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용희는 재일 한국인 출신으로, 북한의 무용가이자 김정일의 세 번째 부인이다. 1952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나 만수대예술단에서 무용수로 활동하다가 김정일과 결혼하여 김정철, 김정은, 김여정을 낳았다. 2000년대 초 유선암으로 투병하다가 2004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고용희에 대한 우상화 시도가 있었으나, 재일 조선인 출신이라는 배경 때문에 한계에 직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용가 - 정칠성
정칠성은 일제강점기 기생으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운동에 투신, 여성 계몽과 사회 부조리 개선을 주장하며 신간회와 근우회에서 항일 의식을 고취한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용가 - 김영순 (무용가)
김영순은 북한에서 무용배우와 여행자 상점 상업부장을 지낸 후 탈북하여 한국에서 한국전통문화예술협회 고문, 북한 민주화위원회 부위원장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특별강사로 활동하고 자전 수기를 출판한 무용가이다. - 일본의 무용가 - 후지마 후지코
후지마 후지코는 도키와즈 음악에 맞춰 남성 배역을 춤추는 데 뛰어났으며 국내외에서 활동한 일본의 무용가로, 여성 최초로 중요무형문화재(인간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일본 전통 무용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후지마류를 계승하며 예술적 유산을 남겼다. - 일본의 무용가 - 이시이 바쿠
이시이 바쿠는 일본의 무용가이자 안무가로, 독자적인 창작 부토를 개척하고, 현대 무용을 일본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으며,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일본 현대 무용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배우자 - 홍일천
홍일천은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북한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일과의 결혼과 이혼 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과 김형직사범대학 학장을 지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배우자 - 리설주
리설주는 김정은의 부인으로, 함경북도 청진시 출신으로 추정되며 중국에서 성악을 전공하고 은하수관현악단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고, 2012년 공식적으로 소개된 후 2018년부터 '여사' 칭호를 사용하며 활발한 외교 활동을 하고 있다.
고용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존경하는 어머니 |
이름 | 고용희 |
본명 | 다카다 히메 |
출생일 | 1952년 6월 26일 |
사망일 | 2004년 8월 13일 |
사망 원인 | 심장마비, 암 |
배우자 | 김정일 (1977년–2004년) |
출생지 | 오사카, 일본 |
사망지 | 평양, 북한 |
안장지 | 대성산, 평양 |
자녀 | 김정철 김정은 김여정 |
로마자 표기 | Go Yonghui |
한국어 이름 | |
한글 | 고용희 |
한자 | 高容姬 |
로마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 | Go Yonghui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Ko Yŏnghŭi |
로마자 표기 (영어식) | Ko Young-hee |
일본어 이름 | |
한자 | 高 容姫 |
후리가나 | コ・ヨンヒ |
무용가 정보 | |
직업 | 무용수 |
출생지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쓰루하시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매장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대성산 |
학력 | 평양음악무용대학 무용과 |
본관 | 제주 |
부모 | 고경택(부), 이맹인(모) |
친척 | 조부 고영옥, 큰아버지 고경찬, 여동생 고용숙 |
기타 정보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일본어 발음 (한음) | こう ようき |
일본어 발음 (오음) | こう ようき |
2. 생애
고용희는 1952년 6월 26일 일본 오사카부 이쿠노구 쓰루하시에서 재일 조선인 2세로 태어났다.[6] 아버지 고경택은 일본 제국 육군성이 운영하는 재봉 공장에서 일했으며,[9] 조선 16대손 학자 관료 고덕종의 후손이었다. 일본 이름은 다카다 히메(高田姫)였다.[8] 1961년 또는 1962년 5월, 가족과 함께 귀환 사업의 일환으로 북한으로 이주했다.[8][11] 1970년대 초, 평양 만수대예술단에서 무용수로 활동했다.[13]
1972년에 김정일을 처음 만났다고 알려져 있다.[13] 1981년 김정일과의 사이에서 첫 아들 김정철을 낳았고, 이후 둘째 아들 김정은과 셋째 딸 김여정을 낳았다.[14] 김정은은 현재 북한의 최고 지도자이다.
2004년 8월 27일, 여러 소식통은 그녀가 파리에서 유방암으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16] 다른 보도에 따르면, 2004년 봄 파리에서 치료를 받고 평양으로 돌아와 혼수상태에 빠진 후 같은 해 8월에 사망했다고 한다.[17]
고용희의 본명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었다. 2006년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은 공식적으로 "고춘행설"을 부정했지만, 일본에서는 고용희가 고태문의 딸 "고춘행"이라는 설이 정설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2011년 데일리NK의 고영기가 일본 공식 기록과 북한 공식 자료를 조사하여 "고춘행"설을 반박하고, "고영자"설을 제시했다. 이후 데일리NK의 취재를 통해 "고영희=고영자설"이 입증되었다.[46][47][48]
데일리NK에 따르면, 고용희의 아버지는 제주시 조천읍 출신 제주고씨 고경택(1913년생~1999년 사망)이고, 어머니는 이맹인(李孟仁)이다. 고경택은 1929년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의 군수 의복 및 천막 생산 공장에서 일했다.[50][51] 전후 밀항선을 운영하다 체포되어 1962년 강제 추방되어 북한으로 귀국했다.[50] 북한에서는 함경북도 명강화학공장 노동자로 일했다. 고용희는 북한에서 이름을 '영희(ヨンヒ)'로 바꾸고 평양음악무용대학을 졸업하여 “공훈배우”가 되었다.[46][47] '영희'로 개명한 것은 '영자(ヨンジャ)'가 일제 잔재로 여겨지는 '자(子)'가 붙은 일본식 이름이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52]
2. 1. 초기 활동
1952년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이쿠노구 이쿠노 코리아타운 부근의 쓰루하시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기록에는 제주도 북제주군 출신이라 한다.[63] 아버지는 1913년 8월 14일 제주도 출생으로 1929년 오사카로 건너간 일본 동포 고경택(1999년 사망)이고, 어머니 이맹인(1913년생), 여동생 고영숙(1955년?생)의 4인 가족이었으며 1952년생으로 되어 있다.[63] 일본 육군성이 1939년과 1942년에 작성한 '육군관리공장 명부' 비밀문서에 의하면 고용희의 부친 고경택은 육군성이 비밀로 지정한 오사카의 '히로타 군복공장'에서 일하는 등 구 일본군 협력자 역할을 한 것으로 기록되어있다.[64]1962년 재일조선인 북송사업 때 가족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건너갔다.[61] 1971년에 만수대예술단에 들어와 무용가로 활동했다. 만수대 예술단 무용단원으로 활동하다가 1970년 중반에 김정일의 아내가 되었다.[63] 이후의 행적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으며, 1998년 이후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자신의 후계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중국,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의 언론에 알려지게 되었고, 대한민국의 언론에도 그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1952년 6월 26일, 오사카부 이쿠노구 쓰루하시에서 조선인 아버지 고경택(Ko Gyon-tek, 1913년 8월 14일-1999년)과 어머니 이맹인(Lee Maeng-in, 1913년 8월 3일-?) 사이에서 태어난 재일 조선인 2세[23]이다. 일본 이름은 고다 히메(高田 姫)[24]이다. 북한의 공식적인 견해는 제주도 제주시 출생으로 되어 있다.
1962년, 9세 때 부모와 함께 북한의 함경북도로 이주했다.[22] 그 후, 평양예술대학에 입학하여 1971년경에는 만수대예술단에 들어가 무용가로 활동했다. 1972년, “공훈배우” 칭호를 받았다.[22] 1973년 7월부터 9월까지 만수대예술단의 일본 공연 당시에는 예술단 일원으로 “류일숙(柳日淑, 류일숙한국어)”이라는 예명으로 일본을 방문했다.[22][25] 고용희는 이때 “조국의 진달래”와 “부채춤”, “목동과 처녀”에서 주역을 맡았고, 피날레에서 기념사진을 찍을 때는 무대 중앙에 섰다.[25]
2. 2. 김정일의 부인
고용희는 1970년대 중반 김정일의 '즐거움조' 접대 역할을 맡았고, 비밀 파티에서 김정일의 눈에 띄어 그의 세 번째 부인이 되었다.[26] 1977년경 김정일과 동거를 시작하여 1981년에 김정철, 1984년에 김정은, 1988년에 김여정을 낳았다.[27]고용희는 김정일의 배우자로서 총애를 받았으며, 야심가였다.[29][30][31] 2000년대 이후 유방암으로 치료를 받았고 2003년 암이 재발, 사실상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65] 자신의 죽음을 직감한 고용희는 아들 중 한 명을 김 위원장의 후계자로 내세우려고 김정남과 그 세력을 견제했다.[66]
2001년, 김정남이 위조 여권으로 일본에 입국했다가 발각, 추방되는 사건이 발생했다.[30] 일각에서는 고용희가 정남의 후계자 선정을 견제하기 위해 위조여권으로 일본을 방문한다는 정보를 흘리도록 했다는 설이 있다.[66]
2003년 9월 교통사고로 머리를 크게 다쳐 건강이 더욱 악화됐으며, 프랑스 의료진이 극비리에 방북하거나 파리의 병원에서 치료를 받기도 했다.[65] 2004년 8월 13일 프랑스 파리에서 치료 중, 심장마비, 암으로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67] 묘비에는 2004년 5월 24일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68]
2. 3. 사망
2000년대 이후 유방암으로 치료를 받았고 2003년 암이 재발, 사실상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65] 자신의 죽음을 직감한 고용희는 아들 중 한 명을 김 위원장의 후계자로 내세우려고 장남 김정남과 그 세력을 견제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66]2003년 9월 교통사고로 머리를 크게 다쳐 건강이 더욱 악화됐으며, 그 해 프랑스 의료진이 극비리에 방북한데 이어 2004년에는 파리의 한 병원에서 종양 및 뇌 관련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65] 2002년 5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국가보위부장직을 맡게 된 김정남이 일본에 위조 여권으로 입국했다가 발각, 추방되면서 국가보위부장직에서도 해임되었다. 이때 일각에서는 고용희가 정남의 후계자 선정을 견제하기 위해 위조여권으로 일본을 방문한다는 정보를 흘리도록 했다는 설이 있다.[66]
고용희는 2004년 8월 13일 프랑스 파리에서 치료 중, 심장마비, 암으로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그로부터 3개월 전인 5월경에 이미 숨졌을 가능성도 있다.[67] 이후 공개된 묘비에서 2004년 5월 24일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68] 2003년, 그녀는 유방암이 재발했고, 2004년 여름, 파리의 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사망했다.[35] 시신은 화려한 관에 담겨 특별기로 북한까지 운송되었다.[40] 북한 정부는 국교가 없는 프랑스에서 "국모"의 사망에 당황했다. 당시 한국 정부가 시신 수습과 평양으로의 운송을 도왔다는 보도가 있다.[41]
고영희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남편인 김정일은 울부짖었다고 한다. 고영희는 죽기 직전, 친자식인 김정철과 김정은을 김정일의 개인 비서였던 김옥에게 맡겼다고 한다.
3. 김정은 시대의 우상화 시도와 한계
일본 산케이신문은 김일성이 김정은을 손자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김일성은 김정은의 모친인 고용희가 재일교포 출신의 만수대예술단 무용수로 비밀 파티의 접대부였다는 점 등을 들어 김정일의 측실(첩)로 취급했다고 전해진다.[74] 고용희가 김정은과 김정철 등 아들을 낳았으나, 김일성은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을 후계자로 보았으며, 김정은 등은 정식 손자로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74]
2013년 이후부터 고용희에 대한 우상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동안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던 고용희의 동영상이 북조선 주민에게 배포된 것으로 알려졌다.[75] 그러나 북한의 신분제 체계 하에서 고용희의 조선계 일본인 출신이라는 배경은 그녀를 최하층 "적대" 계급으로 만들었다.[8] 게다가 그녀의 아버지는 일본 제국 육군의 재봉 공장에서 일했는데, 이는 북한에서 그녀에게 "상상할 수 있는 최저의 지위"를 부여했다.[8]
김정은 집권 이후 공개된 내부 선전 영화 이전에, 강반석(김일성의 어머니)과 김정숙(김일성의 첫 번째 부인이자 김정일의 어머니)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용희를 우상화하려는 시도가 세 차례 있었다.[18] 그러나 이러한 이전의 우상화 시도는 김정일의 2008년 뇌졸중 이후 실패하고 중단되었다.[8]
고용희를 중심으로 한 인격숭배를 구축하는 것은, 그녀의 일본인 어머니로 인한 좋지 않은 ''송분''이라는 문제에 직면했다.[19] 그녀의 신분을 공개하는 것은 김씨 일가의 순수 혈통을 훼손했을 것이며,[8] 김정일 사후 그녀의 개인 정보, 이름을 포함하여 국가 기밀이 되었다.[18] 고용희의 실명과 기타 개인 정보는 북한에서 공개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녀는 "위대한 송군 조선의 어머니" 또는 "위대한 어머니"로 불린다.
2012년 김정은은 태성산에 고용희의 묘를 조성했다.[20][21]
2002년경부터 김정일은 후계자로 여겼던 김정은의 생모인 고용희를 “공화국의 경애하는 어머니”로 숭배하는 운동을 추진했다.[34] 하지만, 그녀의 아버지가 일본 제국 육군 관할의 군수공장 간부로 일했던 사실이 조선총련을 통해 북한 내부에 알려질 것을 우려하여 중단되었다고 한다.[43]
2024년 6월, 자유아시아방송(RFA)은 같은 해 3월부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가 고용희 관련 기록영화, 사진, 서적, 그림 등을 파기하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중앙위원회는 파기 지시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지만, RFA는 고용희의 출신 배경(재일 조선인)이 관련이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44]
4. 가계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증조부 | 고두행(高道行) | 1833년 ~ 1910년 | |
증조모 | 불명 | ||
백조부 | 고영호(高英浩) | 1867년 ~ 1894년 | |
조부 | 고영옥(高英玉) | 1876년 ~ 1945년 | |
조모 | 불명 | ||
큰아버지 | 고경찬(高慶燦) | 1903년 ~ 1998년 | 백조부 고영호의 양자로 출계 |
큰아버지 | 고경원(高慶元) | 1909년 ~ 1997년 | |
아버지 | 고경택(高慶澤) | 1913년 ~ 1999년 | |
적모 | 청주 한씨 | 1915년 ~ 1975년? | |
이복오빠 | 고용훈(또는 고영훈) | 1935년 ~ | |
이복오빠 | 고봉훈 | 1936년 ~ | |
이복오빠 | 고기훈(또는 고인훈) | 1937년 ~ | |
이복오빠 | 고광훈 | ||
이복오빠 | 고철훈 | ||
어머니 | 이맹인 | 1913년 ~ ? | 양명녀로 잘못 기록된 것으로 추정 |
오빠 | 고동훈 | 고상훈에서 개명 | |
여동생 | 고용숙(高容淑) | 1955년 ~ | |
제부 | 리강 |
5. 기타
일부 언론에서는 고용희가 북송교포 출신으로 1960년대 북송되었으며, 북한 유도의 창시자인 고태문의 딸이라고 보도했었다. 그러나 2006년 12월 22일, 국가정보원은 고(故) 고태문 씨의 전기를 출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춘행(高春幸) 씨는 고용희와 동일인이 아니라고 발표했다.[69] 국가정보원은 고춘행은 1950년생으로 고태문의 딸이지만, 고용희는 1953년생으로 고경택의 딸이라고 밝혔다.[69][62]
2012년 6월경 평양 대성산에 고용희의 무덤이 조성되었다.[72] 묘비에는 사진과 함께 "선군조선의 어머님 고용희"라는 문자가 한글로 새겨져 있었으며, "1952년 6월 26일 출생, 2004년 5월 24일 서거"로 생년월일과 사망일도 명기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김정은의 모친이 고용희임이 확인되었다.[73] 이전까지 고용희의 실명은 북한에서 공표되지 않았고, 일본 언론을 통해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이름이 '고영희'가 아닌 '고용희'인 것이 밝혀졌다.[73]
북한의 신분제 체계 하에서 고용희의 조선계 일본인 출신이라는 배경은 그녀를 최하층 "적대" 계급으로 만들었다. 게다가 그녀의 아버지는 일본 제국 육군의 재봉 공장에서 일했는데, 이는 북한에서 그녀에게 "상상할 수 있는 최저의 지위"를 부여했다.[8]
김정은 집권 이후 공개된 내부 선전 영화 이전에, 강반석(김일성의 어머니)과 김정숙(김일성의 첫 번째 부인이자 김정일의 어머니)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용희를 우상화하려는 시도가 세 차례 있었다.[18] 그러나 이러한 우상화 시도는 김정일의 2008년 뇌졸중 이후 실패하고 중단되었다.[8]
고용희를 중심으로 한 인격숭배 구축은, 그녀의 일본인 어머니로 인한 좋지 않은 '송분'이라는 문제에 직면했다.[19] 그녀의 신분을 공개하는 것은 김씨 일가의 순수 혈통을 훼손하는 것이었으며,[8] 김정일 사후 그녀의 개인 정보는 국가 기밀이 되었다.[18] 고용희의 실명과 기타 개인 정보는 북한에서 공개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녀는 "위대한 송군 조선의 어머니" 또는 "위대한 어머니"로 불렸다.
2001년에 김씨 일가 전속 요리사였던 藤本健二(후지모토 겐지)가 북한에서 탈출할 때 고용희가 편의를 봐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뉴스
김정은 이모부 "고영희 본명은 고용희...권력 비정함 때문에 망명"
http://news.kbs.co.k[...]
2015-12-09
[2]
뉴스
북 김정은 어머니 고영희 묘비명은 '고용희'
http://www.yonhapnew[...]
2012-08-02
[3]
서적
Great leader, dear leader: demystifying North Korea under the Kim Clan
Silkworm Books
2005
[4]
서적
North Korea: the paranoid peninsula -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07
[5]
뉴스
North Korea: The Glorification Nation
http://www.dailynk.c[...]
2012-06-30
[6]
웹사이트
Ikuno Ward: Osaka's Own Korea Town
https://www.osaka.co[...]
2020-03-06
[7]
뉴스
Osaka black mark in Kim's life? and Ko Tae Mun, Ko Chung Hee, and the Osaka Family Origins of North Korean Successor Kim Jong Un
http://www.asahi.com[...]
2010-12-01
[8]
뉴스
Happy Birthday, Koh Young Hee
http://www.dailynk.c[...]
2012-06-26
[9]
뉴스
NK leader's secret 'pro-Japanese' family history revealed
https://www.koreatim[...]
2013-12-24
[10]
뉴스
Kim Jong-un's grandfather 'was Japanese collaborator'
http://www.abc.net.a[...]
2012-05-11
[11]
뉴스
Young general comes out as mother's boy
http://www.atimes.co[...]
2012-07-14
[12]
뉴스
Kim Jong-un's aunt fled to U.S.; She and husband sought asylum in 1998, had cosmetic surgery
http://koreajoongang[...]
2013-11-05
[13]
뉴스
Ko Young Hee Image Uncovered
http://www.dailynk.c[...]
2011-05-31
[14]
뉴스
Kim Jong-un's sister is having a ball
http://koreajoongang[...]
2012-08-08
[15]
웹사이트
Kim Yo Jong
https://nkleadership[...]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2012-07-11
[16]
서적
Kim Jong II: Leader of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Rosen Publishing Group
2007
[17]
뉴스
A Mystery About a Mistress in North Korea
https://www.nytimes.[...]
2004-08-27
[18]
뉴스
"Great Mother" revealed to World
http://dailynk.com/e[...]
2012-07-30
[19]
뉴스
North Korea's new class system
http://www.atimes.co[...]
2011-12-03
[20]
웹사이트
Ko Yong-hui Grave
http://www.rfa.org/k[...]
2016-03-30
[21]
웹사이트
Kim Jong-un's mother's grave (Ko Yong-hui)
http://www.nkeconwat[...]
2016-04-08
[22]
뉴스
金正恩委員長の生母・高容姫氏、1973年の日本公演当時の写真見つかる
https://japanese.joi[...]
2018-04-16
[23]
뉴스
Osaka black mark in Kim's life? and Ko Tae Mun, Ko Chung Hee, and the Osaka Family Origins of North Korean Successor Kim Jong Un
http://www.asahi.com[...]
2010-12-01
[24]
웹사이트
'The Great Successor': The making of Kim Jong Un, North Korea's despot leader
https://www.japantim[...]
2019-06-08
[25]
웹사이트
金正一秘録(43)(2015年9月22日、李相哲)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6]
서적
マンガ金正日入門 拉致国家北朝鮮の真実
2003
[27]
서적
ファイフィールド
2020
[28]
서적
朴
2018
[29]
서적
ファイフィールド
2020
[30]
서적
ファイフィールド
2020
[31]
서적
ファイフィールド
2020
[32]
서적
重村
2012
[33]
서적
重村
2012
[34]
서적
李相哲
2011
[35]
뉴스
김정일 부인 고영희 사망설
2004-08-26
[36]
뉴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부인 고영희씨 사망 가능성 높다고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2004-08-26
[37]
뉴스
김정일 위원장 부인 고영희 씨 13일 사망
https://www.kbs.co.k[...]
KBS뉴스9
2004-08-30
[38]
뉴스
고영희 씨 사망, 후계 구도 변화는?
https://www.kbs.co.k[...]
KBS뉴스9
2004-08-30
[39]
뉴스
김정일 국방위원장, 부인 고영희씨 6월 프랑스에서 사망 밝혀져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2004-09-01
[40]
간행물
고영희는 파리의 조르주 퐁피두 유럽병원에서 사망했을까
http://www.hokkaido-[...]
北海道365
2007-07-11
[41]
뉴스
작년 4월의 우암각 습격사건은 「평양판 왕자의 난」(2)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0-10-13
[42]
서적
(중략)
(중략) # 저자와 책 제목 정보 부[...]
(중략)
2012
[43]
뉴스
<김정은을 말하다> 후계 권력을 장악한 로열 패밀리의 삼남(1)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날짜 정보 없음)
[44]
웹사이트
북한의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가 김정은 총서기의 생모 고용희 씨의 기록영화나 영상의 파기를 명령 일본 태생의 출신을 우려하는가
https://www.news-pos[...]
2024-07-05
[45]
간행물
3명의 고영희를 쫓아서
(URL 정보 없음)
문예춘추
2012-01-31
[46]
간행물
김정은의 어머니 「고영희」는 “다른 사람”이었다
(URL 정보 없음)
주간문춘
2011-06-02
[47]
서적
고체비여, 탈북의 강을 건너라—중국 국경 체류기—
(URL 정보 없음)
신초사
2012
[48]
서적
김정은 핵을 가진 오보챠마군, 그 얼굴
(URL 정보 없음)
보도사신서
2013
[49]
뉴스
김정은 조부는 제주고씨 31세 손
http://www.rfa.org/k[...]
라디오 프리 아시아
2012-02-09
[50]
뉴스
고영희 「김정은과 오사카를 잇는 기이한 혈통(2) 우상화에 가로막는 실모 ‘고영희’」
http://dailynk.jp/ar[...]
데일리 NK 재팬
2015-12-14
[51]
뉴스
【단독】김정은 외가의 “친일 행적”…”반쪽 백두혈통” 쉬쉬
http://www.ytn.co.kr[...]
YTN
2013-12-14
[52]
뉴스
밝혀진 김정은의 생모 고영희의 실상
http://dailynk.jp/ar[...]
데일리 NK 재팬
2011-12-23
[53]
뉴스
노동신문에 기록된 고영희는 김정은의 실모인가?
http://dailynk.jp/ar[...]
데일리 NK 재팬
2012-02-14
[54]
뉴스
김정은과 오사카를 잇는 기이한 혈통(1) 모두 귀국 운동에서 시작되었다
http://dailynk.jp/ar[...]
데일리 NK 재팬
2015-12-14
[55]
일반텍스트
[56]
일반텍스트
[57]
일반텍스트
[58]
웹인용
≪새만금일보≫ 김정은의 생모 고용희
http://www.smgnews.c[...]
2016-08-11
[59]
웹인용
[추적] 죽은 고영희를 대신한 김정일의 네 번째 여자 정일선의 정체
http://monthly.chosu[...]
2004-10-06
[60]
웹인용
[단독전재] 고영희가 공개한「김정일과의 로맨스」
http://monthly.chosu[...]
2006-12-30
[61]
웹사이트
김정은 생모 고영희는 누구인가?
http://www.dailynk.c[...]
[62]
웹사이트
김정은 생모 미공개 사진…"본명은 고희훈"
http://www.dailynk.c[...]
[63]
웹인용
데일리NK - 김정일의 여자관계, 수많은 희생 불러
http://www.dailynk.c[...]
2008-07-18
[64]
뉴스
김정은 외조부 친일행적 日 극비문건 발견
https://news.naver.c[...]
YTN
2013-12-24
[65]
뉴스
김정일 부인 고영희 지난 13일 사망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8-30
[66]
뉴스
<김정일 사망> `장군님 여인' 4명의 인생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1-12-19
[67]
뉴스
북 고영희 3개월전 사망
http://news.nate.com[...]
문화일보
2004-09-01
[68]
뉴스
북, 김정은母 고영희 묘 평양에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2-07-21
[69]
뉴스
<국정원, `고춘행≠고영희' 거듭 확인>
https://news.naver.c[...]
(출처 미상)
(날짜 미상)
[70]
뉴스
“김옥 … 고영희가 아들 돌볼 인물로 발탁”- 중앙일보 뉴스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날짜 미상)
[71]
뉴스
김옥 관심 집중…"고영희가 아들 돌볼 인물로 발탁"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2008-09-13
[72]
뉴스
北, 고영희 일본 태생 안숨기고 우상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10-30
[73]
뉴스
北 김정은 어머니 고영희 묘비명은 '고용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8-02
[74]
뉴스
北 김일성, 김정은 손자로 인정안했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2-15
[75]
뉴스
'김정일과 백마 타고…' 영상으로 본 김정은 생모
https://news.naver.c[...]
JTBC
2013-12-20
[76]
뉴스
[뉴스 따라잡기] 김정일이 곁에 둔 여성들
http://news.kbs.co.k[...]
KBS
2011-12-20
[77]
블로그
김정일~가계도
http://andocu.t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