広報課
1995-09
[23]
논문
阪神大震災から1年
鉄道ジャーナル社
1996-04
[24]
뉴스
神戸市営地下鉄が全通
交通新聞社
1995-02-17
[25]
뉴스
三宮、新長田駅が営業再開 神戸市営地下鉄
交通新聞社
1995-03-17
[26]
뉴스
神戸電鉄有馬口-有馬温泉間が開通 神戸市営地下鉄が全駅で営業再開
交通新聞社
1995-04-03
[27]
보도자료
西神・山手線 新型車両6000形の営業運転開始について
https://www.city.kob[...]
神戸市
2019-02-08
[28]
웹사이트
ヘッドマーク(ありがとう西神・山手線3000形)
http://ktbsp.jp/area[...]
[29]
웹사이트
神戸市営地下鉄初のVVVF車3000形、引退に惜しむ声 - イベント開催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21-07-26
[30]
보도자료
神戸市営地下鉄 西神・山手線、北神線ダイヤ改正
https://www.city.kob[...]
神戸市交通局
2023-07-18
[31]
보도자료
神戸市営地下鉄 西神・山手線、北神線ダイヤ改正
https://www.city.kob[...]
神戸市
2022-05-10
[32]
문서
6000形 관련 내용
[33]
웹사이트
神戸市地下鉄、震災以来の「快速」検討…阪急との乗り入れ視野
https://www.sankei.c[...]
2018-09-20
[34]
웹사이트
地下鉄西神・山手線に関する9月下旬の新聞報道について
http://www.city.kobe[...]
神戸市
2018-10-01
[35]
문서
여성전용차량 관련 내용
[36]
웹사이트
地下鉄西神・山手線2000形車両引退記念事業の実施
https://www.city.kob[...]
2023-08-26
[37]
문서
神戸市営地下鉄北神線
谷上駅
[38]
웹사이트
神戸市:市営地下鉄西神・山手線、北神線ホームドア設置工事のお知らせ
https://www.city.kob[...]
2024-01-23
[39]
간행물
平成29・30年度 市営地下鉄「駅名板下広告および車内放送広告」の広告主の決定
https://www.city.kob[...]
神戸市
2017-03-27
[40]
Youtube
"「Metro News」vol.66 ○○○にOsaka Metro?! こんなところでも活躍しています!"
https://www.youtube.[...]
2021-03-25
[41]
뉴스
神戸市営地下鉄駅業務委託に伴う受託予定事業者の決定
https://www.city.kob[...]
神戸市交通局
2021-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