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건설은 1973년 대우실업이 영진토건사를 인수하여 설립된 대한민국의 건설 회사이다. 1970년대부터 해외 건설 시장에 진출하여 사업을 확장했으며,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외환 위기로 인해 워크아웃을 겪었다. 이후 금호아시아나그룹, 한국산업은행을 거쳐 2021년 중흥건설에 인수되었다. 주요 사업 분야는 석유 및 가스, 발전, 원자력, 산업, 환경, 교통, 항만/댐, 건축, 주택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DB산업은행 - 한국산업은행
한국산업은행(KDB)은 195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정책금융기관으로, 국가 경제 재건, 중화학공업 육성, 기업 구조조정 등 한국 경제 발전의 주요 국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중소·중견기업 지원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 KDB산업은행 - KDB금융그룹
KDB금융그룹은 KDB산업은행 등을 자회사로 두고 그룹 경영 전략 수립 및 대한민국 정책금융 기능 강화에 기여하는 금융 지주 회사이다. -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이전 자회사 - 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은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1970년 한국합성고무공업으로 설립되어 금호화학과 합병 후 금호석유화학으로 상호 변경되었고, 2009년 유동성 위기를 겪었으나 경영 정상화를 이루었다. -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이전 자회사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1930년 설립되어 동아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을 거쳐 2011년 CJ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종합 물류 기업으로, 계약물류, 택배, 포워딩, 항만하역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2013년 CJ GLS와 합병하여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2017년 CJ Logistics로 영문 사명을 변경, 해외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금호아시아나그룹 - 금호타이어
금호타이어는 1960년 삼양타이어공업으로 시작하여 1978년 금호타이어로 상호를 변경한 대한민국의 타이어 제조 기업이며, 중국 더블스타에 인수되어 한국, 중국, 베트남, 미국 등지에서 생산 시설과 연구 개발 센터를 운영한다. - 금호아시아나그룹 -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은 1988년 설립되어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확장하고 스타얼라이언스에 가입했으나, 2024년 대한항공에 인수되어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다.
대우건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주식회사 대우건설 |
로마자 표기 | Daeu Geonseol |
한자 표기 | 大宇建設 |
영문 회사명 |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
유형 | 공개 |
산업 | 건설 |
설립일 | 1973년 |
설립자 | (주)대우 건설부문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
본사 상세 주소 | 중구 을지로 170 (을지로4가) |
서비스 | 아파트 건설업 |
서비스 | 종합 건설업 |
매출액 | 10,605,493,844,509원 (2018) |
영업이익 | 628,733,743,553원 (2018) |
순이익 | 297,330,432,031원 (2018) |
자산 | 8,733,846,009,952원 (2018.12) |
모회사 | 중흥건설 |
자회사 | 대우에스티 |
자회사 | 푸르웰 |
자회사 | 한국인프라관리 |
자회사 | 대우파워 |
자회사 | 대우송도호텔주식회사 |
자회사 | 부곡환경 |
직원 수 | 5,417명 (2021) |
웹사이트 | 대우건설 |
웹사이트 (한국어) | 대우건설 |
추가 정보 | |
주요 제품 | 아파트 공사, 플랜트 공사, 조경 공사, 철공재 공사, 준설 공사, 가스 공사, 시설물 유지 공사 |
자본금 | 2조 863억 원 (2021.03) |
주주 | 중흥그룹: 50.75% |
주주 | 국민연금공단: 6.53% |
이미지 | |
![]() | |
이전 회사 정보 | |
회사명 | 주식회사 대우 |
설립일 | 1963년 9월 |
해체일 | 2006년 6월 |
2. 역사
1973년 대우실업이 영진토건사를 인수하여 대우건설(주)를 창립하였다.[1] 1974년 대우개발(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75년 해외건설업 면허를 취득하고 대우센터를 착공하였다. 1976년 남미 에콰도르에 진출하였으며, 1977년에는 아프리카의 수단, 리비아에 진출하고 대우센터를 준공하였다.[1]
1978년 동작대교와 옥포조선소를 착공하고 롯데호텔을 준공하였다. 1980년 수단 타이어 플랜트를 준공하고 해외 종합건설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81년 울산화력 4,5,6호기를 준공하고 88올림픽고속도로를 착공하였다. 1982년 대우실업(주)과 통합하여 (주)대우가 출범하면서 해외건설 수출 30억불탑을 수상하였다.[1]
1983년 나이지리아, 말레이시아, 이란에 진출하였다. 1984년 건설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국립현대미술관을 착공하였으며, 해외건설수출 40억불탑을 수상하고 서울 힐튼호텔과 중부고속도로를 착공하였다. 1985년 싱가폴 8,000세대 아파트를 준공하고 보츠와나,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였다.[1]
1986년 건설부로부터 토목부분 85년도 우수 시공업체로 선정되었고, 조달청으로부터 86년도 조달협력상을 수상하였다. 1987년 조달청 86년도 우수 시공업체로 선정되었고, 아이보리코스트에 진출하였다. 1988년 미국과 일본 건설시장에 진출하였으며, 카메룬, 중화민국에도 진출하였다. 1989년 방글라데시에 진출하고 부산 수영만 마리나 타운 개발을 하였다.[1]
1990년 일본 건설업체 연합회에 가입하고 일본 후쿠오카 SRP사업에 참여하였으며, 미국 ASME 인증서를 취득하였다. 1991년 일본 Ohori City Club을 준공하고 새만금 간척사업에 참여하였으며, 파키스탄 고속도로 공사와 월성 원전 3,4호기를 수주하였다. 1992년 경부 고속철도 사업에 참여하고 서인천 복합화력 발전소를 준공하였으며, 말레이시아 Plaza Rakyat를 수주하였다.[1]
1993년 건설업계 최초로 ISO 9000s 품질인증을 획득하고, 라오스댐 공사를 B.O.T 방식으로 수주하였으며, 제1회 산업안전보건대상을 수상하였다. 1994년 건설기술연구소 1단계를 준공하고 품질경영 선언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중국 산동시멘트 공장 기공, 건설 경영대상 수상, 고속철 운주터널을 관통하였다. 1995년 가나 도로공사를 수주하고 대우주택 문화관을 개관하였으며, 중국 상해비지니스 센타 건립계약을 체결하였다.[1]
1996년 일본 후쿠오카 Canal City Hakada를 준공하고 인도네시아 보소와 플랜트를 수주하였으며, 리비아 트리폴리 중앙병원을 준공하고 폴란드, 필리핀, 루마니아, 우크라이나에 진출하였다. 1997년 말레이시아 Plaza Rakyat 2단계, 상해대우센터, 나이지리아 LNG PLANT를 수주하고 서소문공원 지하주차장을 준공하였으며, 북한경수로 사업,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 3.4단계, 파키스탄 고속도로, 화동화력발전소 1, 2호기를 준공하였다.[1]
1998년 울산제2복합화력발전소를 준공하고 대우 하수영양소제거공법(DNR)이 건교부 신기술 제 9호로 지정되었으며, 건설기술연구소를 종합준공하고 일본 다찌바다 화력발전소 철골을 수주하였고,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기공, 부산항 감만부두, 월성원자력 3호기를 준공하였다. 1999년 업계 최초로 원전 시공기술을 중화민국에 수출하고, 말레이시아 비전시티 오피스 타워를 준공하였으며, 금호 11구역 재개발 사업을 수주하였다. 인도네시아 보소와시멘트 화입식을 거행하고 팔라우 공화국 도로공사를 수주하였으며,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사업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베트남 18번 도로를 준공하였다. 같은 해 8월 워크아웃에 돌입하였다.[1]
1990년대 아시아 외환 위기를 거치면서 대우그룹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은행 관리 하에 놓이게 되어 사실상 도산하였다. 1999년 대우그룹이 경영정상화 과정을 겪으면서 대우건설, (주)대우, 대우인터내셔널 등 3개 회사로 분리되었다.[1]
2. 1. 창립과 성장 (1973년 ~ 1999년)
1973년 대우실업이 영진토건사를 인수하여 대우건설(주)를 창립하였다.[1] 1974년 대우개발(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75년 해외건설업 면허를 취득하고 대우센터를 착공하였다. 1976년 남미 에콰도르에 진출하였으며, 1977년에는 아프리카의 수단, 리비아에 진출하고 대우센터를 준공하였다.[1]1978년 동작대교와 옥포조선소를 착공하고 롯데호텔을 준공하였다. 1980년 수단 타이어 플랜트를 준공하고 해외 종합건설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81년 울산화력 4,5,6호기를 준공하고 88올림픽고속도로를 착공하였다. 1982년 대우실업(주)과 통합하여 (주)대우가 출범하면서 해외건설 수출 30억불탑을 수상하였다.[1]
1983년 나이지리아, 말레이시아, 이란에 진출하였다. 1984년 건설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국립현대미술관을 착공하였으며, 해외건설수출 40억불탑을 수상하고 서울 힐튼호텔과 중부고속도로를 착공하였다. 1985년 싱가폴 8,000세대 아파트를 준공하고 보츠와나,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였다.[1]
1986년 건설부로부터 토목부분 85년도 우수 시공업체로 선정되었고, 조달청으로부터 86년도 조달협력상을 수상하였다. 1987년 조달청 86년도 우수 시공업체로 선정되었고, 아이보리코스트에 진출하였다. 1988년 미국과 일본 건설시장에 진출하였으며, 카메룬, 중화민국에도 진출하였다. 1989년 방글라데시에 진출하고 부산 수영만 마리나 타운 개발을 하였다.[1]
1990년 일본 건설업체 연합회에 가입하고 일본 후쿠오카 SRP사업에 참여하였으며, 미국 ASME 인증서를 취득하였다. 1991년 일본 Ohori City Club을 준공하고 새만금 간척사업에 참여하였으며, 파키스탄 고속도로 공사와 월성 원전 3,4호기를 수주하였다. 1992년 경부 고속철도 사업에 참여하고 서인천 복합화력 발전소를 준공하였으며, 말레이시아 Plaza Rakyat를 수주하였다.[1]
1993년 건설업계 최초로 ISO 9000s 품질인증을 획득하고, 라오스댐 공사를 B.O.T 방식으로 수주하였으며, 제1회 산업안전보건대상을 수상하였다. 1994년 건설기술연구소 1단계를 준공하고 품질경영 선언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중국 산동시멘트 공장 기공, 건설 경영대상 수상, 고속철 운주터널을 관통하였다. 1995년 가나 도로공사를 수주하고 대우주택 문화관을 개관하였으며, 중국 상해비지니스 센타 건립계약을 체결하였다.[1]
1996년 일본 후쿠오카 Canal City Hakada를 준공하고 인도네시아 보소와 플랜트를 수주하였으며, 리비아 트리폴리 중앙병원을 준공하고 폴란드, 필리핀, 루마니아, 우크라이나에 진출하였다. 1997년 말레이시아 Plaza Rakyat 2단계, 상해대우센터, 나이지리아 LNG PLANT를 수주하고 서소문공원 지하주차장을 준공하였으며, 북한경수로 사업,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 3.4단계, 파키스탄 고속도로, 화동화력발전소 1, 2호기를 준공하였다.[1]
1998년 울산제2복합화력발전소를 준공하고 대우 하수영양소제거공법(DNR)이 건교부 신기술 제 9호로 지정되었으며, 건설기술연구소를 종합준공하고 일본 다찌바다 화력발전소 철골을 수주하였고,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기공, 부산항 감만부두, 월성원자력 3호기를 준공하였다. 1999년 업계 최초로 원전 시공기술을 중화민국에 수출하고, 말레이시아 비전시티 오피스 타워를 준공하였으며, 금호 11구역 재개발 사업을 수주하였다. 인도네시아 보소와시멘트 화입식을 거행하고 팔라우 공화국 도로공사를 수주하였으며,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사업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베트남 18번 도로를 준공하였다. 같은 해 8월 워크아웃에 돌입하였다.[1]
1990년대 아시아 외환 위기를 거치면서 대우그룹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은행 관리 하에 놓이게 되어 사실상 도산하였다. 1999년 대우그룹이 경영정상화 과정을 겪으면서 대우건설, (주)대우, 대우인터내셔널 등 3개 회사로 분리되었다.[1]
2. 2. 워크아웃과 회생 (1999년 ~ 2006년)
1999년 대우그룹이 경영정상화 과정을 겪으면서 대우건설은 대우, 대우인터내셔널과 함께 3개 회사로 분리되었다. 부실 자산을 모두 인수한 대우는 상장 폐지되었고, 대우인터내셔널은 2010년 포스코에 인수되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되었다. 대우건설은 8월 워크아웃에 돌입했다.한국자산관리공사에 인수된 대우건설은 '푸르지오' 아파트 브랜드와 해외 수주를 바탕으로 2003년 초 경영정상화를 조기에 마무리했으며, 같은 해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시민구단인 대구 FC에 3억 원을 후원하기도 했다.
2006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되었으나, 서울역 대우센터(현 서울스퀘어) 등 유형자산 매각과 대한통운 인수 참여 등 어려움을 겪었다. 2009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유동성 위기에 따라 2010년에는 한국산업은행에 인수되었다.
2. 3. 금호아시아나그룹 편입과 위기 (2006년 ~ 2010년)
1973년 설립된 대우건설은[1] 1980년대 대우그룹의 건설 부문으로 편입되어 사업 규모를 확장했다. 1993년 대우그룹의 세계화 경영 선언에 따라 사업 확장에 적극 나섰으나, 1999년 대우그룹이 경영정상화 과정을 겪으면서 대우건설, 대우(주), 대우인터내셔널 등 3개 회사로 분리되었다.[2]한국자산관리공사에 인수된 대우건설은 '푸르지오' 아파트 브랜드와 해외 수주를 바탕으로 2003년 초 경영정상화를 조기에 마무리했으며, 같은 해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시민구단인 대구 FC에 3억 원을 후원하기도 했다. 2006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되었으나, 서울역 대우센터(현 서울스퀘어) 등 유형자산 매각과 대한통운 인수 참여 등 어려움을 겪었다.[2] 2009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유동성 위기로 2010년 한국산업은행에 인수되었다.
대우건설은 한때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에서 3년 연속(2006~2008년)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 4. 한국산업은행 관리와 재도약 (2010년 ~ 2021년)
1999년 대우그룹이 경영정상화 과정을 겪으면서 대우건설, 대우(주), 대우인터내셔널 등 3개 회사로 분리되었다.[1] 부실 자산을 모두 인수한 대우(주)는 상장 폐지되었고, 대우인터내셔널은 2010년 포스코에 인수되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되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에 인수된 대우건설은 '푸르지오' 아파트 브랜드와 해외 수주를 바탕으로 2003년 초 경영정상화를 조기에 마무리했으며, 같은 해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시민구단인 대구 FC에 3억 원을 후원하기도 했다.[1]2006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된 후 서울역 서울스퀘어(구 대우센터) 등 유형자산 매각과 대한통운 인수 참여 등 어려움을 겪었다.[1] 2009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유동성 위기에 따라 2010년에는 한국산업은행에 인수되었다.[1]
대우건설은 한때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에서 3년 연속(2006~2008년) 1위를 기록했으나, 2011년에는 6위로 하락했다.[1] 이후 2012년 3위, 2013년 3위, 2014년 5위, 2015년 3위, 2016년 4위, 2017년 3위, 2018년 4위, 2019년 5위, 2020년 6위, 2021년 5위를 기록했다. 2021년 12월 광주광역시에 본사를 둔 정흥건설에 인수되었다.[3]
2. 5. 중흥건설 인수 (2021년 ~ 현재)
1973년 설립된 대우건설은[1] 1980년대 대우그룹의 건설 부문으로 편입되어 사업 규모를 확장했다. 1999년 대우그룹 경영정상화 과정에서 대우건설, 대우(주), 대우인터내셔널 등 3개 회사로 분리되었다.[2]한국자산관리공사에 인수된 대우건설은 '푸르지오' 아파트 브랜드와 해외 수주를 바탕으로 2003년 초 경영정상화를 조기에 마무리했으며, 같은 해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시민구단인 대구 FC에 3억 원을 후원하기도 했다. 2006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되었으나, 2009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유동성 위기로 2010년 한국산업은행에 다시 인수되었다.
대우건설은 한때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에서 3년 연속(2006~2008년) 1위를 기록했으나, 이후 순위 변동을 보였다. 2021년 12월 광주광역시에 본사를 둔 중흥건설에 인수되었다.[3]
3. 주요 사업 분야
대우건설은 주요 건설 부문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 '''석유 및 가스:''' 에스크라보스 GTL, NLNG 6호기 보니 섬, 알제리 오만 비료 프로젝트,[4] 아르제우 GNL 3Z 프로젝트
- '''발전:''' 수르 독립 발전소, 조르프 라스파르 5&6 석탄 화력 발전소, 벵가지 북부 복합화력발전소, 울산 발전소 증설 프로젝트, 하동 화력발전소 1, 2, 3, 4, 5, 6호기
- '''원자력:''' 월성 원자력발전소 3&4호기,[1]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 '''산업:''' 광양 제철소[4] 4단계, 바이오 제조 시설 프로젝트, 500T/D 크라프트지 공장
- '''환경:''' 중동 시립 쓰레기 소각장, 대저동 시립 쓰레기 소각장, 산북 시립 쓰레기 소각장
- '''교통:''' 팔라우 콤팩트 도로 프로젝트, 팔라우 콤팩트 도로, 부산-거제 고정 링크 민간 참여 프로젝트
- '''항만/댐:''' 젠젠 항만 방호 공사, 나킬라트 조선소, 두쿰 조선소
- '''건축:''' 말레이시아 KLCC 타워,[4] 제주 컨벤션센터, 국립중앙박물관
- '''주택:''' 베트남 하노이 신도시 개발, 알제리 부즈줄 신도시 개발 PJ
3. 1. 플랜트
대우건설은 여러 건설 부문에 걸쳐 사업을 확장해왔다.석유 및 가스 부문에서는 에스크라보스 GTL, NLNG 6호기 보니 섬, 알제리 오만 비료 프로젝트,[4] 아르제우 GNL 3Z 프로젝트 등을 수행했다. 발전 부문에서는 수르 독립 발전소, 조르프 라스파르 5&6 석탄 화력 발전소, 벵가지 북부 복합화력발전소, 울산 발전소 증설 프로젝트, 하동 화력발전소 1, 2, 3, 4, 5, 6호기 등을 건설했다.
원자력 분야에서는 월성 원자력발전소 3&4호기,[1]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에 참여했다. 산업 부문에서는 광양 제철소[4] 4단계, 바이오 제조 시설 프로젝트, 500T/D 크라프트지 공장 건설을 담당했다.
환경 분야에서는 중동, 대저동, 산북 시립 쓰레기 소각장 건설을 수행했다. 교통 부문에서는 팔라우 콤팩트 도로 프로젝트, 부산~거제 고정 링크 민간 참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항만/댐 부문에서는 젠젠 항만 방호 공사, 나킬라트 조선소, 두쿰 조선소 건설을 담당했다. 건축 부문에서는 말레이시아 KLCC 타워,[4] 제주 컨벤션센터, 국립중앙박물관 등을 건설했다. 주택 부문에서는 하노이 신도시 개발(베트남), 부즈줄 신도시 개발 PJ(알제리) 등을 진행했다.
3. 2. 토목
대우건설은 다양한 건설 부문으로 사업을 확장해왔다.[4]석유 및 가스 분야에서는 에스크라보스 GTL, NLNG 6호기 보니 섬, 알제리 오만 비료 프로젝트, 아르제우 GNL 3Z 프로젝트 등에 참여했다.[4] 발전 분야에서는 수르 독립 발전소, 조르프 라스파르 5&6 석탄 화력 발전소, 벵가지 북부 복합화력발전소, 울산 발전소 증설 프로젝트, 하동 화력발전소 1~6호기 건설에 참여했다. 원자력 분야에서는 월성 원자력발전소 3&4호기,[1]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에 참여했다.
산업 분야에서는 광양 제철소[4] 4단계, 바이오 제조 시설 프로젝트, 500T/D 크라프트지 공장 건설에 참여했다. 환경 분야에서는 중동, 대저동, 산북 시립 쓰레기 소각장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교통 분야에서는 팔라우 콤팩트 도로 프로젝트, 부산~거제 고정 링크 민간 참여 프로젝트 등을 수행했다. 항만/댐 분야에서는 젠젠 항만 방호 공사, 나킬라트 조선소, 두쿰 조선소 건설에 참여했다.
3. 3. 건축
대우건설은 다양한 건설 부문으로 사업을 확장해왔다.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석유 및 가스: 에스크라보스 GTL, NLNG 6호기 보니 섬, 알제리 오만 비료 프로젝트,[4] 아르제우 GNL 3Z 프로젝트 등이 있다.
- 발전: 수르 독립 발전소, 조르프 라스파르 5&6 석탄 화력 발전소, 벵가지 북부 복합화력발전소, 울산 발전소 증설 프로젝트, 하동 화력발전소 1, 2, 3, 4, 5, 6호기 등을 건설했다.
- 원자력: 월성 원자력발전소 3&4호기,[1]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에 참여했다.
- 산업: 광양 제철소[4] 4단계, 바이오 제조 시설 프로젝트, 500T/D 크라프트지 공장 건설 등을 수행했다.
- 환경: 중동, 대저동, 산북 시립 쓰레기 소각장 건설 사업을 진행했다.
- 교통: 팔라우 콤팩트 도로 프로젝트, 부산-거제 고정 링크 민간 참여 프로젝트 등을 수행했다.
- 항만/댐: 젠젠 항만 방호 공사, 나킬라트 조선소, 두쿰 조선소 건설에 참여했다.
- 건축: 말레이시아 KLCC 타워,[4] 제주 컨벤션센터, 국립중앙박물관 등을 건설했다.
- 주택: 베트남 하노이 신도시 개발, 알제리 부즈줄 신도시 개발 PJ 등에 참여했다.
3. 4. 환경/산업
대우건설은 여러 건설 부문에 걸쳐 사업을 확장해 왔다. 석유 및 가스 부문에서는 에스크라보스 GTL, NLNG 6호기 보니 섬, 알제리 오만 비료 프로젝트,[4] 아르제우 GNL 3Z 프로젝트 등의 사업을 진행했다. 발전 부문에서는 수르 독립 발전소, 조르프 라스파르 5&6 석탄 화력 발전소, 벵가지 북부 복합화력발전소, 울산 발전소 증설 프로젝트, 하동 화력발전소 1, 2, 3, 4, 5, 6호기 등을 건설했다.원자력 발전 부문에서는 월성 원자력발전소 3&4호기,[1]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에 참여했다. 산업 부문에서는 광양 제철소[4] 4단계, 바이오 제조 시설 프로젝트, 500T/D 크라프트지 공장 건설 등을 수행했다.
환경 부문에서는 중동, 대저동, 산북 시립 쓰레기 소각장 건설 사업을 진행했다. 교통 부문에서는 팔라우 콤팩트 도로 프로젝트, 팔라우 콤팩트 도로, 부산~거제 고정 링크 민간 참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항만/댐 부문에서는 젠젠 항만 방호 공사, 나킬라트 조선소, 두쿰 조선소 건설에 참여했다.
건축 부문에서는 말레이시아 KLCC 타워,[4] 제주 컨벤션센터, 국립중앙박물관 등을 건설했다. 주택 부문에서는 하노이 신도시 개발/베트남, 부즈줄 신도시 개발 PJ/알제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4. 해외 사업 및 사회적 문제
2006년부터 2007년에 걸쳐 나이지리아 국내 건설 현장에서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직원 납치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대우건설 직원 납치 사건 참조). 2007년 5월에는 상무 등 회사 간부급 직원이 납치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해외 건설 프로젝트에 저가 수주 경쟁을 벌이는 바람에 안전 대책과 리스크 관리가 소홀해졌고, 발생한 납치 사건에 대해 다액의 금전을 사용하여 안일하게 처리한 것이 사건의 잇따른 발생을 초래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5.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Daewoo E&C targets nuclear power projects
https://www.koreaher[...]
2023-01-27
[2]
웹사이트
Daewoo E&C, Jungheung renovate patriot descendants' residences
https://www.koreaher[...]
2023-01-27
[3]
뉴스
Regulator OKs Jungheung's acquisition of Daewoo E&C
https://en.yna.co.kr[...]
2022-02-24
[4]
웹사이트
Daewoo E&C hiring 100 new employees
https://www.koreatim[...]
2023-01-27
[5]
웹사이트
2021년 시공능력순위(토건) Top 100
http://www.worker.co[...]
2021-07-30
[6]
웹인용
5만 9천여 건설업체 경쟁력 한눈에…시공능력 평가 결과 발표
http://www.molit.go.[...]
[7]
웹인용
“건설회사 브랜드평판 2021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현대건설, 2위 대우건설, 3위 삼성물산”
https://www.thepubli[...]
더퍼블릭
2021-07-13
[8]
웹인용
대우건설 ‘푸르지오’, 한국서비스대상 아파트부문 2년 연속 종합대상
https://biz.chosun.c[...]
2021-07-13
[9]
뉴스인용
대우건설 대구FC에 3억원 후원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22-06-24
[10]
웹사이트
대우건설과 금호, 파멸로 치달은 동거
http://www.pressian.[...]
[11]
웹사이트
대우건설-시공능력평가 3년 연속 1위, 한국 넘어 세계적인 건설사로
http://www.hkrecruit[...]
[12]
뉴스
올해 건설 시공능력평가 순위 '대지각변동' 예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7-14
[13]
웹인용
2014년 시공능력평가순위
http://www.mltm.go.k[...]
2014-10-22
[14]
웹사이트
시공능력평가 순위 톱 100
http://www.worker.co[...]
2022-04-23
[15]
뉴스인용
중흥, 대우건설 인수 본계약…단숨에 국내 3위 건설사로
https://www.mk.co.kr[...]
[16]
unknow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대우건설, ‘온열질환 의심’ 청소노동자 사망사고에 “모든 현장 특별점검”
美 진출 속도 내는 대우건설 … 텍사스서 부동산 개발 사업
“우리 아파트는 반려견 세면대, 놀이터 있어요”... 펫펨족 공략 나선 건설사들
“K 건설 경험·저력 알릴 계기될 것”…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북미 부동산개발사업 진출 속도
대우가 미국 텍사스 현지 부촌 개발 나선 이유
대형건설사 도시정비사업 수주 30조 돌파…삼성·현대·포스코 경쟁
중흥토건 이어 계열사 대우건설도 중소 건설사 상대로 수백억 갑질
“첫 삽 뜨기도 전에 좌초 위기”...GTX 노선 공사비 갈등에 3기 신도시도 ‘삐걱’
국토장관, 건설협회장·10대 건설사 대표와 '안전 간담회'
공사비 갈등 겪는 GTX-B·C노선 … 3기 신도시도 '삐걱'
“협력사 가족도 품는다”…대우건설, 출산·장학금 지원 제도 마련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들어온다”…수도권 남부 집값 ‘들썩’
올해 분양 종료 임박... 청약 막차 탈 지역은
“대우건설, ‘해외수주·원전 모멘텀’ 이유 있는 주가 반등”…목표가↑
그 까다롭다는 강남 재건축 조합원…결국은 ‘레미안 스타일’에 홀린다
강남 재건축 휩쓰는 '래미안 스타일'
개포우성7차 재건축 시공사에 삼성물산…‘래미안 루미원’ 새 단장
삼성물산, 개포우성7차 재건축 시공사 선정
“아파트도 간판이 중요해”…청약도 매매도 실수요자 몰리는 ‘브랜드 아파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