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육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육군성은 1872년 병부성에서 분리되어 해군성과 함께 설립된 일본 제국의 육군 행정 기관이다. 초기에는 프랑스식 군정 체제를 따랐으나, 참모본부 설치(1878년)와 교육총감부 독립(1900년)을 거치며 프로이센식으로 개편되었다. 육군 대신은 국무대신이자 친임관이었으며,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를 통해 육군 대신 임명에 현역 육군 중장·대장의 자격을 제한하기도 했다. 1941년 도쿄로 청사를 이전했고, 1945년 제1복원성으로 개편된 후, 1947년 폐지되어 후생성 제1복원국으로 흡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육군의 기관 - 육군항공총감부
육군항공총감부는 1938년 일본 도쿄에 설립되어 육군 항공 병과의 교육 및 기술 훈련을 담당했으며, 1945년 항공총군 편성으로 폐쇄되었다. - 일본 제국 육군의 기관 - 참모본부 (일본)
참모본부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령 기관으로, 군정에서 독립하여 군령권을 행사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침략 전쟁을 주도하며 여러 사건과 논란의 중심에 섰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되어 일본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일본의 폐지된 중앙 성청 - 일본 철도성
일본 철도성은 메이지 시대에 설립되어 교통통신부로 통합되기 전까지 일본의 철도 administration을 담당했던 행정 기관으로, 철도망 정비, 전기화 추진, 육상 교통 부문 관할 등의 사업을 수행했다. - 일본의 폐지된 중앙 성청 - 일본 해군성
일본 해군성은 187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해군 군정을 담당하며 해군 정책을 총괄하고 태평양 전쟁을 주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해군과 함께 폐지되었다.
일본 육군성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일반 정보 | |
유형 | 정부 기관 |
관할 | 일본 제국 육군 |
본부 위치 | 도쿄도신주쿠구이치가야혼무라 정 |
전신 | 병부성 |
창설일 | 1872년 4월 |
해체일 | 1945년 11월 |
후신 | 방위성 |
주요 인물 | |
초대 육군대신 | 오야마 이와오 |
마지막 육군대신 | 시모무라 사다무 |
조직 | |
내부 부서 | 군마국, 군무국, 인사국, 병기국, 정비국, 병무국, 경리국, 의무국, 법무국 |
산하 기관 | 군마보충부 선박사령부 육군기갑본부 육군병기행정본부 육군연료본부 육군육운부 육군운송부 육군축성부 육군항공본부 육군휼병부 |
2. 연혁
1872년 2월, 병부성에서 분리되어 해군성과 함께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프랑스식 군제를 도입하여 군정과 군령을 일원적으로 통괄하였으나, 이후 프로이센식으로 바꾸어 군령 기관을 독립시켰다. 1878년 참모본부가 설립되었고, 1900년에는 전문 교육을 중시하여 교육 기관인 교육총감부를 독립시켜 순수한 군정 기관이 되었다.[1]
1900년 야마가타 아리토모 내각은 정당의 군사 문제 개입을 막기 위해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를 법제화했다.[1] 이 제도는 현역 육군 대장이나 중장만이 육군 대신이 될 수 있도록 규정했다. 1913년 야마모토 곤노효에 내각에서 이 제도가 폐지되어 예비역도 임명될 수 있게 되었으나, 1936년 히로타 코키 내각 시절 육군 참모 본부의 주장으로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가 부활했다.[1] 이와 함께 일본 제국 육군은 대본영의 허가 없이는 장군이 정치적 직책을 맡는 것을 금지했다. 이러한 조치로 일본 제국 육군은 육군 대신 지명에 대한 사실상의 거부권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대의 민주주의를 약화시키고 일본 군국주의가 부상하는 핵심 원인이 되었다.
1941년 12월 8일부터 15일까지 참모본부, 교육총감부, 육군항공본부, 육군항공총감부 등이 미야케자카에서 우시고메구 이치가야의 육군사관학교 부지로 이전했다.[1]
1945년 12월 1일 육군성은 제1복원성으로 개편되었고('제1복원성 관제' 1945년 11월 30일 칙령 제675호), 1946년 6월 14일 구 해군성을 계승한 제2복원성과 통합하여 복원청이 되었다가 1947년 10월 폐지되었다.[1]
2. 1. 초기 설립 (1872년 ~ 1878년)
1872년 2월, 병부성에서 분리되어 해군성과 함께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프랑스식 군제를 도입하여 군정과 군령을 일원적으로 통괄하였다. 이후 1878년 참모본부가 설립되면서 군령 기관이 독립되었다.[1]2. 2. 제도 개혁 (1878년 ~ 1900년)
1872년 병부성에서 분리되어 해군성과 함께 설치되었다. 처음에는 태정대신의 통제 하에 군정과 군령을 일원적으로 통괄하는 프랑스 방식의 육군 조직으로 출범했지만, 이후 군령 기관을 독립시킨 프로이센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1878년에는 참모본부가 설치되었고, 1900년에는 전문 교육 중시를 위해 교육 기관으로서 교육총감부를 독립시켜 순수한 군정 기관이 되었다.[1]2. 3.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 (1900년 ~ 1945년)
1900년 야마가타 아리토모 총리에 의해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가 법제화되어 정당의 군사 문제 개입을 억제했다.[1] 이 제도는 현역 육군 대장, 중장만이 육군 대신에 임명될 수 있도록 규정했다. 1913년 야마모토 곤노효에 행정부 하에서 이 제도가 폐지되어 예비역도 임명 가능하도록 개정되었다. 그러나 1936년 히로타 코키 총리 시절, 육군 참모 본부의 주장으로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가 부활했다.[1] 동시에 일본 제국 육군은 대본영의 허가 없이는 장군이 정치적 직책을 맡는 것을 금지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일본 제국 육군에게 육군 대신 지명에 대한 실질적인 거부권을 부여했으며, 대의 민주주의의 약화와 일본 군국주의 부상에 핵심적인 요인이 되었다.2. 4. 청사 이전과 종전 (1941년 ~ 1945년)
1941년 12월 8일부터 15일까지 참모본부, 교육총감부, 육군항공본부, 육군항공총감부 등이 미야케자카에서 우시고메구 이치가야의 육군사관학교 부지로 이전했다.[1]1945년 12월 1일 육군성은 제1복원성으로 개편되었고('제1복원성 관제' 1945년 11월 30일 칙령 제675호), 1946년 6월 14일 구 해군성을 계승한 제2복원성과 통합하여 복원청이 되었다. 1947년 10월 복원청은 폐지되었다.[1]
3. 조직
1872년 4월, 메이지 정부는 병부성을 대체하기 위해 해군성과 함께 육군성을 창설했다.[3] 초기에는 육군성이 일본 제국 육군의 행정과 작전 지휘를 모두 담당했지만, 1878년 12월 일본 제국 육군 참모 본부가 창설되면서 행정 기능만 남게 되었다. 육군성은 육군 예산 확보, 무기 조달, 인사, 국회 및 내각과의 관계, 그리고 광범위한 군사 정책 관련 문제를 담당했다.[3]
육군성은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행정 업무를 분담했다. 육군 차관 아래에 주요 부서인 국(局)이 있었고, 그 아래에 부(部)와 본부(本部)가 설치되었다. 각 국의 소관 사무는 다음과 같다.
국 | 소관 사무 |
---|---|
군무국 | 국방 정책, 육군 건제, 편성 및 동원 계획, 예산 등 군정의 핵심 업무 |
인사국 | 장교 및 군속의 인사 관리, 상훈, 징집 등 |
병기국 | 무기 및 탄약 등 군수품의 연구, 개발, 생산, 조달 |
정비국 | 전시 자원 동원, 군수품 통제 및 보급 |
병무국 | 군기 및 풍기 유지, 군사 관련 법규, 군마 관리 등 |
경리국 | 육군 예산, 회계, 건축, 피복 등 |
의무국 | 군의, 위생 관련 업무 |
법무국 | 군사 재판, 군법 관련 업무 |
이 외에도 육군성은 외부 기관으로 육군축성부, 육군운수부, 육군항공본부, 육군기술본부, 육군조병창, 육군선박사령부, 육군병기본부, 육군기갑본부, 육군병기행정본부, 육군연료본부, 육군육운부, 군마보충부, 육군휼병부 등을 두었다.
3. 1. 내부 부국
국 | 소관 사무 및 변천 과정 |
---|---|
군무국 | 국방 정책, 육군 건제, 편성 계획, 동원 계획, 예산 등 군정의 핵심 업무를 담당했다. 1890년 3월부터 1945년 12월 육군성 폐지 시까지 존속했으며, 군수 행정 및 국가 총동원 체제 등 육군 행정 전반을 담당했다. |
인사국 | 장교 및 군속의 인사 관리, 상훈, 징집 등을 담당했다. 1900년 5월 20일에 설립되었으며, 보임과와 은상과로 구성되었다. 1936년 8월 징모과가 신설되었고, 1938년에는 공적 조사부가 설치되었다. 1939년 징모과는 병무국 병비과로 이관되었다. |
병기국 | 무기, 탄약 등 군수품의 연구, 개발, 생산, 조달을 담당했다. 1908년 12월 21일부터 1942년 10월 15일까지 존속했으며, 육군병기행정본부로 통합되었다. |
정비국 | 전시 자원 동원, 군수품 통제 및 보급을 담당했다. 1926년 10월 1일에 설치되어 1945년 4월 28일에 폐지되었으며, 업무는 군무국, 병무국, 육군연료본부로 이관되었다. |
병무국 | 군기 및 풍기 유지, 군사 관련 법규, 군마 관리 등을 담당했다. 1936년 8월 1일에 신설되었으며, 2·26 사건 이후 군기 및 풍기 감독 부서로서 군무국에서 분리 독립했다. 1939년 방비과는 폐지되고 병비과와 방위과가 신설되었다. |
경리국 | 육군 예산, 회계, 건축, 피복 등을 담당했다. 1872년 2월 27일 육군성 창설 시 설치된 회계국이 전신이며, 1873년 제5국으로 개칭되었다가 1879년 회계국으로 복귀, 1891년 8월 16일 경리국으로 개칭되었다. |
의무국 | 군의, 위생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1871년 7월 5일에 창설된 병부성 군의료가 전신이며, 1873년 군의부로 개편, 1879년 육군 군의 본부를 거쳐 1886년 2월 26일 의무국으로 개편되었다. |
법무국 | 군사 재판, 군법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1888년 11월 관제 개정으로 설치된 법관부가 전신이며, 1900년 5월에 법무국으로 설치되었다. |
3. 2. 외국
- 육군축성부: 1897년 9월 15일 설치.
- 육군병기창: 1897년 9월 15일 설치. 1940년 4월 1일 육군병기본부로 개편 통합.
- 육군운수부: 1904년 4월 1일 설치.
- 육군항공본부: 1915년 1월 30일 설치된 육군항공부가 전신. 1925년 4월 28일 개편.
- 육군기술본부: 1919년 4월 15일 설치.
- 육군조병창: 1923년 4월 1일 설치. 1940년 4월 1일 육군병기본부로 개편 통합.
- 육군선박사령부: 1937년 7월 설치된 제1선박 수송 사령부가 전신. 1940년 6월 선박 수송 사령부로 개칭되었고, 1942년 7월 9일 다시 개칭.
- 육군병기본부: 육군조병창 등을 통합·개편하여 1940년 4월 1일 설치.
- 육군기갑본부: 1941년 4월 10일 설치.
- 육군병기행정본부: 1942년 10월 15일, 육군병기본부 등을 개편.
- 육군연료본부: 1944년 3월 11일 설치.
- 육군육운부: 1945년 6월 16일 설치.
- 군마보충부: 1896년 5월 9일 설립.
- 육군휼병부: 장은 휼병감으로 인사국 은상과장의 겸무. 출정 병사에 대한 위문에 관한 업무.[3]
4. 역대 육군경 및 육군대신
'''역대 육군경'''(陸軍卿)일본어 및 '''육군대신'''(陸軍大臣)일본어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초상화 | 이름 | 재임 기간 | 내각 | |
---|---|---|---|---|---|
육군경 | |||||
야마가타 아리토모 | 1873년 4월 29일 | 1873년 6월 8일 | - | ||
사이고 주도 | 1874년 2월 8일 | 1874년 6월 30일 | - | ||
육군대신 | |||||
1 | ![]() | 오야마 이와오 | 1885년 12월 22일 | 1891년 5월 17일 | 제1차 이토 내각 |
구로다 내각 | |||||
제1차 야마가타 내각 | |||||
제1차 마쓰카타 내각 | |||||
2 | ![]() |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 1891년 5월 17일 | 1892년 8월 8일 | |
3 | -- | 오야마 이와오 | 1892년 8월 8일 | 1896년 9월 20일 | 제2차 이토 내각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 |||||
4 | -- |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 1896년 9월 20일 | 1898년 1월 12일 | |
5 | ![]() | 가쓰라 다로 | 1898년 1월 12일 | 1900년 12월 23일 | 제3차 이토 내각 |
제1차 오쿠마 내각 | |||||
제2차 야마가타 내각 | |||||
제4차 이토 내각 | |||||
6 | ![]() | 고다마 겐타로 | 1900년 12월 23일 | 1902년 3월 27일 | |
제1차 가쓰라 내각 | |||||
7 | ![]() | 데라우치 마사타케 | 1902년 3월 27일 | 1911년 8월 30일 | |
제1차 사이온지 내각 | |||||
제2차 가쓰라 내각 | |||||
8 | ![]() | 이시모토 신로쿠 | 1911년 8월 30일 | 1912년 4월 2일 | 제2차 사이온지 내각 |
9 | ![]() | 우에하라 유사쿠 | 1912년 4월 5일 | 1912년 12월 21일 | |
10 | ![]() | 기고시 야스쓰나 | 1912년 12월 21일 | 1913년 6월 24일 | 제3차 가쓰라 내각 |
제1차 야마모토 내각 | |||||
11 | ![]() | 구스노세 유키히코 | 1913년 6월 24일 | 1914년 4월 16일 | |
12 | ![]() | 오카 이치노스케 | 1914년 4월 16일 | 1916년 3월 30일 | 제2차 오쿠마 내각 |
13 | ![]() | 오시마 겐이치 | 1916년 3월 30일 | 1918년 9월 29일 | |
데라우치 내각 | |||||
14 | ![]() | 다나카 기이치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6월 9일 | 하라 내각 |
15 | ![]() | 야마나시 한조 | 1921년 6월 9일 | 1923년 9월 2일 | 다카하시 내각 |
가토 내각 | |||||
16 | 다나카 기이치 | 1923년 9월 2일 | 1924년 1월 7일 | 제2차 야마모토 내각 | |
17 | ![]() | 우가키 가즈시게 | 1924년 1월 7일 | 1927년 4월 20일 | 기요우라 내각 |
가토 내각 | |||||
제1차 와카쓰키 내각 | |||||
18 | ![]() | 시라카와 요시노리 | 1927년 4월 20일 | 1929년 7월 2일 | 다나카 내각 |
19 | -- | 우가키 가즈시게 | 1929년 7월 2일 | 1931년 4월 14일 | 하마구치 내각 |
20 | ![]() | 미나미 지로 | 1931년 4월 14일 | 1931년 12월 13일 | 제2차 와카쓰키 내각 |
21 | ![]() | 아라키 사다오 | 1931년 12월 13일 | 1934년 1월 23일 | 이누카이 내각 |
사이토 내각 | |||||
22 | ![]() | 하야시 센주로 | 1934년 1월 23일 | 1935년 9월 5일 | |
오카다 내각 | |||||
23 | 가와시마 요시유키 | 1935년 9월 5일 | 1936년 3월 9일 | ||
24 | ![]() | 데라우치 히사이치 | 1936년 3월 9일 | 1937년 2월 2일 | 히로타 내각 |
25 | ![]() | 나카무라 고타로 | 1937년 2월 2일 | 1937년 2월 9일 | 하야시 내각 |
26 | -- | 스기야마 하지메 | 1937년 2월 9일 | 1938년 6월 3일 | |
제1차 고노에 내각 | |||||
27 | ![]() | 이타가키 세이시로 | 1938년 6월 3일 | 1939년 8월 30일 | |
히라누마 내각 | |||||
28 | ![]() | 하타 슌로쿠 | 1939년 8월 30일 | 1940년 7월 22일 | 아베 내각 |
요나이 내각 | |||||
29 | ![]() | 도조 히데키 | 1940년 7월 22일 | 1944년 7월 22일 | 제2차 고노에 내각 |
제3차 고노에 내각 | |||||
도조 내각 | |||||
30 | -- | 스기야마 하지메 | 1944년 7월 22일 | 1945년 4월 7일 | 고이소 내각 |
31 | ![]() | 아나미 고레치카 | 1945년 4월 7일 | 1945년 8월 14일 | 스즈키 내각 |
32 | ![]()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 1945년 8월 17일 | 1945년 8월 23일 | 히가시쿠니 내각 |
33 | ![]() | 시모무라 사다무 | 1945년 8월 23일 | 1945년 12월 1일 | |
시데하라 내각 |
5. 한국과의 관계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 육군을 통제한 일본 육군성은 한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 육군성은 1910년 대한제국 강제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를 통해 한국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육군성은 한국 내 항일 무장 독립운동을 탄압하고, 일본의 식민 통치에 반대하는 모든 형태의 저항을 억압하는 데 앞장섰다.[1]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 육군성은 1945년 11월 연합군 점령 당국에 의해 해체되었다.[1] 그러나 육군성이 남긴 유산은 한일 국교 정상화 과정과 이후 한일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과거사 문제는 여전히 한일 관계의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남아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陸軍省
https://kotobank.jp/[...]
[2]
간행물
官報
1936-03-24
[3]
뉴스
陸軍省整備局に工政課、資源課などを新設
東京日日新聞
1939-01-13
[4]
간행물
官報
1934-03-06
[5]
서적
(제목 없음)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