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 사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유 사상은 스킴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준콤팩트, 분리, 유한형 사상이며, 값매김 조건을 만족하는 사상으로 정의된다. 고유 사상은 모든 유한 사상, 닫힌 몰입, 사영 공간에서 나타나며, 두 고유 사상의 합성이나 밑 변화 역시 고유하다. 나가타 콤팩트화 정리, 차우의 보조 정리 등과 관련이 있으며,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사영 대수다양체는 완비 대수다양체이지만, 역은 차원이 증가함에 따라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형식 스킴의 경우, 아디 사상이고 유도된 사상이 고유하면 고유 사상으로 정의되며, 가환성 정리가 성립한다.
스킴 사이의 사상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면 '''고유 사상'''이라고 한다.[31]
2. 정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다양체 에 대하여, 한 점으로 가는 사상 가 고유 사상이면, 를 '''완비 대수다양체'''라고 한다.[31] 이는 위상 공간의 콤팩트성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2. 1. 값매김 조건
'''고유성의 값매김 조건'''(valuative criterion of properness영어)에 따르면, 임의의 스킴 와 국소 뇌터 스킴 사이의 준콤팩트 분리 유한형 사상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32][31]
::
이 조건에서, "유일하게 존재한다"를 "존재한다면 유일하다"로 바꾸면, 분리 사상의 값매김 조건을 얻는다. 즉, 공역이 국소 뇌터 스킴인 유한형 사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값매김 조건이 존재한다.
조건 | 올림이 항상 존재? | 올림이 존재한다면 유일? |
---|---|---|
보편 닫힌 사상 | 예 | 아니오 |
분리 사상 | 아니오 | 예 |
고유 사상 | 예 | 예 |
모든 유한 사상은 고유 사상이다. 특히, 모든 닫힌 몰입은 고유 사상이다.[12]
여기서 "올림"은 값매김환의 닫힌 점의 포함 사상 에 대한 것이다.
슈발레에게서 유래된 고유성에 대한 매우 직관적인 기준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고유성의 평가 기준'''이라고 불린다. 뇌터 스킴 간의 유한 타입의 사상 ''f'': ''X'' → ''Y''가 있다고 가정하면, ''f''는 모든 이산 값매김환 ''R''과 분수체 ''K''에 대해, ''R''에서 정의된 점 ''f''(''x'')로 맵핑되는 모든 ''K''-값 점 ''x'' ∈ ''X''(''K'')에 대해, 로의 ''x''의 고유한 리프트가 존재할 경우에만 고유하다.
마찬가지로, ''f''는 모든 그러한 다이어그램에서 로의 리프트가 최대 하나만 존재할 경우에만 분리된다.
예를 들어, 평가 기준이 주어지면, 사영 공간 '''P'''''n''이 체 위(또는 심지어 '''Z''' 위에서도)에서 고유함을 확인하는 것이 쉬워진다. 단순히 분수체 ''K''를 가진 이산 값매김환 ''R''에 대해, 사영 공간의 모든 ''K''-점 [''x''0,...,''x''''n'']은 좌표를 스케일링하여 모두 ''R''에 있고 적어도 하나는 ''R''에서 단위가 되도록 함으로써 ''R''-점으로 유래한다는 것을 관찰한다.
고유 사상의 값매김 조건을 설명하는 예시 중 하나는 를 무한소 디스크로 해석하는 것이다.
의 이미지에서 점 를 채우는 것이 핵심이다.
3. 성질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스킴 사상 ⊇ 국소 유한형 사상 ⊇ 유한형 사상 ⊇ 고유 사상 ⊇ 유한 사상 ⊇ 닫힌 몰입
두 고유 사상의 합성은 고유하다.[17] 고유 사상의 밑 변환(base change)은 고유하다.[17] 즉, Z → ''Y''가 스킴의 임의의 사상이면, 결과적인 사상 ''X'' ×''Y'' ''Z'' → ''Z''는 고유하다.
고유성은 밑(의 자리스키 위상)에 대한 국소적 성질이다.[17] 즉, ''Y''가 몇몇 열린 부분 스킴 ''Yi''로 덮여 있고, 모든 ''f−1(Yi)''로의 ''f''의 제한이 고유하다면, ''f''도 고유하다. 더욱 강하게, 고유성은 fpqc 위상에서 밑에 대한 국소적 성질이다.[17] 예를 들어, ''X''가 체 ''k'' 위의 스킴이고 ''E''가 ''k''의 체 확대라면, ''X''가 ''k'' 위에서 고유한 것과 밑 변화 ''X''''E''가 ''E'' 위에서 고유한 것은 동치이다.
국소 뇌터 스킴 간의 고유 사상은 층의 연결성(coherence)을 보존한다. 즉, 연결층의 고차 순상(higher direct image)은 연결층이다.[24]
나가타 콤팩트화 정리에 따르면, 뇌터 스킴 사이의 분리 유한형 사상은 열린 몰입과 고유 사상의 합성으로 분해될 수 있다.[23]
3. 1. 완비 대수다양체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사영 대수다양체는 항상 완비 대수다양체이다. 낮은 차원에서는 그 역이 부분적으로 성립한다.[31]
4. 예시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해, 사영 공간 '''P'''''n''은 임의의 가환환 위에서 고유하다.[1] 양의 차원을 갖는 체 위의 아핀 다양체는 위에서 고유하지 않다.[2] 예를 들어, 체 위의 아핀 직선 ''A''1은 사상 ''A''1 → Spec(''k'')가 보편적으로 닫혀 있지 않으므로, 위에서 고유하지 않다.
5. 추가 설명 (형식 스킴)
formal scheme|형식 스킴영어의 경우에도 고유 사상을 정의할 수 있다. 국소 뇌터 형식 스킴 사이의 사상 가 고유하다는 것은, 가 아디 사상(adic morphism)이고, 유도된 사상 가 고유하다는 것을 의미한다.[29] 여기서 , , 이며, ''K''는 의 정의 아이디얼이다. 이 정의는 ''K''를 어떻게 잡는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g'': ''Y'' → ''Z''를 국소 뇌터 스킴의 고유 사상, ''Z''0을 ''Z''의 닫힌 부분 집합, ''Y''0을 ''Y''의 ''g''(''Y''0) ⊂ ''Z''0가 되는 닫힌 부분 집합이라고 하면, 형식적 완비화 위의 사상 는 형식 스킴의 고유 사상이다.
그로텐디크는 이 상황에서의 가환성 정리(coherence theorem)를 증명했다. 즉, 를 국소 뇌터 형식 스킴의 고유 사상이라고 하고, ''F''를 위의 가환층이라고 하면, 고차 순상 는 가환층이다[30]。
참조
[1]
논문
Appendix B, Example 3.4.1
1977
[2]
논문
Lemma 3.3.17
2002
[3]
간행물
Stacks Project, Tag 02YJ
http://stacks.math.c[...]
[4]
간행물
Grothendieck, EGA IV, Part 4, Corollaire 18.12.4; Stacks Project, Tag 02LQ
http://stacks.math.c[...]
[5]
간행물
Grothendieck, EGA IV, Part 3, Théorème 8.11.1
[6]
간행물
Stacks Project, Tag 01W0
http://stacks.math.c[...]
[7]
간행물
Stacks Project, Tag 03GX
http://stacks.math.c[...]
[8]
간행물
Grothendieck, EGA II, Corollaire 5.6.2
[9]
논문
Theorem 4.1
2007
[10]
간행물
SGA 1
[11]
간행물
Grothendieck, EGA III, Part 1, Théorème 3.4.2
[12]
간행물
'[EGA] II, 5.4.1'
https://web.archive.[...]
[13]
서적
代数幾何学 I
岩波書店
[14]
웹사이트
proper射の謎
https://www.ms.u-tok[...]
2021-10-11
[15]
논문
Appendix B, Example 3.4.1
1977
[16]
논문
Lemma 3.3.17
2002
[17]
간행물
Stacks Project, Tag 02YJ
http://stacks.math.c[...]
[18]
간행물
Grothendieck, EGA IV, Part 4, Corollaire 18.12.4; Stacks Project, Tag 02LQ
http://stacks.math.c[...]
[19]
간행물
Grothendieck, EGA IV, Part 3, Théorème 8.11.1
[20]
간행물
Stacks Project, Tag 01W0
http://stacks.math.c[...]
[21]
간행물
Stacks Project, Tag 03GX
http://stacks.math.c[...]
[22]
간행물
Grothendieck, EGA II, Corollaire 5.6.2
[23]
논문
Theorem 4.1
2007
[24]
간행물
EGA III, 3.2.1
[25]
간행물
EGA III
[26]
간행물
SGA 1
[27]
간행물
EGA II, 7.3.8
[28]
간행물
Stack project Tags 01KF and Stack project Tags 01KY
http://stacks.math.c[...]
[29]
간행물
EGA III
[30]
간행물
Grothendieck, EGA III, Part 1, Théorème 3.4.2
[31]
서적
Algebraic geometry
Springer
1977
[32]
저널
Éléments de géométrie algébrique: II. Étude globale élémentaire de quelques classes de morphismes
http://www.numdam.or[...]
2016-02-26
[33]
저널
Existence theorems for non-projective complete algebraic varieties
http://projecteuclid[...]
[34]
서적
On the theory of birational blowing-up
하버드 대학교
[35]
저널
An example of a non-Kählerian complex-analytic deformation of Kählerian complex structures
[36]
저널
Imbedding of an abstract variety in a complete variety
http://projecteuclid[...]
[37]
저널
A generalization of the imbedding problem of an abstract variety in a complete variety
http://projecteuclid[...]
[38]
웹인용
Deligne’s notes on Nagata compactifications
http://math.stanford[...]
2007-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