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선명 비디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선명 비디오(HD)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스캔 시스템, 초당 프레임/필드 수에 따라 정의되는 영상 기술이다. 1980년대 일본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미국에서 ATSC 표준을 통해 발전했다. HD는 720p, 1080i, 1080p 등 다양한 해상도와 스캔 방식을 지원하며, 디지털 비디오 압축 기술의 발달로 가능해졌다. 현재는 지상파 방송, 블루레이 디스크, 온라인 스트리밍,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선명 텔레비전 - ISDB
    ISDB는 일본에서 개발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 다양한 매체를 지원하며 모바일 수신에 강점을 가진 1세그먼트 부분 수신 서비스와 고화질 방송을 위한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 콘텐츠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 고선명 텔레비전 - 클로즈드 캡션
    클로즈드 캡션은 시청자가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는 자막 기술로, 청각 장애인과 외국어 학습자 등을 위해 대화 내용, 화자 정보, 음향 효과 등을 텍스트로 제공하며, 텔레비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미디어에서 활용된다.
  • 가전제품 -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는 극초단파 에너지를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기로, 마그네트론과 유전 가열 방식을 사용하며, 금속 용기 사용 등에 주의해야 한다.
  • 가전제품 - 백열등
    백열등은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열로 빛을 내는 조명 기구로, 19세기 후반 여러 발명가에 의해 개발되어 발전을 거듭했으나, 낮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인해 LED 전구로 대체되며 현재는 특수한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고선명 비디오
개요
SDTV, HDTV, UHDTV 포맷 비교
SDTV, HDTV, UHDTV 포맷 비교
정의표준 화질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진 비디오
기술적 측면
해상도일반적으로 720p (1280x720) 이상
주사 방식인터레이스 (i)
프로그레시브 (p)
화면 비율16:9 (와이드스크린)
4:3 (과거 표준)
표준 및 포맷
일반적인 HD 해상도1280 × 720 (720p)
1920 × 1080 (1080i/1080p)
방송 표준ATSC
DVB
ISDB
저장 매체블루레이 디스크
HD DVD (단종)
코덱H.264/MPEG-4 AVC
H.265/HEVC
VC-1
활용 분야
방송고선명 텔레비전 방송
영화디지털 시네마
비디오 게임고해상도 게임
감시 카메라고해상도 감시 시스템
장점
화질더 선명하고 디테일한 화면 제공
몰입감더욱 현실감 있는 시청 경험 제공
단점
대역폭더 많은 대역폭 필요
저장 공간더 큰 저장 공간 필요
장비고해상도 지원 장비 필요

2. 역사

고선명 비디오(HD) 기술은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작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각 단계마다 해상도와 주사 방식 등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고선명 비디오''라는 용어는 1930년대 후반, 15~220라인 해상도의 기계적 주사 방식 텔레비전 실험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에 사용되었다. 영국존 로지 베어드가 이 방식을 주창했지만, 필로 판스워스, 블라디미르 즈보리킨, 아이작 쇼엔버그, 앨런 블룸라인 등이 이끄는 EMI 팀에 의해 전자적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1936년 영국 알렉산드라 궁전에서 BBC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베어드 텔레비전의 240라인・24fps 기계 주사 방식이었지만, 마르코니 EMI의 405라인・50필드(2필드 1프레임)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바뀌었다. 베어드 방식은 1936년 말 철수되었으며, 이는 세계 최초의 "고선명" 텔레비전(240라인 이상)으로 인식되었다. 마르코니 EMI 사양은 유럽에서 CCIR 시스템 A로 채택되었다.

미국에서는 1940년에 NTSC(국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가 525라인・30fps를 표준화하여 1941년 6월 1일에 방송을 시작했다. 1950년 비호환 441라인 컬러 표준을 포함했으나, 1953년 호환 525라인・29.97fps 컬러 표준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미국의 NTSC 방식 외에, 서독에서 PAL(위상 반전 주사선)이 개발되어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갔다. 프랑스에서는 SECAM이 개발되어 프랑스 및 식민지, 벨기에, 소련 주변 등에 채택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PAL, NTSC, SECAM 아날로그 방식이 60년 이상 전송되었다. 하지만 HD 형식을 포함한 디지털 방송 방식의 등장으로 아날로그 전송은 종료될 예정이며, NTSC, PAL, SECAM은 과거의 유산이 되거나 병존할 것이다. 아날로그 비디오 기기(방송국, 가정용 텔레비전)가 방대하여 시청용으로 존속되겠지만, 고선명 텔레비전 전환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저소득층 지역에서는 부유층이 먼저 전환할 것이다.

2. 1. 초기 역사

최초의 HD 사양 정의는 198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에서 초당 30 프레임(fps)의 1125라인 TV 표준을 개발했다. 일본의 엔지니어들은 이 표준을 1981년 알제에서 열린 국제 텔레비전 엔지니어 회의에서 선보였으며, 일본의 NHK1983년 스위스의 한 콘퍼런스에서 아날로그 HDTV 시스템을 선보였다. 그 NHK 시스템은 1990년대 초반 미국의 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표준 #240M으로 표준화되었다.

미주 지방에서는, 1987년 미국연방 통신 위원회(FCC)가 미국 방송국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고기능 텔레비전(advanced television)을 제정하기 시작했는데, 현재의 고선명 비디오 표준은 이 FCC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안 정립되었다. FCC 프로세스는 ATSC가 주도하였는데, ATSC는 비월주사 방식의 1080 라인 비디오(초창기 아날로그 NHK 1125/30fps 시스템의 기술적인 변형) 및 초당 최대 30 프레임인 것, 또 720 라인 비디오에 순차주사 방식이며 초당 최대 60 프레임인 것 등 일련의 표준을 채택하였다. FCC는 공식적으로 ATSC의 전송 표준(HD 및 SD 비디오 표준 동시 포함)을 1996년에 채택하였다. 최초의 방송은 1998년 10월 28일에 이루어졌다.

2. 2. 아날로그 HD

최초의 HD 사양 정의는 1980년대일본에서 개발한 초당 30 프레임(fps)의 1125라인 TV 표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 일본 엔지니어들은 1981년 알제에서 열린 국제 텔레비전 엔지니어 회의에서 이 표준을 발표했고, NHK1983년 스위스 회의에서 아날로그 HDTV 시스템을 선보였다.[1] NHK 시스템은 1990년대 초반 미국의 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 표준 #240M으로 표준화되었다.[1]

1987년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미국 방송국들의 요청으로 고기능 텔레비전(advanced television) 제정을 시작했는데, 현재의 고선명 비디오 표준은 이 FCC 프로세스 과정에서 정립되었다.[2] FCC 프로세스는 ATSC(첨단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가 주도하였는데, ATSC는 비월주사 방식의 1080 라인 비디오(초창기 아날로그 NHK 1125/30fps 시스템의 기술적 변형) 및 초당 최대 30 프레임, 720 라인 비디오에 순차주사 방식이며 초당 최대 60 프레임인 일련의 표준을 채택하였다.[2] FCC는 1996년에 ATSC의 전송 표준(HD 및 SD 비디오 표준 동시 포함)을 공식 채택하였고, 최초 방송은 1998년 10월 28일에 이루어졌다.[2]

마이크로소프트는 일본에서 게임기를 선전할 때, 고선명(high definition)의 약칭으로 '''하이데후'''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HD 화질을 소개했다.[3] 일반적으로 풀 스펙 하이비전은 1080i를 가리킨다.[3] 개발 초기 NHK는 '''고품위 텔레비전'''이라는 명칭으로 개발했으며, 소니는 '''HDVS'''라는 명칭으로 방송 기기를 제조, 판매했다.[3]

2. 3. 디지털 HD

최초의 HD 사양은 1980년대일본에서 개발된 1125라인·30프레임 매초(fps) 텔레비전 규격에서 시작되었다. 일본은 이 표준을 1981년 알제에서 열린 텔레비전 기술자 국제 회의에서 발표했고, 일본방송협회(NHK)는 1983년 스위스 회의에서 아날로그 하이비전 방식을 발표했다. NHK의 방식은 1990년대 초반에 SMPTE 표준 240M으로 표준화되었다.

1987년 미국 방송국의 요청으로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첨단 텔레비전 방식 연구를 시작했다. 첨단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는 FCC 주도로 최대 30fps의 1080라인 비디오(1125라인·30fps의 NHK 아날로그 방식 기반)와 최대 60fps의 720라인 순차주사 방식 비디오를 채택했다. FCC는 1996년 ATSC 전송 표준(HD, SD 비디오 표준 포함)을 정식 채택했고, 1998년 10월 28일에 첫 방송이 이루어졌다.[1]

일본에서는 2006년 12월 1일 관동 광역권의 방송대학학원, 오카야마현·가가와현 전체 방송국, 후쿠오카현규슈 아사히 방송,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전체 방송국, 오키나와현 민방 전체 방송국이 지상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면서, 2007년 이후 HD 화질의 디지털 방송이 빠르게 보급되었다.[2]

3. 기술적 세부 사항

마이크로소프트는 일본에서 게임기를 선전할 때, 고선명(high definition)의 약칭으로 '''하이데후'''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HD 화질을 소개했다. 일반적으로 풀 스펙 하이비전은 1080i를 가리킨다. 개발 초기에는 NHK는 '''고품위 텔레비전'''이라는 명칭으로 개발했으며, 소니는 '''HDVS'''라는 명칭으로 방송 기기를 제조, 판매했다.

방송에 최적의 형식은 녹화에 사용되는 미디어 형식과 수록 내용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7] 필드 및 프레임 레이트는 수록 원본과 일치해야 하며, 해상도도 마찬가지이다.[7] 한편, 고해상도는 사용 가능한 대역폭 이상을 필요로 한다. 디지털 HDTV에서는 비가역 압축이 사용되며, 화질 저하를 동반한다.

영화관용 필름은 고정밀 해상도이며 초당 24프레임으로 촬영된다.[8] 사용 가능한 대역폭, 해상도, 그리고 이미지의 움직임에 따라 비디오 변환에 최적의 형식은 720p24 또는 1080p24 중 하나가 된다.[8] PAL을 사용하는 국가의 TV에서는 필름을 4% 빠르게 하여 초당 25프레임으로 변환해야 한다.[8] NTSC 표준(초당 60필드)의 국가에서는 3:2 풀다운이라고 불리는 기술이 사용된다.[8]

과거(고화질 텔레비전 이전)의 BETACAM SP 등의 비디오 테이프 수록은 480i60 또는 576i50이었다.[9] 이들은 고해상도 형식(720i)으로 업컨버트되지만, 인터레이스에서 일반적인 720p 형식으로의 변환은 이미지의 왜곡을 동반하므로, 변환 후 출력을 필터 처리하여 실제 해상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9]

영화 외의 고화질 텔레비전 비디오 수록은 720p 또는 1080i 형식이다.[10] 방송 형식은 텔레비전 방송국에 따라 다르지만, 형식 선택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다.[10] 일반적으로 720p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이기 때문에, 인터레이스 방식이므로 빠른 동영상의 화질에 떨어지는 1080i에 비해, 빠른 동작에 적합하다. 또한, 컴퓨터 모니터가 프로그레시브 방식이며, 그래픽 카드의 대부분이 실시간 인터레이스 제거 최적화 처리를 수행하므로, 720p는 HD 비디오의 인터넷 배포에 적합하다. 720p 비디오는 1080i나 1080p보다 스토리지 및 디코딩 요구 사항이 낮다.

북아메리카에서는 FOX, ABC, 및 ESPN(ABC와 ESPN은 디즈니 산하)는 720p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PBS, NBC, Universal-HD(이상 제너럴 일렉트릭 산하), CBS, UPN, Showtime, INHD, HDNet, 및 타임 워너 산하의 HBO-HD, the WB 및 TNT는 1080i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3. 1. 해상도

해상도 (가로×세로)화소가로세로비영상 포맷설명
1024×768786,4324:3 (정사각형이 아닌 화소)720p/XGA정사각형이 아닌 화소를 가진 PDP HDTV 디스플레이에 쓰임
1280×720921,60016:9720p/WXGA디지털 텔레비전, DLP, LCD, LCOS 프로젝션 HDTV 디스플레이에 쓰인다.
1366×7681,049,08816:9 (대략)720p/WXGA—HDTV 표준 포맷LCD/PDP HDTV 디스플레이에 쓰임 (HD 레디, HD 레디 720p, 1080i)
1024×10801,105,92016:9 (정사각형이 아닌 화소)1080pPDP HDTV 디스플레이에 쓰임 (풀 HD, HD 레디 1080p)
1280×10801,382,40016:9 (정사각형이 아닌 화소)1080pPDP HDTV 디스플레이에 쓰임 (풀 HD, HD 레디 1080p)
1920×10802,073,60016:91080p—HDTV 표준 포맷모든 종류의 HDTV 기술에 쓰임 (풀 HD, HD 레디 1080p)
4096×21608,847,36016:92160p DCI 시네마 4K 표준 포맷쿼드 HDTV, (HD 레디 2160p 쿼드 HDTV 포맷은 없음)
7680×4320[52]33,177,60016:94320p-



HD 레디 LCD TV 패널에 쓰이는 일반적인 해상도는 ATSC 표준 1280 × 720 화소가 아닌 1366 × 768[53] 화소이다. 이는 VGA의 해상도, 768 화소 포맷의 VRAM, 그리고 생산의 극대화를 위해 결정된 것이다. 그러므로 LCD 제조업체들은 HD 레디 1080p를 위한 16:9 비율 호환을 채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HDTV는 오버스캔 처리 칩셋을 사용하여 해상도 스케일링과 색 표현을 담당한다. (예: LG전자 XD 엔진, 소니 브라비아 엔진) 오직 1080i/1080p HD 콘텐츠를 HD 레디 1080p에서 볼 때에만, 원본에서 3~5%의 화질을 잃는다.

비디오 모드픽셀 단위 프레임 크기(가로×세로)이미지당 픽셀 수주사 방식프레임 속도 (Hz)
720p (HD Ready라고도 함)1,280×720921,600순차 주사 방식23.976, 24, 25, 29.97, 30, 50, 59.94, 60, 72
1080i (Full HD라고도 함)1,920×1,0802,073,600인터레이스25 (50 필드/초), 29.97 (59.94 필드/초), 30 (60 필드/초)
1080p (Full HD라고도 함)1,920×1,0802,073,600순차 주사 방식24 (23.976), 25, 30 (29.97), 50, 60 (59.94)
1440p (Quad HD라고도 함)2,560×1,4403,686,400순차 주사 방식24 (23.976), 25, 30 (29.97), 50, 60 (59.94)



비디오 모드픽셀 단위 프레임 크기(가로×세로)이미지당 픽셀 수주사 방식프레임 속도 (Hz)
20002,048×1,5363,145,728프로그레시브24, 60
2160p (4K UHD라고도 함)3,840×2,1608,294,400프로그레시브60, 120
2540p4,520×2,54011,480,800프로그레시브24, 30
4000p4,096×3,07212,582,912프로그레시브24, 30, 60
4320p (8K UHD라고도 함)7,680×4,32033,177,600프로그레시브60, 120



참고: 이미지는 프레임이거나, 인터레이스 스캔의 경우 두 필드(EVEN과 ODD) 중 하나이다.

흔하지는 않지만, 2560×1080p(1080p 울트라 와이드) 등, 울트라 와이드 해상도도 있다.

그 외, WQHD(2560×1440p) 화질도 존재한다.

3. 2. 스캔 시스템

고선명 비디오(HD 비디오)의 스캔 시스템은 1930년대부터 여러 기술 발전을 거쳐왔다. 초기에는 기계식 텔레비전 시스템이 사용되었으나, 이후 전자식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1936년 영국에서 BBC 텔레비전이 시작되었는데, 초기에는 베어드 텔레비전의 240라인・24프레임 매초(fps)의 기계 주사 방식이었지만, 마르코니 EMI의 405라인・50필드 매초 인터레이스 방식(2필드로 1프레임 구성)으로 바뀌었다. 베어드 방식은 1936년 말에 철수했다.

미국에서는 1940년NTSC(국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가 525라인・30fps를 표준화하여 1941년 6월 1일에 방송을 시작했다. NTSC 표준은 1950년에 비호환 441라인 컬러 표준을 포함했지만, 1953년에 호환 525라인・29.97fps 컬러 표준 채택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서독에서는 PAL(위상 반전 주사선)이 개발되어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갔다. 프랑스에서도 SECAM이 개발되어 프랑스 및 그 식민지, 벨기에, 소련 주변 등에 채택되었다.

1980년대 이후의 고선명 비디오 표준은 1987년 미국 방송국의 요청으로 FCC(연방통신위원회)에 의한 첨단 텔레비전 방식 연구에서 개발되었다. ATSC(첨단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에 의해 FCC는 최대 30fps 프레임 레이트의 1080라인 비디오(기술적으로 1125라인・30fps의 NHK 아날로그 방식을 기반으로 한 후계)와 최대 60fps의 프레임 레이트・프로그레시브 (순차 주사)의 720라인 비디오 방식을 채택했다.

방송 형식은 텔레비전 방송국에 따라 다르지만, 형식 선택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다. 일반적으로 720p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이기 때문에, 인터레이스 방식이므로 빠른 동영상의 화질에 떨어지는 1080i에 비해, 빠른 동작에 적합하다.

3. 3. 프레임/필드 속도

고선명 비디오의 사양은 1980년대에 일본에서 1125라인·30프레임/초(FPS) 텔레비전 규격이 개발된 것에서 시작한다. 일본은 이 표준을 1981년 알제에서 열린 텔레비전 기술자 국제 회의에서 발표했고, 일본의 NHK1983년 스위스 회의에서 아날로그 하이비전 방식을 발표했다. NHK의 방식은 1990년대 초반에 SMPTE 표준 240M으로 표준화되었다.

1936년 영국 알렉산드라 궁전에서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BBC 텔레비전)이 시작되었으며, 초창기에는 베어드 텔레비전의 240라인·24프레임/초(fps)의 기계 주사 방식이었지만, 마르코니 EMI의 405라인·50필드/초 인터레이스 방식(2필드로 1프레임 구성)으로 바뀌었다.[2]

미국에서는 1940년에 NTSC가 525라인·30fps를 표준화하여 1941년 6월 1일에 방송을 시작했다.[3] NTSC 표준은 1950년에 비호환 441라인 컬러 표준을 포함했지만, 1953년에 호환 525라인·29.97fps 컬러 표준 채택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3]

미국의 NTSC 방식 외에도, 서독에서 PAL(위상 반전 주사선)이 개발되어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갔다.[4] 프랑스에서도 SECAM이 개발되어 프랑스 및 그 식민지, 벨기에, 소련 주변 등에 채택되었다.[4]

1980년 이후의 고선명 비디오 표준은 1987년 미국 방송국의 요청으로 FCC에 의한 첨단 텔레비전 방식 연구에서 개발되었다.[5] ATSC에 의해 FCC는 최대 30fps 프레임 레이트의 1080라인 비디오(기술적으로 1125라인·30fps의 NHK 아날로그 방식을 기반으로 한 후계)와 최대 60fps의 프레임 레이트·프로그레시브 (순차 주사)의 720라인 비디오 방식을 채택했다.[5]

방송에 최적의 형식은 녹화에 사용되는 미디어 형식과 수록 내용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7] 필드 및 프레임 레이트는 수록 원본과 일치해야 하며, 해상도도 마찬가지이다.[7]

영화관용 필름은 고정밀 해상도이며 초당 24프레임으로 촬영된다.[8] 사용 가능한 대역폭, 해상도, 그리고 이미지의 움직임에 따라 비디오 변환에 최적의 형식은 720p24 또는 1080p24 중 하나가 된다.[8] PAL을 사용하는 국가의 TV에서는 필름을 4% 빠르게 하여 초당 25프레임으로 변환해야 한다.[8] NTSC 표준(초당 60필드)의 국가에서는 3:2 풀다운이라고 불리는 기술이 사용된다.[8]

과거(고화질 텔레비전 이전)의 BETACAM SP 등의 비디오 테이프에 수록은 480i60 또는 576i50이었다.[9] 이들은 고해상도 형식(720i)으로 업컨버트되지만, 인터레이스(인터레이스 주사)에서 일반적인 720p 형식으로의 변환은 이미지의 왜곡을 동반하므로, 변환 후 출력을 필터 처리하여 실제 해상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9]

영화 외의 고화질 텔레비전의 비디오 수록은 720p 또는 1080i 형식이다.[10] 방송 형식은 텔레비전 방송국에 따라 다르지만, 형식 선택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다.[10] 일반적으로 720p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이기 때문에, 인터레이스 방식이므로 빠른 동영상의 화질에 떨어지는 1080i에 비해, 빠른 동작에 적합하다.[10]

3. 4. 일반적인 HD 비디오 모드

비디오 모드프레임 크기 (가로×세로)픽셀 수주사 방식프레임 속도 (Hz)
720p (HD Ready)1,280×720921,600순차 주사 방식23.976, 24, 25, 29.97, 30, 50, 59.94, 60, 72
1080i (Full HD)1,920×1,0802,073,600인터레이스25 (50 필드/초), 29.97 (59.94 필드/초), 30 (60 필드/초)
1080p (Full HD)1,920×1,0802,073,600순차 주사 방식24 (23.976), 25, 30 (29.97), 50, 60 (59.94)
1440p (Quad HD)2,560×1,4403,686,400순차 주사 방식24 (23.976), 25, 30 (29.97), 50, 60 (59.94)



720p, 1080p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스마트폰도 있다.

3. 5. 초고선명(UHD) 비디오 모드

비디오 모드픽셀 단위 프레임 크기(가로×세로)이미지당 픽셀 수1주사 방식프레임 속도 (Hz)
20002,048×1,5363,145,728프로그레시브24, 60
2160p (4K UHD라고도 함)3,840×2,1608,294,400프로그레시브60, 120
2540p4,520×2,54011,480,800프로그레시브24, 30
4000p4,096×3,07212,582,912프로그레시브24, 30, 60
4320p (8K UHD라고도 함)7,680×4,32033,177,600프로그레시브60, 120
참고: 이미지는 프레임이거나, 인터레이스 스캔의 경우 두 필드(EVEN과 ODD) 중 하나이다.
그렇게 흔하지는 않지만, 2560×1080p(1080p 울트라 와이드) 등, 울트라 와이드 해상도도 있다. 그 외, WQHD(2560×1440p) 화질도 존재한다.


4. HD 콘텐츠

다음 게임기는 하드웨어 성능상 지원하지만, 1080i, 720p, 1080p 중 어떤 해상도를 지원하는지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르다.



영화에서 컴퓨터로 생성하거나 대체하는 이미지가 증가하고, 이미지 편집 처리의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최고급 기종으로 HD 형식을 사용하여 영화 촬영을 하는 감독도 나타났다. HD 비디오는 SD 비디오에 비해 매우 고품질이며, 필적할 만한 필름 감도의 신호 대 잡음비(SN비)로 개선되었지만, 필름은 HD 비디오 형식보다 더 정밀하게 이미지를 해상할 수 있다. 또한, 필름에는 최고급 HD 카메라보다 더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어떤 화면의 가장 어두운 부분과 가장 밝은 부분을 해상 가능한 능력)를 가진 것도 있다. HD 사용의 주된 설명 의견으로는, 필름 스톡 비용 억제와 특수 효과 편집 시스템으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HD를 폭넓게 사용한 감독은 조지 루카스, 마이클 만, 로버트 로드리게스이다.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스타게이트 등, SF를 주제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많은 부분이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HD 디지털 비디오 촬영을 한 주요 영화는 다음과 같다.

4. 1. 대한민국 HD 방송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HD 방송 전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저소득층이 많은 지역보다는 부유층을 중심으로 먼저 전환이 이루어졌다. 전 세계적으로 60년 이상 PAL, NTSC, SECAM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방송이 전송되었으나, HD 형식을 포함한 디지털 방송 방식의 등장으로 아날로그 전송은 점차 종료될 예정이다.

4. 2. 온라인 HD 스트리밍

720p, 1080p 디스플레이를 가진 스마트폰 관련 내용은 다음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고해상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비교

4. 3. 비디오 게임에서의 HD

다음 게임기는 하드웨어 성능상 지원하지만, 1080i, 720p, 1080p 중 어떤 해상도를 지원하는지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르다.

4. 4. 영화 제작에서의 HD

영화에서 컴퓨터로 생성하거나 대체하는 이미지가 증가하고, 이미지 편집 처리의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최고급 기종으로 HD 형식을 사용하여 영화 촬영을 하는 감독도 나타났다. HD 비디오는 SD 비디오에 비해 매우 고품질이며, 필적할 만한 필름 감도의 신호 대 잡음비(SN비)로 개선되었지만, 필름은 HD 비디오 형식보다 더 정밀하게 이미지를 해상할 수 있다. 또한, 필름에는 최고급 HD 카메라보다 더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어떤 화면의 가장 어두운 부분과 가장 밝은 부분을 해상 가능한 능력)를 가진 것도 있다. HD 사용의 주된 설명 의견으로는, 필름 스톡 비용 억제와 특수 효과 편집 시스템으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HD를 폭넓게 사용한 감독은 조지 루카스, 마이클 만, 로버트 로드리게스이다.[1]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스타게이트 등, SF를 주제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많은 부분이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

HD 디지털 비디오 촬영을 한 주요 영화는 다음과 같다:[1]

5. 용어

마이크로소프트는 일본에서 게임기를 선전할 때, 고선명(high definition)의 약칭으로 '''하이데후'''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HD 화질을 소개했다. 일반적으로 풀 스펙 하이비전은 1080i를 가리킨다. 개발 초기 NHK는 '''고품위 텔레비전'''이라는 명칭으로 개발했으며, 소니는 '''HDVS'''라는 명칭으로 방송 기기를 제조, 판매했다.

참조

[1] 서적 Scalable Continuous Media Streaming Systems: Architecture, Desig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5
[2] 학술지 An HDTV Coding Scheme using Adaptive-Dimension DCT https://books.google[...] Elsevier 1993-10-26
[3] 학술지 How I Came Up With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https://www.scribd.c[...] 1991-01
[4] 서적 Standard Codecs: Image Compression to Advanced Video Coding https://books.googl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03
[5]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mputer Conference 2006 on Wavelet Active Medi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Chongqing, China, 29-31 August 2006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6
[6] 서적 Video on demand: Research Paper 94/68 https://researchbri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9-09-20
[7] 법규 Commission Regulation (EU) 2021/341 of 23 February 2021 amending Regulations (EU) 2019/424, (EU) 2019/1781, (EU) 2019/2019, (EU) 2019/2020, (EU) 2019/2021, (EU) 2019/2022, (EU) 2019/2023 and (EU) 2019/2024 with regard to ecodesign requirements for servers and data storage products, electric motors and variable speed drives, refrigerating appliances, light sources and separate control gears, electronic displays, household dishwashers, household washing machines and household washer-dryers and refrigerating appliances with a direct sales function
[8] 웹사이트 Why HD movie downloads are a big lie https://www.zdnet.co[...] Ziff-Davis 2007-05-31
[9] 문서 Formerly "Amazon Unbox", which now refers to a video player software, and later "Amazon Video on Demand".
[10] 웹사이트 Amazon.com -- News Release http://phx.corporate[...] 2006-09-07
[11] 웹사이트 Amazon.com: Help > Digital Products > Amazon Video On Demand https://www.amazon.c[...]
[12] 웹사이트 What do I need to know about HD on BBC iPlayer? http://iplayerhelp.e[...] BBC
[13] 웹사이트 What do I need to know about HD on BBC iPlayer? http://iplayerhelp.e[...] BBC
[14] 문서 During live events "BBC iPlayer" streams have a resolution of 1024×576.
[15] 웹사이트 CBS.com - HD Video - System Requirements http://www.cbs.com/h[...] CBS.com
[16] 웹사이트 Streaming Protocols for Flash, RTMP, H.264 & VP6 https://www.dacast.c[...] Dacast
[17] 웹사이트 Live Streaming Solution https://www.dacast.c[...] Dacast
[18] 웹사이트 Hulu - About http://www.hulu.com/[...] Hulu
[19] 웹사이트 Hulu - About http://www.hulu.com/[...] Hulu
[20] 웹사이트 Hulu - About http://www.hulu.com/[...] Hulu
[21] 웹사이트 Video quality reference table from best to worst https://www.apple.co[...]
[22] 웹사이트 MetaCDN Technical Specs http://www.metacdn.c[...] MetaCDN
[23] 웹사이트 Live Streaming Service http://www.metacdn.c[...] MetaCDN
[24] 블로그 The Official Netflix Blog: Encoding for streaming http://blog.netflix.[...] Netflix 2008-11-06
[25] 뉴스 You Can Now Stream 4K Netflix on Windows 10 http://www.makeuseof[...]
[26] 웹사이트 Internet Connection Speed Recommendations https://help.netflix[...]
[27] 블로그 The Official Netflix Blog: Encoding for streaming http://blog.netflix.[...] Netflix 2008-11-06
[28] 웹사이트 Online Video Content Distribution: Sony's PlayStation 3 Enters The Ring (Albeit With A Sound-Hampered Hand Tied Behind Its Back) http://www.edn.com/b[...] EDN 2008-07-17
[29] 웹사이트 Vimeo - Compression guidelines on Vimeo http://staging.vimeo[...] Vimeo 2020-01
[30] 웹사이트 Vimeo - Compression guidelines on Vimeo http://staging.vimeo[...] Vimeo 2020-01
[31] 웹사이트 Vimeo - Compression guidelines on Vimeo http://staging.vimeo[...] Vimeo 2020-01
[32] 웹사이트 Vimeo - Compression guidelines on Vimeo http://staging.vimeo[...] Vimeo 2020-01
[33] 웹사이트 Showdown: Apple TV vs. VUDU http://www.hdtvmagaz[...] HDTV Magazine 2008-02-21
[34] 웹사이트 Streaming Requirements http://speedtest.vud[...] Vudu
[35] 웹사이트 Streaming Requirements http://speedtest.vud[...] Vudu
[36] 문서
[37] 웹사이트 XBox Video https://web.archive.[...] Microsoft 2012-11-08
[38] 웹사이트 High Megapixel Cameras – It's Not Just About Quality https://www.security[...] SecurityMagazine 2020-01-28
[39] 웹사이트 3 Ways Multi-Sensor Cameras Alter the Video Surveillance Landscape https://www.security[...] SecurityInfoWatch 2018-06-15
[40] 웹사이트 PlayStation 3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SCEA 2008-01-14
[41] 웹사이트 Microsoft prepares major update to Xbox Live https://arstechnica.[...] 2006-10-30
[42] 웹사이트 Iwata Asks: E3 2011 Special Edition https://www.nintendo[...] 2011-06
[43] 웹사이트 Nintendo Wii U supports 1080p, CPU and GPU confirmed https://www.eurogame[...] 2012-06-05
[44] 웹사이트 Is Nintendo Switch 4K? An overview of resolution on the portable console https://www.techrada[...] 2022-03-08
[45] 웹사이트 4K is the wrong target for Xbox One X and PS4 Pro https://www.theverge[...] 2017-06-20
[46] 웹사이트 PS5 vs Xbox Series X: which next-gen console should you buy? https://www.techrada[...] 2023-01-19
[47] 웹사이트 Samsung promises big things with the first DisplayPort 2.1 8K ultrawide monitor https://www.pcgamer.[...] 2022-11-04
[48] 웹사이트 Are ultrawide monitors worth it? https://www.pcworld.[...] 2021-07-12
[49] 웹사이트 How to set up three monitors for super ultrawide gaming https://www.rockpape[...] 2018-03-01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웹인용 1366x768 resolution problems on HDTV, HD-Ready, and High Definition TV https://web.archive.[...] 2008-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