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카이도 본선은 일본 철도 역사를 상징하는 주요 간선 철도로, 도쿄, 요코하마, 나고야, 교토, 오사카, 고베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1872년 신바시-요코하마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일본 최초의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도쿄-오사카 간의 간선 철도로 확장되었다.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에는 통근 및 화물 노선으로 운영되며,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 JR 화물 등 여러 회사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현재는 176개의 여객역과 13개의 화물역이 있으며, 도쿄역에서 고베역까지 총 589.5km의 노선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87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네기시선 요코하마역에서 오후나역을 연결하는 네기시선은 게이힌 도호쿠선과 직결 운행하며 화물 수송을 담당했으나, 현재는 연선 지역 인구 증가로 여객 수송 중심의 노선으로 운영된다.
일본화물철도의 철도 노선 - 요코스카선 요코스카선은 JR 동일본과 JR 화물이 운영하며 도쿄역과 구리하마역을 잇는 총 연장 73.3km의 철도 노선으로, 일부 구간은 복선, 나머지는 단선으로 운행되며 소부 쾌속선, 쇼난 신주쿠 라인, 나리타 익스프레스 등과 직결 운행한다.
일본화물철도의 철도 노선 - 닛포 본선 규슈의 고쿠라역과 가고시마역을 잇는 467.2km의 철도 노선인 닛포 본선은 JR 규슈가 운영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이 담당하고, 1067mm 협궤, 복선 및 전철화 구간, 다양한 열차 운행을 통해 규슈의 주요 교통망을 이룬다.
시가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시가현의 철도 - 게이한 게이신선 게이한 게이신선은 교토와 오쓰를 잇는 게이한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과 직결 운행하며 미사사기역에서 비와코하마오쓰역까지 게이한 800계 전동차가 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도카이도 본선
노선 정보
노선 이름
도카이도 본선
다른 이름
비와코선 (JR 서일본, 마이바라 - 교토) JR 교토선 (JR 서일본, 교토 - 오사카) JR 고베선 (JR 서일본, 오사카 - 고베)
원어 이름
東海道本線
원어 이름 (언어)
ja
노선 색상
FFA500
로고
[[파일:JR_logo_(east).svg|20px|link=]] JR 동일본 [[파일:JR_logo_(central).svg|20px|link=]] JR 도카이 [[파일:JR_logo_(west).svg|20px|link=]] JR 서일본 [[파일:JR_logo_(freight).svg|20px|link=]] JR 화물
589.5 km (도쿄역 - 고베역) 17.8 km (시나가와역 - 무사시코스기역 - 쓰루미역) 20.0 km (하마마쓰초역 - 도쿄 화물 터미널역 - 하마카와사키역) 2.3 km (쓰루미역 - 핫초나와테역) 8.5 km (쓰루미역 - 히가시타카시마역 - 사쿠라기초역) 16.0 km (쓰루미역 - 요코하마하자와역 - 히가시토쓰카역) 5.0 km (오가키역 - 미나미아라오 신호장 - 미노아카사카역) 13.8 km (오가키역 - 미나미아라오 신호장 - 신다루이역 - 세키가하라역) 12.2 km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 미야하라 조차장 - 아마가사키역) 10.0 km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 오사카역 - 후쿠시마역) 8.7 km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 오사카 화물 터미널역)
[[파일:JR JT line symbol.svg|20px|JT]] : 도쿄역 - 아타미역 간 열차선 [[파일:JR JK line symbol.svg|20px|JK]] : 도쿄역 - 요코하마역 간 전차선 [[파일:JR JS line symbol.svg|20px|JS]] : 오사키역 - 오후나역 간 [[파일:JR_Central_Tokaido_Line.svg|20px|CA]] : 아타미역 - 마이바라역 간 [[파일:JRW kinki-A.svg|20px|A]] : 마이바라역 - 고베역 간
개업일
1872년 6월 12일 (신바시역 - 시나가와역 간 임시 개통)
개통일 (전 구간)
1872년 10월 14일 (신바시역 - 요코하마역) 1889년 7월 1일 (신바시역 - 고베역) 1914년 12월 20일 (도쿄역 - 시나가와역) 1921년 8월 1일 (바바역 - 교토역) 1928년 10월 15일 (가나가와역 - 호도가야역) 1934년 12월 1일 (고즈역 - 누마즈역)
소유자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역 - 아타미역) 도카이 여객철도 (아타미역 - 마이바라역) 서일본 여객철도 (마이바라역 - 고베역) 일본화물철도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 오사카 화물 터미널역)
운영자
동일본 여객철도 도카이 여객철도 서일본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사용 차량
사용 차량 참조
노선 거리
589.5 km (도쿄역 - 고베역) 17.8 km (시나가와역 - 무사시코스기역 - 쓰루미역) 20.0 km (하마마쓰초역 - 도쿄 화물 터미널역 - 하마카와사키역) 2.3 km (쓰루미역 - 핫초나와테역) 8.5 km (쓰루미역 - 히가시타카시마역 - 사쿠라기초역) 16.0 km (쓰루미역 - 요코하마하자와역 - 히가시토쓰카역) 5.0 km (오가키역 - 미나미아라오 신호장 - 미노아카사카역) 13.8 km (오가키역 - 미나미아라오 신호장 - 신다루이역 - 세키가하라역) 12.2 km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 미야하라 조차장 - 아마가사키역) 10.0 km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 오사카역 - 후쿠시마역) 8.7 km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 오사카 화물 터미널역)
일본에서 최초로 개통한 철도인 신바시역(후의 시오도메 화물역) ~ 요코하마역(현재의 사쿠라기초역) 구간을 포함하여 도카이도를 따라 도쿄에서 고베까지 도시들을 잇고 있다. 일본의 주요 도시들을 지나지만, 원거리 여객 수송은 대부분 도카이도 신칸센에 그 역할을 양보하였다. 현재도 전 구간에 걸쳐 화물 열차가 다수 운행되고 있다.
동일본 여객철도 관할 도쿄 - 아타미 구간 및 힌카쿠 선은 도쿄 근교 구간에 속하며, 서일본 여객철도 관할 마이바라 - 고베 구간은 오사카 근교 구간에 속한다. 도쿄 - 오후나 및 힌카쿠 선, 교토 - 고베 간은 전차 특정 구간으로, 도쿄 - 시나가와 구간은 도쿄 야마노테 선 내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쿄역의 도카이도 본선 0킬로포스트
고베역의 도카이도 본선 종점·산요 본선 기점
1909년(메이지 42년) 10월 「메이지 42년 철도원 고시 제54호」의 「국유철도 선로 명칭」에 따르면, 당시 철도원 소속 철도 노선은 23부 72노선으로 구분되었고, 본 노선은 「동해도선의 부」(약칭: 동해도선) 안의 동해도본선으로 정해졌다.[52][53] 이 명칭은 과거 에도와 교토를 잇던 동해도를 따라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동해도선」과 「동해도본선」 두 명칭이 병행 사용되었는데, 국토교통성 발행 문서와 철도 요람에서는 「동해도선」[56] 명칭이, JR선로 명칭 공고에서는 「동해도본선」 명칭이 각각 사용되었고, 국토교통성과 JR 각사 웹사이트에서도 두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도쿄 근교에서는 여객 안내상 「동해도선」은 오다와라·아타미 방면 중거리 전차와 특급 열차를 가리키며, 도쿄역 - 오후나역 구간에서 병행하는 단거리 전차는 야마노테선, 게이힌 도호쿠 선, 요코스카·소부 쾌속선 등의 운행 계통 명칭을 사용하여 구별한다.[63]
또한, 국철 분할 민영화 후 JR 서일본은 게이한신 지구 자사 선구에 노선 애칭을 설정하여, 동해도본선 요미가하라역 - 교토역 구간에는 「비와호선」, 교토역 - 오사카역 구간에는 「JR 교토선」, 오사카역 - 고베역 구간에는 「JR 고베선」이라는 노선 애칭을 설정하였다.[50]
메이지 정부는 초기에 나카센도를 따라 철도를 건설하려 했으나, 산악 지형에 부설하기 어려워 동해도 루트로 변경했다. 원래 동해도 길인 미에현 쪽에는 사설 철도인 간사이 철도에 의해 간사이 본선, 구사쓰선이 부설되었다.
해안선을 따라 지나는 구간은 적고, 하야카와역 - 아타미역 간과 가마하라역 - 오키쓰역 간이 해안선에 부설되어 있으며, 고후쓰역, 요시와라역, 요손역, 벤텐지마역 부근에서 약간 해안선을 따라 지난다. 당시 군부는 다른 나라 함대에 의한 철도 함포 사격을 우려하여 산간 지대에 부설할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2. 1. 초기 역사 (1872년 ~ 1913년)
도카이도 본선은 일본에서 최초로 개통한 철도인 신바시역(후의 시오도메 화물역) ~ 요코하마역(현재의 사쿠라기초역) 구간을 포함한다.[1] 1872년, 일본 최초의 철도인 신바시-요코하마 사쿠라기초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
일본국유철도 160형 기관차가 견인하는 열차가 신바시 역에 정차해 있는 모습
1883년, 일본 정부는 나카센도를 따라 철도를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여러 구간의 건설을 시작했다. 나카센도 계획에 따라 오가키와 나가하마(1884년), 나고야와 기소가와(1886년) 사이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그러나 1886년까지 도카이도를 따르는 노선이 더 실용적이라는 것이 분명해졌고, 나카센도 계획은 포기되었다.[2]
기소가와와 오가키, 요코하마와 고즈, 하마마쓰와 오부 사이의 노선은 1887년에 완공되었다. 고즈와 하마마쓰가 현재의 고텐바 선 구간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도쿄와 고베를 잇는 첫 번째 노선이 1889년에 완공되었다. 마지막 구간은 가스미가하라와 오쓰 사이에 완공되었다. 당시 도쿄-고베 간에는 하루에 각 방향으로 열차가 한 대씩 운행되었으며, 편도에 20시간 이상이 걸렸다.[2]
"도카이도 본선"이라는 이름은 1895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1895년 10월, 청일 전쟁 이후 산요 철도(현재의 산요 본선)까지의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2] 1906년, 일본국유철도는 당시 7,000km가 조금 넘는 철도망을 보유하게 되었다.
1909년(메이지 42년) 10월에 발표된 「메이지 42년 철도원 고시 제54호」의 「국유철도 선로 명칭」에 의하면, 당시 철도원 소속 철도 노선은 23부 72노선으로 구분되었고, 본 노선은 「동해도선의 부」(약칭: 동해도선) 안의 동해도본선으로 정해졌다.[52][53]
2. 2. 수송력 확장과 노선 변경 (1914년 ~ 1945년)
1914년 12월 20일, 도쿄역이 개업하면서 신바시 역을 대체하여 도쿄 측 종착역이 되었다. 같은 날, 도쿄 역과 오늘날의 요코하마역 구간에 전철화된 통근선이 개통되었는데, 이는 현재 게이힌 도호쿠 선의 일부이다.[2] 1926년에는 모든 화물차에 자동 연결기가 도입되었다. 1930년에는 최초의 ''츠바메''(제비) 특급열차가 운행을 시작하여 도쿄-고베 간 여행 시간이 9시간으로 단축되었는데, 이는 1889년 20시간, 1903년 15시간에 비해 크게 단축된 것이었다.[1]
다이쇼 시대 초,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노선의 여러 구간에 대한 노선 변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1878년부터 사용되어 온 오사카야마(오쓰 역과 교토 역 사이)를 우회하는 노선은 1919년 9월 25일 두 개의 긴 터널이 있는 현재의 경사가 완만한 노선이 완공되면서 폐쇄되었다. 산악 지대인 고템바 구간은 더욱 대규모의 노선 변경이 필요했고, 15년간의 공사 끝에 1934년 탄나 터널이 완공되면서 결실을 보았다. 터널을 통과하는 새로운 노선의 길이는 11.2km인 반면, 기존의 고템바 노선은 탄나 분지를 60.2km 우회하는 경로였다.[4] 터널 개통으로 도쿄-누마즈 구간이 완전히 전철화되었는데, 증기 기관차는 긴 터널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5]
국철 C53형 증기기관차가 1934년 12월 9일 니시아카시 부근에서 ''츠바메''를 견인하는 모습
국철 EF55형 전기기관차가 1936년 8월 4일 시나가와 부근에서 ''후지''(도쿄–시모노세키 특급열차)를 견인하는 모습
52계열 전동차는 해당 구간의 전철화 이후 교토-고베 간 통근 서비스에 사용되었다.
1934년경에는 노선의 다른 쪽 끝에도 전철화가 진행되었다. 1937년에 52계열 유선형 전동차를 사용한 교토-고베 간 통근 급행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노선의 추가 전철화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고, 전쟁 후에야 재개되었다. 군 당국은 안전상의 이유로 노선 중간 부분을 비전철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는데, 비전철화된 선로는 적의 공격 발생 시 수리가 훨씬 용이했기 때문이다.[6]
전쟁 중에는 노선의 운영 중심이 화물 운송으로 바뀌었다. 특급 서비스는 상당히 감소했고, 침대차와 식당차는 1944년에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전시 화물 수송을 위해 국철 D52형 증기기관차가 도입되었지만, 제조 품질이 좋지 않아 여러 차례 보일러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7]
2. 3. 전후 일본의 주요 교통 동맥 (1945년 ~ 1964년)
일본에서 최초로 개통한 철도인 신바시역(후의 시오도메 화물역) ~ 요코하마역(현재의 사쿠라기초역) 구간을 포함해 도카이도를 따라 도쿄에서 고베까지의 도시들을 잇고 있다. 일본의 주요 도시들을 지나지만, 원거리 여객 수송은 대부분 도카이도 신칸센에 그 역할을 양보하였다. 하지만 현재도 전 구간에 걸쳐 화물 열차가 다수 운행되고 있다.
JNR C62형 기관차가 교토 근처에서 ''츠바메''를 견인하는 모습
전쟁 직후, 살아남은 거의 모든 급행열차 차량은 연합군 점령군에 징발되었다. ''연합군 급행열차''(도쿄–모지), ''딕시 급행열차''(도쿄–하카타), ''BCOF 열차''(도쿄–구레) 등의 운행이 도카이도 본선에서 이루어졌다. 일본인을 위한 급행열차는 1947년 4월에 재개되었고, 침대차 서비스는 1948년 7월에 시작되었다.[8]
1949년, 전쟁 전 ''츠바메'' 서비스의 후속 열차인 급행열차 ''헤이와''와 침대 급행열차 ''긴가''가 모두 도쿄와 오사카 사이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1950년 1월, ''헤이와''는 ''츠바메''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러한 서비스를 견인하기 위해 일본 철도 역사상 가장 크고 빠른 증기 기관차인 D52 화물 기관차가 C62 급행 기관차로 개조되었다. C62형 기관차 중 하나인 C62 17호는 1954년 12월 15일 나고야 근처 도카이도 본선에서 달성한 협궤 증기 기관차 세계 최고 속도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SC마그레브 및 철도공원에 보존되어 있다.[9]
1956년 11월 19일, 본선이 완전 전철화되었다. 도쿄-오사카 급행열차인 ''츠바메''와 ''하토''는 노선 전체 구간에서 JNR EF58형 기관차에 의해 견인되기 시작하여, 여행 시간이 8시간에서 7시간 30분으로 단축되었다.[10] 차량을 오염시키는 매연에 대한 우려가 없어지자, 이 열차들은 연한 녹색으로 도색되었고 ''아오다이쇼''(녹색 뱀, 일본 능구렁이를 가리킴)라는 별명을 얻었다.[11]
1958년 10월 1일, 기관차 견인 차량이 아닌 전동차로 운행되는 최초의 급행 열차인 ''고다마''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여행 시간을 6시간 50분으로 더 단축시켰다. 151계열 전동차는 철도 기술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는데, 전동차는 이전에는 소음, 진동, 비용 문제로 고속 장거리 서비스에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신칸센을 포함한 모든 비침대 급행 열차 차량은 전동차로 설계되었다. 같은 날, 새로 건설된 20계열 차량을 이용한 ''아사카제'' 침대 급행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 차량들은 완전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었고 '레일 위의 호텔'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2][13] 이 침대차와 그 후속 차량들이 파란색으로 도색되었기 때문에, 일본의 침대 열차는 ''블루 트레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EF58형 전기기관차가 견인하는 화물열차(1984년 오사카역)
국철 시대에는 여객열차·화물열차 외에 화물열차도 운행되었다. 여객열차의 하행 오사카·고베 쪽에 화물차를 연결하는 경우가 있었던 외에, 기관차 견인의 화물 전용 열차도 운행되었다.[125] 이들은 민영화 직전인 1986년 11월에 모두 폐지되었다. 폐지 직전 시점에서는 시오도메역과 규슈를 잇는 급행 화물열차가 하루 5왕복, 기후역과 도호쿠 본선 아오모리역을 잇는 급행 화물열차가 하루 1왕복 운행되었다.[141]
1959년부터 155계 전차 등의 전용 차량을 사용한 히노데, 키보, 코마도리 등의 열차 이름을 사용하는 수학여행 열차가 운행되었다. 이들은 1965년경에 정점을 맞았지만, 점차 수학여행 수송은 신칸센으로 이전되었고, 재래선의 수학여행 열차는 1973년까지 모습을 감추었다.[70]
2. 4.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 (1964년 ~ 1987년)
1945년에 일본은 패전을 맞이한다. 그 후 혼란기에는 전력 부족과 증기 기관차 운행에 필요한 석탄 부족, 연합국군 전용 차량 도입 등으로 열차 운행 계획이 혼란스러워져, 한때 특급·급행과 1등차·2등차가 전혀 운행되지 않기도 했다. 또한 객차 부족으로 화차를 이용한 여객 수송도 이루어졌다.
1948년에 급행 열차가 부활했고, 1949년에는 공공 기업체인 일본국유철도가 발족한 후 전후 최초의 특급 열차 '헤이와'(平和, 후에 '츠바메'(つばめ)로 개칭)가 운행을 시작했다. 전철화 구간도 누마즈역에서 서쪽으로 연장되기 시작했다. 1950년에는 '츠바메' 외에 특급 '하토'(はと)가 등장, 전시 중 길어졌던 소요 시간을 전전 수준으로 단축했다. 도쿄 입구에서는 객차 보통 열차가 전철화되어 “쇼난 전차” 운행이 시작되었다.[138]
1956년에 도카이도 본선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어, 특급 '츠바메', '하토'는 도쿄역-오사카역 간 7시간 30분이 되었다. 1958년에는 20계 객차를 사용한 침대 열차(블루트레인)가 운행을 시작했다. 151계 전차를 사용한 최초의 전철 특급 '고다마'(こだま)는 도쿄역-오사카역 간 6시간 50분, 도쿄역-고베역 간 7시간 20분에 연결했다. 1960년에는 '츠바메', '하토'도 전철화되어, 기존 전망차를 대신하는 퍼러 카(パーラーカー)가 연결되었다. 이 외에도 우등 열차가 다수 증가했다.[65][138] 화물 열차에서는 1959년에 고속 컨테이너 열차 '타카라'(たから) 운행이 시작되었다.[125] 한편, 이 무렵 고도 경제 성장과 도쿄 올림픽(1964년) 개최 결정으로 수송력 증강을 위한 선로 증설 계획이 제기되어, 표준궤 별선 건설이 결정되었다. 1959년 착공된 이 노선은 도카이도 신칸센으로 개통된다.[69]
* 4월 20일: 고베 린코 선 고베코역 - 마야부토역 구간 (4.5 km) 개업. (화물) 마야부토역 개업.
* 6월 12일: 네푸카와역 - 마나즈루역 구간 경로를 내륙 쪽으로 이설, 현재의 마나즈루 터널 경유로 변경.[78]
* 10월 1일: (화물) 히가시나다역을 조차장으로 변경, 히가시나다 조차장 개설. 고베 린코 선 히가시나다역 - 고베코역 구간 기점을 로코쿠도역으로 변경 (+1.4 km), 나다역 - 고베코역 구간 (4.3 km)에도 영업 거리 설정 (로코쿠도역 - 히가시나다 조차장 구간, 나다역 - 히가시나다 조차장 구간은 본선과 중복).
1973년(쇼와 48년) 10월 1일: 화물 지선 (동해도 화물선) 시오도메역 - 도쿄 화물 터미널역 - 시오하마 조차장 구간 (16.5 km) 개업.[78] 화물 지선 가와사키역 - 오다 조차장 - 하마가와사키역 구간 (4.1 km) 폐지. 시오하마 조차장 - 하마가와사키역 구간 영업거리 변경 (-0.1 km). (화물) 도쿄 화물 터미널역 개업. 오다 조차장 폐지.
* 7월 7일: 시즈오카현에서 칠석 호우 재해. 유이역 - 고쓰역 구간 하천 범람으로 1만㎥ 토사가 선로를 덮쳐, 복구까지 6일 소요(7월 13일 운행 재개).[87]
* 9월 1일: 화물 지선 (누마즈코 선) 누마즈역 - 누마즈코역 구간 (3.0 km) 폐지. (화물) 누마즈코역 폐지.
* 10월 1일: 로코쿠도역 - 고베코역 구간 여객 영업 폐지. 우메다 화물선 후쿠타역 - 우메다역, 우메다역 - 후쿠시마역 구간을 통합, 후쿠타역 - 후쿠시마역 구간으로, 고베 린코 선 로코쿠도역 - 고베코역, 고베코역 - 미나토가와역 구간을 통합, 로코쿠도역 - 미나토가와역 구간으로 변경.
* 3월 1일: 동해도 화물선 하마가와사키역 - 쓰루미역 구간 (5.3 km) 개업.[78] 시오하마 조차장 - 하마가와사키역 구간 영업거리 변경 (+0.5 km).
* 3월 16일: 화물 지선 (교토 시장선) 우메코지역 - 교토 시장역 구간 (2.8 km) 개업. (화물) 교토 시장역 개업. 화물 지선 (산인 연락선) 우메코지역 - 단바구치역 구간 영업거리 변경 (+0.5 km).
* 10월 1일: 도쿄역 - 시나가와역 구간 지하 별선 (소부 쾌속선, 후에 요코스카 선) 개업.[78]
1978년(쇼와 53년) 10월 1일: 나고야코 선 시라토리역 - 나고야 시장역 구간 (1.2 km) 폐지. (화물) 나고야 시장역 폐지.
1979년(쇼와 54년) 10월 1일: 동해도 화물선 쓰루미역 - 요코하마하자와역 - 도쓰카역 구간 (20.2 km) 개업.[78] 히라쓰카역 - 오다와라역 구간 복복선화.[78] (화물) 요코하마하자와역 개업. (화물) 히가시요코하마역을 신호장으로 변경, 히가시요코하마 신호장 개설. 동해도 화물선 시오도메역 - 하마가와사키역, 하마가와사키역 - 쓰루미역 구간을 통합, 시오도메역 - 쓰루미역 구간으로 변경.
1980년(쇼와 55년) 10월 1일: 신쓰루미 조차장 - 쓰루미역 구간 복복선화, 도쓰카역 - 오후나역 구간 6선화. 신품쓰루 선 시나가와역 - 쓰루미역 구간에 요코스카 선 전차 직통, 여객 영업 개시 (SM분리).[78] 화물 지선 아마가사키역 - 아마가사키 시장역 구간 (아마가사키 시장선, 1.5 km), 나고야코역 - 호리카와구치역 구간 (나고야코 선, 3.4 km) 폐지. 신가와사키역·히가시도쓰카역·(화물)나고야 화물 터미널역 개업. (화물) 호리카와구치역·(화물) 아마가사키 시장역 폐지.
1982년(쇼와 57년) 11월 15일: 화물 지선 센리오카역 - 후쿠타 조차장 - 오사카 화물 터미널역 구간 (10.3 km) 개업, 키시베역 - 후쿠타 조차장 - 오사카 화물 터미널역 구간 (8.8 km)에도 영업 거리 설정 (센리오카역 - 후쿠타 조차장, 후쿠타 조차장 - 키시베역 구간은 본선과 중복). 고시마 선 고시마역 - 오모테고시마역 구간 (1.3 km), 히가시고시마역 - 요코하마 시장역 구간 (1.2 km), 나고야코 선 나고야역 - 하치만 신호장 - 시라토리역 구간 (4.9 km) 폐지.[88] (화물) 오사카 화물 터미널역 개업. (화물) 오모테고시마역·(화물) 요코하마 시장역·(화물) 시라토리역 폐지.[89] 요코하마코역을 신호장으로 변경, 요코하마코 신호장 개설. 시나가와역 - 시바우라역 구간을 분리, 시나가와역 - 시오도메역, 시오도메역 - 시바우라역 구간으로 변경.[90]
1984년(쇼와 59년) 2월 1일: 화물 지선 시오도메역 - 도쿄 시장역 구간 (도쿄 시장선, 1.1 km), 우메코지역 - 교토 시장역 구간 (교토 시장선, 1.8 km) 폐지. (화물) 도쿄 시장역·(화물) 교토 시장역 폐지. 신쓰루미 조차장·후쿠타 조차장을 신호장으로 변경, 신쓰루미 신호장·후쿠타 신호장 개설.
* 3월 1일: 화물 지선 (시바우라 선) 시오도메역 - 시바우라역 구간 (2.8 km) 폐지. (화물) 시바우라역 폐지.
* 3월 14일: 고베 린코 선 고베코역 - 미나토가와역 구간 (2.4 km) 폐지. 아베가와역 개업. (화물) 이리에역·(화물) 미나토가와역 폐지. 이리에역 폐지로 화물 지선 이리에역 - 신쿄역 구간 기점을 쓰루미역, 종점을 히가시고시마역으로 변경 (+8.3 km). 동해도 화물선 시나가와역 - 시오도메역, 시오도메역 - 쓰루미역 구간을 통합, 시나가와역 - 쓰루미역 구간으로 변경.
* 7월 27일: 동해도 화물선 시나가와역 - 시오도메역 구간 여객 영업 재개 (카트레인 규슈 운행 개시).
* 11월 1일: 고시마 선 요코하마코 신호장 - 야마시타부토역 구간 (2.0 km), 고베 린코 선 고베코역 - 마야부토역 구간 (4.5 km) 폐지. (화물) 기후 화물 터미널역·니시기후역 개업. (화물) 시오도메역·(화물) 야마시타부토역·(화물) 사사지마역·신타루이역·(화물) 마야부토역 폐지. (화물) 고시마역을 신호장으로 변경, 고시마 신호장 개설. 시오도메역 폐지로 시나가와역 - 도쿄 화물 터미널역 구간 영업거리 변경 (-6.8 km). 고시마역 폐지로 화물 지선 고시마역 - 사쿠라기초역 구간 기점을 히가시고시마역으로 변경 (+1.0 km). 사사지마역 폐지로 사사지마역 - 니시나고야코역 구간 기점을 나고야역으로 변경 (영업거리 변경 없음).
* 3월 31일: 고시마 선 고시마역 - 요코하마코 신호장 구간 폐지. 고시마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 고시마역 영업 재개. 요코하마코 신호장 폐지. 고시마역 영업 재개로 화물 지선 히가시고시마역 - 사쿠라기초역 구간 기점을 고시마역으로 변경 (-1.0 km). 니시나고야코 선 나고야역 - 니시나고야코역 구간 여객 영업 개시 (서류상).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 도카이도 본선은 통근 및 화물 노선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소수의 장거리 여객 열차(주로 심야 및 침대 특급 열차)만 운행되고 있다.
2. 5. 민영화 이후 (1987년 ~ 현재)
일본에서 최초로 개통한 철도인 신바시역(후의 시오도메 화물역) ~ 요코하마역(현재의 사쿠라기초역) 구간을 포함해 도카이도를 따라 도쿄에서 고베까지의 도시들을 잇고 있다. 일본의 주요 도시들을 지나지만, 원거리 여객수송은 대부분 도카이도 신칸센에 그 역할을 양보하였다. 하지만 현재도 전 구간에 걸쳐 화물 열차가 다수 운행되고 있다.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도카이도 본선은 여객 3사와 화물 1사로 경영이 분리되어 각 사의 지역 사정에 맞춘 수송 개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통근 러시아워가 심한 JR 동일본의 수도권 지역에서는 열차 정원 증가에 의한 혼잡 완화, 타사와 경쟁하는 JR 도카이의 나고야 지역과 JR 서일본의 교토·오사카·고베 지역에서는 쾌속 열차의 증편과 속도 향상이 추진되었다. 통근객을 위한 통근 라이너도 각 지역에서 속속 등장했다. 또한 공항 액세스 특급의 진입, 1997년부터의 교토·오사카·고베 완행 전철의 JR 동서선·보타쿠 선 직통 운전, 2001년 개업의 쇼난 신주쿠 라인[128] 등, 새로운 운행 형태도 등장시키고 있다. JR 화물에서는 화물 열차의 고속화가 이루어져, 2004년에는 분산 동력식 화물용 전철 “슈퍼 레일 카고”의 운행을 시작했다.[51]
동일본 여객철도가 관할하는 도쿄 - 아타미 구간 및 힌카쿠 선은 도쿄 근교 구간에 속하며, 서일본 여객철도가 관할하는 마이바라 - 고베 구간은 오사카 근교 구간에 속한다. 또, 도쿄 - 오후나 및 힌카쿠 선, 교토 - 고베 간은 전차 특정 구간으로, 도쿄 - 시나가와 구간은 도쿄 야마노테 선내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운행 열차
차량 번호
운행 구간
비고
185계
도쿄 - 아타미
이토 선에 직결운행
211-0계 (JR 동일본)
도쿄 - 아타미 - 누마즈
이토 선에 직결운행
211-2000계 (JR 동일본)
도쿄 - 아타미 - 누마즈
이토 선에 직결운행
E217계
도쿄 - 아타미
E231-1000계
도쿄 - 아타미 - 누마즈
이토 선,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E233-3000계
도쿄 - 아타미
373계 (JR 도카이)
도쿄 - 아타미 - [JR 도카이 구역]
JR 도카이 313계
117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가나야마 - 오가키 - 마이바라
211-0계 (JR 도카이)
가케가와 -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 마이바라
211-0계 (JR 동일본)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누마즈
211-2000계 (JR 동일본)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누마즈
211-5000계 (JR 도카이)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211-6000계 (JR 도카이)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223계
221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223-100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223-200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223-600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225-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E231-1000계 (JR 동일본)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누마즈
311계
시즈오카 - 가케가와 -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313-0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313-300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오가키 - 미노아카사카
313-2300계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313-2500계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313-2600계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313-3000계
고텐바 선,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313-3100계
고텐바 선,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313-5000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 마이바라
373계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시즈오카, 하마마쓰 - 도요하시, 오가키 - 마이바라
683-2000계 (JR 서일본)
나오야 - 오가키 - 세키가하라
키하 75
타케토요 선에 직결운행
3. 노선 정보
東海道本線일본어의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영업 거리:''' 총연장 706.8km (지선 포함, 도쿄 ~ 고베 간 589.5km)
*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철도사업자|철도사업자|제1종 철도사업자일본어) 총연장 171.9km
도쿄와 아타미 사이 구간은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에서 운영하며, 수도권에 있다. 이 구간에는 보통열차(普通, Futsū)와 쾌속 아쿠티(快速アクティー, Kaisoku Akutī)라는 쾌속 열차가 운행된다. 도쿄와 시나가와 사이에서는 야마노테 선과, 도쿄와 요코하마 사이에서는 게이힌-토호쿠 선과, 요코하마와 오후나 사이에서는 요코스카 선과 병행하는 전용 선로를 이용한다. 일부 쇼난-신주쿠 선 열차는 요코하마 남쪽의 오후나와 오다와라 구간을 공유한다. 2021년 3월 12일까지 통근 쾌속(通勤快速, Tsūkin Kaisoku)과 쇼난 라이너(湘南ライナー, Shōnan Rainā) 서비스도 운영되었다.[17]
우에노-도쿄 선은 우쓰노미야 선, 다카사키 선, 조반 선의 운행을 도쿄역까지 연장하여 2015년 3월부터 도카이도 본선과의 직결 운행을 가능하게 했다.[18]
본선의 이 구간을 운행하는 거의 모든 열차에는 전방향 좌석이 있는 2층식 그린샤(Green Car)가 2량씩 편성되어 있다. 그린샤는 추가 요금을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다.
오후나와 후지사와 사이에 새로운 역이 계획 중이며, 기존 JR 화물의 쇼난 화물터미널 근처 승객들을 위한 역이다. 공사는 2022년 초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역은 2032년에 개통될 예정이다.[19]
우에노-도쿄 선을 통해 우쓰노미야 선 쾌속 ''래빗''과 다카사키 선 쾌속 ''어반'' 열차가 도카이도 본선을 운행하며, 본선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따라서 이 두 서비스는 도카이도 본선 내 '보통' 열차로 분류된다.
도카이도 본선 쾌속 ''아쿠티'' 열차는 도쿄에서 오다와라까지 저녁 시간대에만 운행한다. 34년간의 운행 끝에 2023년 3월 18일 시각표 개정 이후 쾌속 ''아쿠티'' 서비스는 중단된다.[20]
''쇼난'' 특급 열차는 편안한 좌석을 갖춘 특별한 전석 지정석 통근 쾌속 열차이다. 평일 아침에 오다와라에서 도쿄까지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시나가와에서 종착한다. 평일 저녁에는 도쿄에서 오다와라까지 복귀 열차가 운행된다. 통근 쾌속 열차와 마찬가지로 쇼난 라이너는 일반적으로 시나가와와 후지사와 사이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후지사와와 오다와라 사이에서는 정차역이 다양하다. 표준 요금 외에 ''쇼난 라이너'' 이용에는 500JPY의 지정석 요금이 필요하다.
도쿄와 요코하마 사이의 게이힌-토호쿠 선 역은 공식적으로 도카이도 본선의 일부이다. 해당 역은 다음과 같다: 유라쿠초, 하마마쓰초, 다마치, 다카나와 게이트웨이, 오이마치, 오모리, 가마타, 쓰루미, 신코야스, 히가시카나가와.
도쿄와 오후나 사이의 요코스카 선 역은 공식적으로 도카이도 본선의 일부이다. 해당 역은 다음과 같다: 니시오이, 무사시코스기, 신카와사키, 호도가야, 히가시토쓰카. 시나가와와 쓰루미 사이 요코스카 선의 노선은 본선과 별도로 힌카쿠 선으로 불리며, 니시오이, 무사시코스기, 신카와사키 역이 위치해 있다.
쇼난-신주쿠 선은 도카이도 본선과 직결 운행한다. 다카사키 선에서 오사키까지 운행한 후 니시오이에서 도쓰카까지 요코스카 선에 진입하여 오다와라 방면 도카이도 본선으로 선로를 바꾸고, 그 반대로도 운행한다. 쾌속 서비스는 도카이도 본선(도쓰카 - 오다와라)의 모든 역에 정차하며, 특급 서비스는 ''쾌속 아쿠티'' 서비스와 동일한 패턴으로 운행한다.
통상적인 각역정차, 쾌속, 준쾌속 열차 외에도, 도카이도 본선에서는 다수의 특급 열차가 운행된다.
오도리코: 도쿄 ~ 아타미 ~ (이토 선) ~ 이토 ~ (이즈 급행) ~ 시모다; 도쿄 ~ 미시마 ~ (이즈하코네 철도 썬즈 선) ~ 슈젠지
쇼난: 도쿄 ~ 오다와라
사피르 오도리코: 도쿄 ~ 아타미 ~ (이토 선) ~ 이토 ~ (이즈 급행) ~ 이즈큐 시모다
5. 역 목록
범례
5. 1. JR 동일본 관할
이 지역의 도카이도 본선 중장거리 열차(전철 도입 이후 민영화까지는 「쇼난 전차」라고 불렸다)는, 도쿄역 - 오후나역 간에서는 일부 역에만 승강장이 있는 열차선에서 운행된다. 2001년부터 쇼난 신주쿠 라인의 직통 운행으로 시부야·신주쿠·이케부쿠로의 부도심 지역에 연결되었고, 다카사키선으로의 직통 열차도 설정되었다.[132][128]2015년 3월부터 우에노 도쿄 라인을 통해 도호쿠 본선(우츠노미야선)·다카사키선과의 직통 운행이 부활했고, 조반선으로부터 시나가와역까지의 직통 운행도 개시되었다.[100]
주간에는 도쿄역 경유 열차가 1시간에 보통 6대 운행된다. 절반은 히라쓰카역 또는 오다와라역까지 운행하며, 오다와라역- 아타미역 간은 매시 3대 운행된다. 쇼난 신주쿠 라인은 특급 쾌속이 오다와라역까지 매시 1대, 쾌속(토츠카역부터는 보통)이 히라쓰카역까지 매시 1대 운행된다.
케이힌 지역에서는 동해도선의 열차와 병행하여 근거리 전차의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도 이하의 운행 계통이 각각 정해진 선로에서 운행되고 있다.
JO 요코스카선[63] : 도쿄역 - 요코하마역 - 오후나역 경유, 즈시역·쿠리하마역 방면. 도쿄역-오후나역 간이 동해도 본선에 해당한다. 1980년부터 독립된 선로에서 운행, 소부 본선(소부 쾌속선)과 직통 운행을 개시했다. 시나가와역-쓰루미역(통과) 간은 지선인 신품쓰루선 경유이다.[127][154]
-- 쇼난 신주쿠 라인 : 야마노테 화물선의 시부야역·신주쿠역·이케부쿠로역(사이쿄선과 동일 선로) 경유, 동해도선 오후나역 이서와 다카사키선, 요코스카선과 도호쿠 본선(우츠노미야선) 오미야역 이북 상호간 직통 운행. 2001년 12월부터 운행 개시.[128]
JA--SO 소테츠선 직통[129][130] : 사이쿄선·카와고에선과 사가미 철도의 소테츠 신요코하마선·본선과 직통 운행. 2019년 11월 30일부터 운행 개시.[131]
-- 케이힌토호쿠선[63] : 사이타마시의 오미야역 - 오후나역 간. 도쿄역-요코하마역 간이 동해도 본선에 해당, 전철선에서 운행. 요코하마역-오후나역 간은 네기시선 경유. 1988년부터 주간에 타바타역-도쿄역-시나가와역 간 쾌속 운행.[132]
JY야마노테선[63] : 도쿄 도심부 환상 운행. 도쿄역-시나가와역 간이 동해도 본선에 해당. 1956년부터 독립된 선로에서 운행.[154]
도쿄역은 JR 신칸센과 재래선 각 노선이 집중하는 터미널역이다. 황궁 쪽 마루노우치 입구의 적벽돌 역사가 복원되었고, 야에스 쪽에는 고층 트윈 타워 "그랑도쿄"가 건설되었다.[152][153]
시나가와역까지 도쿄 도심부에서는 도카이도선 복선(열차선)과, 야마노테선·게이힌도호쿠선 복복선(전차선)과의 6선이 도카이도 신칸센과 나란히 남쪽으로 진행하며, 지하에 요코스카선용 복선이 있다.[63]유라쿠초역을 지나 신바시역이다. 현재의 신바시역은 2대째이며, 일본 최초의 철도로서 신바시역-요코하마역 구간 개업 당시의 1대 신바시역은 현재 역 동쪽, 시오도메역 위치에 있었다. 하마마쓰초역부터 도쿄 모노레일이 약 1km 정도 도카이도 본선과 나란히 달린다. 다마치역을 지나면 열차선 상하선이 갈라지고, 사이에 도쿄 종합 차량 센터 다마치 센터를 낀다. 다카나와 게이트웨이역이 개업했다.[108] 요코스카선이 지상에 올라오면, 도카이도 신칸센과 게이힌큐 본선이 연결되는 시나가와역이다.
시나가와역을 출발, 게이힌큐 본선을 지나 요코스카선 전차가 경유하는 도카이도 본선 지선(시나가와 선)이, 야마노테선이나 도카이도 신칸센과 함께 내륙 쪽으로 떨어지고, 본선은 도카이도선과 게이힌도호쿠선의 선로별 복복선이 된다. 게이힌큐 본선이나 국도 15호선(제1 경함)과 함께 가와사키를 향해 남남서로 진행, 게이힌도호쿠선 오이마치역, 오모리역·가마타역을 지난다. 록고가와교량에서 다마가와를 건너 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로 이동, 난부선이 연결되는 가와사키역이다.
요코하마역까지 바다 쪽의 게이힌큐 본선과 나란히 주택가를 진행한다. 난부선 하마가와사키 지선(난부 지선)을 지나면, 도카이도 화물선이 나란히 요코하마시로 향한다. 시나가와선(화물선 쪽)과 도카이도 화물선 요코하마 하자와역 방면은 사이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사가미 철도 직통 전차도 진입한다.[131] 요코스카선·도카이도선·게이힌도호쿠선 3복선으로 진행, 게이힌도호쿠선 신코야스역을 지나면, 요코하마선이 게이힌도호쿠선에 합류, 히가시카나가와역이다. 요코하마역은 6개 회사국이 진입한다.
게이힌큐 본선과 네기시선이 요코하마역에서 바다 쪽으로 커브, 도카이도 본선 오른쪽 옆에는 사이테쓰 본선이 니시요코하마역 부근까지 나란히 달린다. 도카이도선과 요코스카선의 복복선으로 주택가를 진행, 국도 1호선(도카이도)이 나란히 달리고, 요코스카선 호도가야역을 지나 오른쪽으로 커브한다. 다마구릉과 미우라구릉에 끼인 골짜기를 진행, 호도가야 바이패스를 지난 후 양선이 조금 떨어져 터널을 빠져나간다. 도카이도 상행선의 시미즈야토 터널은 현역 최고(最古)이다. 히가시토쓰카역이 있고, 토쓰카역에 이른다. 카시와오가와를 따라 남하, 오후나역이 된다. 요코스카선·네기시선과의 결절점, 쇼난 모노레일 에노시마선도 발착한다.
사가미가와교량
하야카와역 - 네후카와역 간
시라이토가와교량
오후나역(大船駅)부터 서쪽으로 쇼난(湘南) 지역으로 향한다. 오후나역을 지나면 요코스카선(横須賀線)이 바다 쪽으로 떨어져 나가고, 여기서 오다와라역(小田原駅)까지는 여객선과 화물선의 선로별 복복선 구간이 된다. 가마쿠라 차량센터(鎌倉車両センター)를 따라 쇼난화물역(湘南貨物駅) 옛터를 통과한다. 경천(境川)을 건너면 후지사와역(藤沢駅)이다. 오다큐 에노시마선(小田急江ノ島線) 외에도 에노덴(江ノ電)이 연결된다. 츠지도역(辻堂駅)을 지나면, 고후츠역(国府津駅)까지 국도 1호선(동해도)과 평행한다. 카야가사키 운수구(茅ヶ崎運輸区)를 지나면 사가미선(相模線)이 연결되는 카야가사키역(茅ケ崎駅)이다. 신쇼난 바이패스(新湘南バイパス)를 지나면 주변에 논밭이 산재해 있다. 쇼난(湘南)의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사가미가와(相模川)를 건너면, 시가지(市街地)에 들어서 쇼난 지역(湘南地域)의 중앙에 위치한 히라쓰카역(平塚駅)에 이른다.
히라쓰카역에서 오다와라역까지는 1979년에 복복선화가 완료된 구간으로, 건널목이 없다. 히라쓰카시(平塚市)에서 나카군(中郡)에 들어가 화물선에 있는 사가미화물역(相模貨物駅)을 통과한다. 하나미즈가와(花水川)를 건너면, 선로는 오이소구릉(大磯丘陵)과 사가미만(相模湾)에 끼인 저지대로 옮겨가고, 논밭의 비율이 높아진다. 오이소역(大磯駅)과 니노미야역(二宮駅)을 지나면 사가미만에 가까워지고, 국도 1호선과 사이쇼 바이패스(西湘バイパス)가 나란히 달리며 오다와라시(小田原市) 내의 고후츠역(国府津駅)에 이른다. 고텐바선(御殿場線)과 고후츠 차량센터(国府津車両センター)로의 회송선이 분기한다. 아시가라 평야(足柄平野)에 들어가, 화물선 위의 사이쇼화물역(西湘貨物駅)과 여객선의 카모미야역(鴨宮駅)을 지나, 도카이도 신칸센(東海道新幹線)이 나란히 달린다. 사카와가와(酒匂川)를 건너 시가지에 들어서, 국도 255호선(国道255号)과 이즈하코네 철도 다이오산선(伊豆箱根鉄道大雄山線)을 넘으면 오다큐 오다와라선(小田急小田原線)이 나타나고, 5개 회사의 접속역인 오다와라역(小田原駅)에 이른다.
오다와라역에서는 하코네 고개(箱根峠)를 넘는 국도 1호선(동해도)에서 벗어나 사가미만 연안을 남남서쪽으로 향하고, JR 도카이 미시마역(三島駅)까지는 도카이도 신칸센과 거의 평행한다. 오다와라역을 출발하면 오다와라성(小田原城) 서쪽을 지나 터널을 빠져나가, 오다큐 하코네 철도선(小田急箱根鉄道線)(하코네 등산 전차)이 내륙 쪽으로 떨어져 나간다. 사이쇼 바이패스를 지나, 하야카와(早川)를 건너면 하야카와역(早川駅)이다. 국도 135호선(国道135号)과 평행한다. 하코네산의 외륜산이 해안 가까이까지 다가와 곡선과 터널이 많이 존재한다. 네후카와역(根府川駅)을 지나, 시라이토가와교량(白糸川橋梁)을 건넌다. 마나즈루반도(真鶴半島)의 마나즈루역(真鶴駅)을 지나, 유가와라 온천(湯河原温泉)의 유가와라역(湯河原駅)이다. 센세이가와(千歳川)를 건너면 가나가와현에서 시즈오카현(静岡県)으로 옮겨가, 이즈미고시 터널(泉
5. 2. 도카이 여객철도 관할
JR 동일본과 JR 도카이의 운영 구역은 아타미역에서 나뉜다. 아타미 역과 마이바라역 사이 구간은 JR 도카이(주부 지방인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기후현을 지난다.)가 관할한다. JR 동일본 구간인 오다와라역에서 출발하는 일부 열차는 누마즈역까지 이 구간을 운행한다.[137]
아타미역에서 하마마쓰역 구간, 하마마쓰역에서 마이바라역 구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도카이도선 (시즈오카 지구)#역 목록, 도카이도선 (나고야 지구)#역 목록 문서를 참조하라.
마이바라역은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으로 관리하며, JR 서일본이 역을 관리하고 있다. 2016년 3월 이전에는 JR 서일본이 JR 도카이 관할 구역인 오가키역까지 열차를 운행했다. 두 회사가 이러한 운행 침범을 인지한 후, 2016년 3월 25일부터 모든 JR 서일본 출발 열차는 마이바라 역까지 JR 도카이 열차로 변경되었다.[137]
아타미역을 출발하면 이토선 라이큐역이 있다. 바로 옆에 병행하는 도카이도 본선에는 승강장은 없지만, 아타미역에서 회차하는 차량의 유치선이 있다. 바로 그 서쪽부터 도카이도 본선 최장[155]의 단나 터널에 진입하며, 라이큐역 상행 장내 신호기 지점부터 선로 관할이 JR 동일본에서 JR 도카이로 이관된다. 총연장 7804m의 단나 터널을 지나 이즈반도 기슭의 단나 산지 아래를 통과하면 산간 지역에 있는 칸나미역에 도착한다. 칸나미역부터는 터널을 빠져나오면서 경사를 내려가 산지를 빠져나가면 신칸센 접속역인 미시마역에 도착한다. 이즈의 서쪽 관문이기도 하며, 이즈하코네 철도 슨주선이 분기하고 있다.
미시마역에서 후지역까지는 후지산과 아이타카산 남쪽 평지를 서쪽으로 향하며, 시즈오카역까지는 국도 1호선이나 도메이 고속도로와 가까운 노선을 통과한다. 도카이도 신칸센이 내륙 쪽으로 벗어나 키세가와를 건너기 직전에 내륙 쪽에서 고텐바선이 가까워진다. 고텐바선이 도카이도 본선으로 사용되었던 시대에는 현재의 시모쓰가리역이 미시마역이었다. 고텐바선이 합류하면 누마즈역이다. 옛날에는 누마즈코역으로 통하는 화물 지선이 분기했었고, 기관차 기지인 누마즈 기관구가 병설되어 있었다. 누마즈 시내 카타하마역 직전부터는 옛 도카이도를 사이에 두고 센본마쓰바라가 스루가만을 따라 요시와라역 부근까지 이어진다. 하라 역을 지나 히가시타고노우라역부터는 제지 공업 도시인 후지시에 진입하여 공장 및 창고 군을 통과한다. 타고노우라코 근처에 있는 요시와라역에서는 가쿠난 전차 가쿠난선이 접속한다. 다음 후지역에서는 미노부선이 접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근 제지 공장으로 향하는 전용 철도가 분기하고 있다. 또한 도카이도 신칸센의 신후지역은 후지역에서 직선거리로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후지역을 출발하면 미노부선과 분기한 후 후지가와를 건넌다. 그 후 산지를 피해 왼쪽으로 커브하여 남쪽으로 향하고, 후지카와역을 지나 도카이도 신칸센을 통과한다. 다시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다음 신칸바라역부터는 시즈오카시내 역이 된다. 칸바라역을 지나면 오키츠역 직전까지 산지가 스루가만 연안까지 밀려들어오며, 도카이도 본선과 국도 1호선, 도메이 고속도로가 스루가만을 따라 집중하여 남서쪽으로 향한다. 그 중간에 있는 유이역 부근은 유이 어항에서 어획되는 사쿠라에비와 시라스를 특산물로 하는 관광지가 되어 있다.[156]. 삿타 고개 부근에서 도메이 고속도로가 내륙 쪽으로 벗어나 해안가를 따라 진행하면 국도 52호선을 지나 오키츠역에 도착하고, 시미즈코 부근의 창고 및 공장 군을 통과하지만, 그 중간에는 임시역이었던 소데시역 터가 있다. 시미즈코 근처에 있는 시미즈 역은 경승지인 미호노마쓰바라의 최근역이며, 옛날에는 국철 시미즈코선이 분기하고 있었다.
시미즈역부터는 스루가만 연안에서 벗어나 시즈오카 평야를 남서쪽으로 진행한다. 시미즈역을 출발하면 왼쪽 옆에 시즈오카 철도 시즈오카 시미즈선이 2km 정도 병행한다. 이 구간에서는 1950년(쇼와 25년) 사고로 불통이 되었던 도카이도 본선 열차가 시즈테쓰선을 주행했던 적이 있다.[157]. 시즈테쓰선과 분기되면 도카이도 신칸센이 모치무네역까지 병행한다. 유도구릉(니혼다이라) 북쪽에 위치하는 쿠사나기 역은 쿠사나기 신사의 최근역이다. 도메이 고속도로를 통과한 후, 상하선 사이에 시즈오카 화물역을 사이에 두고, 그 구내 위를 시즈테쓰선이 가로지른다. 시즈오카 화물역 구내가 끝나면 화물 조차장 터의 재개발 상업 지역에 설치된 히가시시즈오카역이다. 주변에는 시즈오카현 컨벤션 아츠센터(그랜십)가 있으며 고층 주택 등의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고가로 올라가면 시즈오카 차량구에서의 회송선이 합류하고, 시즈오카 시의 중심역이자 신칸센 접속역이기도 한 시즈오카역이다. 역 북쪽 번화가 안에 시즈테쓰 신시즈오카역, 더 북쪽에는 시즈오카현청을 비롯한 관공서가 있다.
시즈오카역을 출발하면 아베가와를 건넌다. 이후, 옛 도카이도와 국도 1호선은 산악 지대를 돌아 우츠노야토게를 넘지만, 도카이도 본선은 고개를 피해 해안가를 따라 간다. 시즈오카 시내의 아베카와역을 지나 다시 스루가만에 접근하고, 모치무네역을 지나면 이시베 터널에 들어선다. 이 구간의 해안선은 깎아지른 절벽이 계속되는 오보레 해안이며, 예전에는 도카이도 본선이 터널 사이에서 이 해안가로 나와 있었고, 그 후에는 현재 도카이도 신칸센이 사용하는 니혼자카 터널 경유였던 시기도 있었다.[78][154]. 이 부근에서는 도카이도 신칸센 외에 도메이 고속도로와 국도 150호선도 병행한다. 터널을 빠져나와 야이즈역부터는 해안가를 벗어나 시즈오카현 중서부의 시다이 평야를 남서쪽으로 진행한다. 니시야이즈역을 지나면 도카이도 신칸센이나 도메이 고속도로에서 멀어지고, 예전 시즈오카 철도 스루토 선과의 접속역이었던 후지에다역, 그리고 시마다시에 들어가 오이가와에 가까워지면서 로쿠고역·시마다역에 이른다.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전인 1960년(쇼와 35년), 후지에다역~시마다역 구간에는 고속 시험용 선로가 설치되어, 이 선로에서 175km/h의 협궤 최고 속도 기록이 탄생했다.[158].
시마다역을 지나면 오이가와를 건넌다. 건너면 키쿠가와역까지는 마키노하라 대지의 산악 구간이 되고, 연선에는 차밭이 많아진다. 오이가와 철도 오이가와 본선이 접속하는 카나야역부터는 도카이도 3대 난소 중 하나로 여겨졌던 「요나카노나카야마」를 피해 마키노하라 터널로 향한다.[154]. 이 터널의 하행선 부분은 1974년(쇼와 49년)에 신선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출구 부근에서는 상하선 간격이 멀어져 있다.[78]. 크게 크랭크형으로 굽이치며 진행하면 키쿠가와역, 그리고 도카이도 신칸센과 병행하여 산간부를 빠져나가면 카케가와역. 여기서는 도카이도 신칸센과, 당초 도카이도 본선의 우회로로 만들어진 덴류하마나코 철도 덴류하마나코선(구・국철 후타마츠 선)이 접속한다. 역 남쪽에는 오가사야마, 북쪽에는 카케가와성이 우뚝 솟아 있다.
카케가와역에서 하마마쓰역까지는 시즈오카현 서부의 공업 지대를 서쪽으로 진행하지만, 공장 지대 사이에는 농촌 지대도 펼쳐진다. 도카이도 신칸센과 병행하여 도메이 고속도로를 지나 시즈오카현 오가사야마 종합운동공원 스타디움(에코파)의 최근역인 아이노역을 지나 시즈오카 철도 스루토 선과의 서쪽 접속역이었던 후쿠로이역에 이른다. 하라노타니가와·오타가와를 건너 미쿠리야역을 출발하면, 이 부근부터 엔슈 평야에 나와 이와타역·토요다초역에 이른다. 도카이도 본선 최장인 덴류가와 교량(총길이 1209m)으로 덴류가와를 건너면 하마마쓰시에 들어서고, 국도 1호선을 지나 덴류가와역, 그리고 고가로 올라 하마마쓰역에 이른다. 신칸센 정차역이면서, 인접한 신하마마쓰역에서는 엔슈 철도철도선이 발착한다. 역 부근에는 시즈오카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액트시티 하마마츠가 우뚝 솟아 있다.
하마마쓰역을 출발하면 왼쪽에 화물 전용인 니시하마마츠역, 오른쪽에 JR 도카이 하마마츠 공장의 선로가 펼쳐진다. 스즈키의 본사가 부근에 있는 타카츠카역을 지나, 마이사카역을 지나면 도카이도 신칸센과 국도 1호선과 병행하여 엔슈나다에 가까운 하마나호 남단부를 건넌다. 이 중간의 섬에는 벤텐지마역이 있다. 하마나 호를 건너면 호숫가 근처를 따라 진행하고, 하마나 호 보트 레이스장이 인접한 아라이마치역을 지나, 그 후 도카이도 신칸센과 국도 1호선에서 멀어지면 코사이시청사 최근역인 와시즈역으로 향한다. 그리고 호숫가에서도 멀어져 덴류하마나코 철도 덴류하마나코 선의 종점인 신죠하라역. 동역에 걸쳐 있는 작은 개울을 경계로 아이치현에 들어선다. 도카이도 신칸센이 다시 병행하여 후타가와역을 지나면 토요하시 평야에 들어서고, 국도 259호선과 토요하시 철도 아쓰미선을 지나 토요하시역에 이른다.
마이바라역은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으로 관리하며, JR 서일본이 역을 관리하고 있다.[137]
2016년 3월 이전에는 JR 서일본이 JR 도카이 관할 구역인 오가키역까지 열차를 운행했다. 두 회사가 이러한 운행 침범을 인지한 후, 2016년 3월 25일부터 모든 JR 서일본 출발 열차는 마이바라역까지 JR 도카이 열차로 변경되었다.
313계 5000번대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 마이바라)
373계 (아타미 - 시즈오카, 하마마쓰 - 도요하시, 오가키 - 마이바라)
마이바라역에서 고베역까지의 도카이도 본선 서쪽 구간은 JR 서일본(서일본 여객철도)이 운영하며, 게이한신(교토, 오사카, 고베) 대도시권 내 회사의 도시철도망의 주요 간선을 형성한다. 이 노선은 비와코선, JR 교토선, JR 고베선으로 알려진 세 구간으로 나뉘어 있지만, 하나의 연속적인 네트워크의 일부이며 많은 열차가 여러 구간을 운행한다. 비와코선에는 호쿠리쿠 본선의 일부 구간이 포함되어 있다. 고세이선, JR 다카라즈카선(후쿠치야마선), 가쿠엔토시선(가타마치선)의 일부 열차는 도카이도 본선으로 직결 운행한다.
JR 서일본 223-2000계 전동차
221계 (마이바라 ~ 고베)
223계 (마이바라 ~ 고베)
225계 (마이바라 ~ 고베)
참조
[1]
논문
The Japanese Shinkansen
Imperial College, London
[2]
서적
日本国有鉄道百年史
https://dl.ndl.go.jp[...] [3]
웹사이트
車両ステーション1F|フロアマップ 1F 車両ステーション周辺|鉄道博物館 - THE RAILWAY MUSEUM -
https://www.railway-[...]
2024-11-22
[4]
웹사이트
第3回 丹那トンネル|鹿島の軌跡|鹿島建設株式会社
https://www.kajima.c[...]
2024-11-22
[5]
웹사이트
6月19日 丹那トンネルが貫通(1933年)(ブルーバックス編集部)
https://gendai.media[...]
2024-11-22
[6]
웹사이트
鉄道人物伝
https://bunken.rtri.[...]
2024-11-22
[7]
웹사이트
最強蒸気機関車のはずだったデゴイチ弟の不遇 「戦時量産型」D52 戦後はヒーローへ“転生”
https://trafficnews.[...]
2024-11-22
[8]
서적
連合軍専用列車の時代: 占領下の鉄道史探索
潮書房光人新社
2000-05-01
[9]
웹사이트
C62 17
https://rail.hobidas[...]
2024-11-22
[10]
웹사이트
<あのころ>東海道線全線が電化 特急「つばめ」も新装
https://www.47news.j[...]
2024-11-22
[11]
웹사이트
BSフジ 鉄道伝説、「鉄道の変革者・篠原武司〜全国新幹線網を構想した男〜」6月24日 レイルラボ ニュース
https://raillab.jp/n[...]
2024-11-22
[12]
웹사이트
【復刻掲載】「"リアル鉄"・石破茂とゆく寝台特急の旅!」2009年の週プレ独占インタビューを再掲載!(週プレNEWS)
https://news.yahoo.c[...]
2024-11-22
[13]
웹사이트
ブルートレインに乗られた上皇陛下 最初に夜行を利用されたのは… - 2ページ目 (2ページ中)
https://otonano-shum[...]
2024-11-22
[14]
웹사이트
首都圏エリアへ 「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s://www.jreast.c[...]
2023-01-07
[15]
웹사이트
JA・JK・JT・AKB…JR東日本、首都圏で駅ナンバリングなど導入へ
https://response.jp/[...]
2023-01-07
[16]
뉴스
Services resume after 1,500 trapped in train near Tokyo
https://english.kyod[...]
2023-08-06
[17]
웹사이트
March 2021 Timetable Revision
https://www.jreast.c[...]
2020-12-18
[18]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http://www.jreast.co[...]
2009-05-13
[19]
웹사이트
東海道線 村岡新駅設置で合意 JR東と県、藤沢、鎌倉市
https://www.kanaloco[...]
2021-02-08
[20]
웹사이트
快速「アクティー」最後の2列車が消滅へ 34年の歴史に幕 JR東海道線
https://trafficnews.[...]
2022-12-22
[21]
웹사이트
Jr京都線、摂津富田~茨木駅間新駅の駅名が「Jr総持寺駅」に決定:Jr西日本
http://www.westjr.co[...] [22]
웹사이트
http://news.mynavi.j[...]
Mynavi Corporation
2015-03-30
[23]
문서
駅案内等で直通先の路線名をそのまま使用する路線
[24]
문서
同線以外の運行区間
[25]
문서
狭義においては東北本線東京駅 - 上野駅間の路線系統名
[26]
문서
品川駅は正式上の経由駅
[27]
문서
宇都宮直通列車は大船駅まで
[28]
서적
103系物語 戦後日本の高度成長を支えた通勤型電車
JTBパブリッシング
2012-07-01
[29]
서적
103系メモリアル
交通新聞社
2014-01-08
[30]
서적
昭和60年代の国鉄通勤電車
双葉社
2017-01-28
[31]
문서
実際の運行区間
[32]
문서
下記の支線
[33]
문서
当該区間は貨物列車専用線路
[34]
논문
東海道沿線の駅構内の今昔-名古屋 - 神戸- 主な貨物線の移り変わり(2)稲沢線
電気車研究会
2013-03-01
[35]
문서
当時の新橋駅
[36]
문서
[37]
문서
[38]
웹사이트
鉄道主要年表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3-27
[39]
웹사이트
明治22年(1889)7月 東海道線が全線開通する
https://www.archives[...]
国立公文書館
2024-03-27
[40]
문서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디지털자료
鉄道院告示第五十四号『法令全書 明治42年』第122冊
NDLDC|788068/158
内閣官報局
明治20 - 45年
[53]
디지털자료
『官報 1909年10月12日』
NDLDC|2951241/3
大蔵省印刷局
明治42年
[54]
서적
中世の東海道をゆく
中公新書
2008-04
[55]
간행물
『官報』
1986-12-20
[56]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57]
서적
新幹線
カラーブックス
[58]
간행물
国鉄監修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
1982-10
[59]
간행물
時刻表
日本国有鉄道
1982-10
[60]
간행물
国鉄監修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
1982-11
[61]
간행물
時刻表
日本国有鉄道
1982-11
[62]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66]
서적
鉄道忌避伝説の謎
吉川弘文館
2006
[67]
신문
四月十六日より實施の大急行車 停車は十四驛
1906-04-07
[68]
서적
昭和ニュース辞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69]
문서
[70]
문서
[71]
보도자료
2009年3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8-12-16
[72]
보도자료
春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1-01-22
[73]
뉴스
「ムーンライトながら」廃止決定 昨春の運行がラストランに
https://www.traicy.c[...]
2021-01-22
[74]
문서
현·시가현의 국도365호 “오오노기” 교차로 부근
[75]
서적
明治27年度鉄道局年報
逓信省鉄道局
1895
[76]
서적
明治35年度鉄道局年報
逓信省鉄道局
1903
[77]
학술지
이사라시 신호소
철도 저널사
1996-04
[78]
문서
동해도 본선 선로 개량의 기록
전기차 연구회
2004
[79]
뉴스
수원지가 붕괴, 한신 연선에 탁류
도쿄 아사히 신문
1938-07-06
[80]
뉴스
국철 일등차, 침대차는 전폐
아사히 신문
1944-03-25
[81]
문서
기념 스탬프
관보
1949-02-04
[82]
문서
기념 스탬프
관보
1949-05-31
[83]
서적
킨키 지방의 일본국유철도-오사카·덴노지·후쿠치야마 철도국사
오사카·덴노지·후쿠치야마 철도국사 편집 위원회
2004
[84]
서적
킨키 지방의 일본국유철도-오사카·덴노지·후쿠치야마 철도국사
오사카·덴노지·후쿠치야마 철도국사 편집 위원회
2004
[85]
서적
킨키 지방의 일본국유철도-오사카·덴노지·후쿠치야마 철도국사
오사카·덴노지·후쿠치야마 철도국사 편집 위원회
2004
[86]
웹사이트
철도 건설의 역사 동해도 본선(복복선화)
https://www.nikkenre[...] [87]
뉴스
6일 만에 동해도 본선 개통 조심스럽게 서행 운전
아사히 신문
1974-07-13
[88]
뉴스
일본국유철도 공시 제166호
1982-11-13
[89]
뉴스
일본국유철도 공시 제167호
1982-11-13
[90]
뉴스
일본국유철도 공시 제164호
1982-11-13
[91]
뉴스
JR화물 이나자와-나고야 화물역간이 전화 동해도선 스피드업
교통 신문사
1998-04-03
[92]
웹사이트
환경·사회 보고서
http://www.jrfreight[...] [93]
서적
헤이세이 26년도 철도 요람
전기차 연구회
[94]
보도자료
스이타 화물 터미널역 개업 및 백제 화물 터미널역 리뉴얼 개업에 대해
http://www.jrfreight[...]
일본 화물 철도
2013-03-13
[95]
서적
헤이세이 26년도 철도 요람
전기차 연구회
[96]
웹사이트
태풍 제18호에 의한 폭우 등에 의한 피해 상황 등에 대해(제4보)
https://www.mlit.go.[...] [97]
웹사이트
동해도 본선 후지~유이간의 운전 재개…버스 대행은 가마하라~고우즈간에서 실시 예정
http://response.jp/a[...]
2014-10-10
[98]
웹사이트
동해도 본선 피해에 수반하는 향후 운전 계획에 대해
https://jr-central.c[...]
2014-10-10
[99]
웹사이트
동해도 본선 유이역~고우즈역간의 운전 재개에 대해
https://jr-central.c[...]
2014-10-14
[100]
보도자료
2015년 3월 다이야 개정에 대해
http://www.jreast.co[...]
동일본 여객 철도
2014-12-19
[101]
웹사이트
사가노선 교토~탄바구치역간 신역 설치에 관한 사업 기본 계획의 변경 인가 신청 및 동해도선(우메코지~탄바구치간)의 폐지 신고서 제출에 대해
http://www.westjr.co[...]
서일본 여객 철도
2015-02-27
[102]
서적
헤이세이 29년도 철도 요람
전기차 연구회
[103]
보도자료
2018년 3월 17일에 다이야 개정을 실시합니다
https://www.westjr.c[...]
서일본 여객 철도
2017-12-15
[104]
웹사이트
동해도 본선(JR교토선) 셋쓰토미다·이바라키간 신역 설치 등에 대해
https://web.archive.[...]
서일본 여객 철도
2011-07-29
[105]
뉴스
이바라키시의 동해도선 신역명은 「JR소우지」 헤이세이 30년 봄 개업 예정 JR서
https://www.sankei.c[...]
2017-08-08
[106]
書籍
令和元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
[107]
プレスリリース
相鉄・JR直通線の開業日決定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9-03-28
[108]
プレスリリース
2020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9-12-13
[109]
ニュース
「高輪ゲートウェイ駅」 来年3月14日に開業
https://news.tv-asah[...]
テレビ朝日
2019-12-14
[110]
プレスリリース
2020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のぞみ12本ダイヤ」をスタートします!〜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9-12-13
[111]
ウェブサイト
高輪ゲートウェイ駅・御厨駅など新駅開業、北海道では2駅が廃止に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19-12-15
[112]
ウェブサイト
JR東海道本線に新駅を設置
https://www.city.iwa[...]
磐田市
2019-12-13
[113]
ウェブサイト
報道発表資料 JR東海道線支線の地下化切換工事に伴う府道41号なにわ筋(JR大阪環状線福島駅付近)の車両通行止めについて
https://www.city.osa[...]
大阪市
2022-12-09
[114]
ウェブサイト
「うめきた」新駅の名称は「大阪駅」に決定 地下通路で結ばれ同一駅扱いに JR西日本
https://trafficnews.[...]
メディア・ヴァーグ
2020-03-25
[115]
ニュース
垂れ下がった架線に接触か 東海道線事故、熱中症疑いで計9人搬送
https://www.asahi.co[...]
2023-08-06
[116]
プレスリリース
日本貨物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東海道線 山王信号場~名古屋港駅間の廃止について
https://www.jrfreigh[...]
日本貨物鉄道
2023-09-19
[117]
ウェブサイト
関東運輸局令和3年度実績 鉄道一覧
https://wwwtb.mlit.g[...] [118]
プレスリリース
東日本旅客鉄道 プレスリリース「羽田空港アクセス線(仮称)の本格的な工事に着手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19]
ニュース
東海道線 村岡新駅設置で合意 JR東と県、藤沢、鎌倉市
https://www.kanaloco[...]
2021-02-08
[120]
ニュース
JR東海道線の大船―藤沢駅間に新駅設置へ…2032年頃の開業目指す
https://www.yomiuri.[...]
2021-02-08
[121]
書籍
JR時刻表
交通新聞社
2021-03
[122]
文書
東海道本線内は一部を除き全区間横須賀線の経路を走行する。
[123]
文書
新大阪駅 - 福島駅間は梅田貨物線を走行する。
[124]
文書
距離はいずれも営業キロ。
[125]
書籍
東海道線を通りすぎた列車たち
電気車研究会
1984
[126]
文書
ただし、前者は一部の列車が熱海駅から伊東線に乗り入れて伊東駅まで、後者は新快速を中心に、米原駅から北陸本線に乗り入れ、最遠で敦賀駅まで運行。
[127]
雑誌
東海道本線(湘南電車)・横須賀線 車両のあゆみ
交通新聞社
2010-05
[128]
プレスリリース
2001年12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III. 首都圏輸送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1-09-21
[129]
ウェブサイト
JR東日本:東京近郊路線図(車内掲出版)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20-05-08
[130]
雑誌
特集:東京近郊JR路線別ガイド ⑪埼京・川越・相鉄直通線
交友社
2021-03-01
[131]
プレスリリース
2019年11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9-09-06
[132]
書籍
JR各社の快速運転状況 JR東日本 東京圏
電気車研究会
2003
[133]
書籍
大都市圏での快速運転の発達 -国鉄時代を中心に-
電気車研究会
2003
[134]
書籍
JR各社の快速運転状況 JR東海 名古屋圏
電気車研究会
2003
[135]
プレスリリース
平成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1-12-16
[136]
文書
急行電車とは現在の快速列車に相当するもので、特別料金が必要な急行列車とは異なる。
[137]
プレスリリース
平成28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15-12-18
[138]
雑誌
日本を支えた動脈東海道線100年の歩み
鉄道ジャーナル社
1989-05
[139]
雑誌
鉄道ダイヤ情報
交通新聞社
[140]
雑誌
貨物時刻表 平成26年3月ダイヤ改正
鉄道貨物協会
2014
[141]
서적
国鉄監修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
1986-03
[142]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86-10
[143]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2006-03
[144]
문서
名古屋地区用の車両の運用の方が多い。
[145]
간행물
湖東線紀行 ―歴史と情景―
電気車研究会
2013
[146]
간행물
在りし日の東海道本線点景2 名古屋―神戸
電気車研究会
2013
[147]
웹사이트
JR東海の117系が定期運用から離脱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3-03-17
[148]
웹사이트
『ありがとう211系電車で行く“急行 伊豆”の旅』開催 - 鉄道ファン railf.jp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2-05-18
[149]
웹사이트
JR東日本、東海道線E217系の営業運転終了 - 「湘南色」の帯で活躍した車両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15-03-20
[150]
간행물
JR貨物機関車運用区間一覧(2012年3月17日改正現在)
創元社
[151]
웹사이트
Google マップ
https://www.google.c[...]
2011
[151]
간행물
特集 東海道本線 東京〜名古屋366.0km
交友社
2007-12
[151]
간행물
特集 東海道本線 名古屋〜神戸223.5km
交友社
2008-01
[152]
뉴스
創建当初の威容再び 赤れんが駅舎、全面開業 JR東京駅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2-10-01
[153]
웹사이트
東京駅が、街になる。Tokyo Station City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1-11-05
[154]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2013-02
[155]
문서
貨物線および横須賀・総武快速線の東京トンネルを除く。
[156]
웹사이트
桜えびの町由比
http://www.jf-net.ne[...]
由比港漁業協同組合
2011-11-05
[157]
문서
詳細は「[[桜橋駅 (静岡県)]]」参照
[158]
서적
新版まるごとJR東海ぶらり沿線の旅
七賢出版
1998
[159]
간행물
朝日新聞出版
2009
[160]
간행물
滋賀と京都をめぐる東海道線の歴史を訪ねて
電気車研究会
2013
[161]
간행물
東海道線 鉄道唱歌と絵葉書の旅
電気車研究会
2004
[162]
서적
関西鉄道考古学探見
JTBパブリッシング
2007
[163]
간행물
朝日新聞出版
2009
[164]
뉴스
京都のデルタ線、2016年に一部廃止へ 「梅小路新駅」などが理由
http://trafficnews.j[...]
2015-02-27
[165]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16
[166]
웹사이트
会社要覧 2019-2020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67]
간행물
変貌間近!? 東海道貨物線のあゆみ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8-05-01
[168]
간행물
朝ラッシュの「エアボート成田」でたどる 横須賀線-総武線
鉄道ジャーナル社
2015-01-01
[169]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16
[170]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20
[171]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16
[172]
간행물
変貌間近!? 東海道貨物線のあゆみ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8-05-01
[173]
문서
駅業務については、米原駅 - 吹田駅間各駅(米原駅・京都駅は在来線部分のみ)を[[西日本旅客鉄道京滋支社|京滋支社]]、東淀川駅 - 尼崎駅間各駅(新大阪駅は在来線部分のみ)を[[西日本旅客鉄道阪奈支社|阪奈支社]]、立花駅 - 神戸駅間各駅を[[西日本旅客鉄道兵庫支社|兵庫支社]]が、それぞれ受け持つ。
[174]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
[175]
문서
神戸駅以西の[[山陽本線]]も含めると、[[新長田駅]]東側まで方向別複々線が続き、同駅付近から[[西明石駅]]まで[[複々線#線路別複々線|線路別複々線]]となっている。
[176]
문서
[177]
간행물
サステナビリティレポート2018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8-09-00
[178]
문서
[179]
웹사이트
Suica>利用可能エリア>首都圏エリア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2-06-16
[180]
뉴스
「SuicaとTOICA」など、JR3社がエリアをまたぐICカード定期券。3月から
https://www.watch.im[...]
インプレス
2021-01-19
[181]
웹사이트
鉄道ご利用エリア|TOICA
http://toica.jr-cent[...]
東海旅客鉄道
2019-03-05
[182]
웹사이트
ご利用可能エリア|ICOCA:JRおでかけネット
http://www.jr-odekak[...]
西日本旅客鉄道
2018-10-09
[183]
문서
[184]
서적
鉄道停車場一覧 大正6年3月31日現在
{{NDLDC|3461950/39}} [185]
서적
名古屋鉄道局年報 昭和10年度
{{NDLDC|1073834/137}[...] [186]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1~2015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187]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188]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189]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4: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3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90]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191]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5: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4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92]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193]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6: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5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94]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6~2020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2
[195]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196]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7: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6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97]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198]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8: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7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99]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200]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9: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8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201]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202]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0: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9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203]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204]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1: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0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205]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8~202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206]
웹사이트
(24)JR旅客会社運輸成績表(延日キロ、人キロ、平均数)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7-13
[207]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2: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1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208]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3: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2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209]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9~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9
[210]
보도자료
2023年度区間別平均通過人員(輸送密度)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