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산동 (대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산동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속한 지역이다. 일제강점기 경산군 서면의 여러 동이 고산면으로 통합된 후, 1981년 대구직할시 수성구에 편입되어 고산출장소가 설치되었다. 현재는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질학적으로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는 곳이며, 대구스타디움, 대구시립미술관,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등의 문화 시설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수성 나들목 등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의 행정 구역 - 범어동 (대구)
    범어동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범어천주교회가 있는 산의 지형에서 유래된 동명을 가지며, 대구경동초등학교, 수성구청, 법원, 검찰청 등 다양한 기관과 수성구청역, 범어역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 대구 수성구의 행정 구역 - 수성동 (대구)
    수성동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하며 과거 달성군에서 편입되어 현재 4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역세권과 수성시장, 수성로를 중심으로 상업 및 주거 시설과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고산동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고산1동
한자 표기孤山1洞
영문 표기Gosan 1(il)-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수성구
면적8.79
세대11,058
세대 조사2012.12.31.
인구29,897
인구 조사2023년 3월
39
302
법정동신매동, 욱수동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260-2 (신매동)
홈페이지고산1동 행정복지센터
기본 정보
이름고산2동
한자 표기孤山2洞
영문 표기Gosan 2(i)-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수성구
면적24.39
세대9,761
세대 조사2012.12.31.
인구30,057
인구 조사2022년 3월
38
257
법정동시지동, 노변동, 삼덕동, 연호동, 이천동, 고모동, 가천동, 대흥동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091 (시지동)
홈페이지고산2동 행정복지센터
기본 정보
이름고산3동
한자 표기孤山3洞
영문 표기Gosan 3(sam)-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수성구
면적5.01
세대11,327
th: 세대 조사2012.12.31.
인구32,701
인구 조사2022년 3월
39
277
법정동매호동, 성동, 사월동, 신매동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로 152 (매호동)
홈페이지고산3동 행정복지센터

2. 연혁

1914년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경산군 서면 가천동(佳川洞)은 고산면 가천동이 되었다.[1] 경산군 서면 고모동(顧母洞), 팔현동(八峴洞)은 고산면 고모동이, 경산군 서면 내곶동(內串洞)은 고산면 내환동이, 경산군 서면 노변동(蘆邊洞)은 고산면 노변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서호동, 우매동(牛梅洞)은 고산면 매호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사월동(沙月洞)은 고산면 사월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외곶동(外串洞), 덕천동(德川洞), 대덕동(大德洞)은 고산면 삼덕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성동(城洞)은 고산면 성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시지동(時至洞), 송정동(松亭洞)은 고산면 시지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내매동(內梅洞), 신기동(新基洞)은 고산면 신매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연호동(蓮湖洞), 상련동은 고산면 연호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욱수동(旭水洞), 봉암동(鳳岩洞)은 고산면 욱수동이 되었으며, 경산군 서면 이천동(梨川洞)은 고산면 이천동이 되었다.[1]

1980년 4월 1일 수성구가 신설되었고[2], 1981년 7월 1일 경산군 고산면 일원이 '''대구직할시 수성구'''에 편입되면서[2] 고산출장소를 설치하였다.[3] 1982년 9월 1일 고산출장소의 일부에 행정동 고산1동을 설치하였고,[4] 1983년 3월 15일 고산출장소를 폐지하고[5] 고산출장소 관할 지역에 행정동 고산2동을 설치하였다.[6] 1996년 1월 1일 고산1동에서 고산3동을 분리하였고,[7] 2002년 1월 1일 내환동을 대흥동으로 개칭하였다.[8]

2. 1. 행정 구역 변천

1914년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경산군 서면 가천동(佳川洞)은 고산면 가천동이 되었다.[1] 경산군 서면 고모동(顧母洞), 팔현동(八峴洞)은 고산면 고모동이, 경산군 서면 내곶동(內串洞)은 고산면 내환동이, 경산군 서면 노변동(蘆邊洞)은 고산면 노변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서호동, 우매동(牛梅洞)은 고산면 매호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사월동(沙月洞)은 고산면 사월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외곶동(外串洞), 덕천동(德川洞), 대덕동(大德洞)은 고산면 삼덕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성동(城洞)은 고산면 성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시지동(時至洞), 송정동(松亭洞)은 고산면 시지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내매동(內梅洞), 신기동(新基洞)은 고산면 신매동이 되었다. 경산군 서면 연호동(蓮湖洞), 상련동은 고산면 연호동이 되었고, 경산군 서면 욱수동(旭水洞), 봉암동(鳳岩洞)은 고산면 욱수동이 되었으며, 경산군 서면 이천동(梨川洞)은 고산면 이천동이 되었다.[1]

1980년 4월 1일 수성구가 신설되었고[2], 1981년 7월 1일 경산군 고산면 일원이 '''대구직할시 수성구'''에 편입되면서[2] 고산출장소를 설치하였다.[3] 1982년 9월 1일 고산출장소의 일부에 행정동 고산1동을 설치하였고,[4] 1983년 3월 15일 고산출장소를 폐지하고[5] 고산출장소 관할 지역에 행정동 고산2동을 설치하였다.[6] 1996년 1월 1일 고산1동에서 고산3동을 분리하였고,[7] 2002년 1월 1일 내환동을 대흥동으로 개칭하였다.[8]

2. 2. 1914년 행정구역과 현재 행정구역 비교

1914년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경산군 서면의 여러 동이 고산면으로 통합되었다.[1] 1981년 7월 1일 경산군 고산면 일원이 대구직할시 수성구에 편입되면서[2] 고산출장소가 설치되었다.[3]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경산군 서면 가천동(佳川洞)고산면 가천동
경산군 서면 고모동(顧母洞), 팔현동(八峴洞)고산면 고모동
경산군 서면 내곶동(內串洞)고산면 내환동
경산군 서면 노변동(蘆邊洞)고산면 노변동
경산군 서면 서호동, 우매동(牛梅洞)고산면 매호동
경산군 서면 사월동(沙月洞)고산면 사월동
경산군 서면 외곶동(外串洞), 덕천동(德川洞), 대덕동(大德洞)고산면 삼덕동
경산군 서면 성동(城洞)고산면 성동
경산군 서면 시지동(時至洞), 송정동(松亭洞)고산면 시지동
경산군 서면 내매동(內梅洞), 신기동(新基洞)고산면 신매동
경산군 서면 연호동(蓮湖洞), 상련동고산면 연호동
경산군 서면 욱수동(旭水洞), 봉암동(鳳岩洞)고산면 욱수동
경산군 서면 이천동(梨川洞)고산면 이천동



이후 1982년 9월 1일 고산출장소 일부에 행정동 고산1동이 설치되었고,[4] 1983년 3월 15일 고산출장소가 폐지되면서[5] 고산2동이 설치되었다.[6] 1996년 1월 1일 고산1동에서 고산3동이 분리되었으며,[7] 2002년 1월 1일 내환동을 대흥동으로 개칭하였다.[8]

3. 지질 및 자연환경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의 공룡 발자국 화석고산동을 지나는 하천인 욱수천에 존재한다. 생성 연대는 약 1억 년 전 백악기이다.

화석 산지의 안내 표지판


화석이 보존된 암석

3. 1. 욱수천 공룡 발자국 화석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의 공룡 발자국 화석고산동을 지나는 하천인 욱수천에 존재한다. 생성 연대는 약 1억 년 전 백악기이다.

4. 교육 기관

대구고산초등학교, 대구노변초등학교, 대구매동초등학교, 대구매호초등학교, 대구사월초등학교, 대구시지초등학교, 대구신매초등학교, 대구욱수초등학교, 대구청림초등학교가 있다. 고산중학교, 노변중학교, 시지중학교, 매호중학교, 덕원중학교가 있다.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가 있다. 시지고등학교덕원고등학교고산동에 위치해 있다. 수성구립고산도서관2014년 10월 14일에 개관하였다. 고산 작은도서관도 있다.

4. 1. 초등학교

대구고산초등학교, 대구노변초등학교, 대구매동초등학교, 대구매호초등학교, 대구사월초등학교, 대구시지초등학교, 대구신매초등학교, 대구욱수초등학교, 대구청림초등학교가 있다.

4. 2. 중학교

고산중학교, 노변중학교, 시지중학교, 매호중학교, 덕원중학교가 있다.

4. 3. 고등학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가 있다. 시지고등학교덕원고등학교고산동에 위치해 있다.

4. 4. 도서관

수성구립고산도서관2014년 10월 14일에 개관하였다. 고산 작은도서관도 있다.

5. 문화 및 편의 시설

대구스타디움, 홈플러스 대구스타디움점, 대구시립미술관,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대구문화방송 등이 있다.

6. 교통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호역·대공원역·고산역·신매역·사월역)이 지나간다. 수성 나들목이 있다.

6. 1.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호역·대공원역·고산역·신매역·사월역)이 지나간다. 수성 나들목이 있다.

6. 2. 도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호역·대공원역·고산역·신매역·사월역)이 고산동을 지난다. 수성 나들목이 고산동에 있다.

7. 기본 시설


  • 고산성당
  • 대구고산우체국
  • 고산농협
  • 대구수성경찰서 고산지구대
  • 고산1동 치안센터
  • 고산2동 치안센터
  • 고산1동 주민센터 (신매동)
  • 고산2동 주민센터 (시지동)
  • 고산3동 주민센터 (매호동)

8. 아파트

대우건설이 건설한 사월 푸르지오는 2006년 5월 사월동에 입주하였다. ㈜보성이 건설한 시지 보성타운 2차는 1996년 9월 욱수천로 133에 입주하였다. ㈜태왕이 건설한 시지 6차 태왕리더스는 2004년 12월 달구벌대로669길 70에, 시지 4차 태왕레전드는 2004년 2월 욱수동 욱수천로 27에, 시지 5차 태왕월드하이츠는 2004년 12월 욱수천로 7에 입주하였다. ㈜태왕이 건설하고 ㈜풍경이 시행한 시지 태왕아너스는 2007년 11월 시지동 천을로 91에 입주하였다.

월드건설㈜이 건설한 시지 월드메르디앙은 시지한우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이 시행하여 2009년 5월 천을로 70에 입주하였으며, 한우로얄맨션을 재건축했다. 월드건설㈜이 건설하고 ㈜유성이엔지가 시행한 수성 월드메르디앙은 2007년 11월 노변동 노변로 55에 입주하였다. ㈜청구가 건설한 노변 청구타운은 1996년 5월 시지로 21에 입주하였다. ㈜동서개발과 ㈜우방이 건설한 노변 동서우방타운은 1996년 10월 노변공원로 22에 입주하였다. ㈜동방, ㈜동화주택, ㈜미진주택이 건설한 고산노변타운은 1996년 8월 시지로 55에 입주하였다.

㈜동서개발이 건설한 매호 동서타운 1차는 1995년 12월, 매호 동서타운 2차는 1999년 3월 달구벌대로641길 8에 입주하였다. ㈜동서개발이 건설한 시지 동서타운은 1995년 10월 신매동 신매로 41에 입주하였다. ㈜보성과 ㈜서한이 건설한 시지 보성서한타운은 1995년 2월 신매로 21에 입주하였다.

효성중공업이 건설한 매호 효성백년가약은 2006년 2월 매호동 천을로23길 31에, 신매 효성백년가약 청(淸)은 2006년 7월 신매동 달구벌대로 3233에 입주하였다. ㈜효성투자개발이 건설한 시지 효성백년가약은 2008년 6월 달구벌대로 3280 (1단지)와 달구벌대로 3280-1 (2단지)에 입주하였으며, 구 우창여객·한일운수 차고지였다. 화성산업㈜이 건설한 사월 화성파크드림은 2006년 3월 달구벌대로 3304 (1단지)와 달구벌대로 3304-1 (2단지)에 입주하였다. 한일건설㈜이 건설하고 대전이앤씨㈜가 시행한 매호 한일유앤아이는 매호동에 있다.

참조

[1] 서적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년)
[2] 법률 법률 제3424호 1981-04-13
[3] 간행물 시조례 제1357호 1981-06-29
[4] 간행물 시조례 제1589호 1982-07-24
[5] 간행물 시조례 제1651호 1983-03-11
[6] 간행물 시조례 제1654호 1983-03-11
[7] 간행물 수성구조례 제339호 1995-12-29
[8] 간행물 수성구조례 제512호 2001-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